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506A -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506A
KR20040088506A KR10-2004-7012808A KR20047012808A KR20040088506A KR 20040088506 A KR20040088506 A KR 20040088506A KR 20047012808 A KR20047012808 A KR 20047012808A KR 20040088506 A KR20040088506 A KR 2004008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drive device
gear housing
armatu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793B1 (ko
Inventor
부스하이코
메르클레옌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8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8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associated with geared commutator motors of the worm-and-whe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장치(10), 특히 자동차의 창유리를 올리고 내리기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아마추어 샤프트(16)를 포함하는 전기 모터(12), 전자 하우징(36)으로부터 돌출한 프린트 회로 기판(32), 기어 하우징(18) 및,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기어 하우징(18) 내에 입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부(44)를 구비하고, 다양한 폭(62) 및/또는 길이 및/또는, 아마추어 샤프트(16)로부터 다양한 간격(66)을 갖는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위해, 상이한 가이드부(44)들은 프린트 회로 기판(32)과 상호 작용한다.

Description

구동 장치{Drive device}
예컨대 DE 200 04 338 A1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의 많은 구동 장치들이 이미 공개되어 있다. 상기의 문서에서 도시된 구동 장치는 기어 하우징을 갖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로는 플러그 인 모듈이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 인 모듈은 모터 전류 공급용 커넥터를 구비한 정면과 프린트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 상에는 전자식 구성 소자들이 배치된다. 프린트 회로 기판 상의 좁은 핑거 상에는 SMD 홀 센서가 배치되며, 조립된 상태시 홀 센서는 아마추어 샤프트의 링 자석과 상호 작용한다. 홀 센서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여기서는 밀봉부가 제공된, 플러그 인 모듈의 정면에 있는 하나의 가이드부가 사용되며 이는 아마추어 샤프트로부터 떨어져 있다.
예컨대 조립시 또는 자동차 진동시 홀 센서가 목표 간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홀 센서를 기어 하우징 내에 고정 위치시키기 위해 프린트 회로기판 핑거용 가이드부가 형성되면, 상기 가이드부는 다른 종류의 프린트 회로 기판의 사용시에는 이를 방해한다. 예컨대 ASIC에 집적된 홀 센서와 같은 다른 사용예의 경우, 아마추어 샤프트에 대해서 다른 간격을 갖는 폭이 더 넓은 프린트 회로 기판이 동일한 기어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프린트 회로 기판은 기어 하우징 내에 형성된, 제 1 프린트 회로 기판용 가이드부와 충돌하므로, 서로 다른 프린트 회로 기판에 대해서 동일한 기어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가 않다.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장치, 특히 자동차 내의 창유리를 올리고 내리기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개략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구동 장치를 위한 전자 부품-삽입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c는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을 구비한 또 다른 전자 부품-삽입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d, 1e는 라인 d-d와 e-e을 따라 절취한 삽입 모듈의 2 개의 단면도.
도 2a와 2b는 도 1b와 1c의, 삽입된 상이한 2 개의 프린트 회로 기판의 라인 II-II에 따른 2 개의 부분 단면도.
도 3a와 3b는 사용된 2 개의 삽입 모듈의 라인 III-III에 따른 2 개의 단면도.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일반적인 기어 하우징 및 전자 부품 하우징이 제조되는 장점을 갖는데, 이들에는 상이하게 형성된 프린트 회로 기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가능해진 모듈러 방식의 제조 테크닉은 많은 장점을 갖는다. 복잡하고 큰 하우징 부분들은 매우 많은 부품수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부품 하우징 커버와 같은 필요한 간단한 부품들은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에 맞게 매우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가이드부들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아마추어 샤프트로부터 상이한 폭을 갖는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들을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종속항에 기재된 특징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가이드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토퍼로서 기어 하우징 내에 형성되면, -상기 스토퍼에는 아마추어 샤프트를 향한/또는 떨어진 프린트 회로 기판의 측면이 접촉한다- 아마추어 샤프트의 자석에 대한 홀 센서의 간격은 분명하게 고정된다. 이는 방해 신호가 적은, 정확한 위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부들이 프린트 회로 기판의 축방향 에지 영역과 상호 작용하도록 기어 하우징 내에 배치되면, 폭이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들은 축방향으로 상이한 에지 영역에 안내되므로 하나의 프린트 회로 기판의 가이드부들과 다른 하나의 프린트 회로 기판과의 충돌은 방지될 수 있다.
