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958A - 표시장치,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958A
KR20040087958A KR1020040024305A KR20040024305A KR20040087958A KR 20040087958 A KR20040087958 A KR 20040087958A KR 1020040024305 A KR1020040024305 A KR 1020040024305A KR 20040024305 A KR20040024305 A KR 20040024305A KR 20040087958 A KR20040087958 A KR 2004008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pixel
dri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모리데츠로
다테요시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09G3/3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the dat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uring a setting phase, e.g. by u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driving transistor to the data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휘도의 변화 시에도 화질 저하를 부르지 않고 고 해상도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전류구동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EL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5)가 형성된 표시패널과, 화소(5)로 구동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구동부(11)와, 데이터신호를 래칭하기 위한 레지스터(7)와, 타이밍제어부(9)를 갖는 화소구동부(1)가 배치된 소스구동회로와,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구동전류를 화소(5)에 공급하는 신호선을 구비한다. 전류구동부(11)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데이터신호에 의해 설정된 전류 이상의 전류를 보내도록 타이밍제어부(9)로 제어됨으로써, 화소(5)를 흐르는 전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DISPLAY APPARATUS, SOURCE DRIVER AND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유기EL(Electro Luminescence) 등의 전류구동형 발광소자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티브매트릭스형 화상표시장치에서는, 다수의 화소를 매트릭스형으로 배열시켜, 주어진 휘도정보에 따라 화소별로 광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때문에, 예를 들어 장방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어, 액정 또는 광학물질의 상태를 제어하는 TFT(Thin-Film-Transistor)와, 패널의 상하변을 따라 배치된 소스구동회로와, 패널 측단부에 배치된 게이트 드라이버를 갖는다.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화상표시장치에서는, 광학물질로서 액정을 이용한 것이 주류였다. 이들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소스구동회로인 액정드라이버가 전압의 형태로 표시정보를 각 화소에 공급하고, 이 표시정보에 따라 화소의 투과율을 변화시켰다.
이에 반해 최근, 유기EL(Electro Luminescence)을 발광소자로 하여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EL은, 액정과는 달리 그 자체가 발광하므로,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시인성이 높음과 동시에 백라이트가 필요 없다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에 이용되는 유기EL은 다이오드의 기능을 가지며,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발광한다.
도 23은 종래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화소(1005)와, 화소(1005)에 접속된 전송로(1003)와, 소스구동회로에 포함되며, 전송로(1003)를 통해 화소(1005)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구동부(100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송로(1003)에는, 소스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을 접속하는 배선과,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신호선이 포함된다. 도 23의 전송로(1003) 중에는 저항이나 용량이 나타나 있지만, 이는 배선저항이나 부유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또 화소구동부(1001)는 복수의 전류원을 가지며, 이들 전류원 중, 도통상태인 것으로부터의 전류 합계가, 출력전류로서 각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1005)로 공급된다.
화소(1005)는, 화소입력용량(1007) 및 전류원(1008)을 갖는 전류발생부(1011)와, 전류원(1008)에 접속된 유기EL소자(1009)를 갖는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화소"는, 실제로는 R(적), G(녹), B(청)를 각각 표시하는 3 개의 서브픽셀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화소구동부와 화소의 구성과, 유기EL 표시장치의 흑백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의 (a)는,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흑백표시를 한 경우의 표시패널의 확대도이며, (b)는 (a)나타내는 표시패널의 XXVb-XXVb선 상에 배치된 화소와, 이 화소에 접속된 화소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 도 24의 (c)는 흑색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며, (d)는 백색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스구동회로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화소구동부가 복수 배치된다. 즉 종래의 소스구동회로는, 제 1 화소구동부(1001a1), 제 2 화소구동부(1001a2), ..., 제 n 화소구동부(1001an)와, 각 화소구동부(1001)에 공급할 전류를 생성하는 기준전류 생성부(1101)를 갖는다.
기준전류 생성부(1101)는,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된 P채널형 제 1 MOSFET(1108)와, 한끝이 제 1 MOSFET(1108)에 접속되고 다른 끝이 접지된 저항(1107)과, 제 1 MOSFET(1108)와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P채널형 제 2 MOSFET(1109)와, 드레인이 제 2 MOSFET(1109)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소스가 접지에 접속된 N채널형의 제 3 MOSFET(1110)를 갖는다.
또 화소구동부(1001) 각각은 제 3 MOSFET(1110)와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원과, 이 복수의 전류원 각각에 접속된 스위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64계조 표시장치의 경우, 제 1 화소구동부(1001a1)는, 전류(I)를 출력하는 제 1 전류원(1112)과, 전류(2I)를 출력하는 제 2 전류원(1113)과, 전류(4I, 8I, 16I)를 각각 출력하는 제 3 전류원, 제 4 전류원 및 제 5 전류원(도시 생략)과, 전류(32I)를 출력하는 제 6 전류원(1114)과, 각 전류원에 접속된 스위치(1115, 1116, 1117)를 갖는다. 각 전류원은 제 3 MOSFET(1110)와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N채널형 MOSFET로 구성된다.
또한, 간략화시켜 나타낸 화소(1005) 중, 각 서브픽셀은, 유기EL소자(1009)와, 화소구동부(1001)에 접속된 제 1 TFT와, 제 1 TFT와 전류미러를 구성하고, 제 1 TFT로 입력된 전류를 유기EL소자(1009)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TFT를 갖는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패널 쪽 TFT는 P채널형 MOSFET이므로, 실제 구동 시에는 화소 쪽으로부터 화소구동부 쪽으로 전류가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 2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흑백표시를 실행할 경우, 흑색표시를 행하는 화소(1005a1)에서는, 화소구동부(1001a1) 내의 스위치가 모두 오프상태로 제어되어, 화소(1005a1)는 전원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이 경우 도 2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스구동회로의 출력단자전압이 높아져도 흐르는 전류는 매우 작아진다. TFT의 IV(전류·전압)곡선과 소스구동회로 출력의 IV특성과의 교점이 TFT 동작점이다.
한편, 백색표시를 행하는 화소(1005an)에서는, 화소구동부(1001an) 내의 스위치가 모두 온 상태로 제어되어, 화소(1005an)로부터 화소구동부(1001an)로 전하가 인입된다. 이 경우, 도 2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FT 동작점은 흑색표시 시에 비해 저전위 쪽으로 시프트된다. 여기서 "흑색표시"란, "저휘도 표시"로 바꾸어 말해도 되며, "백색표시"란, "고휘도 표시"로 바꾸어 말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3에 나타내는 전류발생부(1011)의 구체적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25의 (a), (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EL화소에서의 전류발생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5의 (a) 에 나타내는 전류발생부(1011)는, 한 끝이 화소구동부(1101)에접속된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와,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와 직렬로 접속된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와,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와 직렬로 접속되고, 한끝에 전원전압이 공급된 용량(C1)과,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와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간을 접속하는 배선에 드레인이 접속되고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된 P채널형 제 1 TFT(M2)와, 제 1 TFT(M2)와 전류미러를 구성하고 드레인이 유기EL소자(1009)에 접속된 제 2 TFT(M1)를 갖는다. 또 용량(C1)과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를 접속하는 배선과, 제 1 TFT(M2)와 제 2 TFT(M1)의 양 게이트전극간을 접속하는 배선과는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는, 이 예에서는 모두 P채널형 MOSFET이며, 모두 제어신호(K1)로 동작제어 된다.
여기서 나타내는 전류발생부(1011)에서 전류설정 시에는, 제어신호(K1)에 의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가 모두 온 상태로 제어되어 화소구동부(1001)로 전류가 흐름과 동시에 게이트전압(Vc1)에 의해 용량(C1)이 충전된다. 그리고 용량(C1)이 충전되면, 제 1 TFT(M2)와 제 2 TFT(M1)에는 각각 일정한 전류가 흐른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전류설정 시"란, 수평주사기간 개시 후, 화소(1005)를 흐르는 전류가 목표값에 달할 때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 시에는 제어신호(K1)에 의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가 모두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이 때 용량(C1)에 의해 게이트전압(Vc1)이 유지되므로, 전류설정 시와 동일한 전류가 제 2 TFT(M1)로부터유기EL소자(1009)로 계속 흘러간다.
또 도 25의 (b)에 나타내는 전류발생부(1011)는, 한끝이 화소구동부에 접속된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와, 한 끝에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다른 끝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에 접속된 용량(C1)과,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와 용량(C1) 사이에 개설된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와, 게이트전극이 용량(C1)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에 접속되어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며, 드레인에 유기EL소자(1009)가 접속된 TFT(M1)와, TFT(M1)와 유기EL소자(1009) 사이에 개설된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5)를 갖는다. TFT(M1)의 드레인은,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에도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는 모두 제 1 제어신호(K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5)는 제 1 제어신호(K1)의 역상신호인 제 2 제어신호(K2)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 전류발생부(1011)에서, 전류설정 시에는 제 1 제어신호(K1)에 의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가 모두 온 상태로 되며, 제 2 제어신호(K2)에 의해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5)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 때 전류발생부(1011)로부터 화소구동부로 전류가 흐름과 동시에 게이트전압(Vc1)에 의해 용량(C1)이 충전된다. 그리고 용량(C1)이 충전되면, TFT(M1)에 일정 전류가 흐른다.
다음에, 표시 시에는,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4)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3)가 모두 오프 상태로 되며,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M5)는 온 상태로된다. 이 때 용량(C1)에 의해 게이트전압(Vc1)이 유지되므로, 전류설정 시와 동일한 전류가 TFT(M1)로부터 유기EL소자(1009)로 계속 흘러간다.
(특허문헌 1) 일특개 2002-215095
도 26은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흑색표시를 실행할 때의 화소(1005)를 흐르는 전류값, 및 화소(1005)에 인가되는 전압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에서, 가로축은 시간(t)이며, 세로축은 전류(I) 또는 전압(V)이다.
유기EL 표시장치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상에 발생하는 부유용량(1220)이나 화소입력용량(1007)을 갖는다. 때문에,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흑색표시를 실행할 때, 전하가 부유용량(1220)이나 화소입력용량(1007)의 충전에 이용돼버려, 설정대로 유기EL소자(1009)를 흐르는 전류가 목표 전류값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t1)이 길었다.
