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5Y1 -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5Y1
KR200400895Y1 KR20-2005-0021692U KR20050021692U KR200400895Y1 KR 200400895 Y1 KR200400895 Y1 KR 200400895Y1 KR 20050021692 U KR20050021692 U KR 20050021692U KR 200400895 Y1 KR200400895 Y1 KR 200400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unit
genre
effect
stage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20-2005-0021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25Devices for making mist or smoke effects, e.g. with liquid ai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대효과 발생장치에 관한 것인바, 종래에는 이러한 무대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기술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소규모의 무대일 경우에는 단순 점멸과 같이 단순한 동작을 하는 조명기구가 음악과 함께 작동되는데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고안은 음악의 장르를 감지하여 음악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무대효과를 자동으로 발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본 고안에 따른 무대효과 발생장치는 구동부, 음악수용부, 제어부 및 효과장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의 구성요소인 판단부는 상기 음악수용부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음악의 장르를 판단하고 해당 장르별 효과발생 루틴을 처리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악의 장르를 정교하게 판별함으로써 최적의 무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연결이 필요없는 독립된 장치이기 때문에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며, 화폐투입기를 부착함으로써 소자본 창업 아이템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Automatic Stage Effector}
본 고안은 무대효과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 하게는 음악의 장르를 판단하여 음악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무대 효과를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가무를 즐겨왔던 우리 민족의 특성은 현대에 이르러 삼삼오오 모여 손쉽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소위 노래방 문화를 낳았고 이는 이제 우리 대중 문화로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음악과 무대가 설치되는 장소(노래방, 나이트 클럽, 방송국, 단란주점 등)에는 조명, 안개, 비누방울, 레이저, 싸이키 등의 다양한 무대 효과가 등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무대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기술자가 효과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소규모의 무대일 경우에는 단순 점멸과 같이 비교적 단순한 동작을 하는 조명기구가 음악과 함께 작동되는데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무대효과 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거나 노래방과 같은 소규모 무대에서는 음악과 어울리지 않는 무대효과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악의 장르를 감지하여 음악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무대효과를 자동으로 발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치를 구동시키는 정류회로장치로서, 교류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인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공간 내의 음파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음악수용부와; 상기 음악수용부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회로장치로서, 음악성분을 분석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단하고 장르별 효과발생 루틴을 처리하도록 설계되는 판단부와 효과장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릴레이부에 연결되어 전원인가시 무대효과를 발생하는 효과장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는 구동부(100), 음악수용부(110), 제어부(120) 및 효과장치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부(100)는 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전력을 공급하는 정류회로장치가 될 것이다. 또한 이 구동부(1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교류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인가부(101)가 필요한데, 이는 단순한 온/오프 스위치일 수도 있고 화폐인식기능을 구비한 화폐 투입기와 같이 상업적으로 변형된 형태일 수도 있다. 만일 인가부로서 화폐 투입기를 설치한다면 소자본 창업 아이템으로서 손색이 없을 것이다.
음악수용부(110)는 마이크로폰과 같이, 음향기기와의 유선연결 없이도 음파를 수용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된 공간 내의 음파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뒤 이를 제어부(12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20)는 상기 음악수용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회로장치로서, 판단부(121)와 릴레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121)는 상기 음악수용부(11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음악의 장르를 판단하고 해당 장르별 효과발생을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되는바, 주파수 성분, 템포 및 비트 등의 음악 성분을 분석하여 음악의 장르를 정교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퍼지(Fuzzy)이론과 같은 인공지능(AI)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21)에서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게 되면 음악 장르별 소정 제어회로가 작동되는데, 최종적으로는 릴레이부(122)가 그 제어신호를 받아 해당 효과장치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함으로써 효과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효과장치부(130)는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각종 조명기기, 안개발생장치, 비누방울 발생장치, 빔 프로젝터 등 다양한 효과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효과장치가 각 릴레이부(122)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어된다.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연결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메인보드의 일 실시예로서 상부 조명 2개, 하부 조명 4개, 사이키 조명 2개, 레이저 조명 1개, 비누방울 발생장치, 안개 발생장치 및 화폐투입기를 부착한 경우의 구성이다.