특히 프린트 회로 기판이 지지되어 있는 전자 부품 하우징에 하나의 가이드부를 웨브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우징 벽에 연결된 웨브가, 프린트 회로 기판을 위해 기어 하우징에 스토퍼가 형성되지 않고서도, 아마추어 샤프트로부터의 프린트 회로 기판의 최대 간격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웨브로서 실시된 가이드부는, 프린트 회로 기판의 축방향 에지 영역과 상호 작용하는 하우징에 배치된 가이드부들과 충돌하지 않는다. 웨브는 특히 프린트 회로 기판의 축방향 중간 영역에 접하며 기어 하우징 벽에 대해서 상기 기판을 지지한다.
웨브와 전자 부품 하우징을 일체로, 예컨대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제조 기술적으로 특히 간단하다. 전자 부품 하우징은 항상 동일하게 실시하고 그 커버에만 원하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상응하게 웨브를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이 웨브에, 예컨대 클립 연결 또는 록킹 연결에 의해 고정 연결되면, 이는 프린트 회로 기판이 웨브에 대해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므로전자 부품 하우징의 조립을 쉽게 한다. 또한 프린트 회로 기판과 웨브 사이의 상기와 같은 연결은 전자 부품 하우징에서 분리된, 웨브의 별도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삽입시 및 조립된 상태시에 웨브가 기어 하우징의 하나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마추어 샤프트에 대한 프린트 회로 기판의 최소 간격을 설정하는 스토퍼에 대해서 상기 웨브가 프린트 회로 기판을 누르도록 기어 하우징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브가 프린트 회로 기판을 종방향으로 돌출하면, 웨브의 자유 단부의 정면은 기어 하우징의 또 다른 가이드부에 지지될 수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 핑거를 짧게 구성하는 것은 프린트 회로 기판 제조시 재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전자 부품 하우징이 별도의 하우징으로서 형성되면, 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삽입 모듈로서 기어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부품 하우징은 단지 하나의 작은 개구를 포함하는데 이 개구로부터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들이 돌출한다. 전자 부품 하우징과 기어 하우징 사이의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는 물과 오염에 대해서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거의 링형 부품으로서 아마추어 샤프트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는 브러시 홀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홀더는 아마추어 샤프트의 자석에 입체적으로 바로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가이드부는 마찬가지로 링 자석에 대한 홀 센서의 입체적인 고정을 보장한다.
가이드부를 기어 하우징 또는 브러시 홀더 내의 그루브로서 실시하는 것이제조 기술적으로 바람직하며, 그루브 내에는 프린트 회로 기판의 축방향 에지 영역이 삽입된다.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에 대한 기어 하우징과 전자 부품 하우징의 호환성은 프린트 회로 기판 면을 비교적 적게 필요로 하는 SMD 홀 센서 뿐만 아니라 ASIC에 집적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 면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 홀 센서의 사용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구동 장치의 컨셉은 상기 분야에서 미래의 전자 부품 개발과는 무관하게 개발될 수 있다.
아마추어 샤프트에 대해서 프린트 회로 기판이 평행하게 구성됨으로써 홀 센서는 ASIC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은 채 부분적으로는, 완전 자동화된 SMD 방법에 의해서 프린트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홀 센서를 위한 특수한 지지부가 없어도 가능하다.
