KR20040090726A - 전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726A
KR20040090726A KR1020040026048A KR20040026048A KR20040090726A KR 20040090726 A KR20040090726 A KR 20040090726A KR 1020040026048 A KR1020040026048 A KR 1020040026048A KR 20040026048 A KR20040026048 A KR 20040026048A KR 20040090726 A KR20040090726 A KR 20040090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
call information
storage mean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428B1 (ko
Inventor
구리하라다케시
도미야와타루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3Arrangements, nature or configuration of flow guiding elements
    • B01F2025/932Nature of the flow guid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녹음되어 있었던 음성을 통화 중에 보내도록 한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화 장치에, 통화 중에 송출하는 음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에 기억한 음성을 판독하는 음성 판독 수단과, 음성 송출 지시 입력 수단을 마련하여,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을, 통화 중에 마이크로 폰에 입력되는 음성과 동시에 또는 마이크로 폰에 입력되는 음성과 교체하여 송출한다. 통화 중에 송출하는 음성은, 이미 녹음해 놓아 다른 통화시의 음성을 이용하거나, 착신 대기시에 녹음한 음성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의 음성 분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음성을 이용하거나, 다른 기기로 기록한 음성을 이용하거나, 기억 수단에 기억해 놓은 착신 멜로디를 이용하거나,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 장치{TELEPHONE APPARATUS}
본 발명은 미리 녹음한 음성 등의 통화 정보를 재생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한 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메시지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팩시밀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송출처에 동시에 송신하는 동보(同報) 통신 기능이 있다. 전화 장치에서도 동보 통신 기능이 있으면, 예컨대 학교의 긴급 연락 사항을 복수의 아동의 보호자에게 한번에 전할 때 등, 동일한 메시지를 복수의 사람에게 전달하는 데 편리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많은 학교에서는 동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화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미리 정한 연락망으로 전언(傳言)을 순번대로 전달하고 있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전언을 전하기 위해, 연락망의 순번에 따라서, A씨로부터 B씨로, B씨로부터 C씨로, C씨로부터 D씨로 전달하도록, 화자는 전언을 말하고, 청자는 전언을 메모하며, 그 다음 전화에서는 청자가 화자로 되어, 메모를 읽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일일이 들은 내용을 메모하여 다음 사람에게 전달해야 하므로, 잘못 듣고, 잘못 말하는 것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음성 메일이라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음성 메일 지원 서버로 음성 메일의 송신을 의뢰하면, 음성 메일 지원 서버는 접수한 텍스트 메시지 또는 접수한 음성 정보를 음성 메시지로서, 지정된 송신 일시가 오는 것을 기다려 수신자에게 발호(發呼)하여 음성 메일을 송신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음성 메일의 송신처에 복수개 설정하면, 동일한 음성 메일을 복수의 송신처에 순차적으로 보낼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음성 메일 지원 서버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음성메일 지원 서버가 없으면 이용할 수 없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99486 호 공보(제 3~4 페이지, 도 2)
본 발명은 종래의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예컨대, 미리 녹음해 놓은 음성을 통화 중에 보낼 수 있도록 한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예를 들어 미리 녹음해 놓은 음성을 송화기인 마이크로 폰에 입력되는 통상의 음성과 동시에 보내도록 하여, 통상의 음성이 도중에서 끊기지 않도록 한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예컨대 미리 녹음해 놓은 음성을 삽입하더라도, 녹음해 놓은 음성과 통화자의 음성이 혼동되지 않도록, 녹음해 놓은 음성과 송화기인 마이크로 폰에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를 이용한 전화 연락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의 삽입 음성 기억 수단의 기억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의 조작 상태의 외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에서 