흑색표시를 실행할 때의 충전시간은, 통상 프레임주기를 수평라인 수로 나눈 시간보다 적은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프레임주기로서는 70Hz 전후의 값이 자주 이용되는데, 표시화소 수가 많은 패널을 제작하고자 하면, 수평라인 수가 증가하여 1 라인당 충전기간이 짧아진다. 때문에 종래의 유기EL표시패널에서 고 해상도의 표시를 실현하고자 하면, 충전기간을 짧게 할 수밖에 없어 화질이 저하돼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백색표시를 실행할 경우에는, 흑색표시의 경우와 반대로, 부유용량(1220)이나 화소입력용량(1007) 등에 충전된 전하를 화소구동부 쪽으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종래의 유기EL표시장치에서 해상도를 높이고자 하면 방전기간을 짧게 할 수밖에 없어 화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화질 저하"란, 정확한 휘도로 되지 못함에 의한 색 재현성의 저하란 의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의 변화 시, 또는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의 변화 시에도 화질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고해상도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장치,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드라이버IC,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 중, 전류설정 시의 전류발생부 모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대해, 전류구동부의 제 1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화소(5)로 흐르는 전류(I)의 변화, 및 화소(5)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대해, 전류구동부의 제 2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제 2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전류구동부로부터 화소로 흐르는 전류(I)의 변화, 및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대해, 전류구동부의 제 3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제 3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전류발생부로부터 유기EL소자로 흐르는 전류(I)의 변화, 및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9는 제 1 실시예의 제 4 구체예에 관한 타이밍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 중, 전류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전류발생부를 이용한 제 3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 중, 전류값 검출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백색표시 시(고휘도 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제 7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20의 (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흑색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제 9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23은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
도 24의 (a)는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흑백표시를 할 경우의 표시패널 확대도, (b)는 (a)에 나타내는 표시패널의 XXVb-XXVb선 상에 배치된 화소와, 이 화소에 접속된 화소구동부를 나타내는 회로도, (c)는 흑색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 (d)는 백색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5의 (a), (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EL화소의 전류발생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6은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흑색표시를 할 경우의, 화소를 흐르는 전류값 및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 화소구동부 3 : 전송로
5 : 화소 7 : 레지스터
9 : 타이밍제어부 11, 80 : 전류구동부
14 : 구동전압용 신호선 15, 63, 221 : 부유용량
17 : 화소입력용량 18 : 전류원
19 : 전류발생부 20, 72 : TFT
21 : 유기EL소자 22i0: 제 1 전류원
22i1: 제 2 전류원 22i2: 제 3 전류원
22i3: 제 4 전류원 22i4: 제 5 전류원
22i5: 제 6 전류원 24, 231 : 부가전류원
31a, 31b, 31c, 31d, 31e, 31f : 타이밍설정용 레지스터
33a, 33b, 33c, 33d, 33e, 33f : 비교회로
35a, 35b, 35c, 35d, 35e, 35f : 제어신호 발생회로
37 : 카운터 50 : 전압설정수단
51 : 더미 화소구동부 53 : 더미전송부
55 : 더미화소 57 : 더미 화소입력용량
59 : 더미 전류발생부 61 : 더미 전류구동부
64 : 구동전류용 신호선 65 : 배선저항
67 : 비교회로 67a : 비교기
71 : 전류값 검출부 73, 79 : 전압구동부
74 :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 75, 77, SWA0∼SWA5: 스위치
76 :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 78 :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
82, 107 : 저항 101 : 기준전류 생성부
102 : 신호선 107a : 가변저항
108 : 제 1 MOSFET 109 : 제 2 MOSFET
110 : 제 3 MOSFET 121 :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
123 : DAC수단 125, 127, 233 스위치
131 : 용장비트 133 : 비트데이터 가산수단
212 : 제 1 전류원 213 : 제 2 전류원
214 : 제 6 전류원 215 : 제 1 스위치
216 : 제 2 스위치 217 : 제 6 스위치
Sc0∼Sc5 : 일치신호 Sr0∼Sr5 : 레지스터 데이터신호
본 발명의 제 1 표시장치는,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기간에는 임의로 설정된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며, 상기 소정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상기 레지스터로부터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으로써,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전류구동부를 흐르는 전류를 최적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목표값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할 때는, 표시패널 쪽에 축적시킨 전하를 신속하게 소스구동회로 쪽으로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높은 시간단축 효과가 얻어진다. 그 결과 화질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수평라인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기간에는, 상기 레지스터로부터의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값 이상의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출력되면, 화소를 흐르는 전류 값을 목표값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구동부는,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따른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전류원을 갖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와, 임의로 설정된 값의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부가전류원과,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부가전류원과 상기 화소를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기간만 도통시키는 제 1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 기간만 부가전류원으로부터 적의 적절한 전류를 보낼 수 있으므로, 화소를 흐르는 전류 값을 목표값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D/A변환기 내 N 개의 전류원은, 각각 서로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가전류원은, 상기 N 개의 전류원을 구성하는 MIS트랜지스터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이루어져도 된다.
상기 부가전류원은 상기 표시데이터를 받아,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대응하는 전류 출력이 가능함으로써, 부가전류원으로부터 표시데이터별로 적합한 전류를 보낼 수 있으므로, 화소를 흐르는 전류 값을 목표값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류구동부는,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전류원과, 상기 N 개의 전류원을 흐르는 전류의 각 출력경로 상에 각각 배치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N 개의 전류원 각각을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제 2 스위치를 우회시켜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바이패스경로와, 상기 N 개의 바이패스경로 각각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 3 스위치를 갖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이며,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스위치가 온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소정 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상기 제 3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설정됨으로써도, 화소를 흐르는 전류 값을 목표값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값이, 단계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전류설정 시에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의 오버슈트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화소를 흐르는 전류 값을 목표값에 도달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전류부는,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전류원과, 상기 N 개의 전류원을 흐르는 전류의 각 출력경로 상에 각각 배치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N 개의 전류원 각각을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제 2 스위치를 우회시켜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바이패스경로와, 상기 N 개의 바이패스경로 각각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 3 스위치를 갖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이며,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스위치가 온 상태로 설정된 후, 상기 N 개의 전류원 중, 상위비트용 전류원에 접속된 상기 제 3 스위치로부터 단계적으로 오프 상태로 절환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스구동회로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설정수단과,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상기 타이밍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비교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소정 기간 중에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임의로 설정된 상기 구동전류가 흐를 때, 적어도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일치한 시점에서,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표시데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전류값으로 절환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화소를 흐르는 전류를 목표 전류에 도달시키기까지의 시간(이하 이 시간을 "전류설정시간"이라 칭함)을 단축시키기 위해 적합한 전압이 전압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므로, 전류설정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압설정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소정 전압은, 전류설정 시에 상기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이 목표값에 도달할 때의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인 안정출력전압이면, 전류설정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압설정수단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TFT 및 용량을 가지며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더미화소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화소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더미신호선과, 상기 소스구동회로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더미신호선 및 상기 비교회로에 접속되며, 동작 시를 통해 일정값의 전류를 출력하는 더미 전류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구동부를 구비하는 더미회로임으로써, 안정출력전압에 가까운 전압에 도달한 더미화소구동부의 출력전압을 기준으로하여 전류구동부의 출력전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전류설정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더미회로는, 복수 개의 상기 전류구동부에 대해 1 개의 비율로 배치됨으로써, 회로면적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소면적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반도체칩 상에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칩 각각에는, 상기 더미 화소구동부가 배치될 경우, 소스구동회로로서 복수 종류의 반도체칩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표시패널로의 입출력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더불어 저절로 더미회로끼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되므로, 표시패널의 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시간단축효과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더미회로는 복수 개 존재하며, 복수의 상기 더미회로 내 더미전류구동부끼리는, 적어도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 기간 서로 접속됨으로써, 표시패널 위치에 따른 특성차이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표시장치는,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신호선은, 상기 화소를 흐르는 구동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구동전압용 신호선과, 상기 화소의 구동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류용 신호선으로 분리되며,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구동부와,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의 구동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으로써, 제 1 표시장치에서 이용된 전류구동부보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구동부에 의해 화소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와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어느 경우에도, 전류설정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 화소의 구성은 전류와 전압 양쪽으로 구동 가능한 회로 구성이라면 어떠한 회로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상기 화소로부터 흐르는 구동전류의 값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상기 전압구동부로 피드백 시키기 위한 전류값 검출부이며, 상기 소스구동회로에는,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류값 검출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레지스터가 추가로 배치됨으로써, 예를 들어 화소로부터 전류검출부로 흐르는 전류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화소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저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압구동부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피드백 베어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특별한 제어를 가하는 일없이, 전류설정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류값 검출부는,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접속되며, 상기 표시데이터에 대응하여 출력전류 값의 변경이 가능한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와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의 접속경로 상에 배치된 저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구동부와 상기 저항소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이, 상기 검출결과로서 상기 전압구동부에 입력돼도 된다.
상기 전압구동부와 상기 전류공급수단을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 기간만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도 전류설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표시장치는,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구동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보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공급수단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배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도통시키는 단락용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 구성으로써,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에 전류구동부보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공급수단으로부터의 전압으로 화소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휘도 표시를 실행할 때는, 소스구동회로 쪽으로 신속하게 전하를 끌어들일 수 있으며, 저휘도 표시를 실행할 때는, 표시패널 쪽의 용량을 신속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장치에 비해 전류설정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TFT 및 용량을 가지며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더미화소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화소에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더미신호선과, 상기 소스구동회로 내에 배치되며, 또 상기 더미신호선에 접속되며, 동작 시를 통해 일정값의 전류를 출력하는 더미 전류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구동부를 구비하는 더미회로와, 상기 더미 전류구동부에 접속되며, 상기 더미 전류구동부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상기 신호선에 출력하기 위한 전류증폭용 버퍼로 구성됨으로써, 정상상태에 달한 더미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을 화소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류설정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복수 개의 상기 전류구동부에 대해 1 개의 비율로 배치됨으로써, 전류설정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회로면적의 현저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상기 전류구동부마다 배치되며,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표시데이터에 따라 출력전압을 바꿀 수 있는 전압출력형 D/A변환기라면, 반도체칩 내에 출력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출력형 D/A변환기는, 상기 표시데이터 중 상위 1 또는 2 비트에 대응해 출력전압을 바꿈으로써, 전류설정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회로면적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외부전원에 접속된 배선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 4 표시장치는,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표시데이터에 M비트를 가산하여 (N+M)비트의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트데이터 가산수단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는 상기 (N+M)비트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고, 상기 소정 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N비트의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으로써,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에는 전류구동부로부터 본래 출력돼야 할 전류 이상의 전류가 일시적으로 출력되므로, 전류설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M비트는 1 또는 2비트일 경우, 회로면적의 현저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5 표시장치는,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따른 구동전류를 상기신호선에 출력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로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기준전류 생성부를 갖는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류구동부는, 각각 서로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구성되는 N 개의 전류원을 가지며, 상기 기준전류 생성부는, 소스에 전류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기준전류를 보내기 위한 제 1 MISFET와, 상기 제 1 MISFET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데이터가 입력됐을 때는 상기 표시데이터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제 1 MISFET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제 2 MISFET와, 상기 제 2 MISFET에 접속되어 상기 N개의 전류원 각각으로 전류미러를 통해 상기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MISFET를 구비하며,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가변저항으로 입력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전류설정 시에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이 표시데이터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전류구동부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적절한 값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효과적으로 전류설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는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 이상의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고, 상기 소정 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상기 레지스터로부터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본 소스구동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에서는, 전류설정 시에 화소를 흐르는 전류를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전류로 도달시킬 수 있다. 즉, 본 소스구동회로를 이용하면, 종래보다 해상도가 높은 전류구동형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설정수단과,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상기 타이밍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비교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소정 기간 중에,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값 이상의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흐를 때, 적어도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일치된 시점에서,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값으로 절환되도록 설정됨으로써, 본 소스구동회로를 이용한 표시장치에서는, 전류설정 시에 화소를 흐르는 전류를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전류로 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소스구동회로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구동부와,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가 입력되며, 상기 표시데이터에 따른 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종래보다 전류설정 시간이 단축된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에 따른 상기 구동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갖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보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공급수단과,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부와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배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상기 배선과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도통시키는 단락용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로써 종래보다 전류설정 시간이 단축된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표시데이터에 M비트를 가산하여 (N+M)비트의 표시데이터를출력하기 위한 비트데이터 가산수단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기간에는 상기 (N+M)비트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를 보내며, 상기 소정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N비트의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종래보다 전류설정 시간이 단축된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따른 구동전류를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에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기준전류 생성부를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이며, 상기 전류구동부는, 각각 서로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구성되는 N개의 전류원을 가지며, 상기 기준전류 생성부는,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기준전류를 보내기 위한 제 1 MISFET와, 상기 제 1 MISFET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데이터가 입력됐을 때는, 상기 표시데이터로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제 1 MISFET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제 2 MISFET와, 상기 제 2 MISFET에 접속되어 상기 N개의 전류원 각각으로 전류미러를 통해 상기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MISFET를 갖고,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가변저항으로 입력된다.
