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755B1 -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 Google Patents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755B1
KR100964755B1 KR1020087031406A KR20087031406A KR100964755B1 KR 100964755 B1 KR100964755 B1 KR 100964755B1 KR 1020087031406 A KR1020087031406 A KR 1020087031406A KR 20087031406 A KR20087031406 A KR 20087031406A KR 100964755 B1 KR100964755 B1 KR 10096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value
genr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410A (ko
Inventor
데쯔로 이따미
유끼에 야마자끼
마쯔미 스즈끼
야스시 요시다
하지메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9002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63F2300/6072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of an input signal, e.g. pitch and rhythm extraction,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3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of musical genre, i.e. analysing the style of musical pieces, usually for selection, fil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25Computing or signal processing architecture features
    • G10H2230/035Power management, i.e. specific power supply solution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auto power shut-off, energy saving designs, power conditioning, connector design, avoiding inconvenient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음악의 장르를 판별할 수 있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를 제공한다. 음악 재생 기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입력부(4)와, 신호 입력부(4)에 취득된 음악 재생 신호의 저주파 성부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을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0)와,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적분값 및 미분값의 각각을 소정의 샘플링 단위 시간 Tn씩 취득하여, 샘플링 단위 시간 Tn 내에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레벨을 초과한 값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횟수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 Tm마다 또한 적분값 및 미분값별로 집계한 해석 데이터 D1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30)와, 해석 데이터 D1에 기술된 집계값의 각각의 평균값 M0~M2와 주파수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각각의 미분값의 변동 계수 CV1, CV2를 연산하고, 그 연산값에 기초하여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데이터 해석부(31)를 음악 장르 판별 장치에 설치한다.
음악 장르, 판별 장치, 게임기, 신호 처리부, 적분값, 미분값

Description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MUSIC GENRE JUDGING DEVICE AND GAME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악 재생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여 그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음악 재생기의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는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한 음성 변환을 전제로 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는 음악 재생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와 같은 음악 재생 신호를 해석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정하는 수단으로서, 지금까지는 FFT 등의 고도의 주파수 분석 처리가 이용되고 있으며, 음악 재생기와 조합하여 일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장르의 판별 장치는 이제까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또한,게임기의 분야에서는,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를 캐릭터의 형태에 반영시키는 것이 제공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964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본 발명은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음악의 장르를 판별할 수 있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것을 응용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는,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에 취득된 음악 재생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을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적분값 및 미분값의 각각을 소정의 샘플링 단위 시간씩 취득하여, 상기 샘플링 단위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상기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 레벨을 초과한 값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횟수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마다 또한 상기 적분값 및 상기 미분값별로 집계한 해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해석 데이터에 기술된 집계값의 각각의 평균값과 상기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각각의 미분값에 관하여 상기 해석 데이터에 기술된 변동 계수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데이터 해석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음성 출력 장치를 향해서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에는, 음악의 장르에 따른 공통의, 또는 유사한 특징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음악 재생 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변동 상태와 상관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에서는,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적분값 및 미분값이 데이터 생성부에 샘플링 단위 시간씩 공급되고, 그 샘플링 단위 시간 내에 각각의 적분값 및 미분값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횟수가 소정의 샘플링 주기마다 또한 적분값 및 미분값별로 집계된 해석 데이터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다. 그리고, 그 해석 데이터에 기술되어 있는 집계값의 평균값 및 변동 계수가 데이터 해석부에서 구해진다. 얻어진 평균값 및 변동 계수는, 음악 재생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샘플링 주기마다의 변동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그들 평균값 및 변동 계수로부터 음악의 장르에 따른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음악 재생 신호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장르를 판별할 수 있다. 음악 재생 신호에 대한 적분 처리 및 미분 처리는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적분값 및 미분값의 처리에 대해서도, 샘플링 단위 시간마다 적분값 및 미분값과 소정 레벨을 대소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집계한다고 하는 비교적 용이하며 또한 고속으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또한,이들 적분값 및 미분값에 대한 평균값 및 변동 계수의 연산 처리도 주지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비교적 단순한 연산에 의해 구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에 의하면, 처리 능력이 한정된 소형의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닛(MPU)을 탑재한 일반 소비재 등에서도 충분히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의 일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변동 계수의 각각과, 상기 평균값 및 상기 변동 계수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단수로 구분하였을 때의 각 구분을 대표하는 식별값을 미리 대응지은 연산 결과 식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연산된 평균값 및 변동 계수의 각각에 대응 하는 식별값을 취득하고, 얻어진 식별값에 기초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여도 된다. 