피동 피니언을 갖는 웜 기어를 구동하는 웜이 상기 아마추어 샤프트 상에 형성되면,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치밀한(compact) 조정 구동기가 생기는데, 이는 예컨대 자동차 내의 윈도우 리프트를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a에는 윈도우 리프트용 구동 장치(10)가 도시되며 상기 장치는 폴 하우징(14)을 갖는 전기 모터(12)를 포함하고, 폴 하우징으로부터는 아마추어 샤프트(16)가 기어 하우징(18)으로 돌출한다. 아마추어 샤프트(16)에는 웜(20)이 배치되고 상기 웜은 구동 휠(22)과 맞물리며 그 축에 지지된 피동 피니언(26)을 통해서,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윈도우 리프트 장치에 힘을 전달한다. 조정 가능한 부품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아마추어 샤프트(16)의 기어 하우징(18) 영역에는 링 자석(28)이 배치되고 링 자석은 전자 부품 삽입 모듈(34)의 프린트 회로 기판(32)에 배치된 홀 센서(30)들과 상호 작용한다. 도 1b는 별도의 전자 부품 하우징(36)으로서 형성된 삽입 모듈(34)을 도시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는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일부인 삽입 핑거가 돌출한다. 조립을 위해 삽입 모듈(34)은 화살표 방향 40으로 삽입 핑거와 함께 기어 하우징(18)으로 삽입되며 록킹 부재(42)에 의해 기어 하우징(18)에 고정 연결된다. 입체적으로 정확하게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삽입중 가이드부(44)에 의해 안내되며 조립된 상태시 고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이드부(44)는 스토퍼(68, 76, 77, 82, 83)로서 기어 하우징(18)에 형성되며, 또한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조립된 링형 브러시 홀더(48)에 형성된다. 구동 장치(10)의 실시예에 따라 개별 하우징 부품들 사이의 경계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링 자석(28)은 연장된 폴 하우징(14)의 영역 또는 별도의 중간 부재(50)의 영역- 예컨대 실질적으로 브러시 홀더(48)로 형성된-에서 기어 하우징(18)과 폴 하우징(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4)들은 예컨대 하우징 부품(18, 14, 50, 48)들에,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가이드부(44)의 일부는 그루브(52)로서 하우징 벽에 형성된다. 도 1b와 1d에서 전자 부품 하우징(36)에는 웨브(60)가 형성되며 상기 웨브는 프린트 회로 기판(32)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클립 연결부(64)에 의해 프린트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홀 센서(30)는 SMD 기술로 매우 평평하게 프린트 회로 기판(32) 상에 설치되므로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 적은 간격을 두며 링 자석(28)에 대해 접선으로 위치한다. 도 2a는 도 1b의 삽입 모듈(34)의 삽입된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링 자석(28)을 향한 측면(70)은 전기 모터(12)로부터 축방향으로 반대편인 영역(72)에서 기어 하우징(18)의 스토퍼(68)에 접하며, 상기 스토퍼는 링 자석(28)에 대한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최소 간격을 결정한다. 웨브(60)로서 형성된 가이드부(44)는 링 자석(28) 반대편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측면(74)에 접촉하며 스토퍼(68)에 대해서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누른다. 웨브(60)의 다른 측면은 기어 하우징(18)에 지지되고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위한 스토퍼를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는 링 자석(28)에 대한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최대 간격에 상응한다.
도 1c는 또 다른 삽입 모듈(34)을 도시하며, 그 전자 부품 하우징(36)들은 도 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삽입 모듈(34)에는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32)이 설치되며, 상기 기판은 전자 부품 하우징(36)으로부터 돌출한 영역의 폭(62)이 더 넓으며 이는 예컨대 ASIC 유닛(80)을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ASIC 유닛(80)은 제어 전자 부품용 완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ASIC 유닛(80) 내에 집적된 홀 센서(30)가, 삽입된 상태시에 링 자석(28)에 바로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프린트 회로 기판(32) 상에 위치한다. ASIC(80)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프린트 회로 기판(32)과 아마추어 샤프트(16) 사이의 간격(66)은, 도 2b에 도시된 SMD 홀 센서(30) 보다 더 크다. SMD 홀 센서(30)를 갖는 프린트 회로 기판(32)용 스토퍼(68)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는 사용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반면, ASIC(80)를 갖는 폭이 더 넓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2 개의 스토퍼(76, 77)에 의해 링 자석(28)에 대해 간격을 두고 기어 하우징(18) 또는 브러시 홀더(48)에 입체적으로 고정된다.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전기 모터(12)를 향한 축방향 영역(78)은 링 자석(28)을 향한 측면(70)에서 최소 간격(66)을 정하기 위한 스토퍼(76)에 접촉하며, 링 자석(28) 반대편 측면(74)에 접한 스토퍼(77)에 의해 상기 스토퍼(76)에 대해 눌러진다. 이때 스토퍼(77)는 인쇄 회로 기판(32)이 좁을 경우 웨브(60)의 기능을 맡는다. 따라서 삽입 모듈(34)은 ASIC(80)를 구비한 폭이 넓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경우 웨브(60)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스토퍼(76, 77)는 도 2a의 좁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갖는 삽입 모듈(34)의 경우 기능을 갖지 않는다.
