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449A -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관련 프린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관련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449A
KR20040083449A KR10-2004-7012367A KR20047012367A KR20040083449A KR 20040083449 A KR20040083449 A KR 20040083449A KR 20047012367 A KR20047012367 A KR 20047012367A KR 20040083449 A KR20040083449 A KR 2004008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information
printe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984B1 (ko
Inventor
실버브룩키아
Original Assignee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7/00Details or accessories common to the registering or indicating apparatus of groups G07C3/00 and G07C5/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2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유닛을 포함한다. 인쇄에 적합하게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처리기(processor)는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유닛과 통신한다. 인쇄 유닛은, 상기 운송수단 내에 장착되며, 상기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한다.

Description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관련 프린터{CAR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PRINTER}
전자 관리 시스템을 차량에 통합하는 것은, 그러한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구성요소(component) 가격의 감소에 상응하여 발전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러한 관리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가 필요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주행 거리 및 차량 내의 다양한 유체들의 상태의 모니터링, 점화 타이밍의 관리 및 기타 차량 모니터링 활동과 같은 일들을 포함하는 기능의 주체(host)를 제공한다.
현재, 출원인이 알고 있는 한, 이러한 성질의 시스템으로부터의 출력은 차량의 대쉬보드(dashboard) 상의 판독물(readout)로서 표시된다. 필요한 곳에 적절한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차량 이용자는 이 판독물을 해석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의 기름 레벨이 낮다면, 대쉬보드 상의 라이트가 빛나서 사용자에게 자동차 기름 공급의 보충이 필요함을 알려줄 수 있다. 때로는 이 판독물이 사실상 순간적이고, 다시 나타나지 않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차량 정비 시에 차질을 야기한다. 따라서, 그러한 일이 발생할 때 추후의 분석을 위하여, 그리고 필요하다면 취해야 할 수리상의 조치를 위하여 판독물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함께 계류중인 출원들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이, 본 발명의 출원인 또는 양수인에 의해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이하의 함께 계류중인(co-pending) 출원들에 개시되어 있다:
AP39 AP43 AP44 AP46 AP47 AP48
AP49 AP50 AP51 AP52 AP53 AP55
AP58 AP60 AP61 AP62 AP63 AP64
AP65 AP66 AP67 AP68 AP69 AP70
AP71 AP77 AP78 AP79
이들 함께 계류중인 출원들의 개시 내용은 여기에서 상호 참조로서 도입된다. 각 출원은 임시로 그 출원 참조번호(file reference)에 의해 구별된다. 이는 대응되는 PCT 출원번호로, 활용이 가능해진다면, 대체될 것이다.
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특허
US6,227,652 US6,213,588 US6,213,589 US6,231,163
US6,247,795 US6,394,581 US6,244,691 US6,257,704
US6,416,168 US6,220,694 US6,257,705 US6,247,794
US6,234,610 US6,247,793 US6,264,306 US6,241,342
US6,247,792 US6,264,307 US6,254,220 US6,234,611
US6,302,528 US6,283,582 US6,239,821 US6,338,547
US6,247,796 US09/113,122 US6,390,603 US6,362,843
US6,293,653 US6,312,107 US6,227,653 US6,234,609
US6,238,040 US6,188,415 US6,227,654 US6,209,989
US6,247,791 US6,336,710 US6,217,153 US6,416,167
US6,243,113 US6,283,581 US6,247,790 US6,260,953
US6,267,469 US6,273,544 US6,309,048 US6,420,196
US6,443,558 US09/422,892 US6,378,989 US09/425,420
US09/422,893 US09/609,140 US6,409,323 US6,281,912
US09/575,113 US6,318,920 US6,488,422 US09/693,644
US6,457,810 US6,485,135 US09/112,763 US6,331,946
US6,246,970 US6,442,525 US09/505,951 US09/505,147
US09/505,952 US09/575,108 US09/575,109 US09/575,110
US09/607,985 US6,398,332 US6,394,573 US09/606,999
US6,238,044 US6,425,661 US6,390,605 US6,322,195
US09/504,221 US6,480,089 US6,460,778 US6,305,788
US6,426,014 US6,364,453 US6,457,795 US09/556,219
US09/556,218 US6,315,399 US6,338,548 US09/575,190
US6,328,431 US6,328,425 US09/575,127 US6,383,833
US6,464,332 US6,390,591 US09/575,152 US6,328,417
US6,322,194 US09/575,177 US09/575,175 US6,417,757
US09/608,780 US6,428,139 US09/607,498 US09/693,079
US09/693,135 US6,428,142 US09/692,813 US09/693,319
US09/693,311 US6,439,908 US09/693,735 PCT/AU98/00550
PCT/AU00/00516 PCT/AU00/00517 PCT/AU00/00511 PCT/AU00/00754
PCT/AU00/00755 PCT/AU00/00756 PCT/AU00/00757 PCT/AU00/00095
PCT/AU00/00172 PCT/AU00/00338 PCT/AU00/00339 PCT/AU00/00340
PCT/AU00/00341 PCT/AU00/00581 PCT/AU00/00580 PCT/AU00/00582
PCT/AU00/00587 PCT/AU00/00588 PCT/AU00/00589 PCT/AU00/00583
PCT/AU00/00593 PCT/AU00/00590 PCT/AU00/00591 PCT/AU00/00592
PCT/AU00/00584 PCT/AU00/00585 PCT/AU00/00586 PCT/AU00/00749
PCT/AU00/00750 PCT/AU00/00751 PCT/AU00/00752 PCT/AU01/01332
PCT/AU01/01318 PCT/AU00/01513 PCT/AU00/01514 PCT/AU00/01515
PCT/AU00/01516 PCT/AU00/01517 PCT/AU00/01512 PCT/AU01/00502
PCT/AU02/01120 PCT/AU00/00333 PCT/AU01/00141 PCT/AU01/00139
PCT/AU01/00140 PCT/AU00/00753 PCT/AU01/01321 PCT/AU01/01322
PCT/AU01/01323 PCT/AU00/00594 PCT/AU00/00595 PCT/AU00/00596
PCT/AU00/00597 PCT/AU00/00598 PCT/AU00/00741 PCT/AU00/00742
본 발명은 운송수단(conveyance)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한 정보 검색 시스템 및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문맥상 명백히 다른 것으로 지적하지 않는 한, 용어 "운송수단(conveyance)"은 사람 및/또는 물건 운송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장비로서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며, 도로 차량, 항공기, 궤도 차량, 수상 선박, 우주선 등을 포함한다.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목적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이하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2는, 상기 시스템과 사용되기 위한 프린터의 3차원적 도면이다.