통화 중에 음성을 삽입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에서 통화 중에 음성을 삽입하여 송신할 때의 음성 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에서 통화 중에 음성을 삽입하여 송신할 때의 음성 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에서 통화 중에 음성을 기억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화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화 장치의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화 장치의 삽입 음성 기억 수단의 기억 내용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화 장치의 조작 상태의 외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화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망 2a, 2b : 기지국
3, 4, 5, 6 : 휴대 전화 장치 13 : 무선 제어 수단
14 : 전체 제어 수단 15 : 음성 처리 수단
16 : 스피커 17 : 마이크로 폰
18 : 키 조작부 19 : 녹음·재생키
20 : 표시 수단 22 : 삽입 음성 기억 수단
28, 30, 33, 35 : 식별음 41 : 음성 문장화 처리 수단
본 발명은, 통화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과, 통화 중에 송출하는 통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통화 정보를 판독하는 통화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통화 정보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통화 정보를 혼합하여 송출하는 혼합 수단을 구비한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를, 통화 정보 판독 수단에 판독 지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통화 도중에서 통화 정보를 삽입하는 형태로 상대측의 전화기에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의 통화 정보의 무신호 구간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정보의 신호를 크게 하고, 통화자의 통화 정보의 유신호 구간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정보의 신호를 작게 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정보를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송출할 때는, 통화 중인 통화 정보의 송출을 정지하도록 한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에 마이크로 폰 등으로부터의 음성이나 주위의 잡음이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예컨대 통화자가 소리를 내지 않도록 숨을 참거나, 마이크로 폰을 누르거나 하지 않고 끝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송출할 때에, 당해 통화 정보의 신호 앞에 식별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폰 등으로부터 입력한 통화 정보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구별하여 송신할 수 있다. 구별함으로써, 이른바 위장 전화로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송출할 때에, 당해 통화 정보 뒤에 식별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 앞에 식별음을 송출할 때와 동일하게, 마이크로 폰 등으로부터 입력한 통화 정보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구별하고 있다. 또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의 전후에 식별음을 송출함으로써, 판독한 통화 정보 구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기억 수단에 복수의 통화 정보를 기억해 두고, 각각의 통화 정보에 대응한 통화 정보 송출 지시 입력 수단을 마련한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통화 중에 기억 수단에 기억해 놓은 복수의 통화 정보 중에서, 송출할 통화 정보를 간단히 선택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한 통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시 정보로 변환하는 통화 정보 가시화 수단을 마련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한 통화 정보를 선택할 때에, 기억 수단에 기억한 통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시 정보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통화 중에 송출하고자 하는 통화 정보의 내용을 가시 정보로서 확인하여, 틀리지 않게 선택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전후를 식별 신호에 의해 구분된 통화 정보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식별 신호에 의해 구분된 통화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전후를 식별 신호에 의해 구분한 통화 정보를 하나의 전언으로서 기억할 수 있어, 다른 전화기와의 통화 중에 기억한 전언 정보만을 판독하여, 전언 정보를 전송하는 형태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언의 음성을 그대로 녹음하여 전화 연락망의 연락처에 송신하는 전화 연락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성에 의한 통상의 전화 장치로서 휴대 전화 장치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지만, 전화 장치는 고정 전화 장치이어도 무방하고, 또는 화상을 음성에 수반하여 보내는, 휴대 또는 고정의 화상 전화 장치이어도 무방하다. 