식별값을 이용함으로써, 음악의 장르를 필요 이상으로 복잡화하지 않고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의 일 형태에서,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변동 계수의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값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한 판정값과 음악의 장르를 미리 대응지은 판별 참조 데이터를 참조하여, 얻어진 식별값에 대응하는 장르를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음악 재생 신호에서 재생될 음악의 장르로서 판별하여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해석부에서 얻어진 평균값 및 변동 계수의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값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한 판정값과 음악의 장르의 상관 관계를 미리 조사하여 판별 참조 데이터에 기술해 둠으로써, 신호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음악 재생 신호를 해석하여 얻어진 판정값이 어느 장르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의 일 형태에서, 상기 음악의 장르와 상기 데이터 해석부에서 판별된 횟수를 대응지은 이력 데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장르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여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음악 장르 판별 장치에 의한 판별 횟수를 장르별로 기록해 둠으로써, 음악 재생 기기에서 어떠한 장르의 음악이 빈번하게 재생되어 있는지라고 하는 유저의 경향을 분석하고, 나아가서는 그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기호에 따른 다양한 처리, 조작,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일 형태로서, 상기 음악 장르 판별 장치는, 상기 음악 재생 기기의 라인 출력 단자와, 그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음성 변환하는 음성 출력 장치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 통과시키는 바이패스 경로와, 그 음악 재생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경로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특정한 음악 재생 기기의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음성 출력 장치에 통과시켜 음악을 재생하면서, 그 음악의 장르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음악 장르 판별 장치와, 상기 장르의 판별 결과를 게임 내용에 반영시키는 게임 제어부를 구비한 게임기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게임기에 의하면,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고, 그 음악 재생 신호에서 재생될 음악의 장르를 게임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음악 재생 기기에 의한 음악의 재생과 게임을 융합시킨 참신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 재생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평균값과,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변동 계수를 구하고, 그들 평균값 및 변동 계수와 대응지어진 식별값에 기초하여 음악 장르를 판별함으로써,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한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응용한 게임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음악 장르 판별 장치가 조립된 휴대형 게임기를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와 이어폰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게임기의 제어계에서의 음악 장르 판별에 관한 부분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어 유닛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음악 재생 신호와 샘플링 주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샘플링 주기 내에서의 적분값의 파형과 샘플링 단위 시간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해석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연산 결과 식별 데이터의 내용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판별 참조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이력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신호 처리부에 대한 전원의 투입 및 절단의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어 유닛에서 실행되는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어 유닛에서 실행되는 해석 데이터 생성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제어 유닛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해석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음악 장르 판별 장치가 조립된 휴대형 게임기를 도시하고 있다. 게임기(1)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100)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케이스(2)와, 그 케이스(2)의 전면에 부착된 표시 장치로서의 LCD(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에는 라인 입력 단자(4) 및 폰 단자(5)가 설치되어 있다. 라인 입력 단자(4)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100)의 라인 출력 단자(101)와 중계 케이블(102)을 통해서 접속된다. 폰 단자(5)는 이어폰(103)과 접속된다. 즉, 본 형태의 게임기(1)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100)와 이에 조합될 음성 출력 장치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어 사용된다. 음악 플레이어(100)와 조합되는 음성 출력 장치는 이어폰(103)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100)는, 스피커, 헤드폰 등의 각종 음성 출력 장치를 향해서 음성 변환용의 음악 재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그 기록 매체의 형식, 재생 방식 등의 세부는 불문한다. 또한,음악 플레이어는 휴대형에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오디오,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시판되는 휴대 전자 게임 등의 음악을 출력하는 각종 기기를 포함한다.
게임기(1)는, 음악 플레이어(100)의 라인 입력 단자(4)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이어폰(103)에 통과시키는 중계기로서 기능함과 함께, 음악 플레이어(100)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따른 게임을 유저에 제공하는 게임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는, 게임기(1)의 내부에 설 치된 제어계 중,특히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여 해석하는 기능에 관한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게임기(1)는, 신호 입력부로서의 라인 입력 단자(4)로부터 폰 단자(5)에 아날로그의 음성 재생 신호를 통과시키는 바이패스 경로 R1과, 라인 입력 단자(4)로부터 분기 경로 R2를 통해서 공급되는 음성 재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0)와, 그 신호 처리부(10)의 출력 신호와 분기 경로 R1로부터 분기 경로 R3에 유도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유닛(11)과, 게임기(1)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전지(18)와, 그 전원 전지(18)로부터 신호 처리부(10)에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회로(19)를 갖고 있다. 또한,경로 R1, R2는 어느 것이나 우 채널, 좌 채널 및 어스 채널의 3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지만, 도면에서는 1개로 대표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분기 경로 R3은, 우 채널 및 좌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어 유닛(11)을 연결하는 것이어도 된다.