이로써 종래보다 전류설정 시간이 단축된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표시패널은,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과, 화상표시에 관계하지 않는 더미화소와, 상기 더미화소에 접속된 더미신호선을 구비한다.
이로써 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종래보다 전류설정 시간이 단축된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표시패널은,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전압 및 전류로 구동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전압용 신호선과, 상기 화소의 구동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전류용 신호선을 구비한다.
이로써 본 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종래보다 전류설정 시간이 단축된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전류설정 시에 화소구동부(1)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일정기간 보낸 후, 설정된 전류값이 화소구동부(1)로부터 출력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에 형성되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5)와, 화소(5)에 접속된 전송로(3)와, 소스구동회로에 포함되며, 전송로(3)를 통해 화소(5)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구동부(1)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송로(3)에는, 화소구동부(1)와표시패널을 접속하는 배선과,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신호선이 포함된다. 도 1의 전송로(3) 중에는 저항이나 용량이 표시되지만, 이는 배선저항이나 부유용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신호선은 신호선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된 다른 화소에도 접속된다.
화소구동부(1)는, 화소(5)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구동부(11)와, 표시데이터인 데이터신호를 래칭하고, 이 데이터신호를 전류구동부(11)로 출력하는 레지스터(7)와,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A)를 출력하는 타이밍제어부(9)를 구비한다. 전류구동부(11)로 신호(A)가 입력됨으로써, 전류구동부(11)는, 전류설정 시 중 소정 기간만 임의로 설정된 값의 전류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동작기간에는 데이터신호에 의해 설정된 전류값을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전류구동부(11)로부터 소정 기간만 출력되는 전류의 값은, 데이터신호로 설정되는 전류값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소(5)의 구성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즉 화소(5)는, 신호선에 접속되며, 화소입력용량(17)과 전류원(18)을 갖는 전류발생부(19)와, 전류발생부(19)로부터의 출력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EL소자(21)를 갖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 중, 전류설정 시의 전류발생부(19) 모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전류발생부(19)의 구성은, 도 2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와 마찬가지 구성이라도 되며, TFT를 이용한 다른 일반적인 구성이라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드레인이 화소구동부 및 자신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된 P채널형 TFT(20)와, TFT(20)의 게이트전극 및 화소구동부에 접속된 게이트전압 유지용 용량(C1)(도 1에 나타내는 화소입력용량(17)에 상당)을 갖는다. 또 도 2에서는, 유기EL소자(2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TFT(예를 들어 도 25의 (a)에 나타내는 제 2 TFT(M1))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흑색표시에서 백색표시로 변화할 때의 전류설정 시에, 소정 기간 커다란 전류를 패널 쪽으로부터 화소구동부(1) 쪽으로 보냄으로써, 부유용량(15)이나 화소입력용량(17)에 충전된 전하를 신속하게 인출하기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전류구동부(11)로부터 화소(5)로 입력되는 전류값, 및 전압값이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값에 도달할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해상도가 높은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동영상의 표시절환을 부드럽게 보이기 위해 일단 흑색표시를 한 뒤 소정의 표시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화소(5)를 흐르는 전류를 종래보다 빠르게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각 화소 동작의 통일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류구동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설명한다.
-제 1 구체예-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대해, 전류구동부의 제 1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6비트, 즉 64계조 표시의 유기EL 표시장치 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는, 고정전류(Ix)를 보내기 위한부가전류원(24)과, 레지스터(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를 받아 데이터신호에 따른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류가산형 D/A변환기와, 부가전류원(24)을 흐르는 전류를 온 또는 오프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WA)와,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의 출력전류(인입전류)를 온 또는 오프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WNA)를 갖는다. 그리고 스위치(SWA)는 신호(A)에 의해 동작을 제어 당하며, 스위치(SWNA)는 신호(A)의 역상신호인 신호(NA)에 의해 동작을 제어 당한다.
또 전류가산형 D/A변환기는, 최소전류단위의 전류(I0)를 보내기 위한 제 1 전류원(22i0)과, I0의 2 배 전류(I1)를 보내기 위한 제 2 전류원(22i1)과, I0의 22배 전류(I2)를 보내기 위한 제 3 전류원(22i2)과, I0의 23배 전류(I3)를 보내기 위한 제 4 전류원(22i3)과, I0의 24배 전류(I4)를 보내기 위한 제 5 전류원(22i4)과, I0의 25배 전류(I5)를 보내기 위한 제 6 전류원(22i5)과, 제 1∼제 6 전류원의 각각을 흐르는 전류를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SWi0), 제 2 스위치(SWi1), 제 3 스위치(SWi2), 제 4 스위치(SWi3), 제 5 스위치(SWi4), 및 제 6 스위치(SWi5)를 갖는다. 제 1∼제 6 스위치(SWi0∼SWi5)는 각각 데이터(0)∼데이터(5)까지의 데이터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가 결정되며, 도통상태로 된 각 전류원을 흐르는 전류의 합계가, 전류(IS)로서 이 D/A변환기로 인입된다. 여기서는 데이터신호가 6비트의 예를 나타내지만, 비트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D/A변환기는, 표시휘도에 비례한 출력전류를 출력할 경우도 있지만, 유기EL소자의 γ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표시휘도에 비례하지 않는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점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N비트(N은 2 이상의 정수)의 경우에는 전류원 수가 N 개가 되며, MSB(최상위 비트)의 전류원은 LSB(최하위 비트) 전류원의 2N-1배의 전류를 끌어들인다. 이 D/A변환기의 구성은 도 24에 나타내는 종래의 전류구동부와 마찬가지이며, 예를 들어 각 전류원은 서로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MOSFET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가전류원(24)을 흐르는 전류(Ix)는 적어도 최소전류단위의 전류(I0)보다 큰 임의의 값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에서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스위치(SWA)가 온이 되고, 스위치(SWNA)가 오프 된다. 그리고 표시 시 등, 이 소정의 기간 이외의 기간에는 스위치(SWA)가 오프 되고, 스위치(SWNA)가 온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변화할 때, 소정 기간 부가전류원(24)으로 전류가 인입되므로,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으로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류발생부(도 1 참조)로부터 유기EL소자(21)로 흐르는 전류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으로 도달시키기가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화소(5)를 흐르는 전류(I)의 변화, 및 화소(5)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흑색표시에서 백색표시로 절환될 때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시간(0)에서 시간(T)까지의 사이에, 도 26에 나타내는 종래예보다 큰 전류(Ix)가 전류발생부(19)로부터 흘러나온다. 이에 따라 화소(5)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압(Vo)은 급격히 저하되며, 시간(T)에서는 안정전압(Vta)에 가까워진다. 이로써 시간(T)에서 전류구동부(11)를 흐르는 전류가 본래의 설정전류(도 3에 나타내는 전류(Is))로 절환된 후, 목표전류(Ita)에 도달하는 시간이 종래의 시간(t1)보다 빠른 시간(t2)으로 된다. 즉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소정의 전류를 일정기간 보내기 위한 부가전류원(24)을 구성시킴으로써, 저휘도 표시(흑색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백색표시)로의 변화 시에, 전류구동부(11)로부터 화소(5)로 흐르는 전류의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없이 고해상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목표전류값은, 표시 시의 화소 휘도에 따라 각각 다르다. 때문에, 전류구동부(11)가 전류(Ix)를 출력하는 기간(T)의 길이를 화소 휘도에 맞추어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타이밍제어부(9)에의해 신호(A)가 도 3에 나타내는 스위치(SWA)를 온으로 하는 시간이나 타이밍을 적절히 제어해도 된다.
또 본 구체예에서는 화소 내의 발광소자로서 유기EL소자를 이용하지만, 이 대신 발광다이오드 등, 전류로 구동되는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화소구동부의 구성은, 프린터 헤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신호(A)를 출력하는 타이밍제어부(9)는, 전류구동부별로 배치해도 되지만, 복수의 전류구동부에 대해 1 개 배치해도 된다. 타이밍제어부(9)를 복수의 전류구동부에서 공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회로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구체예-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구동부의 제 2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구체예에서는, 부가전류원을 배치하지 않고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의 제 1∼제 6 전류원을 이용하여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최대 출력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는, 제 1 구체예와 동일 구성의 D/A변환기에 추가로, 제 1∼제 6 전류원의 각각과 D/A변환기 출력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경로와, 이 바이패스경로 상에 각각 배치된, 제 1 전류원(22i0)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0), 제 2 전류원(22i1)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1), 제 3 전류원(22i2)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2), 제 4 전류원(22i3)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3), 제 5 전류원(22i4)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4), 및 제 6 전류원(22i5)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5)를 갖는다. 이 스위치(SWA0∼SWA5)의 각각은, 도 1에 나타내는 타이밍제어부(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A)에 의해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온 상태로 되고, 그 밖의 기간은 오프 상태로 되도록 제어된다.
또 제 1 스위치(SWi0), 제 2 스위치(SWi1), 제 3 스위치(SWi2), 제 4 스위치(SWi3), 제 5 스위치(SWi4), 및 제 6 스위치(SWi5)의 각각은, 스위치(SWA0∼SWA5)가 온 상태일 때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구체예의 전류구동부에는 제 1∼제 6의 모든 전류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합계전류가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흐르게 된다. 이 합계전류는, 64계조 표시의 경우, 데이터(3F)의 전류(I3F), 즉 최소 전류단위의 63 배 전류가 된다.
도 6은 본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전류구동부(11)로부터 화소(5)로 흐르는 전류(I)의 변화, 및 화소(5)에 인가되는 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는 흑색표시 후의 전류(I) 및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전류설정 시의 시간(0)에서 시간(T)까지의 사이에, 64계조 표시의 최대전류인 전류(I3F)가 전류구동부(11)로부터 출력된다. 이에 따라 화소(5)에 인가되는 전압(Vo)은 급격히 저하되며, 시간(T)에서는 안정전압(Vta)에 가까워진다. 이로써 제 1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시간(T)에서 전류구동부(11)로 인입되는 전류가 본래의 설정전류(도 3에 나타내는 전류(Is))로 절환된 후, 목표전류(Ita)에 도달하는 시간이 종래의 시간(t1)보다 빠른 시간(t2)으로 된다. 즉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D/A변환기의 최대 설정전류를 일정 기간 흘려보냄으로써, 저휘도 표시(흑색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백색표시)로의 변화 시에, 화소(5)의 입력부로 흐르는 전류의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에서는, 부가전류원을 배치하지 않으므로, 제 1 구체예에 비해 전류구동부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구체예의 전류구동부에서는, 제 1∼제 6의 전류원 모두에 출력부와 접속하기 위한 바이패스경로가 배치되지만, 예를 들어 제 5 전류원(22i4)과 제 6 전류원(22i5)에만 바이패스경로를 배치하는 등, 표시장치의 설계에 따라서는 일부의 전류원에만 배이패스경로를 배치해도 된다. 즉 D/A변환기로부터 일시적으로 출력되는 전류는, 반드시 설정값의 최대전류가 아니라도 된다.
또 본 구체예에서는, 각 비트의 전류원으로 전류를 보내기 위한 스위치(SWA0∼SWA5)의 동작을 공통 신호(A)로 제어하지만, 스위치(SWA0∼SWA5)가 각각 독립된 신호(A0∼A5)로 제어되도록 설계해도 된다. 그 위에 다른 신호선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류구동부에, 1 개의 타이밍제어부(9)로부터 공통의 신호(A0∼A5)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전류설정 시에 온 상태로 하는 전류원의 조합을 최적화하도록 타이밍제어부(9)의 동작을 프로그래밍 해둘 수도 있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내는 전압의 오버슈팅(일시적으로 설정전압보다 강하되는 것)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전류구동부 및 전류발생부를 흐르는 전류값을 보다 빠르게 목표값에 도달시키기가 가능해진다.