또, 음성만을 취급하는 전화 장치의 경우에 통화 정보가 음성 정보이지만, 화상 전화 장치의 경우에, 통화 정보는 음성 정보와 화상 정보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휴대 전화망(1)에 기지국(2a, 2b)이 접속되어 있고, 휴대 전화 장치(3, 4, 5, 6)가 각각 기지국(2a) 또는 기지국(2b)을 거쳐서 다른 휴대 전화 장치와 통화할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4, 5, 6)에는, 통화 중인 음성을 내장되는 기억 수단에 기억하여, 다음 통화 중에 그 기억 수단으로부터 기억한 음성을 판독해서 송신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교의 직원이, 휴대 전화 장치(3)를 이용하여 전화 연락망의 최초의 연락처인 보호자의 휴대 전화 장치(4)와통화 중에 전언을 소리내어 읽었다고 한다. 휴대 전화 장치(4)에서는, 후술하는 녹음키를 눌러, 소리내어 읽혀진 전언의 음성을 기억 수단에 기억한다. 휴대 전화 장치(4)는 다음 연락처인 휴대 전화 장치(5)에 발호하여, 기억한 전언을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해서 송신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5)는, 마찬가지로 전언을 기억 수단에 기억하여, 다음 연락처인 휴대 전화 장치(6)에 발호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한 전언을 판독해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3)로부터 휴대 전화 장치(4)로 보내어진 전언은, 전해진 음성대로 전화 연락망의 휴대 전화 장치(5)와 휴대 전화 장치(6)에 전해진다. 휴대 전화 장치(5)와 휴대 전화 장치(6)의 사용자는 학교 직원의 휴대 전화 장치(3)와 통화하고 있지 않는데도, 학교의 직원의 음성으로 전언 내용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전언은 정확히 전해진다. 또한, 화상 전화의 경우는, 전달해야 할 통화 정보로서, 서면 정보나 주목해야 할 인물 사진, 또는 동화상 등이 있으며, 이들을 통화 중에 촬영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하면 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화 장치인 휴대 전화 장치(4)의 구성을 블럭도로서 나타낸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5, 6)도 휴대 전화 장치(4)와 구성은 동일하다. 도 2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4)는, 무선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수단인 송신부(10)와, 수신부(11)와, 안테나(12)와, 무선 제어 수단(13)을 가지며, 무선 제어 수단(13)을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전체 제어 수단(14)과 음성 처리 수단(15)에 접속하고 있다. 무선 제어 수단(13)은 안테나(12)와 수신부(11)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와 음성 신호를 취출하여, 전체 제어 수단(14) 또는 음성 처리 수단(15)에 송출한다.
음성 처리 수단(15)은 음성 신호를 수화기로서 기능하는 스피커(16)에 출력하며, 또한 송화기로서 기능하는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선 제어 수단(13)에 보내는 동작을 하고 있다.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는 무선 제어 수단(13)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10), 안테나(12)로부터 휴대 전화망(1)에 접속한 근처의 기지국(2b)으로 송신된다. 또한, 음성 처리 수단(15)은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과,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믹싱하는 송출 음성 믹싱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전체 제어 수단(14)에는,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부(18)와, 통화 중인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녹음키(19)와, 액정 표시 수단을 이용한 표시 수단(20)과, 전화 리스트 데이터나 착신 멜로디 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21)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통화 중에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에 삽입하는 형태로 송신하기 위한 음성을 녹음해 놓은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을, 기억 수단(21)과는 별도로 전체 제어 수단(14)에 접속하고 있다. 휴대 전화 장치(4)에서 통화 중에 녹음키(19)를 누르면, 전체 제어 수단(14)은 음성 처리 수단(15)으로부터 통화 중인 음성 신호를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다.
도 3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기억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는, 어드레스 번호(23)마다, 어드레스 1 내지 어드레스 4에 대응한 녹음 내용(24)과, 음성을 녹음했을 때의 통화 상대의 전화 번호또는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성명 또는 명칭(25), 녹음 일시(26)가 기억되어 있다.