신호 처리부(10)는, 라인 입력 단자(4)로부터 공급된 음악 재생 신호의 저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한쌍의 로우 패스 필터(LPF; 12A, 12B)와, 그 음악 재생 신호의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하이 패스 필터(HPF; 13A)와, LPF(12A)의 출력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회로(14)와, LPF(12B)의 출력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 회로(15)와, HPF(13A)의 출력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 회로(16)와, 각 회로(14∼16)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유닛(11)에 출력하는 A/D 변환기(17A∼17C)를 구비하고 있다. LPF(12A, 12B)가 통과시키는 주파수 영역은 예를 들면 1000㎐ 이하로 설정되고, HPF(13A)가 통과시키는 주파수 영역은 예를 들면 1000㎐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한,주파수 영역의 설정값은 이들 예에 한하지 않는다. 예 를 들면, LPF(12A, 12B)가 통과시키는 주파수 영역을 500㎐ 이하로 설정하고, HPF(13A)가 통과시키는 주파수 영역을 1000㎐ 이상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LPF(12A, 12B)가 통과시키는 주파수 영역은 서로와 동일하게 설정되어도 되며, 상위하여도 된다. 양자의 통과 주파수 영역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LPF(12A, 12B) 대신에 단일의 LPF를 설치하고, 그 출력 신호를 적분 회로(14) 및 미분 회로(15)로 분기되어도 된다.
제어 유닛(11)은, 마이크로프로세스 유닛(MPU)과, 그 MPU의 동작에 필요한 주변 장치, 예를 들면 RAM, ROM 등의 기억 장치를 조합한 컴퓨터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11)에는, 전술한 LCD(3)가 제어 대상으로서 접속됨과 함께,게임의 지시 등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 장치(20), 음성, 효과음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 유닛(SP; 21)이 접속된다. 또한,스피커 유닛(21)에의 접속 경로에는 폰 단자(5)도 접속된다.
제어 유닛(11)은, LCD(3)에 게임 화면을 표시시키는 등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각종 게임 기능을 제공한다. 그 게임에 부대한 기능으로서, 제어 유닛(11)은 신호 처리부(10)의 출력 신호를 해석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3은 제어 유닛(11)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11)의 MPU(도시 생략)가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25)로부터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제어 유닛(11)의 내부에는, 논리적 장치로서, 특징 판별부로서의 데이터 생성부(30) 및 데이터 해석부(31)와, 게임 제어부(32)와, 전원 관리부(33)가 생성된다. 데이터 생성부(30)는 신호 처리부(10)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해석 데이터 D1을 생성하고, 이를 기억 장치(25)에 기억한다. 데이터 해석부(31)는, 해석 데이터 D1을 읽어내어 소정의 방법에 의해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서 이력 데이터 D2를 갱신한다. 그 장르 판별에는 기억 장치(25)에 기록된 판별 참조 데이터 D3이 참조된다. 게임 제어부(32)는, 이력 데이터 D2를 참조하면서 소정의 게임 프로그램(도시 생략)에 따라서 게임을 실행한다. 전원 관리부(33)는, 분기 경로 R3으로부터의 음성 재생 신호의 입력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 전지(18)로부터 신호 처리부(10)에의 전력의 공급(전원 온) 및 공급 정지(전원 오프)를 절환 제어한다.
다음으로,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게임기(1)에 의한 장르 판별에 관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4는 라인 입력 단자(4)로부터 신호 처리부(10)에 입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의 파형의 일례이다. 신호 처리부(10)에서는, LPF(12A, 12B)에 의해 음악 재생 신호의 저주파 성분이 취출되고, HPF(13A)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취출된다. 취출된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이 적분 회로(14)로부터 출력되고, 저주파 성분의 미분값이 미분 회로(15)로부터 출력되며,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이 미분 회로(16)로부터 출력된다. 출력된 적분값 및 미분값은 A/D 변환기(17A∼17C)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 유닛(11)의 데이터 생성부(30)에 입력된다. 데이터 생성부(30)에는,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적분값 및 미분값을 처리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서, 도 4에 도시한 샘플링 주기 Tm과, 도 5(적분 회로(14)의 출력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임)에 도시한 샘플링 단위 시간 Tn의 2종류의 시간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샘플링 주기 Tm은 샘플링 단위 시간 Tn의 정수배이다. 일례 로서, 샘플링 주기 Tm이 5초, 샘플링 단위 시간 Tn이 20밀리초로 각각 설정된다.
제어 유닛(11)의 데이터 생성부(30)에서는, 적분값 및 미분값을 샘플링 단위 시간 Tn씩 취득하여, 그 샘플링 단위 시간 Tn 내에 적분값 및 미분값이 각각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소정 레벨을 초과한 값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횟수를 샘플링 주기 Tm마다, 또한 적분값 및 미분값별로 집계하여 해석 데이터 D1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설정된 하나의 샘플링 주기 Tm에서의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이 도 5와 같이 변동하는 경우, 데이터 생성부(30)에서는 각 샘플링 단위 시간 Tn 내에서 적분값이 소정의 임계값 TH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적분값이 임계값 TH를 초과한 경우에 적분값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다고 판정한다. 단,하나의 샘플링 단위 시간 Tn 내에서 적분값이 임계값 TH를 초과한 횟수에 관계없이, 한번이라도 초과하면 횟수는 1로서 카운트된다. 이 판정 처리를 샘플링 주기 Tm 내에서 샘플링 단위 시간 Tn마다 반복하고,샘플링 주기 Tm의 경과 시점에서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횟수를 계수한다. 샘플링 주기 Tm이 5초, 샘플링 단위 시간 Tn이 20밀리초이면, 1주기 Tm에서의 횟수의 최소값은 0, 최대값은 250이다.