-제 3 구체예-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구동부의 제 3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구체예의 전류구동부에서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의 제 1∼제 6 전류원을 이용하여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설정전류 이상의 전류를 보내는 점은 제 2 구체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설정전류 이상의 전류를 보낸 후, 단계적으로 D/A변환기를 흐르는 전류값을 저감시키는 점이 다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는, 제 1 구체예와 동일 구성의 D/A변환기에 추가로, 제 1 전류원(22i0), 제 2 전류원(22i1), 제 3 전류원(22i2), 제 4 전류원(22i3), 제 5 전류원(22i4), 제 6 전류원(22i5)과 D/A변환기의 출력부를 각각 연결하는 바이패스경로와, 이 바이패스경로에 각각 배치된, 제 1 전류원(22i0)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SWA0), 제 2 전류원(22i1)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1), 제 3 전류원(22i2)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2), 제 4 전류원(22i3)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3), 제 5 전류원(22i4)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4), 및 제 6 전류원(22i5)과 D/A변환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 스위치(SWA5)를 갖는다.
본 구체예와 제 2 구체예의 차이는, 스위치(SWA0∼SWA5)가 각각 서로 독립된 신호(A0∼A5)에 의해, 전류설정기간 중에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단계적으로 절환되는 점이다. 이 신호(A0∼A5)는, 도 1에 나타내는 타이밍제어부(9)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본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의 전류설정기간 중의 동작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류설정 시의 전류발생부로부터 유기EL소자로 흐르는 전류(I)의 변화, 및 화소(5)에 인가되는 전압(Vo)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전류설정 시의 시간(0)에서 시간(T)까지의 사이에, 전류구동부(11)로부터 데이터(3F)("3F"는 16진수 표기)에 대응한 64계조에서의 최대전류(I3F)가 흐른다. 이 기간, 화소(5)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압(Vo)은 급격히 저하되어 목표전압(Vta)에 가까워진다.
다음으로 시간(T)에서는, 예를 들어 스위치(SWA4) 및 스위치(SWA5)를 모두 오프 상태로 절환시켜, 상위 2 비트만큼을 표시해야 할 정확한 데이터로 치환시킨다. 이 상태가 시간(T)에서 시간(3T)까지 계속된다. 이 기간 중에 화소(5)를 흐르는 전류는, 더욱 목표전류에 가까워진다. 그 사이, 화소(5)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압은 서서히 저하되며, 시간(3T)에서는 안정전압(Vta)을 약간 밑돈다.
다음에, 시간(3T)의 시점에서, 예를 들어 스위치(SWA2) 및 스위치(SWA3)를 다시 오프 상태로 절환시키고, 다시 2 비트만큼을 표시해야 할 정확한 데이터로 치환시킨다. 이 상태가 시간(3T)에서 시간(5T)까지 계속된다. 이에 따라 시간(3T)에서 시간(5T)까지의 사이에, 화소(5)에 인가되는 전압은 더욱 안정전위에 가까워진다.
이어서 시간(5T)의 시점에서, 예를 들어 스위치(SWA0) 및 스위치(SWA1)를 다시 오프 상태로 절환시키고, 전류구동부의 출력전류를, 레지스터에 설정된 6 비트 모두의 데이터신호에 따른 설정전류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구체예에 관한 전류구동부의 출력전류 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화소(5)에 인가되는 전압의 오버슈트량을 저감할 수 있어, 제 2 구체예와 비교해도 더욱 신속하게 화소(5)를 흐르는 전류를 목표전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시간(T) 후, 일정 간격(2T 간격)으로 전류구동부를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키지만, 임의의 타이밍 및 기간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처음에 소정 기간 전류구동부에 최대 설정량의 전류를 보내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목표값에 가깝게 한 후, 전류구동부를 흐르는 전류값을 단시간씩 변화시켜가, 최종적으로 레지스터에 설정된 데이터신호에 따른 전류를 보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목표전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종래의 전류구동부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는, 최대설정량의 전류를 보내는 시간을 포함하여, 일정 시간(T)마다 전류구동부로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켜도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제어는 도 1에 나타내는 타이밍제어부(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A0∼A5)에 의해 실행된다.
또 본 구체예의 전류구동부에서, 최대전류 또는 그에 가까운 전류를 보낸 후, 상위 비트로부터 차례로 2 비트만큼씩 설정전류로 절환시키지만, 한번에 설정대로 돌아가게 하는 비트 수를 3 비트 이상 또는 1 비트로 해도 된다. 설정전류로 되돌리는 순서는, 본 구체예와 같이 상위 비트로부터 하위 비트로 순차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순서로 실행할 수도 있다.
-제 4 구체예-
본 구체예에서는, 제 3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즉 본 구체예의 타이밍제어부는, 전류구동부를 흐르는 전류값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등의 신호(A0∼A5)를 출력한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제 4 구체예에 관한 타이밍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타이밍제어부는, 각각 레지스터 데이터신호(Sr0, Sr1, Sr2, Sr3, Sr4 및 Sr5)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 설정용레지스터(31a, 31b, 31c, 31d, 31e 및 31f)와, 개시신호와 클록신호를 받아 카운트 동작을 실행하고, 카운팅한 값을 카운트데이터신호(Scd)로서 출력하는 카운터(37)와, 카운트데이터신호(Scd)와 레지스터 데이터신호(Sr0∼Sr5)를 각각 비교하여 이들이 서로 일치할 경우에 일치신호(Sc0∼Sc5)를 각각 출력하는 비교회로(33a, 33b, 33c, 33d, 33e, 33f)와, 일치신호(Sc0∼Sc5)를 각각 수신하여 신호(A0∼A5)를 각각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35a, 35b, 35c, 35d, 35e 및 35f)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전류설정 시에 있어서, 상위 비트로부터 1 비트씩 정확한 데이터로 치환해갈 경우, 타이밍설정용 레지스터(31f, 31e, 31d, 31c, 31b 및 31a)에는 각각 데이터 "1", "2", "3", "4", "5", "6"이 미리 설정돼 있어, 이들 레지스터 데이터신호가 비교회로(33f, 33e, 33d, 33c, 33b 및 33a)로 출력된다.
또 카운터(37)에서는, 개시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클록신호에 동기한 카운트 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각 비교회로에 출력되는 카운터데이터신호가 "1", "2", ...로 일정 시간으로 순차 변화함에 따라, 비교회로(33f, 33e, ...)로부터는 순차 일치신호(Sc5, Sc4, ...)가 제어신호 발생회로(35f, 35e, ...)로 출력된다. 이 때 마지막으로 출력된 일치신호(Sc0)가 카운터(37)로 피드백되면, 카운터(37)의 동작은 리셋된다.
그리고 제어신호 발생회로(35f, 35e, 35d, ..., 35a)로부터는, 일정 시간을 두고 각각 신호(A5, A4, A3, ..., A0)가 전류구동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한번 출력된 신호(A5, A4, A3, ..., A0)는, 전류설정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회로동작에 의해, 전류설정 시의 전류구동부를 흐르는 전류를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는, 신호(A0∼A5)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타이밍설정용 레지스터에 설정시켜둘 데이터를 바꾸면, 신호(A5∼A0)가 출력되는 타이밍을 바꿀 수 있다.
또 본 구체예에서는, 제 3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의 일례를 나타내지만, 상술한 제어를 실행하는 회로구성은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구체예에 관한 타이밍제어부는, 전류구동부마다 배치돼도 되고, 복수의 전류구동부에 공용되어 LSI당 1 개만 배치돼도 된다. 특히 신호(A0∼A5)의 각 신호가 표시패널 상에서 공통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타이밍제어부는 패널당 1 개라도 된다. 이와 같이 타이밍제어부가 복수의 전류구동부에 공용될 경우에는, 회로면적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 특징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전류설정 시 전류구동부(11)의 안정 출력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전압설정수단(50)과,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과 전압설정수단(50)으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타이밍제어부(9)로 출력하는 비교회로(67)가 부가되는 점이다. 여기서 "전류구동부의 안정 출력전압"이란, 전류설정 시에 화소(5)의 입력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안정전압(도 4에 나타내는 Vta)일 때의 전류구동부 출력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전압설정수단(50)은, 소스구동회로와 동일 칩 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소스구동회로에서 표시패널 쪽에 걸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후의 구체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소스구동회로 내에 배치된 경우의 전압설정수단(50)은, 데이터신호에 따른 전류구동부(11)에 대한 안정 출력전압이 미리 설정된 레지스터를 갖는다. 이 안정 출력전압은, 예를 들어 다른 휘도표시를 행할 때의 전류구동부(11) 출력전압을 측정하는 등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류설정 시에는, 레지스터에 설정된 안정 출력전압이 비교회로로 출력된다.
한편, 비교회로(67)는, 전압설정수단(50)으로부터 출력된 안정 출력전압과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을 비교한다. 그리고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에,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전압설정수단(50)의 출력전압과 동등 또는 그 이하로 될 경우에는, 비교회로(67)로부터 타이밍제어부(9)로 절환신호(Sch)가 출력된다. 이에 반해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에,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전압설정수단(50)의 출력전압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비교회로(67)로부터 타이밍제어부(9)로 절환신호(Sch)가 출력된다. 단, 표시동작에서는 한 번 저휘도 표시를 실행한 후 화상표시를 실행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의 변화 시와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의 변화 시로 비교회로(67)의 설정을 바꾸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만은 않다.
전류설정 시에 있어서, 타이밍제어부(9)에 절환신호(Sch)가 입력되면, 타이밍제어부(9)의 동작이 리셋되어,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류는, 데이터신호에 따른 설정전류로 바뀐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밍제어부(9)가 출력하는 신호(A)에 의해 전류구동부(11)의 출력전류가 데이터신호대로의 설정전류로 된다.
이상과 같은 전압설정수단(50)과, 비교회로(67)를 배치함으로써, 전류구동부(11)의 출력전류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절환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더욱 단시간에 전류발생부(19)로부터의 출력전류를 목표전류로 도달시키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종래 어려웠던 고정밀도, 고해상도의 화상표시를, 화질 저하를 부르는 일없이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압설정수단(50)과 비교회로(67)는, 제 1 실시예의 모든 구체예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설정수단(50)을 소스구동회로와 동일 칩 내에 배치한 경우에는, 전압설정수단(50)을 패널 쪽으로 걸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기존의 표시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교회로(67)는, 패널 쪽에 배치해도 되지만, 소스구동회로 내에 배치하는 편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비교회로(67)의 일례로서, 차동증폭회로를 이용한 비교기가 있다.
여기서 전압설정수단(50)은, 전류구동부(11)별로 배치해도 되고, 복수의 전류구동부(11)에 공용돼도 된다.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을 소 면적화할 경우에는, 전압설정수단(50)이 복수의 전류구동부(11)에 공용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 때 소스구동회로가 배치된 반도체칩별로 1 개 이상의 전압설정수단(50)을 배치시켜두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표시패널이 복수의 칩 상에 배치된 소스구동회로로 구동시킬 때, 동일 규격의 칩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소스구동회로의 입출력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전압설정수단(50)이 소스구동회로의 일부에 몰려 배치된 경우에 비해, 칩 사이의 불균일이나 패널 쪽의 위치에 따른 차이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소스구동회로가 표시패널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전제로 했지만, 표시패널 내부에 소스구동회로가 내장된 경우도 있다. 이는 다른 구체예 및 실시예에서도 공통된다.