도 4에 휴대 전화 장치(4)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통화 중에 키 조작부(18)의 4방향 키(18a)를 이용하여 삽입 음성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면, 도 4의 표시 수단(20)과 같이,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어드레스 번호(23)와, 음성을 녹음한 때의 통화 상대의 전화 번호, 성명 또는 명칭(25)이 표시된다. 어드레스 번호(23)의 숫자와 텐 키(ten key) 입력하는 숫자는 1:1로 대응시키고 있기 때문에, 송출하고자 하는 음성의 어드레스 번호(23)의 숫자와 동일한 키 조작부(18)의 텐 키(ten key)를 눌러, 송출할 음성을 선택하고, 4방향 키(18a)의 중앙의 확정키(18b)를 눌음으로써,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음성을 판독하여 송출하는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송출하고자 하는 음성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4방향 키(18a)를 이용하여 표시 수단(20)에 파선 테두리로서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상하로 스크롤해서, 희망하는 음성의 어드레스 번호(23)를 파선 테두리로 둘러싸, 4방향 키(18a)의 중앙의 확정키(18b)를 누름으로써,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음성을 판독하여 송출하는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송출하고자 하는 음성의 어드레스 번호(23)의 숫자와 동일한 키 조작부(18)의 텐 키(ten key)를 누르는 것에 의해, 송출할 음성을 선택하면 동시에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화상 전화의 경우는, 정지 화상, 동화상의 어느 것이더라도, 표시 수단(20)에는, 통화 상대의 전화 번호, 성명 또는 명칭(25) 대신에, 화상을 섬네일(Thumbnail) 표시로 하면, 기억 내용이 파악하기 쉬워, 송출하고자 하는 통화 정보의 선택이 용이하게된다.
도 5에, 휴대 전화 장치(4)에서 통화 중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통화 녹음 내용을 판독하여 송출할 때의 동작 순서를 흐름도로서 나타낸다. 도 5에서, 휴대 전화 장치(4)의 전원을 넣으면(단계 S1), 전원이 전체 제어 수단(14)과 무선 제어 수단(13)에 들어가고, 송신부(10)와 수신부(11)에 의해, 휴대 전화망(1)의 기지국과 제어 신호의 간헐 수신이 시작되어, 휴대 전화 장치(4)의 위치 등록이 행하여져 착신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 S2). 그리고, 휴대 전화 장치(4)의 사용자가 키 조작부(18)의 통화키를 조작하면 통화가 시작된다(단계 S3).
통화 중에, 휴대 전화 장치(4)의 4방향 키(18a)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도 4와 같이 삽입 음성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4). 그리고, 키 조작부(18)의 텐 키로 송출하고자 하는 음성의 어드레스 번호(23)를 입력한다(단계 S5). 그렇게 하면, 송신 방법에 대해서,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과 교체하는 형태의 송신으로 할 지,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과 믹싱한 형태의 송신으로 할 지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 수단에 표시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4방향 키(18a)의 중앙의 확정키(18b)를 누른다(단계 S6). 여기서는,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과 교체하는 형태의 송신을 선택하고, 4방향 키(18a)의 중앙의 확정키(18b)를 누른다고 하면, 전체 제어 수단(14)은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제어 수단(13)에 보내지 않고,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녹음 내용(24)을 판독하여, 선두에 식별음을 붙이고, 식별음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이 이어지는 형태로 하여, 무선 제어 수단(13), 송신부(10), 안테나(12)를 이용해서 송신한다(단계 S7). 송신이 완료되면(단계 S9), 판독한 음성에 이어지는 식별음을 발생하여, 단계 S3의 통상의 통화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6에서,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과 믹싱한 형태의 송신을 선택했을 때는, 송출 음성 믹싱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음성 처리 수단(15)이,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과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믹싱하여 송출한다(단계 S8). 그리고, 통상의 통화 상태 시에, 키 조작부(18)의 통화 종료 버튼을 눌러 통화 종료되면(단계 S10), 단계 S2의 착신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7일 때도, 단계 S8일 때도,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을 송출할 때에는 음성 처리 수단(15)이 송출하는 음성을 스피커(16)에 모니터 출력하여, 통화자가 송출하고 있는 음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에, 통화 중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을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27)과 교체한 형태로 송출할 때의 음성 신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삽입된 음성(29) 앞에는 식별음(28)이, 삽입된 음성(29) 뒤에는 식별음(30)이 송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음성은,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폰으로부터의 음성(27), 식별음(28), 삽입된 음성(29), 식별음(30), 마이크로 폰으로부터의 음성(31)으로 하도록 송출된다. 여기서, 식별음(28, 30)은 부저음이어도, 차임(chime)음이어도, 짧은 멜로디이어도, 말이어도 된다. 이들 식별음(28)과 식별음(30)은 서로 다른 음을 이용하여, 이른바 헤더음, 후터음으로 하도록, 각각 삽입되는 음성(29)의 시작과 종료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식별음과 동시에, 수신하는 전화기에서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의 기억을 개시하고, 또는 기억을 종료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화상 전화 장치의 경우의 식별 신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의 전후에 음 정보를 삽입하고 또한 수직 라인을 삽입하는 것도 좋고, 또한 화상의 상하 또는 어느 한 쪽으로 수평 라인이 삽입되도록 하면, 화상이 표시되는 동안은 그것이 통화 중인 것과 구별할 수 있다.