제어 유닛(11)의 데이터 생성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적분값 및 미분값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로 실행하고, 계측된 횟수를 샘플링 주기 Tm마다 순차적으로 집계하여 도 6과 같이 해석 데이터 D1을 생성한다. 도 6의 해석 데이터 D1에서, 채널 ch0은 적분 회로(14)로부터의 출력에, 채널 ch1은 미분 회로(15)로부터의 출력에, 채널 ch2는 미분 회로(16)로부터의 출력에 각각 대응한다. 샘플 번호 smp1∼smpN은 음악 재생 신호의 개시 시점으로부터의 주기의 번호에 대응한다. 여기에서는 음악 재생 신호가 전부 N 주기에 상당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샘플 번호 smpX(단,X는 1∼N)에서의 채널 ch0의 집계값 sum0X는, 처리 개시 시점으로부터의 X번째의 샘플링 주기 TmX에서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이 소정의 레벨 TH를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횟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sum01은 최초의 샘플링 주기에서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이 임계값 TH를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횟수에 상당한다. 다른 채널 ch1∼ch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어 유닛(11)의 데이터 해석부(31)는, 해석 데이터 D1에 기술되어 있는 집계값에 대하여, 채널마다, 즉 적분값 및 미분값마다의 평균값 M0∼M2와,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에 관해서 해석 데이터 D1에 기술되어 있는 집계값의 변동 계수 CV1, CV2를 연산한다(도 6 참조). 여기에서, 변동 계수란, 집계값의 표준 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을 백분률로 표시한 값이며, 데이터의 변동의 크기를 평가하는 척도로서 통계 처리에 이용되는 값의 일종이다. 예를 들면, 집계값의 표준 편차를 SD, 평균값을 M으로 하면, 변동 계수 CV=(SD/M)×100으로 주어진다. 또한,데이터 해석부(31)는, 연산 결과 식별 데이터 D4를 참조하고, 평균값 M0, M1, M2, 변동 계수 CV1, CV2의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값 dM0, dM1, dM2, dCV1, dCV2를 취득한다. 연산 결과 식별 데이터 D4는, 평균값 M0, M1, M2 및 변동 계수 CV1, CV2의 각각의 값과, 식별값 dM0, dM1, dM2, dCV1, dCV2를 대응지은 테이블의 집합이다. 식별값은 평균값 또는 변동 계수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단수로 구분하였을 때의 각 구분을 대표하는 값이다. 예를 들면, 평균값 M0의 테이블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평균값 M0이 취할 수 있는 0∼250의 값의 범위를 3개의 임계값 a, b, c(단,a<b<c)에 의해 4단계로 구분하고, 각 구분을 식별값 0∼3으로 대표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해석부(31)는, 도 7의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평균값 M0에 대응하는 0∼3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식별값 dM0으로서 취득한다. 평균값 M1, M2 및 변동 계수 CV1, CV2에 대해서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찬가지의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데이터 해석부(31)는, 취득된 평균값 M1, M2 및 변동 계수 CV1, CV2에 대응하는 식별값 dM1, dM2, dCV1, dCV2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취득한다. 또한,평균값 M1, M2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값 dM1, dM2는 0∼2의 3단계, 변동 계수 CV1, CV2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값 dCV1, dCV2는 0 또는 1의 2단계로 각각 구분되어 있다. 단,각 식별값의 구분 단수는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된다.
데이터 해석부(31)는, 취득된 식별값 dM0∼dCV2를, 식별값 dM0, dM1, dM2, dCV1, dCV2의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음악 재생 신호의 파형을 특징짓는 5자릿수의 수치를 판정값으로서 취득한다. 예를 들면, 식별값 dM0이 1, dM1이 0, dM2가 0, dCV1이 0, dCV가 1인 경우에는, 판정값으로서 10001이 얻어진다. 판정값은 본 예에서는 144개 얻어지게 된다. 또한,판정값을 얻기 위한 식별값 dM0∼dM2 및 dCV1, dCV2의 배열순은 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지정하여도 된다.