-제 2 실시예의 구체예-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한 구체예로서, 전압설정수단(50)이 소스구동회로의 칩 상과 표시패널 상에 걸쳐 배치된 경우의 유기EL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0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전압설정수단(50)이, 더미 전류구동부(61)를 갖는 더미화소구동부(51)와,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더미화소(55)와, 더미 전류구동부(61)로부터의 출력전류를 더미화소(55)로 전달하는 더미전송로(53)로 구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더미"란, 화상표시에 직접 관계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더미 전류구동부(61)는, 전류구동부(11)와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64 계조표시의 표시장치일 경우, 6 비트의 전류가산형 D/A변환기를 갖는다.
또 더미전송로(53)는, 전송로(3)와 거의 동일 구성을 가지며, 소스구동회로와 표시패널을 접속하는 배선이나, 패널 상에 배치된 신호선을 갖는다. 도 11에는 더미전송로(53)에서의 배선저항(65) 및 부유용량(63)도 나타낸다.
더미화소(55)는, 더미 화소입력용량(57) 및 전류원을 가지며, 전류발생부(19)와 동일 구성을 갖는 더미 전류발생부(59)를 갖는다. 단 유기EL소자(21)는 반드시 배치할 필요는 없다.
본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더미 전류구동부(61)로부터의 출력전압은 비교기(67a)의 (+)쪽 입력부로 입력된다. 한편 비교기(67a)의 (-)쪽 입력부에는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입력된다. 그리고 비교기(67a)는 전류구동부(11)의 출력전압과 더미 전류구동부(61)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타이밍제어부(9)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11에는, 비교회로의 일례로서 차동증폭회로를 갖는 비교기를 나타내지만, 다른 구성을 갖는 비교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본 구체예에서는, 더미 화소구동부(51)로부터 비표시 시를 제외한 기간에 걸쳐 임의의 고정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구체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본 구체예의 더미 화소구동부(51),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를 부가시킬 경우에는, 부가전류원(24)을 흐르는 전류(Ix)와 동등한 전류를 더미 전류구동부(61)로 끌어들인다. 이로써 더미 전류구동부(61)로부터의 출력전압은, 출력전류(Ix)에 있어서의 안정 출력전압이 된다.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비교기(67a)가, 이 안정 출력전압과 전류구동부(11)의 출력전압을 비교한다. 이 때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에,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이 더미 전류구동부(61)로부터의 출력전압과 동등 또는 그 이하로 될 경우에는, 비교기(67a)로부터 타이밍제어부(9)로 절환신호(Sch)가 출력된다. 이에 반해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에는, 더미 전류구동부(61)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전압설정수단(50)의 출력전압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될 경우에, 비교기(67a)로부터 타이밍제어부(9)로 절환신호(Sch)가 출력된다.
또 비교기(67a)가 동작하는 것은 전압이 변화하는 과도기이므로,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압을 V1, 더미 전류구동부(61)로부터의 출력전압을 V2로 하면, V1과 kV2(k는 양의 임의값)를 비교하도록 해도 된다.
타이밍제어부(9)로 절환신호(Sch)가 입력되면, 타이밍제어부(9)의 동작이 리셋되어,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출력전류는, 데이터신호에 따른 설정전류로 절환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함으로써, 전류구동부(11)의 출력전류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절환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더욱 단시간에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목표전류로 도달시키기가 가능해진다.
또 이 예에서는, 더미 전류구동부(61)를 흐르는 전류를 Ix로 설정하지만, 더미 전류구동부(61)의 안정 출력전압을, 전류구동부(11) 본래의 안정 출력전압보다 낮게 하거나, 혹은 높게 하는 등의 전류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즉 본 구체예의 더미 화소구동부(51)에서는, 더미 전류구동부(61)를 흐르는 전류값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충전시간, 또는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방전시간을 최단으로 할 수 있다.
실제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의 특성을 실측하는 등 하여, 최적의 더미 전류구동부(61) 출력전압값을 구한다.
또 본 구체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1 조의 더미 화소구동부(51)와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는, 면적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복수의 전류구동부(11) 동작제어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EL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이 비교적 클 경우, 소스구동회로를 배치한 복수의 반도체칩으로 구동시킬 경우도 많다. 이 경우에는, 소스구동회로와 더미 화소구동부(51)가 함께 내장된 동일 반도체칩을, 표시패널의 프레임 부분에 복수 매 나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표시패널 상의 더미전송로(53)끼리 및 더미화소(55)끼리의 간격을 소정 간격(예를 들어 서로 등간격 등)으로 설정하게 되므로, 유기EL소자를 포함하는 화소회로나 전송로의 특성 차이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할 소스구동회로의 칩이 1 종류이면 되므로, 소스구동회로의 입출력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 예에 한정됨 없이, 표시패널 상에 복수의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를 형성할 경우에는,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를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를 표시패널의 복수 개소에 배치할 경우에는, 각각의 더미전송로(53)에 접속된 더미 화소구동부(51)의 출력부(또는 더미 전류구동부(61)의 출력부)끼리를 서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로써 표시패널 상에서의 유기EL화소나 전송로의 편차를 평균화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더미 화소구동부(51), 복수의 더미전송로(53) 및 복수의 더미화소(55) 중 일부 부재에 문제가 발생해도 나머지 부분에서 동작이 보상되므로, 동작에 문제가 쉬이 발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전류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전류발생부를 이용한 제 3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의 특징은, 화소(5)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공급수단과, 화소(5)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점이다. 이 전류공급수단은, 전압공급수단의 출력전압을 피드백 제어하기 위한 전류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표시패널(도시 생략)과, 표시패널 상에 형성된 화소(5)와, 화소(5)에 접속된 전송로(3)와, 소스구동호로에 포함되며, 전송로(3)를 통해 화소(5)에 구동전압 및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구동부(1a)를 구비한다.
화소구동부(1a)는, 화소(5)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구동부(73)와, 화소(5)를 흐르는 구동전류를 설정함과 동시에, 이 구동전류의 전류값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전압구동부(73)로 출력하는 전류값 검출부(71)와, 화상데이터인 데이터신호를 래칭하고, 이 데이터신호를 전류값 검출부(71)로 출력하는 레지스터(7)를 갖는다.
또 전송로(3)는 화소(5)에 구동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 및 구동전압용 신호선(14)과, 화소(5)에 구동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 및 구동전류용 신호선(64)을 갖는다.
그리고 화소(5)는, 입력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유기EL소자(21)와, 전송로(3)를 통해 전압구동부(73) 및 전류값 검출부(71)에 접속되며, 유기EL소자(21)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발생부(19)를 갖는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발생부(19)는 게이트전극에 구동전압용 신호선(14)에 접속되며,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된, 유기EL소자(21)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P채널형 TFT(72)와, 한끝이 TFT(72)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어 게이트전압(Vc1)을 유지하기 위한 용량(C1)과, 용량(C1) 및 TFT(72)의 게이트전극과 구동전압용 신호선(14)과의 접속경로 상에 배치되고, 제 1 제어신호(K1)에 의해 동작 제어된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4)(전압용스위치)와, TFT(72)와 유기EL소자(21)사이에 개설되며, 제 1 제어신호(K1)의 역상신호인 제 2 제어신호(K2)에 의해 동작 제어된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8)를 갖는다. 또한 전류발생부(19)에서는, TFT(72)와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8)의 접속점은, 구동전류용 신호선(64)에 접속되며, TFT(72) 및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8)와 구동전류용 신호선(64) 사이에는, 제 1 제어신호(K1)에 의해 동작 제어된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6)(전류용스위치)가 배치된다. 여기서 각 스위치용 MOS트랜지스터는, 모두 P채널형 TFT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소자라면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용량(C1) 및 TFT(72)는, 각각 도 13에 나타내는 화소입력용량(17)과 전류원(18)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전류발생부(19)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류설정 시에는, 제 1 제어신호(K1) 및 제 2 제어신호(K2)에 의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4) 및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6)가 모두 온 상태,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8)가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이로써 전압구동부(73)로부터의 화소구동전압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4)를 통해 용량(C1) 및 TFT(72)의 게이트전극에 공급되고,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6)를 통해 화소구동전류가 TFT(72)로 흐른다. 그리고 이 전류설정 시에 용량(C1)에 게이트전압(Vc1) 분량의 전하가 충전되면, TFT(72)에는 일정 전류(목표전류(Ita))가 흐르게 된다.
이어서 표시 시에는, 제어신호(K1) 및 제어신호(K2)에 의해 제 1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4) 및 제 3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6)가 모두 오프 상태, 제 2 스위치용 트랜지스터(78)가 온 상태로 설정된다. 이 때 충전된 용량(C1)에 의해 게이트전압(Vc1)이 유지되므로, 목표전류(Ita)가 TFT(72)로부터 유기EL소자(21)로 계속 흐른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화소구동부(1a)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 화소(5) 내의 TFT를 통한 전원전압에 의해 충전되었다. 그러나 TFT의 출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종래는 화소입력용량(17)을 고속으로 충전시킬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전류설정 시에 전압구동부(73)로부터 구동전압용 신호선(14)을 통해 화소(5)로 화소구동전압이 공급된다. 이 때 전압구동부(73)의 출력 임피던스는,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의 전류구동부보다 낮아진다. 때문에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보다 고속으로 화소입력용량(17)(용량(C1))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 전류설정 시의 전류값 검출부(71)에서는, 화소(5)로부터 구동전류용 신호선(64)을 통해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를 전압구동부(73)로 피드백시킨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류값 검출부(7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전류값 검출부(71)는, 레지스터(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받아 화소(5)의 구동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구동부(80)와, 화소(5)와 전류구동부(80) 사이에 배치된 저항(82)을 갖는다. 그리고 전류구동부(80)와 저항(82)을접속하는 배선은 전압구동부(73)에 접속된다.
이 전류값 검출부(71)에서, 레지스터(7)로부터의 데이터신호에 의해 설정된 구동전류를 I1, 화소(5)로부터 흘러드는 화소구동전류를 I2로 하면, 전류값 검출부(71)로부터 전압구동부(73)에 출력되는 전압(Vcl)은, 구동전류(I1)와 화소구동전류(I2)가 일치할 때 안정된다. 또 화소구동전류(I2)가 구동전류(I1)보다 클 경우에는 전압(Vcl)이 상승하여 화소구동전류(I2)가 감소되고, 구동전류(I1)가 화소구동전류(I2)보다 클 경우에는 전압(Vcl)이 저하되어 화소구동전류(I2)가 증가하도록 피드백이 걸린다. 그 결과 전압구동부(73)로부터 출력되는 화소구동전압은 적절한 값으로 안정화된다. 여기서 화소구동전류(I2)의 전달경로에는 화소입력용량(17)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달경로 전체적인 부유용량은 작아져 고속으로 전류값 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종래에 비해 화소(5)에 공급하는 전류 및 전압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도 높은 표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전류값 검출부(71)는, 화소(5)로부터의 화소구동전류를 검출하여 전압구동부(73)로 피드백 가능한 구성이라면, 도 14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의 전류값 검출부(71)는, 표시패널 상의 전류원(18)이 P채널형 TFT일 경우에 이용된다. 전류원(18)이 N채널형 TFT로 구성될 경우에는, 화소구동전류가 커질수록 전압구동부(73)로의 출력전압이 낮아지도록 전류값 검출부(71)를 구성하면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발생부(19)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화소구동전압과 화소구동전류가 입력됨으로써 유기EL소자(21)에 구동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4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전압구동부(73)의 출력부와 전류값 검출부(71)의 출력부를 소정 기간만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락수단 이외의 부분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위치(75)에 의해, 화소구동전압 및 화소구동전류의 출력 개시 시(전류설정 시의 개시 시)에 소정 기간만 전압구동부(73)의 출력부와 전류값 검출부(71)의 출력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스위치(75)로는, 예를 들어 N채널형 MOSFET와 P채널형 MOSFET로 구성되는 전송게이트 등이 이용되지만, 그 이외의 구성이라도 된다. 또 이 스위치(75)는, 표시패널 상의 신호선 사이에 배치돼도 되지만, 소스구동회로와 동일 칩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제 3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와 마찬가지로, 전압구동부(73)로부터의 출력 임피던스는 낮아지므로, 고속으로 화소입력용량(17)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 화소입력용량(17)이 화소구동전류의 전달경로에 없으므로, 전류값 검출부(71)에서는 고속으로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전류값 검출부(71)의 출력부가,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구동부(73)의 출력부와 소정 기간 단락되므로, 전류 검출을 보다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전류설정 시에, 제 3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비해 화소구동전류 및 화소구동전압의 값을 보다 신속하게 목표값에 도달시키기가 가능해진다.