도 3a는 도 2a에 상응하게 좁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갖는 조립된 삽입 모듈(3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이 경우 전자 부품 하우징(36)으로부터 기어 하우징(18)으로 바로 돌출하며,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서 평행하게, 또는 링 자석(28)에 대해서 접선으로 배치된다. 전기 모터(12) 반대편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측면 상의 스토퍼(68)는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서 최소 간격을 설정하며, 여기서 전자 부품 하우징(16)과 일체식으로 형성된 웨브(60)는 스토퍼(68)에 대해서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누르고, 웨브(60)는 기어 하우징(18)의 벽에 지지된다. 기어 하우징(36)은 커버(37)를 포함하며 웨브(60)는 거의 하나의 평면에 배치된다. SMD 홀 센서(30)의 구성 공간이 적기 때문에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스토퍼(82, 83) 또는 그루브(52)에까지는 연장되지 않으며, 이들은 기어 하우징(18)에서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자유 단부(33) 영역에 배치된다.
도 3b에는 ASIC(80)를 갖는 폭이 넓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전기 모터(12)를 향한 영역으로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안내하는 2 개의 스토퍼(76, 77)에 의해 입체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기어 하우징(36)의 커버(37)는 웨브(60)를 갖지 않는다.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링 자석(28)을 지나서 연장되며 부가적으로 그 자유 단부(33)는 2 개의 스토퍼(82,83)에 의해서 안내된다. 2 개의 스토퍼(82, 83)는 선택적으로,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자유 단부(33)의 전체 폭을 수용하는 그루브(52)로서 기어 하우징 내에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자유 단부(33)가 부가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홀 센서(30)와 링 자석(28) 사이의 간격이 예컨대 외부 진동에 의해서 변하는 것은 방지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좁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구비한 삽입 모듈(34)의경우 웨브(60)는 프린트 회로 기판의 자유 단부(33)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웨브 연장부(60')는 마찬가지로 스토퍼(82, 83) 또는 그루브(52)에의 부가적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웨브(60)의 웨브 연장부(60')는 그 단부(61)가, 도 3b에서 길게 형성된 프린트 회로 기판과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서 정확히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웨브 연장부(60')의 단부(61)는 2 개의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정규화된 두께(86)와 동일한 두께(86)를 갖는다. 이로써 짧은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자유 단부(33)는 웨브 연장부(60')에 의해서 부가적으로 고정되며 이는 프린트 회로 기판(32)과 아마추어 샤프트(16) 사이의 간격(66)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 모듈(34)은 별도의 하우징(36)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기어 하우징(18)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므로 예컨대 삽입 모듈(34)의 정면은 동시에 기어 하우징(18)용 커버이다. 이 경우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도 1b 또는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L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전체가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직사각의 측면은 폭(62)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설명된 2 개의 삽입 모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단독 기어 하우징을 갖는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32)들을 구비한 상이한 삽입 모듈들의 임의의 결합 형태를 포함한다. 이때 웨브(60)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뒷면에, 예컨대 접착 또는 클립 연결에 의해 고정된다.