또한,데이터 해석부(31)는, 전술한 5자릿수의 판정값에 기초하여, 음악 재생 신호에서 재생될 음악의 장르를 판별한다. 이 장르 판별에서는 판별 참조 데이터 D3이 참조된다.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판정 참조 데이터 D3에는, 음악의 장르 A∼X와 전술한 144개의 판정값이 대응지어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장르란, 예를 들면, 클래식, 락, 발라드, 재즈 등의 음악의 내용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데이터 해석부(31)에서는, 판정 참조 데이터 D3과 비교하여, 얻어진 판정값에 일치하는 장르를 그 음악 재생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값이 10001일 때는,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음악 재생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로서, 장르 A가 결정된다. 또한,장르 결정 후, 데이터 해석부(31)는 판별 결과에 따라서 이력 데이터 D2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력 데이터 D2는 장르 A∼X와, 각각의 입력 횟수 Na∼Nx가 대응지어 기술되어 있으며, 데이터 해석부(31)는 판별한 장르의 횟수에 1을 가산함으로써 이력 데이터 D2를 갱신한다. 또한,미리 이력 데이터 D2의 기술 횟수에 대하여 특정수를 설정해 놓고, 판별 결과가 출력될 때마다 그 판별된 장르가 이력 데이터 D2에 기술되어 가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기술 횟수가 특정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가장 오래된 시기의 기술이 소거되고, 최신의 판별 결과가 기술되도록 이력 데이터 D2가 갱신되도록 하면 된다.
도 10은, 전원 관리부(33)에 의한 신호 처리부(10)를 대상으로 한 전원 관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원 관리부(33)에는, 전원의 온 오프의 타이밍에 대한 기준 시간으로서, 전력 공급 주기로서의 전원 주기 Tp와, 전원 온 시간 Tq의 2종류의 시간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전원 주기 Tp과 전원 온 시간 Tq의 시점은 동일하다. 일례로서, 전원 주기 Tp가 30초, 전원 온 시간 Tq가 5초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 전원 온 시간 Tq는 전술한 샘플링 주기 Tm과 동일한 시간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전원 온 시간 Tq는 샘플링 주기 Tm과 동일한 시간 길이로는 한정되지 않고, 샘플링 주기 Tm보다 커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원 관리부(33)는, 신호 처리부(10)에의 전원의 온 오프의 타이밍을 관리하고, 전원 제어 회로(19)에 전원의 온 및 오프의 명령을 내린다. 전원 제어 회로(19)는, 전원 관리부(33)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전원 전지(18)로부터 신호 처리부(10)에의 전력의 공급의 유무를 절환한다.
도 11은, 제어 유닛(11)(전원 관리부(33))이 전원의 온 및 오프를 관리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나타낸다. 전원 관리 처리 루틴에서, 제어 유닛(11)은, 최초의 스텝 S1에서 라인 입력 단자(4)로부터 음악 재생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2에서 음악 재생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시간을 계시하는 무신호 타이머가 온, 즉 계시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온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 유닛(11)은, 스텝 S3에서 무신호 타이머를 기동하여 무신호의 계속 시간의 계시를 개시하고, 그 후에 다음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 무신호 타이머가 온인 경우에는, 스텝 S3을 스킵하여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 제어 유닛(11)은, 무신호 타이머의 계시한 시간이 2초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2초 미만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2초 이상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10으로 진행하고, 전원 제어 회로(19)에 대하여 신호 처리부(10)에의 전원의 오프를 명령하고,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끝낸다.
스텝 S1에서 음악 재생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5로 진행하고, 전원 주기 Tp를 계시하기 위한 전원 관리 타이머가 온되 어 있는지의 여부, 즉 계시 동작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온이 아닌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6에서 전원 관리 타이머를 온하여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 전원 관리 타이머가 온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6을 스킵하여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 제어 유닛(11)은, 전원 관리 타이머의 계시 시간 T가 계시 개시 시간, 즉, 제로 이상이며, 또한 전원 온 시간 Tq 이하의 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범위에 없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8로 진행하고, 계시 시간 T가 전원 온 시간 Tq보다 크고, 또한 전원 주기 Tp 이하의 범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계시 시간 T가 스텝 S8의 범위에 없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9로 진행하고, 전원 관리 타이머를 초기값 0으로 리세트하여 계시 동작을 재개시킨다. 계속해서, 제어 유닛(11)은 스텝 S11로 진행하고, 전원 제어 회로(19)에 대하여 신호 처리부(10)에의 전원의 온을 명령하고, 그 후에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끝낸다. 계시 시간 T가 스텝 S8의 범위에 있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10으로 진행하고, 전원 제어 회로(19)에 대하여 신호 처리부(10)에의 전원의 오프를 명령하고, 그 후에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끝낸다. 계시 시간 T가 스텝 S7의 범위에 있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11로 진행하고, 전원 제어 회로(19)에 대하여 신호 처리부(10)에의 전원의 온을 명령하고, 그 후에 전원 관리 처리 루틴을 끝낸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음성 재생 신호의 입력이 검출되면 스텝 S1이 긍정되어서 스텝 S5에서 전원 관리 타이머가 온으로 되고, 이후에는 음성 재생 신호가 2초 이상 계속해서 도중에 끊기지 않는 한, 전원 관리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전원 주기 Tp마다 반복된다. 그리고, 계시 개시시로부터 전원 온 시간 Tq까지의 동안에 한해서 스텝 S7이 긍정되어서, 스텝 S11에서 신호 처리부(10)의 전원이 온된다. 이에 의해,신호 처리부(10)에 대한 전원의 온 및 오프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된다.