식별음(28, 30)을 붙이는 것에 의해, 삽입된 음성(29)과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27, 31)이 구별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음성의 주인과 통화자가 혼동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통화자가 삽입된 음성(29)의 주인인 체 행세하는, 이른바 위장 전화로서의 사용도 방지된다.
도 7에, 통화 중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과,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32)을 음성 처리 수단(15)에서 믹싱한 소리(34)로서 송출했을 때의 음성 신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믹싱하면,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과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이 믹싱된 음성(34)으로서 동시에 보내진다. 또한,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과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의 양쪽의 소리의 주인이 동시에 이야기하고 있다고 하는 착각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구별하기 위해서 믹싱된 음성(34)의 전후에 식별음(33, 35)을 각각 송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음성 처리 수단(15)에는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음성이 유음인지 무음인지를 판별하는 유음·무음 판별 수단을 마련되어 있다.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이 유음일 때(일정 레벨 이상의 크기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있을 때)는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과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을, 미리 정한 비율의 음량으로 동시에 출력하지만, 마이크로 폰(17)에 입력되는 음성이 무음일 때(일정 레벨 이상의 크기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믹싱하는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의 음량을 크게 하고 있다.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전언 등의 음성을 송출할 때는 보통은 마이크로 폰(17)에 소리나 소음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무음일 때는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한 음성의 음량을 크게 하여 상대가 알아 듣기 쉽도록 하고 있다.
도 8에, 휴대 전화 장치(4)의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통화 중인 음성을 기억할 때의 동작 순서를 흐름도로서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통화 중인 음성을 기억하는 방법으로서, 송신되어 온 음성 중, 전후를 식별음으로 구분한 음성의 부분만을 기억하는 방법과, 녹음키(19)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송신되어 온 음성을 모두 기억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선택하여 휴대 전화 장치(4)의 전체 제어 수단(14)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이미 설명한 도 5의 흐름도와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 전화 장치(4)의 전원이 들어오고(단계 S1), 착신 대기 상태로 되어(단계 S2), 통화가 시작된다(단계 S3). 통화 중에 녹음키(19)가 눌려지면(단계 S11),전체 제어 수단(14)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중인 음성을 기억하는 방법을 확인한다(단계 S12). 전후를 식별음으로 구분한 음성의 부분을 기억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녹음키(19)가 눌려지고 나서 최초의 식별음, 즉 삽입되는 음성(29)의 시작을 나타내는 식별음(28)을 수신했을 때에 기억(녹음)을 개시하고(단계 S13), 통화 중인 음성과 믹싱 또는 교체한 형태로 보내져 오는 음성을 기억(녹음)하고(단계 S14), 삽입되는 음성(29)의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음(30)을 수신했을 때에 기억(녹음)을 종료한다(단계 S15). 통화 중인 음성의 기억이 종료되면, 다시 단계 S3의 통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음성(29)의 시작을 나타내는 식별음(28)을 수신했을 때에 기억을 개시하고, 삽입되는 음성(29)의 종료를 나타내는 식별음(30)을 수신했을 때에 기억을 정지함으로써, 전후를 식별음으로 구분한 음성만을 기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후를 식별음으로 구분한 음성만을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판독하여 다음 전화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녹음키(19)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통화 중인 음성을 기억하는 설정으로 하고 있었던 때는, 녹음키(19)를 누른 때로부터 기억(녹음)을 개시하여(단계 S17), 통화 중인 음성을 기억(녹음)하고(단계 S18), 녹음키(19)가 놓아질 때에 기억(녹음)을 종료하도록 하고 있다(단계 S19). 이 경우는, 식별음에 관계없이 임의의 기간의 통화 중인 음성을 기억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화 장치인 휴대 전화 장치(4)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전화 장치의 경우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대응할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4)는 인터넷 접속 기능과, 적외선 통신 기능과, 다른 전자기기에 접속하여 다른 전자 기기의 전자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취입하는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 장치로서, 통화 중에 송출할 수 있는 음성으로서, 미리 통화 중에 녹음한 음성을 송출할 뿐만 아니라,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다른 음성도 송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화 장치인 휴대 전화 장치(4)의 동작 순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휴대 전화 장치(4)의 전원을 넣으면(단계 S21), 발신과 착신 동작이 가능한 이른바 착신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 S22). 먼저 다른 통화를 했을 때에 통화 내용을 녹음해 놓고(단계 S23), 통화를 개시한다(단계 S28). 