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230A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230A
KR20040088230A KR1020030022352A KR20030022352A KR20040088230A KR 20040088230 A KR20040088230 A KR 20040088230A KR 1020030022352 A KR1020030022352 A KR 1020030022352A KR 20030022352 A KR20030022352 A KR 20030022352A KR 20040088230 A KR20040088230 A KR 20040088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077B1 (ko
Inventor
최길영
이재흥
이성구
원종찬
이상욱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2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0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화가 어려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기존에 사용되어 온 소량의 난연제와 함께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를 병용하여 사용하므로써, 층상실리케이트가 폴리프로필렌 기질 내에 나노미터 크기로 분산되는 나노복합화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화염이 닿았을 때에는 층상실리케이트가 탄화되어 기질로의 열과 화염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모두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A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화가 어려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기존에 사용되어 온 소량의 난연제와 함께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를 병용하여 사용하므로써, 층상실리케이트가 폴리프로필렌 기질 내에 나노미터 크기로 분산되는 나노복합화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화염이 닿았을 때에는 층상실리케이트가 탄화되어 기질로의 열과 화염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모두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내부식성 및 가공 물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구조재 및 각종 전자기기의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에 발생한 중대한 화재사고를 계기로 각종 전자기기의 부품 재료에 대해서는 난연화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난연화제로는 데카브로모 디페닐옥시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에틸렌비스(5,6-디브로모노르보난-2,3-디카르복시이미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등과 같은 유기할로겐계 화합물과 난연 보조제로서 삼산화안티몬을 병용하는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기할로겐계 난연화제를 사용하게 되면 가공 시에 일부 분해되어 할로겐 가스가 발생하여 가공기계나 성형기계를 부식시킬 뿐 아니라 화재 시에는 유독가스를 대량 발생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할로겐 화합물은 화재 시 주위의 다른 재료들과 결합하여 다이옥신 등 환경유해성 물질이 발생하므로 사용상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무기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무기계 난연제로는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무기 금속 화합물의 수화물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분해온도도 높고 적용수지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주로 전선피복재료 및 전기부품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산화마그네슘은 충전량이 150 중량부 이상으로 과량 사용되었을 때 비로서 UL94 규격 V-0를 만족하는 난연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무기계 난연제의 경우에는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량 사용하게 되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이 급격히 저하되고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인, 팽창성 흑연 등의 난연 조제를 첨가하기도 하였지만, 적인은 가공 시에 인화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가 있고, 팽창성 흑연은 색상과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한편, 층상구조를 갖는 실리케이트와 고분자와의 나노복합화와 관련하여서는, 1961년에 최초로 블룸스타인(A. Blumstein)이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에 비닐단량체를 삽입(intercalation)하여 중합하는 기술을 발표하였다[Bull. Chim. Soc., 899 (1961)]. 그 이후로 유기물을 층상실리케이트의 층간에 삽입(intercalation)하고 이 유기화 층상 점토를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켜 제조된 점토 분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복합재가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중합하고자 하는 단량체를 포함한 용매에 유기화 층상 점토를 혼합하고 이를 중합시켜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이에 대한 상업화제품은 1987년 일본(Toyota Central R&D lab.)에서 개발된 것으로 층상점토와 나일론의 나노복합재를 이용하여 개발한 자동차 부품인 타이밍벨트 커버(timing-belt cover)가 발표되었다[Plastics Technology, 1999, June, p52-57]. 미국 NIST의 길만 그룹(Gilman group)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층상점토를 이용한 난연화를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 UL94 시험법에 의한 난연성 시험은 이뤄지고 있지 않으며 다만 콘 열량계(cone calorimetry)를 이용한 열방출 속도(Heat release rate, HRR)가 늦어진다는 결과만 발표하고 있을 뿐이다[Chem. Mater., 12, 1866, 2000; Fire Mater., 24, 277, 2000].