Claims (14)

  1. 구동 장치(10), 특히 자동차의 창유리를 올리고 내리기 위한 구동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아마추어 샤프트(16)를 포함하는 전기 모터(12), 전자 하우징(36)으로부터 돌출한 프린트 회로 기판(32), 기어 하우징(18) 및,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기어 하우징(18) 내에 입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부(44)들을 구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폭(62) 및/또는 길이 및/또는,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 상이한 간격(66)을 갖는 상이한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위해, 상이한 가이드부(44)들이 프린트 회로 기판(32)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4)들의 적어도 일부는 스토퍼(44, 68, 76, 77, 82, 83, 52)로서 기어 하우징(18)에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들에는 아마추어 샤프트(16) 쪽 또는 그 반대쪽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측면(70, 74)이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한 최소 또는 최대 간격을 정하기 위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4)들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 모터(12)를 향한 및/또는 상기 모터 반대편에 놓인 프린트 회로 기판(32)의 축방향 영역(78, 72)이 상기 가이드부(44)들에 접촉하도록, 기어 하우징(18)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프린트 회로 기판(32)을 위한 적은 폭(62)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44, 60, 60')는 웨브(60, 60')로서 형성되며, 이는 프린트 회로 기판(32)과 함께 기어 하우징(18)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60, 60')는 전자 부품 하우징(36)에, 특히 그 커버(37)에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특히 클립 연결부(64)에 의해 웨브(60, 60')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60, 60')의, 프린트 회로 기판(32) 반대편 측면(58)이 기어 하우징(18)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60, 60')는 프린트 회로 기판(32)보다 길게 형성되며, 그 자유 단부(61)는 스토퍼(82, 83, 52)로서 기어 하우징(18)에 배치된 가이드부(44)들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 하우징(36)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록킹 부재(42)에 의해서 기어 하우징(18)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브러시 홀더(48)가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시 홀더에는 특히 프린트 회로 기판(32)용 가이드부(44)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4)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루브(5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4)들에 의해서, 하나의 ASIC(80) 내에 집적된 홀 센서(30)를 갖는 하나의 프린트 회로 기판(32), 뿐만 아니라 홀 센서(30)가 직접 설치된 프린트 회로 기판(32)이 양측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회로 기판(32)은 아마추어 샤프트(16)에 대해 평행하게, 특히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된 자석(28)에 대해 접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 샤프트(16)는 웜(20)을 포함하며, 상기 웜은 웜 휠(22)과 맞물리고 상기 휠의 축(24) 상에 피동 피니언(2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KR1020047012808A 2002-02-19 2002-11-06 구동 장치 KR101053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7004.0 2002-02-19
DE10207004A DE10207004A1 (de) 2002-02-19 2002-02-19 Antriebsvorrichtung
PCT/DE2002/004101 WO2003071073A1 (de) 2002-02-19 2002-11-06 Antrieb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506A true KR20040088506A (ko) 2004-10-16
KR101053793B1 KR101053793B1 (ko) 2011-08-03

Family

ID=2763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808A KR101053793B1 (ko) 2002-02-19 2002-11-06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43472B2 (ko)
EP (1) EP1478821B1 (ko)
JP (1) JP4184975B2 (ko)
KR (1) KR101053793B1 (ko)
AT (1) ATE318983T1 (ko)
DE (2) DE10207004A1 (ko)
ES (1) ES2256551T3 (ko)
WO (1) WO2003071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7141T1 (de) * 2005-03-02 2011-10-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lenkspindel und anwendungsspezifische integrierte schaltung hierfür
DE102005040290B4 (de) * 2005-08-19 2010-05-06 Magna Auteca Ag Antrieb zur Verstellung von Klappen
US8742608B2 (en) 2009-03-05 2014-06-03 Tarfin Micu Drive system for use with flowing fluids
US8264096B2 (en) * 2009-03-05 2012-09-11 Tarfin Micu Drive system for use with flowing fluids having gears to support counter-rotative turbines
CN102044934B (zh) * 2009-10-21 2014-10-22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驱动组件
JP5919164B2 (ja) * 2012-04-26 2016-05-18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DE102013006854A1 (de) 2012-04-26 2013-10-31 Asmo Co., Ltd. Motor
USRE47564E1 (en) 2012-04-26 2019-08-06 Denso Corporation Motor
JP6219028B2 (ja) * 2012-10-29 2017-10-25 アスモ株式会社 制御回路付きモータ
DE102013202857A1 (de) * 2013-02-21 2014-08-21 Robert Bosch Gmbh Bürstenträger für einen Elektromotor und Getriebe-Antriebseinheit mit einem Bürstenträger
DE102017204415A1 (de) * 2017-03-16 2018-09-20 Robert Bosch Gmbh EC-Motor mit einem ringförmigen Sensormagneten
DE102020205027A1 (de) * 2020-04-21 2021-10-2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uergerät zum Ansteuer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Sensoranordnung zur Bestimmung einer Rotorpositio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DE102021134190A1 (de) 2021-12-22 2023-06-22 Minebea Mitsumi Inc. Stell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06924U1 (ko) * 1989-07-11 1990-08-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De
US5256921A (en) * 1992-06-03 1993-10-26 Harry Pruis Gear motor with rotary switch
DE4233156A1 (de) 1992-10-02 1994-04-07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ischer Antrieb
US5444315A (en) * 1992-12-18 1995-08-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Bushing isolator for lead-through of electrical lines providing moisture sealing between two housings
DE59300052D1 (de) * 1993-03-31 1995-02-09 Siemens Ag Kommutatormotor-Getriebe-Antriebseinheit, insbesondere Kraftfahrzeug-Fensterheberantrieb.