휴대 전화 장치(4)의 사용자가, 이미 행한 다른 통화 시에 녹음한 통화 내용을, 금회 통화 중에 송출하는 음성으로서 선택하여, 삽입 음성 번호를 입력하고,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하면(단계 S29),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으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 번호에 등록된 음성을 판독하여 송신한다(단계 S30). 송신이 종료되면, 통상의 통화를 재개하고(단계 S31), 키 조작부(18)의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면 통화 종료되어(단계 S32), 단계 S22의 착신 대기 상태에 되돌아가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4)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착신 대기 시에, 키 조작부(18)와 전체 제어 수단(14)과, 마이크로 폰(17)과, 음성 처리 수단(15)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기억하고(단계 S24), 단계 S29에서 그 삽입 음성 번호를 입력하여,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착신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로 폰(17)으로부터 입력하여 녹음해 놓은 음성을 통화 중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4)는 키 조작부(18)와, 전체 제어 수단(14)과, 무선 제어 수단(13)과, 송신부(10)와, 수신부(11)와, 안테나(12)와,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을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인터넷의 음악을 포함하는 음성 분배 서버로부터 음성을 다운로드해서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해 두고(단계 S25), 상기와 마찬가지로, 단계 S29에서 그 삽입 음성 번호를 입력하여,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음악을 포함하는 음성 분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음성을 통화 중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4)는, 다른 휴대 전화 장치에 기억하여 놓은 음성을 적외선 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하거나, 다른 퍼스널 컴퓨터에 기억해 놓은 음성을 신호선을 접속하여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복사하거나 하여(단계 S26), 상기와 마찬가지로, 단계 S29에서 그 삽입 음성 번호를 입력하여,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미리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복사한 음성을 통화 중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전화 장치(4)는 기억 수단(21)에 기억해 놓은 착신 멜로디를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의 일부로서 사용 가능하게 하거나,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복사하거나 하고 있어(단계 S27), 단계 S29에서 그 삽입 음성 번호를 입력하여, 음성 송출 지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4)의 기억 수단(21)에 기억하여 놓은 착신 멜로디를 통화 중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자신이 일상 사용하고 있는 착신 멜로디를 통화 중인 상대에게 들려주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을 카드식 반도체 메모리와 같이 착탈식 기억 매체를 이용한 기억 수단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기억 매체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교체한 기억 매체에 기억해 놓은 음성을 통화 중에 송신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화 장치인 휴대 전화 장치(40)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전화 장치의 경우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생각하면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0에 휴대 전화 장치(4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 장치(40)에는, 이미 도 2에서 나타낸 휴대 전화 장치(4)의 구성에 추가하여, 음성 문장화 처리 수단(41)을 마련한 점에 특징이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2에서 나타낸 휴대 전화 장치(4)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 전화 장치(40)의 음성 문장화 처리 수단(41)은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음성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의 어드레스 번호(23)에 대응하는 녹음 내용(24)에 대하여, 예컨대 관용적인 「여보세요」 등을삭제하고, 앞에서부터 수(數) 문자 정도의 짧은 음성 부분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 내용(37)을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의 어드레스 번호(23)에 관련되는 하나의 데이터로서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실시예 3의 휴대 전화 장치(40)에서는, 도 12와 같이 표시 수단(20)에 표시된 삽입 음성 선택 화면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의 어드레스 번호(23)와 기억한 음성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 내용(37)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녹음 내용(24) 전부를 텍스트 데이터화해 두고, 휴대 전화 장치(40)에서 삽입 음성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4방향 키(18a)를 이용하여 커서 테두리(38)를 움직여,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 번호(23)와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 내용(37)을 둘러싸면, 전체 문장을 표시 수단(20) 전체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40)에서는,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의 어드레스 번호에 상당하는 키 조작부(18)의 텐 키(ten key)를 누르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번호에 대응한 음성의 내용이 선택되어, 4방향 키(18a)의 중앙의 확정키(18b)가 눌려져 음성 송출 지시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 전화망(1)으로 송출된다.