따라서 내약품성, 내충격성, 가공성, 재생성 등이 우수하여 산업용품, 생활용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고유 물성을 유지하고, 난연제가 첨가되어도 물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난연성 수지조성물에서 제시되어 온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난연성 수지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소량의 할로겐계 난연제에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가 일정 함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난연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이 나노복합화된 구조를 갖도록 하면, 층상실리케이트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나노미터 크기로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화염이 닿았을 때에는 층상실리케이트가 탄화되어 수지 기질로의 열과 화염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저지할 수 있어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우수하게 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어 온 난연제의 사용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이면서도 기존의 난연성 수지조성물 보다 난연성 및 가공성을 훨씬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새로운 조성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난연제 및 산화방지제가 함유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70 내지 99 중량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1 내지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기질성분 100 중량부를기준으로, 할로겐계 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와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0.5 내지 10 중량부가 난연제로 함유되어 있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량의 난연제와 함께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의 혼합물을 병용하여 수지의 나노 복합화를 유도하므로써 난연화가 어려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있음은 물론 기존에 사용되어 온 난연제의 사용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이면서도 기존의 난연성 수지조성물 보다 난연성,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결과를 얻고 있는 새로운 조성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조성물은 층상구조의 점토를 나노미터 크기로 박리(delamination)시켜 폴리프로필렌 기질(matrix) 내에 고르게 분산시킨 나노복합화된 구조로서, 화염이 닿았을 때 점토가 탄화되어 기질로의 열과 화염의 전달을 저지하여 난연성이 좋으며, 기계적 물성도 우수하며 난연제의 첨가량이 감소하여 가공성 또한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의 조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 중에는 기질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가 사용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용융지수(MI)가 0.5 ∼ 80 g/10분(ASTM D1238,230 ℃)이고 결정성을 갖는 아이소택틱 프로필렌 호모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질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0.5 g/10분 미만이면 부품의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며, 용융지수가 80 g/10분을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올레핀계 올리고머는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나노미터 크기로 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질으로, 올레핀계 올리고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 올리고머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을 선택 사용한다. 또한, 사용된 올레핀 올리고머의 분자량에 따라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상용성 및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변화되는데, 올레핀계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수평균 분자량 범위는 1,000 ∼ 4,000 이다.
기질로서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올레핀계 올리고머는 각각 70 ∼ 99 중량부 및 1 ∼ 30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사용량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적게 사용되면 수지조성물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올레핀계 올리고머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층상실리케이트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난연제로서 소량의 할로겐계 난연제와 함께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를 일정 함량비 범위로 사용한다.
할로겐계 난연제는 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디브로모크레실에테르, 트리브로모페놀, 트리브로모페닐아릴에테르 등의 브롬계 화합물, 퍼클로로시클로데칸, 퍼클로로시클로펜타데칸, 염소화파라핀, 염소화폴리에틸렌 등의 염소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를 선택 사용하였을 때 보다 탁월한 난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할로겐계 난연제는 기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 40 중량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UL 94 V-0의 난연성을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상기한 할로겐계 난연제와 함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바, 상기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기질 내에 나노 단위로 분산되어 있어 화염이 닿았을 시 차르(char)를 형성하여 차단막을 형성하여 할로겐계 난연제와 함께 상승효과(synergistic)를 나타내 난연성을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카오린나이트(kaolinite)계, 일라이트(illite)계 등의 점토를 유기화하여 개질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점토로는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오리나이트(kaolinite), 하이드로마이카(hyromica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점토를 유기화하는 