(제 5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저 임피던스수단, 예를 들어 전압구동부(79) 등의 전압공급수단을 부가시킨 것이다. 이 전압구동부(79)는, 다른 전압원에 접속된 전류증폭용 버퍼라도 된다. 또 제 1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가 제 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와 다른 점은, 임의의 일정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구동부(79)와, 전압구동부(79)의 출력부와 전류구동부(11)의 출력부를 접속하는 배선 상에 배치된 스위치(77)를 구비하는 점과, 타이밍제어부(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A)가 스위치(7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점이다.
전류설정 시에 스위치(77)는, 신호(A)에 의해 전류설정 시에 소정 기간만 온 상태로 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스위치(77)가 오프 상태로 되면, 데이터신호에 따른 설정전류가 전류구동부(11)로부터 출력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고휘도(백색) 표시에서 저휘도(흑색)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 개시 후에,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구동부(79)를 이용하여 부유용량(15)이나 화소입력용량(17)을 신속하게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화소(5)를 흐르는 전류를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전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에도, 부유용량(15)이나 화소입력용량(17)이 유지된 전하를 신속하게 인출시킬 수 있어, 화소(5)를 흐르는 전류를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전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와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모든 경우에,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단시간에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고 해상도의 표시가 실현된다.
여기서 이상 설명한 전압구동부(79)는, 화소구동부(1)마다 배치돼도 되며, 복수의 화소구동부(1)에 대해 1 개의 전압구동부(79)가 공통으로 접속돼도 된다. 소면적화가 우선될 경우에는, 복수의 화소구동부(1)에 대해 1 개의 전압구동부(79)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는, 제 5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도 11에 나타내는 더미 화소구동부(51),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를 부가시킨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더미 화소구동부(51)의 출력부는 전압구동부(79)의 입력부에 접속된다. 전압구동부(79)는 예를 들어 전류증폭용 버퍼이며, 스위치(77)의 도통 시에는 더미 화소구동부(51)의 출력전압을 공급한다. 또 스위치(77)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온 상태로 되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 더미 화소구동부(51)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전송로(3)를 통해 화소(5)로 공급된다. 이 때 전압구동부(79)의 출력 임피던스는 낮아지므로, 부유용량(15) 및 화소입력용량(17)에의 충전 또는 부유용량(15) 및 화소입력용량(17)으로부터의 방전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다. 그 후, 스위치(77)가 오프 상태로 되므로 전류구동부(11)로부터는 데이터신호에 따른 설정전류가 흐른다.
본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화상표시에 직접 관계하지 않는 더미 화소구동부(51), 더미전송로(53) 및 더미화소(55)를 이용함으로써, 사용할 표시패널의 특성에 상관없이 실제 안정출력전압에 가까운 출력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패널별로 전압구동부(79)의 출력전압을 변경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이 더미 화소구동부(51)로부터는 복수의 신호선에 접속된 화소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화소구동부(1)별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회로면적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는, 도 16에 나타내는 제 5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서, 전압구동부(79)로서의 DAC수단(123)을 이용하며, 이 DAC수단(123)을 화소구동부(1)마다 구성시킨 것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백색표시 시(고휘도 표시 시)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제 7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TFT와 유기EL소자를 포함하는 화소(5)와, 화소(5)에 접속된 신호선(102)이 배치된 표시패널(도시 생략)과, 신호선(102)에 접속되며, 화소(5)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소스구동회로는, 화소(5)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구동부(11)와, 전류구동부(11)로부터의 구동전류를 온 또는 오프로 하는 스위치(127)와, 출력부가 전류구동부(11)와 화소(5)의 접속경로에 접속된 전압출력형의 DAC수단(123)과, 화상신호인 데이터신호를 래칭하는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과, DAC수단(123)의 출력전압을 온 또는 오프로 하기 위한 스위치(125)와, 기준전류생성부(101)를 구비한다. 여기서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은 도 16에서의 레지스터에 상당한다.
n비트의 계조표시를 행할 경우, 전류구동부(11)는 n 개의 전류원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는 6 비트의 계조표시를 실행하므로, 전류구동부(11)는 제 1 전류원(212), 제 2 전류원(213), ..., 제 6 전류원(214)과, 제 1 전류원(212), 제 2 전류원(213), ..., 제 6 전류원(214)의 출력을 각각 온 또는 오프로 하기 위한 제 1스위치(215), 제 2 스위치(216), ... 제 6 스위치(217)를 갖는다.
또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은, DAC수단(123) 및 제 1스위치(215), 제 2 스위치(216), ... 제 6 스위치(217)로 6 비트의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기준전류생성부(101)는, P채널형 제 1 MOSFET(108)와, 제 1 MOSFET(108)에 접속되며, 기준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저항(107)과, 제 1 MOSFET(108)와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제 2 MOSFET(109)와, 제 2 MOSFET(109)를 흐르는 전류를 제 1 전류원(212), 제 2 전류원(213), ..., 제 6 전류원(214)으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N채널형 제 3 MOSFET(110)를 갖는다. 제 1 전류원(212), 제 2 전류원(213), ..., 제 6 전류원(214)의 각각을 구성하는 N채널형 MOSFET는 제 3 MOSFET(110)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의 특징은, 소스구동회로의 최종 동작점 부근에 배치되며, 6 비트 분량의 데이터신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DAC수단(123)을 구비하는 점이다. 그리고 스위치(125)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온이 되며, 그 기간에 DAC수단(123)으로부터의 출력전압은 화소(5)에 공급된다. 이 소정 기간은, 화소(5)를 흐르는 전류가 목표전류 부근이 되도록 설정된다.
DAC수단(123)의 출력은 전류구동부(11)에 비해 현저하게 저 임피던스이므로, 고휘도 표시로부터 저휘도 표시의 절환 시에 전송로 상의 부유용량(221)(도 16의 부유용량(15)) 및 화소입력용량은 종래보다 단시간에 충전된다. 이 때 소스구동회로 출력의 전류·전압 특성은, 도 18의 (a)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곡선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곡선으로 이동하며, 화소(5) 내의 TFT 동작점이 고전압 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단시간에 고휘도 표시로의 절환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고해상도의 패널을 이용한 경우에도 양호하게 화상표시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의 DAC수단(123)은, 64계조의 표시데이터 각각에 대응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보다 신속하게 목표전류값에 도달시킬 수 있다. 여기서 64계조의 표시데이터 각각에 따른 전압의 예로서, 예를 들어 이 표시데이터에 대한 안정 출력전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소스구동회로와 동일 칩 상에 형성된 DAC수단(123)을 저 임피던스수단으로 이용했지만, 외부의 전원전압을 전류설정 시 소정 기간만 화소(5)에 공급하는 식의 구성을 취해도 된다.
(제 8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으로부터 6 비트의 데이터신호 중, 일부 비트의 데이터신호만이DAC수단(123)으로 출력되는 점이 제 7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와 다르다. 그 밖의 회로구성은 제 7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DAC수단(123)에서는, 예를 들어 상위 2 비트에만 대응한 전압이 DAC수단(123)으로부터 출력되므로, 고휘도 표시에서 저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간을 종래보다 단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DAC수단(123)은, 제 7 실시예에서 설명한 DAC수단보다 회로면적이 작아지므로, 표시장치의 소면적화가 요구될 경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단, 제 7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DAC수단은, 모든 계조의 데이터신호에 대해 최적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소면적화보다 해상도의 향상이 중시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DAC수단(123)에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는, 하위비트의 신호보다 상위비트의 신호인 편이 보다 적절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제 9 실시예)
도 20의 (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흑색표시(저휘도 표시)일 때의 TFT 동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제 9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의 특징은, 전류구동부(11)에 전류(Ix)를 출력하기 위한 용장비트(131)가 부가되는 점이다. 이 용장비트(131)는, 제 1 전류원(212), 제 2 전류원(213), ..., 제 6 전류원(214) 및 제 3 MOSFET(110)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전류원(231)과, 부가전류원(231)으로부터의 출력전류를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도통시키는 스위치(233)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제 1 구체예의 변형예이다.
즉, 도 20의 (b)에 나타내는 용장비트(131) 중, 부가전류원(231)은 도 3에 나타내는 부가전류원(24)에 상당하며, 스위치(233)는 스위치(SWA)에 상당한다. 그리고 스위치(233)는, 도 20의 (b)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타이밍제어부(9)에 의해, 전류설정 시의 소정기간만 온 상태로 되도록 제어된다. 이 스위치(233)가 온 상태인 동안 부가전류원(231)을 흐르는 전류의 값은, 적어도 최소전류 단위보다 커지며, 특히 데이터신호에 의해 본래 설정될 전류값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로써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의 전류설정 시에, 패널 쪽에서 본 출력 임피던스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저휘도 표시일 때, 화소(5) 내의 TFT 동작점은, 도 2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전위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장비트(131)는,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에서 출력되는 6 비트의 데이터신호에 따라 전류의 인입량을 바꿀 수 있다. 단 전류의 인입량을 데이터신호와 무관계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제 1 실시예의 제 1 구체예에 비해서도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단시간에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다. 때문에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의하면, 고해상도의 화상표시가 실현된다.
(제 10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는, 도 24에 나타내는 종래의 유기EL 표시장치에, 표시데이터인 데이터신호를 래칭함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과, 데이터신호를 받고, 이 데이터신호에 비트를 가산시켜 출력하기 위한 비트데이터 가산수단(133)을 부가시킨 표시장치이다. 도 21에서는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이 출력하는 데이터신호가 6 비트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비트데이터 가산수단(133)이 데이터신호에 가산하는 비트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소비전력의 증가 및 회로면적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1 또는 2 비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류구동부(11)는, 가산된 양의 전류 출력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그 일례로서, 비트데이터 가산수단(133)이 데이터신호에 2 비트 가산될 경우, 전류구동부(11)에는 하위 2 비트 분량의 전류원 및 스위치가 부가된다.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류설정 시에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이 6 비트 분량의 데이터신호에 2 비트를 가산시켜 전류구동부(11)로 출력하면, 전류구동부(11)에 일시적으로 2 비트만큼 가산된 전류가 인입된다. 이로써 저휘도 표시에서 고휘도 표시로 절환될 때, 패널 쪽의 부유용량 및 화소입력용량에 충전된 전하를 신속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화소(5)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값으로 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21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비트데이터 가산수단(133)은,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타이밍제어부에 의해,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구동된다.