휴대 전화 장치(40)의 동작 순서를 흐름도로 나타내면 도 13과 같이 된다. 도 13의 흐름도는 기본적으로 이미 설명한 도 5의 흐름도와 동일하며, 삽입 음성 선택 화면을 표시할 때에, 선택할 수 있는 음성을 문자 표시하는 단계 S45가 상이하다. 다른 단계는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즉, 통화 중에, 휴대 전화 장치(4)의 4방향 키(18a)를 이용하여 삽입 음성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단계 S4). 그렇게 하면, 이미 설명한 도 12와 같이 삽입 음성 선택 화면에 녹음 내용(24)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한 내용(37)이 표시되기 때문에(단계 S45), 송출하고자 하는 음성의 내용을 확인하여, 키 조작부(18)의 텐 키(ten key)로 어드레스 번호(23)를 입력하고(단계 S5), 이후는 도 5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휴대 전화 장치(40)에 의하면, 표시 수단(20)에 삽입 음성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음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텍스트 데이터로서 표시하기 때문에, 송신하고자 하는 내용을 확인하여 정확히 송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여,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있었던 통화 정보를 통화 중에 보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화기로 상대와 통화를 시작한 후, 통화 도중에, 미리 기억해 놓은 전언 내용을 통화에 삽입하는 형태로, 상대측의 전화기로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삽입 통화 정보 기억 수단(22)에 기억한 통화 정보를 그대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학교의 전화 연락망의 전언에 대해서, 일일이 메모를 하거나, 메모를 신중히 소리내어 읽거나, 송신자와 수신자로 내용을 복창하고 확인하지 않더라도, 전언이 그대로 정확하게 전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미리 기억 수단에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를 입력 수단인 마이크로 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통상의 통화 정보와 동시에 보내도록 하여, 통상의 통화 정보가 도중에서 끊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통화 중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의 통화 정보의 무신호 구간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정보의 신호의 크기를 크게 하고, 통화자의 통화 정보의 유신호 구간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신호의 신호의 크기를 작게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를 판독하여 송출하고 있는 동안에 소리를 내보내지 않거나 화상을 촬영하지 않으면, 송출하고 있는 통화 정보의 신호의 크기가 커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미리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를 삽입하더라도,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와 통화자의 통화 정보가 혼동되지 않도록,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와 입력 수단인 마이크로 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의 통화 정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 전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단지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와 통화자의 통화 정보를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자가 기억해 놓은 통화 정보의 주인인 체 행세하는, 이른바 위장 전화로서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통화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과,
    통화 중에 송출하는 통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통화 정보를 판독하는 통화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입력된 통화 정보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통화 정보를 혼합하여 송출하는 혼합 수단
    을 구비한 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통화 중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자의 통화 정보의 무(無)신호 구간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정보의 신호를 크게 하고, 통화자의 통화 정보의 유(有)신호 구간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송출하는 통화 정보의 신호를 작게 하도록 한 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송출할 때는, 통화 중인 통화 정보의 송출을 정지하도록 한 전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송출할 때에, 당해 통화 정보의 신호 앞에 식별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 전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통화 정보를 송출할 때에, 당해 통화 정보 뒤에 식별 신호를 송출하도록 한 전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는 복수의 통화 정보를 기억해 두고, 각각의 통화 정보에 대응한 통화 정보 송출 지시 입력 수단을 마련하여 구성한 전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통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시(可視) 정보로 변환하는 통화 정보 가시화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통화 정보를 선택할 때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한 통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시 정보로서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한 전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통화 중에 전후를 식별 신호에 의해 구분된 통화 정보가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식별 신호에 의해 구분된 통화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한 전화 장치.