개질제로는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킬아민염으로는 디도데실암모늄염, 트리도데실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인산염은 테트라부틸인산염, 테트라페닐인산염, 트리페닐헥사데실인산염, 헥사데실트리부틸인산염, 메틸트리페닐인산염, 에틸트리페닐인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은 층상실리케이트의 층간 금속이온과 치환되어 층간 거리를 벌려주며 층상실리케이트의 물성을 유기물과 친화성이 있게 변화시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련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로서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슬의 길이가 긴(C12-C20이내) 알킬아민염으로 개질(modified)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이하 m-MMT로 표기함)는 층간에 Na+대신에 디메틸 디하이드로게네이티드 탈로우 암모늄(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ammonium)으로 유기화되어 있다. 상기한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기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 10 중량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할로겐계 난연제와의 난연에 대한 상승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지조성물의 난연성을 보다 높여 주기 위하여 난연보조제로서 할로겐계 난연제와의 상승 효과가 탁월한 산화안티몬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난연보조제는 기질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 20 중량부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조성물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공지의 산화방지제를 기질로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 0.5 중량부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 가공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 및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왁스, 안료, 기타의 발화 지연제, 그리고 카본블랙, 실리카, 목분,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올레핀계 올리고머,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할로겐계 난연제, 산화안티몬, 산화방지제, 및 기타 첨가제를 리본 블렌더(Ribbon Blender), V형 블렌더 또는 헨셀믹서(Henchel Mixer) 등의 회전교반 수단을 구비한 혼합수단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수백 내지 수천 rpm으로 수분 동안 예비혼합한 후, 통상의 압출기, 브라벤더 플라스티코더(Brabender Plasticorder), 반바리 믹서(Banbary Mixer) 또는 니더(Kneader) 등의 혼련 압출 수단으로 150 ∼ 240 ℃에서 스크큐 회전속도를 60 ∼ 300rpm으로 혼련 압출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를 기존 난연제와 함께 사용하여 수지조성물을 나노복합화된 구조를 갖게함으로써, 기존의 할로겐계 난연성 수지 조성물 보다 난연제의 사용량을 적게하면서도 우수한 난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공성, 기계적 물성 또한 우수하게 개선되어 직물의 피복, 전선의 절연 및 피복, 구조물, 전자제품의 케이스 등의 난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9
다음 표 1에 나타낸 함량 및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에틸렌 함량이 8 중량부이고 용융지수가 28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코프렌 J-370, 호남석유화학(주)], 할로겐계 난연제로서 데카브로모 디페닐옥시드,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로서 디메틸하이드로게네이티드 탈로우 암모늄염으로 개질된 친유기화 몬모릴로나이트(미국, 서던클레이프로덕츠사 제품), 올레핀계 올리고머로서 수산가가 45 KOH mg/g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2500인 올리고머[Polytail H, 일본, 미쯔비시 유화(주)], 난연보조제로서 삼산화안티몬 및 산화방지제로서 이르가녹스 1076(시바가이기사)를 사용하였다. 상기한 성분은 헨센믹서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600 rpm으로 5 분간 혼합하였다. 헨셀믹서로 혼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200 ∼ 210 ℃로 온도가 조절된 2축 압출기(L/D=13)를 사용하여 250 rpm으로 혼련을 행하고 스트랜드 커팅(Strand Cutting) 방식으로 펠레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오븐에서 건조한 후 사출 성형기로 각종 물성 측정용 시료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강도는 ASTM D638, 굴곡강도와 굴곡탄성율은 ASTM D1238, 난연성은 UL 94 V 타입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 시 예
1 2 3 4 5 6 7 8 9
조성성분∧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수지 95 90 90 90 90 90 80 80 70
올레핀계 올리고머 5 10 10 10 10 10 20 20 30
클로이사이트 15A 5 3 5 7 10 5 5 5 5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25.7 25.7 25.7 25.7 25.7 20.7 29.5 25.7 29.5
삼산화안티몬 9.2 9.2 9.2 9.2 9.2 7.1 10.5 9.2 10.5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0.2 0.2 0.2
물성 인장강도(㎏/㎠) 270 270 270 260 260 280 230 240 200
굴곡강도(㎏/㎠) 370 360 380 370 370 400 350 320 300
굴곡탄성율(㎏/㎠) 19500 19000 19200 18500 18300 20500 15300 14500 12200
난연성(UL94) V-0 V-0 V-0 V-0 V-0 V-0 V-0 V-0 V-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 6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고, 각 조성물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 교 예
1 2 3 4 5 6
조성성분∧중량부∨ 폴리프로필렌 수지 65 90 90 100 100 100
올레핀계 올리고머 35 10 10 - - -
클로이사이트 15A 5 - 15 5 - -
데카브로모 디페닐옥시드 29.5 25.7 25.7 29.5 45 -
삼산화안티몬 10.5 9.2 9.2 10.5 16.1 -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0.2
물성 인장강도(㎏/㎠) 170 200 250 240 230 260
굴곡강도(㎏/㎠) 250 270 340 350 380 300
굴곡탄성율(㎏/㎠) 9500 14300 15800 15900 15200 11000