다음으로,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장르 판별을 실시하기 위해 제어 유닛(11)이 실행하는 처리의 수순을 설명한다. 도 12는, 제어 유닛(11)(데이터 생성부(30))이 해석 데이터 D1을 생성하기 위해 실행하는 해석 데이터 생성 처리 루틴을 나타낸다. 이 루틴은, 예를 들면 유저가 입력 장치(20)(도 2 참조)로부터 장르 판별을 지시한 상태에서,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적분값 및 미분값이 각각 출력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실행된다. 또한,신호 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적분값 및 미분값은 제어 유닛(11)의 내부 버퍼에 축차적으로 축적되어서 본 루틴에 의한 처리를 수취한다.
해석 데이터 생성 처리 루틴에서는, 최초의 스텝 S21에서, 제어 유닛(11)은, 데이터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채널 ch의 번호를 지정하는 변수 n을 초기값 0으로 세트하고, 계속되는 스텝 S22에서, 내부 버퍼로부터 채널 chn의 샘플링 단위 시간 상당의 출력 신호(적분값 또는 미분값)를 취득한다. 다음 스텝 S23에서, 제어 유닛(11)은, 취득된 출력 신호가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 레벨을 초과한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24로 진행하고, 채널 chn용의 내부 카운터에 1을 가산하고, 그 후, 스텝 S25로 진행한다. 한편,스텝 S23에서 소정 레벨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24를 스킵하여 스텝 S25로 진 행한다.
스텝 S25에서, 제어 유닛(11)은 변수 n에 2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2가 아니면 스텝 S26에서 변수 n에 1을 가산하여 스텝 S2로 되돌아간다. 한편,스텝 S25에서 변수 n이 2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27로 진행한다. 스텝 S22∼S26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3개의 채널 ch0∼ch2, 즉 저주파 성분에 대한 적분 회로(14), 미분 회로(15), 고주파 성분에 대한 미분 회로(16)의 각각의 출력이 샘플링 단위 시간 상당 길이에 걸쳐 검사된다.
스텝 S27에서 제어 유닛(11)은 샘플링 주기 Tm분의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 S25가 긍정 판단된 횟수가 샘플링 주기 Tm을 샘플링 단위 시간 Tn으로 나눈 값에 일치하는 경우에 샘플링 주기 Tm분의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하면 된다. 스텝 S27이 부정 판단된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21로 되돌아가고, 내부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다음 샘플링 단위 시간의 신호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스텝 S27이 긍정 판단된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28로 진행하고, 내부 카운터에 기록되어 있는 값을 금회의 샘플링 주기에 대응하는 샘플 번호 smpX의 집계값 sum0X, sumlX, sum2X(도 6참조)로서 기억 장치(25)의 해석 데이터 D1에 추가한다. 해석 데이터 D1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석 데이터 D1을 새롭게 작성하여 집계값을 최초의 샘플 번호 smp1에 대응지어 기록한다.
계속되는 스텝 S29에서, 제어 유닛(11)은 내부 카운터의 값을 초기값 0으로 리세트하고, 또한 다음 스텝 S30에서 해석 데이터 D1의 생성 처리가 종료하였는지 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모든 채널 ch0∼ch2의 출력이 0 근방의 소위 무음 상태가 소정초 이상 계속된 경우에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가 종료하지 않았으면, 제어 유닛(11)은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유닛(11)은 해석 데이터 생성 처리 루틴을 끝낸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해석 데이터 D1이 생성된다.
도 13은, 제어 유닛(11)(데이터 해석부(31))이 해석 데이터 D1로부터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기 위해 실행하는 데이터 해석 처리 루틴을 나타낸다. 이 루틴은, 도 12의 해석 데이터 생성 처리 루틴의 종료 후에 계속해서 실행된다. 데이터 해석 처리 루틴에서, 제어 유닛(11)은, 최초의 스텝 S41에서, 3주기 이상의 샘플링 주기 Tm의 해석 데이터 D1이 생성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42에서 해석 데이터 D1은 소거되어 데이터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3주기 이상의 해석 데이터 D1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4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3에서, 데이터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채널 ch의 번호를 지정하는 변수 n을 초기값 0으로 세트하고, 계속되는 스텝 S44에서, 기억 장치(25)에 기록된 해석 데이터 D1로부터 변수 n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 chn의 집계값을 읽어들이고, 그들의 평균값과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집계값에 대한 변동 계수를 연산한다. 다음 스텝 S45에서, 제어 유닛(11)은 변수 n에 2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2가 아니면 스텝 S46에서 변수 n에 1을 가산하여 스텝 S44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S45에서 변수 n이 2인 경우, 제어 유닛(11)은 스텝 S47로 진행한다. 스텝 S44∼S46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3개 의 채널 ch0∼ch2의 각각의 평균값 M0∼M2와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에 대한 변동 계수 CV1, CV2가 연산된다.