(제 11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회로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기준전류생성부(101) 중, 기준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저항(107)(도 18∼21 참조)이, 가변저항(107a)으로 치환된다. 그리고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는,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전류구동부(11)만이 아닌 가변저항(107a)에도 전달된다. 그 이외의 기간에는,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는, 가변저항(107a)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가변저항(107a)은, 고휘도 표시의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면 자신의 저항값을 내려 기준전류를 크게 하고, 저휘도 표시의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면 자신의 저항값을 올려 기준전류를 감소시킨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는, 고휘도 표시를 실행할 때에는 일시적으로 전류구동부(11)로의 인입전류가 증대되어, 화소(5)로 흐르는 전류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에 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저휘도 표시의 경우에는, 전류구동부(11)의 인입전류가 감소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의하면, 저휘도 표시로부터 고휘도표시로 절환될 때, 화소(5)로 흐르는 전류의 값을 종래보다 단시간에 목표값으로 도달시키기가 가능해지므로, 화질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고해상도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유기EL 표시장치에서, 2진 표시데이터 유지수단(121)으로부터 가변저항(107a)으로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는, 6 비트 중 일부, 예를 들어 상위 1 또는 2 비트만이라도 된다. 이 경우 회로면적의 증가는 억제된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화소(5) 내의 TFT가 P채널형이고, 전류구동부(11) 내의 전류원을 구성하는 MOSFET가 N채널형이지만, TFT가 N채널형이고, 전류원을 구성하는 MOSFET가 P채널형이라도 된다. 이 경우 기준전류생성부(101)을 구성하는 MOSFET의 도전형도 바뀐다. 이는 본 실시예만이 아닌, 지금까지 설명해온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의하면,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패널 쪽의 출력 임피던스를 저감시키는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흑색표시에서 백색표시로 절환될 때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으로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해상도의 표시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소스구동회로가,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화소에 전압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도, 패널 쪽의 기생용량을 신속하게 충방전시킬 수 있으므로,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신속하게 목표값으로 도달시킬 수 있어,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해상도의 표시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기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스구동회로가 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구동부와, 화소로부터 흐르는 구동전류의 값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전압구동부로 피드백시키는 전류값 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을 종래보다 신속하게 목표값으로 도달시킬 수 있다.

Claims (42)

  1.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기간에는 임의로 설정된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며, 상기 소정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상기 레지스터로부터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기간에는, 상기 레지스터로부터의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값 이상의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구동부는,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따른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전류원을 갖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와,
    임의로 설정된 값의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부가전류원과,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부가전류원과 상기 화소를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기간만 도통시키는 제 1 스위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A변환기 내 N 개의 전류원은, 각각 서로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가전류원은, 상기 N 개의 전류원을 구성하는 MIS트랜지스터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전류원은 상기 표시데이터를 받아,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대응하는 전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구동부는,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전류원과,
    상기 N 개의 전류원을 흐르는 전류의 각 출력경로 상에 각각 배치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N 개의 전류원 각각을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제 2 스위치를 우회시켜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바이패스경로와,
    상기 N 개의 바이패스경로 각각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 3 스위치를 갖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이며,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스위치가 온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소정 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상기 제 3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값은,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류부는,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전류원과,
    상기 N 개의 전류원을 흐르는 전류의 각 출력경로 상에 각각 배치된 제 2 스위치와,
    상기 N 개의 전류원 각각을 흐르는 전류를 상기 제 2 스위치를 우회시켜 출력하기 위한 N 개의 바이패스경로와,
    상기 N 개의 바이패스경로 각각의 경로 상에 배치된 제 3 스위치를 갖는 전류가산형 D/A변환기이며,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 중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스위치가 온 상태로 설정된 후, 상기 N 개의 전류원 중, 상위비트용 전류원에 접속된 상기 제 3 스위치로부터 단계적으로 오프 상태로 절환되도록 설정되는,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전류설정 시에 상기 타이밍제어부가 상기 제 3 스위치에 출력하는 제어신호는, 서로 타이밍을 상충시킨 복수의 제어신호인,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소스구동회로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설정수단과,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상기 타이밍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비교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소정 기간 중에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임의로 설정된 상기 구동전류가 흐를 때, 적어도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일치한 시점에서,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표시데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전류값으로 절환되도록 설정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설정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소정 전압은,
    전류설정 시에 상기 화소를 흐르는 전류의 값이 목표값에 도달할 때의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인 안정출력전압인,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설정수단은, 상기 안정출력전압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해 설정데이터를 래칭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설정수단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TFT 및 용량을 가지며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더미화소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화소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더미신호선과, 상기 소스구동회로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더미신호선 및 상기 비교회로에 접속되며, 동작 시를 통해 일정값의 전류를 출력하는 더미 전류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구동부를 구비하는 더미회로인,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회로는, 복수 개의 상기 전류구동부에 대해 1 개의 비율로 배치되는,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반도체칩 상에 분리되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칩 각각에는, 상기 더미 화소구동부가 배치되는, 표시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회로는 차동증폭회로를 구비하는 비교기인, 표시장치.
  17.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신호선은, 상기 화소를 흐르는 구동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구동전압용 신호선과, 상기 화소의 구동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류용 신호선으로 분리되며,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구동부와,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의 구동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상기 화소로부터 흐르는 구동전류의 값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상기 전압구동부로 피드백 시키기 위한 전류값 검출부이며,
    상기 소스구동회로에는,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상기 전류값 검출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레지스터가 추가로 배치되는, 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 검출부는,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접속되며, 상기 표시데이터에 대응하여 출력전류 값의 변경이 가능한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와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의 접속경로 상에 배치된 저항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구동부와 상기 저항소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이, 상기 검출결과로서 상기 전압구동부에 입력되는, 표시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구동부와 상기 전류공급수단을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표시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발광소자와,
    게이트전극이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며, 드레인이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원으로서 기능하는 MISFET와,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며, 또 상기 MISFET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는 화소입력용량과,
    상기 화소입력용량과 상기 MISFET의 게이트전극과의 접속점과,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과의 접속경로 상에 배치된 전압용 스위치와,
    상기 MISFET와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개설되며,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MISFET와의 접속점과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 사이에 배치된 전류용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압용 스위치 및 상기 전류용 스위치는, 전류설정 시에 온으로 되고, 표시 시에는 오프로 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스위치는, 전류설정 시에 오프로 되고, 표시 시에는 온으로 되도록 제어되는, 표시장치.
  22.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화소는,
    상기 발광소자와,
    게이트전극이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며, 드레인이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원으로서 기능하는 MISFET와,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며, 또 상기 MISFET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는 화소입력용량과,
    상기 화소입력용량과 상기 MISFET의 게이트전극과의 접속점과,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과의 접속경로 상에 배치된 전압용 스위치와,
    상기 MISFET와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개설되며,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MISFET와의 접속점과,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 사이에 배치된 전류용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압용 스위치 및 상기 전류용 스위치는, 전류설정 시에 온으로 되고, 표시 시에는 오프로 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스위치는, 전류설정 시에 오프로 되고, 표시 시에는 온으로 되도록 제어되는, 표시장치.
  23.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에 대응한 상기 구동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보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공급수단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배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상기 신호선과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도통시키는 단락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TFT 및 용량을 가지며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더미화소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더미화소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더미신호선과, 상기 소스구동회로 내에 배치되며, 또 상기 더미신호선에 접속되며, 동작 시를 통해 일정값의 전류를 출력하는 더미 전류구동부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구동부를 구비하는 더미회로와,
    상기 더미 전류구동부에 접속되며, 상기 더미 전류구동부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상기 신호선에 출력하기 위한 전류증폭용 버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복수 개의 상기 전류구동부에 대해 1 개의 비율로 배치되는, 표시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상기 전류구동부마다 배치되며,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표시데이터에 따라 출력전압을 바꿀 수 있는 전압출력형 D/A변환기인, 표시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출력형 D/A변환기는, 상기 표시데이터 중 상위 1 또는 2 비트에 대응해 출력전압을 바꾸는, 표시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공급수단은, 외부전원에 접속된 배선인, 표시장치.
  29.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화소에 구동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소스구동회로는,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표시데이터에 M비트를 가산하여 (N+M)비트의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트데이터 가산수단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는 상기 (N+M)비트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고, 상기 소정 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N비트의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M비트는 1 또는 2비트인, 표시장치.
  31.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이 배치된 표시패널과,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따른 구동전류를 상기신호선에 출력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에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기준전류 생성부를 갖는 소스구동회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전류구동부는, 각각 서로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구성되는 N 개의 전류원을 가지며,
    상기 기준전류 생성부는, 소스에 전류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기준전류를 보내기 위한 제 1 MISFET와, 상기 제 1 MISFET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데이터가 입력됐을 때는 상기 표시데이터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제 1 MISFET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제 2 MISFET와, 상기 제 2 MISFET에 접속되어 상기 N개의 전류원 각각으로 전류미러회로를 통해 상기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MISFET를 구비하며,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가변저항으로 입력되는, 표시장치.
  32.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는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 이상의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고, 상기 소정 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상기 레지스터로부터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상기 구동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설정수단과,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상기 타이밍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한 비교회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소정 기간 중에,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값 이상의 상기 구동전류가 상기 전류구동부로부터 흐를 때, 적어도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전압이 상기 전압설정수단의 출력전압과 일치된 시점에서, 상기 구동전류의 값이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값으로 절환되도록 설정되는, 소스구동회로.
  34.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구동부와,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가 입력되며, 상기 표시데이터에 따른 전류를 보내기 위한 전류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급수단은,
    상기 소스구동회로의 출력전류 값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상기 전압구동부로 피드백 시키기 위한 전류값 검출부인, 소스구동회로.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구동부와 상기 전류공급수단을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단락시키기 위한 단락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
  37.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에 따른 상기 구동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갖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보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은 전압공급수단과,
    상기 전류구동부의 출력부와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배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만 상기 배선과 상기 전압공급수단을 도통시키는 단락용 스위치를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
  38.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된 상기 표시데이터에 M비트를 가산하여 (N+M)비트의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비트데이터 가산수단과,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설정 시의 상기 소정기간에는 상기 (N+M)비트의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를 보내며, 상기 소정기간 이외의 동작 시에는 N비트의 상기 표시데이터로 설정되는 전류를 보내는 전류구동부를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
  39. N비트의 표시데이터를 래칭하고, 또 상기 표시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상기 표시데이터의 비트에 따른 구동전류를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전류구동부에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기준전류 생성부를 구비하는 소스구동회로이며,
    상기 전류구동부는, 각각 서로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MISFET로 구성되는 N개의 전류원을 가지며,
    상기 기준전류 생성부는, 소스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기준전류를 보내기 위한 제 1 MISFET와, 상기 제 1 MISFET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데이터가입력됐을 때는, 상기 표시데이터로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과, 상기 제 1 MISFET와 전류미러회로를 구성하는 제 2 MISFET와, 상기 제 2 MISFET에 접속되어 상기 N개의 전류원 각각으로 전류미러를 통해 상기 기준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MISFET를 갖고,
    상기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표시데이터는, 전류설정 시의 소정 기간에 상기 가변저항으로 입력되는, 소스구동회로.
  40.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접속된 신호선과,
    화상표시에 관계하지 않는 더미화소와,
    상기 더미화소에 접속된 더미신호선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41. 전류로 구동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전압 및 전류로 구동되는 화소와,
    상기 화소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전압용 신호선과,
    상기 화소의 구동전류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전류용 신호선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42. 제 41 항에 있어서,
    게이트전극이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위한 전류원으로 기능하는 MISFET와,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고, 또 상기 MISFET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는 화소입력용량과,
    상기 화소입력용량과 상기 MISFET의 게이트전극의 접속점과 상기 구동전압용 신호선의 접속경로 상에 배치된 전압용 스위치와,
    상기 MISFET와 상기 발광소자 사이에 개설되며,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에 일시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MISFET의 접속점과 상기 구동전류용 신호선 사이에 배치된 전류용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는, 전류설정 시 오프로 되고, 표시 시에는 온으로 되도록 제어되는, 표시패널.