난연성(UL94) V-2 V-2 V-1 V-2 V-0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 나쁨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층상구조의 점토가 박리되어 폴리프로필렌 기질 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나노복합화된 구조를 갖게되어 화염이 닿았을 때 점토가 탄화되어 폴리프로필렌 기질로의 열과 화염의 전달을 저지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난연 특성을 좋게 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상업화된 난연제와 병용하여 사용시 그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몇 시스템에서는 상승효과에 의해 배합량을 더 줄일 수도 있어 경제적이며, 기존의 난연 제품들 보다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등 기계적 물성의 우수하며 첨가되는 난연제의 감소로 가공성 또한 기존의 제품들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직물의 피복, 전선의 절연 및 피복, 구조물, 전자제품의 케이스, 기타 플라스틱 사출, 압출물과 같이 난연성이 요구되는 곳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프로필렌 수지, 난연제 및 산화방지제가 함유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70 내지 99 중량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올레핀계 올리고머 1 내지 30 중량부로 구성되는 기질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로겐계 난연제 10 내지 40 중량부와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0.5 내지 10 중량부가 난연제로 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가 0.5 ∼ 80 g/10분이고, 결정성을 갖는 아이소택틱 프로필렌 호모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올리고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4-메틸-1-펜텐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올리고머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 ∼ 4,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카오린나이트(kaolinite)계 또는 일라이트(illite)계 점토를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으로 유기화하여 개질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20030022352A 2003-04-09 2003-04-0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54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52A KR100546077B1 (ko) 2003-04-09 2003-04-0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52A KR100546077B1 (ko) 2003-04-09 2003-04-0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230A true KR20040088230A (ko) 2004-10-16
KR100546077B1 KR100546077B1 (ko) 2006-01-24

Family

ID=3737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352A KR100546077B1 (ko) 2003-04-09 2003-04-0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972B1 (ko) * 2005-10-20 2007-03-12 김희삼 일라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균일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200071900A (ko) * 2018-12-11 2020-06-22 한화토탈 주식회사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67B1 (ko) 2011-05-23 2013-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내에서 일라이트의 분산성 향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972B1 (ko) * 2005-10-20 2007-03-12 김희삼 일라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균일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200071900A (ko) * 2018-12-11 2020-06-22 한화토탈 주식회사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6077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749B1 (ko)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7553898B2 (en) Flame retardant plastic compositions
EP1907473A1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CN109762292B (zh) 一种abs组合物及一种abs组合物的制备方法
KR100745144B1 (ko)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US20080161466A1 (en) Composition For Production Flam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of Halogen Free Type Using Nano-Technology
US10119012B2 (en) Flame-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with reduced antimony trioxide content
KR20100078821A (ko)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 나노클레이 함유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0546077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N107011581A (zh) 一种抗静电无卤阻燃聚丙烯塑料及其制备方法
CN115322488B (zh) 一种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46792B1 (ko)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포함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WO2001046307A1 (en) Drip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KR101108242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조성물
JPS63221146A (ja) 難燃性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443269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612406B1 (ko) 클레이를 이용하여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JPS645063B2 (ko)
JPS59219352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3562853B2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ケン化物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2154445B1 (ko) 열선 점화 저항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90122731A (ko) 부피 팽창성 무독 난연 수지 조성물
KR20050068620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6082782A (zh) 一种耐候阻燃苯乙烯聚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