스텝 S47에서, 제어 유닛(11)은, 연산 결과 식별 데이터 D4를 참조하고, 얻어진 평균값 M0∼M2 및 변동 계수 CV1, CV2에 각각 대응하는 식별값 dM0, dM1, dM2, dCV1, dCV2를 취득한다. 다음 스텝 S48에서, 제어 유닛(11)은, 기억 장치(25)의 판별 참조 데이터 D3을 참조하여, 식별값 dM0, dM1, dM2, dCV1, dCV2를 순서대로 배열한 5자릿수의 판정값에 대응하는 장르를 선택함으로써, 음악의 장르를 판별한다. 또한,제어 유닛(11)은, 다음 스텝 S49에서, 판별된 장르의 횟수에 1이 가산되도록 이력 데이터 D2를 갱신하고, 이 후, 데이터 해석 처리 루틴을 끝낸다.
본 형태의 게임기(1)에서는,이력 데이터 D2에 장르별의 판별 횟수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력 데이터 D2를 참조함으로써, 게임기(1)를 경유하여 유저가 청취한 음악의 장르마다의 빈도, 유저의 장르의 기호 등을 분석하고, 게임 제어부(32)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내용에 장르의 판별 결과를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게임 제어부(32)가 캐릭터를 육성하는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력 데이터 D2에 기술되어 있는 장르마다의 판별 횟수의 분포에 따라서 캐릭터의 양태, 성격 등의 특성을 변화시킨다고 하는 조작을 게임 제어부(32)에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형태에서는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이 샘플링 단위 시간 내에 소정 레벨을 초과한 횟수를 각각 집계하고, 그 집 계값의 평균값 및 변동 계수를 연산하여 음악 재생 신호 파형의 변동 상태를 판별하였지만, 본 발명은 평균값 및 변동 계수만을 이용하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집계값의 표준 편차, 분산, 합계 등의 각종 통계값을 더욱 참조하여 음악 장르를 판별하여도 된다. 통계값은 임의의 복수의 종류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변동 계수만을 연산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미분값 및 적분값의 각 집계값의 변동 계수를 연산하여 장르 판별에 이용하여도 된다. 데이터의 해석에 음악 재생 신호의 파형을 특징짓는 5자릿수의 판정값을 이용하였지만, 연산하는 각종 통계값에 맞춘 자릿수를 설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의 각각의 평균값 및 변동 계수를 연산하는 것이면, 음악 재생 신호의 파형을 특징짓는 판정값은 6자릿수로 된다.
신호 처리부는 IC, LSI 등의 회로 소자를 조합한 하드웨어 장치로서 구성하여도 되며, MPU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한 논리적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데이터 생성부 및 데이터 해석부의 각각에 대해서도, 하드웨어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신호 입력부는 라인 입력 단자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FM 전파 등의 무선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재생 신호를 수신하여 음악 재생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신호 입력부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라인 입력 단자(4), 신호 처리부(10) 및 제어 유닛(11)의 조합에 의해 음악 장르 판별 장치가 구성된다. 단,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는, 게임기에 실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음악 장르 판별 장 치는,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이어폰, 헤드폰 혹은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장치를 향해서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로부터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기 위한 각종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9)

  1. 삭제
  2.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취득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에 취득된 음악 재생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을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적분값 및 미분값의 각각을 소정의 샘플링 단위 시간씩 취득하여, 상기 샘플링 단위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성분의 적분값 및 미분값과 상기 고주파 성분의 미분값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소정 레벨을 초과한 값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횟수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마다 또한 상기 적분값 및 상기 미분값별로 집계한 해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해석 데이터에 기술된 집계값의 각각의 평균값과, 상기 저주파 성분 및 고주파 성분의 각각의 미분값에 관하여 상기 해석 데이터에 기술된 집계값의 변동 계수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악 재생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데이터 해석부를 구비한 음악 장르 판별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변동 계수의 각각과, 상기 평균값 및 상기 변동 계수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소정 단수로 구분하였을 때의 각 구분을 대표하는 식별값을 미리 대응지은 연산 결과 식별 데이터를 참조하여, 연산된 평균값 및 변동 계수의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값을 취득하고, 얻어진 식별값에 기초하여 음악의 장르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변동 계수의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값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한 판정값과 음악의 장르를 미리 대응지은 판별 참조 데이터를 참조하여, 얻어진 식별값에 대응하는 장르를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공급된 음악 재생 신호에서 재생될 음악의 장르로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의 장르와 상기 데이터 해석부에서 판별된 횟수를 대응지은 이력 데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장르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이력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장르 판별 장치는, 상기 음악 재생 기기의 라인 출력 단자와, 그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음성 변환하는 음성 출력 장치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 통과시키는 바이패스 경로와, 그 음악 재생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장르 판별 장치는, 상기 음악 재생 기기의 라인 출력 단자와, 그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음성 변환하는 음성 출력 장치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라인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재생 신호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 통과시키는 바이패스 경로와, 그 음악 재생 신호를 상기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경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 판별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와, 상기 장르의 판별 결과를 게임 내용에 반영시키는 게임 제어부를 구비한 게임기.
