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341A - 광주사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341A
KR20040089341A KR1020030023062A KR20030023062A KR20040089341A KR 20040089341 A KR20040089341 A KR 20040089341A KR 1020030023062 A KR1020030023062 A KR 1020030023062A KR 20030023062 A KR20030023062 A KR 20030023062A KR 20040089341 A KR20040089341 A KR 20040089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ight
light sources
circuit board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201B1 (ko
Inventor
이유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2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52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aser dio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주사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광주사장치는 두 개의 광원; 상기 두개의 광원이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배면에 장착된 상기 광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의 배면은 상기 하나의 회로기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전면은 오목한 형상이며, 그 양측에 각 광원이 고정되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광원을 사용시 복수의 광원을 하나의 사출성형된 홀더에 장착하고 하나의 구동회로기판을 나사결합함으로써 복수의 광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광원의 광축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주사장치{Laser scanning unit}
본 발명은 인쇄기기 등에 사용되는 광주사장치(laser scanning uni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개의 광원을 회로기판에 고정시키는 기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인쇄기기에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함으로써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광주사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즉, 레이저광을 출사시키는 레이저다이오드(100)와, 출사된 레이저광을 광축에 대해 평행광 또는 수렴광으로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터렌즈(101), 콜리메이터렌즈(101)의 전면에 부착되어 통과하는 레이저광을 제한하는 슬릿(102), 슬릿(102)를 통과한 레이저광을 수평방향으로 등선속으로 이동시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104), 레이저광을 상기 폴리곤미러(104)의 표면에 수평방향의 선형으로 결상시키는 실린더렌즈(103), 폴리곤미러(104)를 등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05), 광축에 대해 일정한 굴절율을 가지며 폴리곤미러(104)에서 반사된 등속도의 광을 주 스캐닝방향으로 편광시키고 수차를 보정하여 스캐닝면상에 초점을 맞추는 Fθ렌즈(106), 그 Fθ렌즈(106)를 통과한 레이저광을 반사시켜 결상면인 감광드럼(108)의 표면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반사미러(107), 레이저광을 수광하여 수평동기를 맞추어 주기 위한 광센서(110), 상기 동기검출용 광센서(110) 측으로 레이저광을 반사시켜주는 동기신호 검출용 반사미러(109) 등의 광학요소들이 광학계를 이루고 있다. 이들 광학요소들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프레임 위에 조립되어 광주사장치를 구성한다.
도 2는 상기 광학계 중에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0), 콜리메이터렌즈(101) 및 슬릿(102)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고정기구를 레이저 다이오드(100)의 구동회로기판(130)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홀더(120)의 전면에는 콜리메이터 렌즈(101)가 장착되는 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장착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에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00)에 전기적 연결되는 회로기판(13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보스(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30)에는 회로기판(130)을 홀더(120)의 보스(123)에 나사결합하는 볼트(132)가 통과하는 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더(120)에 레이저 다이오드(100), 콜리메이터 렌즈(101), 슬릿(102) 및 회로기판(1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100)를 장착홀(122)에 압입시킨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101)를 포함하는 하우징(미도시)이 장착되는 홈(121)에 UV 본드를 바른 후 하우징을 장착하면서 위치를 조정한다. 이후에 자외선을 하우징에 조사하면 콜리메이터 렌즈(101)는 홈(121)에 고정된다. 이어서, 홀더(120)의 보스(123)에 회로기판(130)의 홀(131)을 ??춘 후 볼트(132)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슬릿(102)은 다른 결합공정과 무관하게 홀더(12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광원, 예컨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레이저 다이오드 및 콜리메이터 렌즈를 고정시키는 홀더와, 각 레이저 다이오드에 전기적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회로기판을 복수개 배치하고 이 회로기판에 각각의 홀더를 부착하는경우에는 레이저 주사장치의 공간상 배치가 복잡해지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축을 기구적으로 정확하게 유지시키는 일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고정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광원을 조립하는 홀더의 구조를 개선한 광주사장치의 광원 고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주사장치의 내부 광학계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원의 고정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가 장착되는 홀더 및 회로기판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레이저 다이오드 11: 콜리메이터 렌즈
12: 슬릿(slit) 13: 실린더 렌즈
14: 폴리곤 렌즈 20: 홀더
30: 회로기판 40: 반사거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주사장치는, 두개의 광원을 구비한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광원이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배면에 장착된 상기 광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의 배면은 상기 하나의 회로기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전면은 오목한 형상이며, 그 양측에 각 광원이 고정되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사출성형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들의 수직 위치는 소정의 갭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광주사장치는, 상기 각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평행광으로 수렴하는 콜리메이터 렌즈들;
상기 각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으로 실린더 렌즈들; 및
상기 각 실린더 렌즈를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켜서 폴리곤 미러에 결상시키는 반사미러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반사미러들은 동일 수직축상에서 각각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서 상기 해당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폴리곤 미러의 동일 영역에서 각각 상부 및 하부에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의 일부 구성도이며, 종래의 기술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0a,10b)와, 각 레이저 다이오드(10a,10b)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콜리메이터 렌즈(11a,11b), 슬릿(12a,12b) 및 실린더 렌즈(13a,13b)와 이들로부터 입사된 광을 폴리곤 미러(14)로 반사시키는 제1 및 제2 반사미러(40a,40b)가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0a,10b) 및 콜리메이터 렌즈(11a,11b)와 슬릿(12a,12b)은 하나의 사출성형된 홀더(20)에 장착되며, 홀더(20)의 배면은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기판(30)과 나사결합된다. 이렇게 회로기판(30)에 결합된 레이저 다이오드(10a,10b)로부터의광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
상기 제1 레이저 다이오드(10a) 및 제2 레이저 다이오드(10b)는 소정의 갭을 가진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반사미러(40a,40b)는 각각 제1 및 제2 레이저 다이오드(10a,10b)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서 폴리곤 미러(14)에서 소정의 높이 차를 가지고 결상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반사미러(40a,40b)는 동일한 수직축에서 상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서 제1 및 제2 레이저 다이오드(10a,10b)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동일한 영역의 폴리곤 미러(14)에 결상한다. 즉, 해당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0a,10b)로부터의 광을 서로 동일한 영역에서 높이가 서로 다르게 폴리곤 미러(14)에 반사시킨다.