구동부의 구성으로서는 전원연결슬롯(201)을 포함하고, 화폐투입기를 위해서 화폐인식기용 슬롯(203)과 화폐의 투입량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할 타이머 슬롯(202)이 포함되어있다. 음악수용부로서의 마이크로폰(211)을 통해 외부의 음향을 수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음향의 특징을 판단하여 모든 효과 장치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칩셋(221)을 포함하며 기억장치 등의 부수되는 소켓 구성들을 포함한다.효과장치부 또한 메인보드 상에서 슬롯으로 연결되어 통합되는 간단한 구조를 볼 수 있는데, 상부조명용(231) 2개, 하부조명용(232) 4개, 사이키 조명용(233) 2개, 레이져 조명용(234) 1개, 비누방울 발생장치용(235) 1개 및 안개 발생장치용(236) 1개의 슬롯이 배열되어 있다. 이렇게 하나의 메인보드에 통합된 효과발생장치는 메인보드를 내장하고 효과발생장치를 적절하게 배치시켜 특정 형태의 외관으로 생산해낼 수 있는바, 도 3은 상술한 메인보드를 탑재한 무대효과 발생장치의 완성된 모습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메인보드는 A부분의 내부에 위치하여 밖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화폐투입기는 B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일실시예의 효과발생장치는 사람의 형상을 모방하여 배치하였는바, 상부조명(331)이 눈과 같은 위치에 두 개, 하부조명(332)이 배와 같은 위치에 네 개, 싸이키 조명(333)이 팔과 같은 위치에 두 개, 레이저 조명(334)이 입의 위치에 한 개, 비누방울 발생장치(335)가 허리 위치에 한 개, 안개 발생장치(336)가 코의 위치에 한 개 장착되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대한 특정이 아님을 명확히 하는 바이며, 해당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용이하게 변경, 치환 또는 확장할 수 있는 범위라면 본 고안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는 음향기기로부터 공간으로 울려퍼지는 음파를 감지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고 적절한 무대효과를 발생함으로써 수작업이 전혀 필요치 않으며, 음악의 장르를 정교하게 판별함으로써 최적의 무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음향기기와 유선연결이 필요없는 독립된 장치로서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며 화폐투입기를 부착함으로써 소자본 창업 아이템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메인보드의 구성도이다.도 3은 상기 메인보드를 장착하여 완성된 무대효과발생장치의 일실시예이다.
<주요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구동부 101 : 인가부
110 : 음악수용부 120 : 제어부
121 : 판단부 122 : 릴레이부
130 : 효과장치부

Claims (3)

  1. 장치를 구동시키는 정류회로장치로서, 교류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는 인가부(101)를 포함하는 구동부(100)와,
    공간 내의 음파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음악수용부(110)와,
    상기 음악수용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회로장치로서, 음악성분을 분석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단하고 장르별 효과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되는 판단부(121)와 효과장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122)를 포함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릴레이부(122)에 연결되어 전원인가시 무대효과를 발생하는 효과장치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부(101)는 화폐인식 기능을 구비한 화폐투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장치부(130)는 안개발생장치, 비누방울 발생장치 및 발광다이오드(LED) 조명기기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KR20-2005-0021692U 2005-07-26 2005-07-26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KR200400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92U KR200400895Y1 (ko) 2005-07-26 2005-07-26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92U KR200400895Y1 (ko) 2005-07-26 2005-07-26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5Y1 true KR200400895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92U KR200400895Y1 (ko) 2005-07-26 2005-07-26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55B1 (ko) 2006-06-30 2010-06-21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KR101022690B1 (ko) 2009-10-20 2011-03-22 유창운 레이저조명과 led조명의 조합연출이 가능한 무대조명장치
WO2014142366A1 (ko) * 2013-03-11 2014-09-18 (주)바이널 무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55B1 (ko) 2006-06-30 2010-06-21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US8060224B2 (en) 2006-06-30 2011-11-1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Music genre judging device and game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022690B1 (ko) 2009-10-20 2011-03-22 유창운 레이저조명과 led조명의 조합연출이 가능한 무대조명장치
WO2014142366A1 (ko) * 2013-03-11 2014-09-18 (주)바이널 무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8333A (en) Musical rainbow toy
CN106039520B (zh) 具有同步声音和非声音输出的儿童产品
JP7347479B2 (ja) 電子楽器、電子楽器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098831B2 (en) Visual feedback in electronic entertainment system
CN103907400A (zh) 使用分束照明装置的存在探测
KR200400895Y1 (ko)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CN105992445B (zh) 一种音效控制系统
JP712266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
US6971779B2 (en) Fiber optic and led fountain and method
CN105788583A (zh) 多功能激光琴
KR200435220Y1 (ko) 음량을 이용한 조명장치
CN201731425U (zh) 一种led智能语音树灯
KR20090007775U (ko) 무대조명장치
CN108694932B (zh) 一种能与音乐同步动作的趣味乐队音乐盒及实现方法
JP2012164439A (ja) 発光システムおよび発光指示装置
JP2001120735A (ja) 遊技機
CN102129856B (zh) 水光互动式激光琴
KR200414178Y1 (ko) 노래방 조명장치
CN2715292Y (zh) 智能电子乐器
JP2005034054A (ja) 箱庭玩具
CN2292320Y (zh) 激光琴
CN211957101U (zh) 一种彩虹无弦发音器
CN202277911U (zh) 一种led多彩变换花洒
JP201905014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9270812U (zh) 一种可换拼装的儿童电子琴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