  8. 제4항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와, 상기 장르의 판별 결과를 게임 내용에 반영시키는 게임 제어부를 구비한 게임기.
  9. 제5항의 음악 장르 판별 장치와, 상기 장르의 판별 결과를 게임 내용에 반영시키는 게임 제어부를 구비한 게임기.
KR1020087031406A 2006-06-30 2007-06-26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KR100964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2148 2006-06-30
JP2006182148A JP4399440B2 (ja) 2006-06-30 2006-06-30 音楽ジャンル判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ゲーム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410A KR20090023410A (ko) 2009-03-04
KR100964755B1 true KR100964755B1 (ko) 2010-06-21

Family

ID=3884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406A KR100964755B1 (ko) 2006-06-30 2007-06-26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60224B2 (ko)
JP (1) JP4399440B2 (ko)
KR (1) KR100964755B1 (ko)
CN (1) CN101479784B (ko)
HK (1) HK1129155A1 (ko)
WO (1) WO2008001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9198A1 (en) * 2008-03-05 2009-09-0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ing a multimedia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55A (ko) * 2001-10-19 2001-12-19 김상헌 컴퓨터 음악작곡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 및음악연주게임시스템
US20040144236A1 (en) 2002-09-24 2004-07-29 Satoshi Hiratsuk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suring secure use of music playing data files
KR200400895Y1 (ko) 2005-07-26 2005-11-09 이창훈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US20060123980A1 (en) 2004-12-13 2006-06-15 Yamaha Corporation Music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800A (ja) * 1990-03-31 1991-12-16 Mazda Motor Corp 音響装置
JP3646377B2 (ja) 1995-11-20 2005-05-11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3925993B2 (ja) * 1997-08-29 2007-06-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US6801895B1 (en) * 1998-12-07 2004-10-05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a multi-media program based upon audio events
JP2001029649A (ja) 1999-07-21 2001-02-06 Taito Corp 音声認識により音声視覚表示を行うゲーム機
JP4228581B2 (ja) * 2002-04-09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機器、オーディオデータの管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3908649B2 (ja) 2002-11-14 2007-04-25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環境同期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258752C (zh) * 2004-09-10 2006-06-07 清华大学 用于音乐试听的流行歌曲关键段提取方法
JP4483561B2 (ja) * 2004-12-10 2010-06-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音響信号分析装置、音響信号分析方法及び音響信号分析プログラム
CN1271593C (zh) * 2004-12-24 2006-08-23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语音信号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55A (ko) * 2001-10-19 2001-12-19 김상헌 컴퓨터 음악작곡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 및음악연주게임시스템
US20040144236A1 (en) 2002-09-24 2004-07-29 Satoshi Hiratsuk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suring secure use of music playing data files
US20060123980A1 (en) 2004-12-13 2006-06-15 Yamaha Corporation Music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895Y1 (ko) 2005-07-26 2005-11-09 이창훈 무대효과 자동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29155A1 (en) 2009-11-20
US20100234108A1 (en) 2010-09-16
JP2008009315A (ja) 2008-01-17
CN101479784B (zh) 2011-08-31
CN101479784A (zh) 2009-07-08
US8060224B2 (en) 2011-11-15
KR20090023410A (ko) 2009-03-04
JP4399440B2 (ja) 2010-01-13
WO2008001765A1 (fr)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467B1 (ko) 오디오 재생 장치의 이퀄라이저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473005A (zh) 对播放的音频进行音效控制的方法及装置
CN102740216A (zh) 混音设备
CN106796777B (zh) 演奏信息处理装置和方法
KR100964755B1 (ko) 음악 장르 판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JP5494083B2 (ja) カラオケ装置
JP2014035436A (ja) 音声処理装置
JP4078375B2 (ja) 音楽ゲーム機
WO2008001766A1 (fr) Dispositif de jeu musical
CN110390954A (zh) 语音产品质量的评价方法和装置
JP4001897B2 (ja) 音楽ジャンル判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ゲーム機
JP2007236826A (ja) 音楽テンポ判別機能を備えたゲーム機
JP2000267655A (ja) リズムの同期方法
CN110097618A (zh) 一种音乐动画的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JPWO2006011329A1 (ja) 排気音の音質分析方法
US8914475B2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editing and playing music according to data download speed
TWI328217B (en) Game machine having a function for discriminating music tempo
JP2007160065A (ja) ゲーム機
KR100703923B1 (ko)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JP5899865B2 (ja) 音響信号加工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681230B2 (en) Acoustic system, output device, and acoustic system control method
JP2000267654A (ja) テンポ算出方法
CN115426609A (zh) 耳机噪声的测试方法、装置、测试设备及计算机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