KR1020040026048A 2003-04-18 2004-04-16 전화 장치 KR100750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3874 2003-04-18
JP2003113874A JP4093103B2 (ja) 2003-04-18 2003-04-18 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26A true KR20040090726A (ko) 2004-10-26
KR100750428B1 KR100750428B1 (ko) 2007-08-21

Family

ID=3347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048A KR100750428B1 (ko) 2003-04-18 2004-04-16 전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93103B2 (ko)
KR (1) KR100750428B1 (ko)
CN (1) CN15387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8843A1 (en) * 2004-09-30 2006-03-3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obile audio platform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US8311042B2 (en) * 2007-06-15 2012-11-13 M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and reporting of the mapping between device identity and network address in wireless networks
CN101764802B (zh) * 2009-02-04 2011-11-16 华为终端有限公司 在通话期间播放多媒体铃音的方法、服务器及终端设备
JP5321687B2 (ja) 2009-10-01 2013-10-23 富士通株式会社 音声通話装置
CN108234740A (zh) * 2017-11-15 2018-06-29 宁波麦度智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重压屏幕快速录制收音机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292A (ko) * 2001-12-11 2003-06-19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통화중 통화시간 알림 방법
KR100553599B1 (ko) * 2003-09-16 2006-02-20 김시인 휴대폰의 통화 중이나 부재중 안내멘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93103B2 (ja) 2008-06-04
KR100750428B1 (ko) 2007-08-21
JP2004320596A (ja) 2004-11-11
CN1538713A (zh)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39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CN100527767C (zh) 手持设备个性化
US822908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lently selectable audible communication
JPH083304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KR100444836B1 (ko) 전화기 및 통지방법
KR100750428B1 (ko) 전화 장치
US20110208523A1 (en) Voice-to-dactylology conversion method and system
JP2003218999A (ja) 音声認識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7109119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3090341U (ja) 会話ログ記録/表示機能付き携帯端末機器
JP3789274B2 (ja) 移動体通信端末
JP4503564B2 (ja) 留守番電話用アナウンスの生成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留守番電話用アナウンスの生成システム
JP2008048126A (ja) 留守番電話用アナウンスの生成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留守番電話用アナウンスの生成システム
JP2002094612A (ja) 携帯電話機
JPH10304050A (ja) 着信電話自動応答装置
JP2003198762A (ja) 電話機
KR20060130897A (ko) 휴대 단말기의 무성음 통화 장치 및 방법
JP4537360B2 (ja) 留守番電話用アナウンスの生成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留守番電話用アナウンスの生成システム
JP2944508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000216875A (ja) 電話装置と音声応答方法
JP2003069696A (ja) 留守番電話装置
JP3956958B2 (ja) 電話機
JP2006197077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端末
JPH10229433A (ja) 携帯電話機
JPH08316970A (ja) 短文データ無線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