KR1020040024305A 2003-04-09 2004-04-09 표시장치,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 KR20040087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5694A JP3991003B2 (ja) 2003-04-09 2003-04-09 表示装置およびソース駆動回路
JPJP-P-2003-00105694 2003-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958A true KR20040087958A (ko) 2004-10-15

Family

ID=3312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305A KR20040087958A (ko) 2003-04-09 2004-04-09 표시장치, 소스구동회로, 및 표시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04621B2 (ko)
JP (1) JP3991003B2 (ko)
KR (1) KR20040087958A (ko)
CN (1) CN1536549B (ko)
TW (1) TW200501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21B1 (ko) * 2005-02-22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22766D0 (en) 1997-10-28 1997-12-24 British Telecomm Portable computers
US7569849B2 (en) 2001-02-16 2009-08-04 Ignis Innovation Inc. Pixel driver circuit and pixel circuit having the pixel driver circuit
CN100386792C (zh) * 2002-03-04 2008-05-07 三洋电机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应用
CA2419704A1 (en) 2003-02-24 2004-08-24 Ignis Innovat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ixel wit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JP3991003B2 (ja) * 2003-04-09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ソース駆動回路
JP4530622B2 (ja) * 2003-04-10 2010-08-25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US8378939B2 (en) 2003-07-11 2013-02-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8085226B2 (en) * 2003-08-15 2011-12-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P1676257A4 (en) * 2003-09-23 2007-03-14 Ignis Innovation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RRAY OF LIGHT-EMITTING PIXELS
CA2443206A1 (en) 2003-09-23 2005-03-23 Ignis Innovation Inc. Amoled display backplanes - pixel driver circuits, array architecture, and external compensation
JP4628688B2 (ja) * 2004-03-22 2011-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回路
TWI238374B (en) * 2004-06-17 2005-08-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isplay luminance compensating device thereof, and compensating method thereof
CA2472671A1 (en) 2004-06-29 2005-12-29 Ignis Innovation Inc. Voltage-programming scheme for current-driven amoled displays
KR100670137B1 (ko) * 2004-10-0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와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CA2490861A1 (en) * 2004-12-01 2006-06-01 Ignis Innovation Inc. Fuzzy control for stable amoled displays
CA2490858A1 (en) 2004-12-07 2006-06-07 Ignis Innovation Inc. Driving method for compensated voltage-programming of amoled displays
KR100700846B1 (ko) * 2004-12-24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
KR100613091B1 (ko) * 2004-12-24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구동방법
CA2495726A1 (en) 2005-01-28 2006-07-28 Ignis Innovation Inc. Locally referenced voltage programmed pixel for amoled displays
KR100793555B1 (ko) * 2005-04-28 2008-0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101446340B1 (ko) * 2005-08-11 2014-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TWI449009B (zh) * 2005-12-02 2014-08-11 Semiconductor Energy Lab 顯示裝置和使用該顯示裝置的電子裝置
TWI342542B (en) * 2006-03-27 2011-05-21 Himax Tech Inc Source driver for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WO2007118332A1 (en) 2006-04-19 2007-10-25 Ignis Innovation Inc. Stable driving scheme for active matrix displays
EP2122648B1 (en) * 2006-12-22 2012-06-27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switch
TWI336871B (en) 2007-02-02 2011-02-01 Au Optronics Corp Source driver circuit and display panel incorporating the same
KR101469036B1 (ko) * 2007-02-12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508522B2 (en) * 2007-09-12 2013-08-13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Derivative sampled, fast settling time current driver
KR20100076971A (ko) * 2007-09-12 2010-07-0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광역 동적 범위에 걸쳐 정밀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2462646B (en) * 2008-08-15 2011-05-11 Cambridge Display Tech Ltd Active matrix displays
US8169425B2 (en) * 2009-01-14 2012-05-01 Himax Technologies Limited Source driver adapted to a display panel
TW201040908A (en) * 2009-05-07 2010-11-16 Sitronix Technology Corp Source driver system having an integrated data bus for displays
RU2489756C2 (ru) 2009-05-13 2013-08-10 Шарп Кабушики Каиша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201044347A (en) * 2009-06-08 2010-12-16 Sitronix Technology Corp Integrated and simplified source driver system for displays
US8283967B2 (en) 2009-11-12 2012-10-09 Ignis Innovation Inc. Stable current source for system integration to display substrate
JP2011118300A (ja) * 2009-12-07 2011-06-1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TWI473063B (zh) * 2010-04-07 2015-02-11 源極驅動器、驅動方法及顯示裝置
KR20120022411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2156942A1 (en) 2011-05-17 2012-11-22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US9606607B2 (en) 2011-05-17 2017-03-28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US9070775B2 (en) 2011-08-03 2015-06-30 Ignis Innovations Inc. Thin film transistor
US8901579B2 (en) 2011-08-03 2014-12-02 Ignis Innovation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385169B2 (en) 2011-11-29 2016-07-05 Ignis Innovation Inc. Multi-functional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0089924B2 (en) 2011-11-29 2018-10-02 Ignis Innovation Inc. Structural and low-frequency non-uniformity compensation
TWI601113B (zh) * 2012-11-26 2017-10-01 校際微電子中心 主動矩陣顯示器的低功率數位驅動
US9721505B2 (en) 2013-03-08 2017-08-01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952698B2 (en) 2013-03-15 2018-04-24 Ignis Innovation Inc. Dynamic adjustment of touch resolutions on an AMOLED display
KR20150010206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소스 드라이버 및 그의 바이어스 전류 조정 방법
US9502653B2 (en) 2013-12-25 2016-11-22 Ignis Innovation Inc. Electrode contacts
US10997901B2 (en) 2014-02-28 2021-05-04 Ignis Innovation Inc. Display system
US10176752B2 (en) 2014-03-24 2019-01-08 Ignis Innovation Inc. Integrated gate driver
CA2872563A1 (en) 2014-11-28 2016-05-28 Ignis Innovation Inc. High pixel density array architecture
CA2898282A1 (en) 2015-07-24 2017-01-24 Ignis Innovation Inc. Hybrid calibration of current sources for current biased voltage progra mmed (cbvp) displays
US10657895B2 (en) 2015-07-24 2020-05-19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US10373554B2 (en) 2015-07-24 2019-08-06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CA2909813A1 (en) 2015-10-26 2017-04-26 Ignis Innovation Inc High ppi pattern orientation
DE102017222059A1 (de) 2016-12-06 2018-06-07 Ignis Innovation Inc. Pixelschaltungen zur Minderung von Hysterese
US20180182295A1 (en) * 2016-12-22 2018-06-28 Intel Corporation Current programmed pixel architecture for displays
US10909933B2 (en) 2016-12-22 2021-02-02 Intel Corporation Digital driver for displays
US10839771B2 (en) 2016-12-22 2020-11-17 Intel Corporation Display driver
CN106875890B (zh) * 2017-04-27 2021-0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设备及驱动方法
US10714018B2 (en) 2017-05-17 2020-07-1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image correction data for displays
US11025899B2 (en) 2017-08-11 2021-06-01 Ignis Innovation Inc. Optical corr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non-uniformity of emissive display devices
US10971078B2 (en) 2018-02-12 2021-04-06 Ignis Innovation Inc. Pixel measurement through data line
JP2021193760A (ja) 2018-09-26 2021-12-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素子及び光検出素子
TWI671984B (zh) * 2018-11-14 2019-09-1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供應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204B2 (ja) * 1989-12-14 1997-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3039791B2 (ja) * 1990-06-08 2000-05-08 富士通株式会社 Daコンバータ
JPH1022071A (ja) 1996-07-05 1998-01-23 Polymertech Kk El点灯装置
JPH10186325A (ja) 1996-12-27 1998-07-14 Fujitsu Ltd 液晶パネル
JP3102411B2 (ja) * 1997-05-29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薄膜el素子の駆動回路
EP1030287A1 (en) 1998-09-08 2000-08-23 TDK Corporation Driver for organic 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JP4138102B2 (ja) * 1998-10-13 2008-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420967B (en) * 1998-11-27 2001-02-01 Sanyo Electric Co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0259124A (ja) * 1999-03-05 2000-09-22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187729C (zh) * 1999-03-24 2005-02-02 埃维克斯公司 全色发光二极管(led)显示系统
KR100344186B1 (ko) * 1999-08-05 2002-07-19 주식회사 네오텍리서치 액정표시장치의 소오스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4884609B2 (ja) 2000-08-10 2012-02-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3950988B2 (ja) * 2000-12-15 2007-08-01 エルジー フィリップス エル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電界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2002351403A (ja) * 2001-05-30 2002-12-06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3043993A (ja) * 2001-07-27 2003-02-14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ディスプレイ
JP2003043994A (ja) * 2001-07-27 2003-02-14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ディスプレイ
JP3951687B2 (ja) * 2001-08-02 2007-08-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単位回路の制御に使用されるデータ線の駆動
JP3800050B2 (ja) * 2001-08-09 2006-07-19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5636147B2 (ja) * 2001-08-28 2014-1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
JP4650601B2 (ja) 2001-09-05 2011-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流駆動素子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0714513B1 (ko) * 2001-09-07 2007-05-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El 표시 장치, 전자 표시 기기 및 el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JP3882995B2 (ja) 2002-01-18 2007-02-21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3637911B2 (ja) * 2002-04-24 2005-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装置の駆動方法
JP4490650B2 (ja) 2002-04-26 2010-06-30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El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el表示装置
KR100638304B1 (ko) 2002-04-26 2006-10-26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El 표시 패널의 드라이버 회로
JP2004037656A (ja) * 2002-07-01 2004-02-0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駆動方法、駆動用回路、表示装置
KR101040581B1 (ko) * 2002-10-31 2011-06-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소자 및 그 제어 방법
JP5057637B2 (ja) * 2002-11-29 2012-10-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4009214B2 (ja) * 2003-03-14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流駆動装置
JP3991003B2 (ja) * 2003-04-09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ソース駆動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21B1 (ko) * 2005-02-22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6549A (zh) 2004-10-13
CN1536549B (zh) 2010-08-18
US20040201556A1 (en) 2004-10-14
US7304621B2 (en) 2007-12-04
JP3991003B2 (ja) 2007-10-17
US20080084411A1 (en) 2008-04-10
TW200501001A (en) 2005-01-01
US7864171B2 (en) 2011-01-04
JP2004309924A (ja)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1003B2 (ja) 表示装置およびソース駆動回路
US7256756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driving a current load device and a current load device provided therewith
US86146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circuit for the same
US7079127B2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on circuit, display driver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reference voltage
US8212749B2 (en) AMOLED drive circuit using transient current feedback and active matrix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524443B1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표시 구동 회로, 표시 장치 및 기준 전압 발생 방법
KR10114710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구동 방법 및 장치
US7079125B2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7173614B2 (en) Power supply circuit, display driver, and voltage supply method
US9293080B2 (en) Data line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data line driving method
US20040090434A1 (en) Electronic circuit, optoelectronic device, method for driving opto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138183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70171169A1 (en)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driving a capacitive load with heat generation reduced and a method therefor
KR20060136017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구동 방법 및 장치
US6756959B2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module
JP4662698B2 (ja) 電流源回路、並びに電流設定方法
KR10070824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류구동 회로 및 장치
US11348519B2 (en) Display device displaying frames at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utilizing first and second gamma voltage generators and a gap controller
JP2005084577A (ja) 電流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US73273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7086153A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502002B2 (en) Pixel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60181259A1 (en) Current driver
JP2007156503A (ja) 表示装置およびソース駆動回路
US10770022B2 (en) Source driver and a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