JP3336141B2 (ja) * 1995-01-27 2002-10-21 アスモ株式会社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
DE19746518A1 (de) * 1997-10-22 1999-04-29 Bosch Gmbh Robert Einschubmodul für einen elektromotorischen Fensterheber
WO1999040285A1 (de) * 1998-02-05 1999-08-12 Robert Bosch Gmbh Elektronikmodul für eine elektromotorisch betriebene antriebseinheit
JPH11256920A (ja) * 1998-03-13 1999-09-21 Koito Mfg Co Ltd 安全装置付パワーウインド装置
FR2776857B1 (fr) * 1998-03-26 2000-06-1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Moteur electrique d'activation d'un organe fonctionnel de vehicule automobile
DE10019512A1 (de) 2000-02-19 2001-08-23 Bosch Gmbh Robert Motorgehäuse und Poltopf, insbesondere für Fensterheber- oder Schiebedachmotoren
DE10007696A1 (de) * 2000-02-19 2001-08-23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en, insbesondere zum Heben und Senken von Scheiben bei Kraftfahrzeugen
FR2807877B1 (fr) * 2000-04-14 2002-10-3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Connecteur a concentrateur de flux pour moteur electrique
DE10020018A1 (de) * 2000-04-22 2001-11-08 Brose Fahrzeugteile Elektromechanische Antriebsvorrichtung
US6756711B2 (en) *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US7047006B2 (en) * 2004-04-28 2006-05-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narrowband signals within a 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8983T1 (de) 2006-03-15
EP1478821B1 (de) 2006-03-01
US20050012412A1 (en) 2005-01-20
JP2005517590A (ja) 2005-06-16
JP4184975B2 (ja) 2008-11-19
EP1478821A1 (de) 2004-11-24
DE10207004A1 (de) 2003-08-28
ES2256551T3 (es) 2006-07-16
DE50205962D1 (de) 2006-04-27
WO2003071073A1 (de) 2003-08-28
US6943472B2 (en) 2005-09-13
KR101053793B1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306B1 (ko) 전기 모터, 특히 자동차 유리창의 승강을 위한 전기 모터
KR101053793B1 (ko) 구동 장치
US7602090B2 (en) Gearing drive unit comprising an electronics interface
US7728472B2 (en) Transmission drive unit with a plug-in electronics module
US6530796B2 (en) Plug-in module for adjusting motor
JP2000233716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を電気的に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
US7812492B2 (en) Motor drive assembly
US5984695A (en) Plug-in module for an electric motor-driven window lift
US20070040463A1 (en) Drive for the adjustment of flaps
US6577029B1 (en) Electric motor-driven mechanism
EP1564870B1 (en) Motor unit
JP2002542106A (ja) 電動モータ式の駆動装置、特に自動車用のウインドーリフト駆動装置
JP5030565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CN109891721B (zh) 电动机
US9496764B2 (en) Brush holder for an electric motor, and gear mechanism drive unit having a brush holder
KR19990072227A (ko) 포토인터럽터
WO2016136362A1 (ja) モータ装置
JP2008141917A (ja) モータ装置
US6900733B2 (en) Rain sensor,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a rain sensor
EP2198461B1 (en) Aperture assembly with a photosensor system and a securing mechanism for the aperture assembly
WO2006121072A1 (ja) センサ
JP2017077149A (ja) 電動機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載用装置、並びに、検査装置および電力入力部検査方法
JP2023082395A (ja) 電動モータモジュール
JP2023082396A (ja) 電動モ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23082397A (ja) 収納組み立て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4

Effective date: 201104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