상기 홀더(20)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10a)를 고정시키는 부분과 제2 레이저 다이오드(10b)를 고정시키는 부분이 결합된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조시 사출성형시켜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20)의 배면은 하나의 회로기판(20)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홀더(20)의 전면은 오목한 형상이며, 양측에 각 레이저 다이오드(10a,10b)이 고정되어서 상기 광원(10a,10b)으로부터의 광이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
도 4는 도 3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10a)가 장착되는 홀더(20)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20)의 전면에는 제1 콜리메이터 렌즈(11a)가 장착되는 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장착홀(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면에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10a)에 전기적 연결되는 회로기판(3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보스(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30)에는 회로기판(30)을 홀더(20)의 보스(23)에 나사결합하는 볼트(32)가 통과하는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더(20)에 레이저 다이오드(10a), 콜리메이터 렌즈(11a), 슬릿(12a) 및 회로기판(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이저 다이오드(10a)를 장착홀(12)에 압입시킨다. 그리고, 콜리메이터 렌즈(11)를 포함하는 하우징(미도시)이 장착되는 홈(21)에 자외선 본드(UV 본드)를 바른 후 하우징을 장착하면서 위치를 조정한다. 이후에 자외선을 하우징에 조사하면 콜리메이터 렌즈(11)는 홈(21)에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과정을 타측의 홀더(20)에 다이오드(10b) 및 콜리메이터 렌즈(11a)를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한 후, 홀더(20)의 보스(23)에 회로기판(30)의 홀(31)을 ??춘 후 볼트(32)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슬릿(12)은 다른 결합공정과 무관하게 홀더(12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주사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사용시 복수의 광원을 하나의 사출성형된 홀더에 장착하고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기판을 나사결합함으로써 복수의 광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광원의 광축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두개의 광원을 구비한 광주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광원이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배면에 장착된 상기 광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을 구동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의 배면은 상기 하나의 회로기판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홀더의 전면은 오목한 형상이며, 양측에 각 광원이 고정되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서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사출성형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의 수직 위치는 소정의 갭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평행광으로 수렴하는 콜리메이터 렌즈들;
    상기 각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평방향으로 선형으로 실린더 렌즈들; 및
    상기 각 실린더 렌즈를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켜서 폴리곤 미러에 결상시키는 반사미러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반사미러들은 동일 수직축상에서 각각 상부 및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서 상기 해당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폴리곤 미러의 동일 영역에서 각각 상부 및 하부에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장치.
KR10-2003-0023062A 2003-04-11 2003-04-11 광주사장치 KR10048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062A KR100484201B1 (ko) 2003-04-11 2003-04-11 광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062A KR100484201B1 (ko) 2003-04-11 2003-04-11 광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341A true KR20040089341A (ko) 2004-10-21
KR100484201B1 KR100484201B1 (ko) 2005-04-20

Family

ID=3737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062A KR100484201B1 (ko) 2003-04-11 2003-04-11 광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7045A1 (en) * 2005-08-29 2007-03-08 Tae-Sun Song Light source modul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50731B1 (ko) * 2005-01-05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31B1 (ko) * 2005-01-05 200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장치
WO2007027045A1 (en) * 2005-08-29 2007-03-08 Tae-Sun Song Light source module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201B1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021B1 (ko) 동기신호 검출장치
JP3445691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CN113678052B (zh) 一种光源装置、投射装置、光扫描设备及其组装方法
JP2690642B2 (ja) 走査光学系
JPH11305152A (ja) 走査光学装置
KR100793968B1 (ko) 광 주사 장치
JP200715615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84201B1 (ko) 광주사장치
US5748357A (en) Optical detecting apparatus
US8705157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4654564B2 (ja) レンズの保持構造
KR100529339B1 (ko) 광주사장치
KR100750731B1 (ko) 광주사장치
US20050200929A1 (en) Out of plane start of scan
JP2003315719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85920B1 (ko) 광주사장치
KR19990042848A (ko) 광주사장치
JP2740958B2 (ja) 光走査装置
JP3492902B2 (ja) 走査光学装置
JPH09236764A (ja) 光走査装置
KR20230013957A (ko) 편향기의 틸트에 의한 빔 스폿의 왜곡을 줄일 수 있는 광주사 장치
JP2002107648A (ja) 画像形成装置
JPS6250714A (ja) 記録装置
JPS62125319A (ja) パタ−ン描画装置
JP2014160125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