도 3은, 덮개가 제거된 상기 프린터의 3차원적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프린터의 3차원적 분해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프린터의 측단면 도면(sectional side view)이다.
도 6은, 상기 프린터용 카트리지의 3차원적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카트리지의 3차원적 분해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프린터용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위한 노즐 어셈블리의 3차원적 개략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노즐 어셈블리의 작동의 3차원적, 개략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프린트헤드를 구성하는 노즐 어레이의 3차원적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어레이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4는, 노즐 가드를 포함하는 상기 프린트헤드의 3차원적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정보 검색 시스템과 사용하기 위한 위치 감지 시스템의 일 구체예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도 1의 정보 검색 시스템과 사용하기 위한 위치 감지 시스템의 다른 구체예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7은, 상기 정보 검색 시스템의 실제예의 3차원적 도면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에 따르면, 운송수단(conveyance)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retrieve)하기 위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의(operational)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수단;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과 통신하는, 인쇄에 적합하게 포맷(format)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수단; 및
상기 운송수단 내에 장착된, 상기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유닛(unit)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은, 유체 레벨, 유체 온도 등과 같은 미리 결정된 작동 매개변수의 세부사항 및 주행 거리, 속도 등과 같은 운송수단 관련 정보를 얻는 운송수단 관리 서브-시스템(sub-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신하여, 상기 서브-시스템은, 요구가 있는 즉시(on demand), 필요로 하는 정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은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유닛(location determining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좌표의 세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지구 위치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은 지역 데이터 검색 유닛(locality data retrieval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위치 결정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답하여 위치에 관계된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기 위치 데이터 검색 유닛은 지역 정보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운송수단의 사용자에 적절한 시설(establishment)에 관계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과 통신하는 레이아웃(layout)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 엔진은 프린터에 통신될 데이터 요소들을 레이아웃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레이아웃 엔진과 통신하는,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데이터 조작 수단(data manipulating means)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쇄 유닛은, 인쇄될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린터 콘트롤러 및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는 전면 컬러 프린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린터는 사진급 컬러 프린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는 잉크젯 프린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는 페이지폭(pagewidth)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린트헤드는 노즐들의 어레이(array)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어레이는 미세전자기계적(microelectromechanical) 기술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에 따르면,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인쇄에 적합하게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운송수단 내에 장착된 인쇄 유닛 상에서, 사용자가 요구할 때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작동 매개변수의 세부사항 및 상기 운송수단 관련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신하여, 상기 방법은 요구가 있는 즉시, 필요로 하는 정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좌표의 세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운송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locality)에 관계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에 적절한 시설에 관계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인쇄될 데이터 요소들을 레이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요소들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온보드(onboard)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수단;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 및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온보드 인쇄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문맥상 명백히 다른 것으로 지적하지 않는 한, 용어 "온보드(onboard)"는 운송수단 또는 차량에 탑재되는 장비 및 그 구성요소로서 폭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의 보충가능한 품목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지보수(maintenance)에 유용한 시설에 관계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은정비소(service sta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온보드 프린터 상에서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의 보충가능한 품목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지보수에 유용한 시설에 관계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지역에 있어서 정비소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온보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다양한 작동의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
상기 차량에 의해 휴대되고,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 내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수단;
상기 위치 감지 수단과 연관되어 사용되고, 상기 지역에 관하여 미리 결정된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지역 데이터 검색 유닛;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반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데이터 요소들로 처리하기 위한 레이아웃 엔진;
상기 레이아웃 엔진에 연결되고,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전-인쇄(pre-printing) 처리 수단; 및
상기 정보의 매체 출력물(hard copy)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온보드 프린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다양한 작동의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지역 내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역에 관하여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하는 데이터를 얻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적어도 데이터 요소들로 처리하는 단계;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관련된 상기 정보의 매체 출력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온보드 프린터를 통해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먼저 도 1의 도면을 참조함에 있어서, 참조부호 10은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에 관련된, 보다 특정적으로는 원동기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을 나타낸다.
시스템(10)은, 차량의 작동 매개변수를 모니터하는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을 포함한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서브-시스템(12)은 유체 레벨, 유체 상태, 및 차량에 의한 주행 거리, 차량 속도, 차량의 정지 및 출발, 브레이크 패드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매개변수들을 모니터한다. 또한, 현재는 차량에 있어서 서스펜션 세팅, 타이어 압력 등과 같은 작동 매개변수의 다른 측면들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필요한 정보를 상기 시스템 사용자가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으로부터 요청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6)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6)를 통해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정보 이외에, 시스템(10)은,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개입 없이도,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6)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시스템(10)은, 위치 결정 유닛(18) 및 지역 데이터 검색 서브-시스템(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 수단을 더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 수단은 원동기 차량의 위치 및 그 원동기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위치 결정 유닛은,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지구 위치추적 시스템(GPS) 수신기(18)이다. 수신기(18)는, 위치 데이터 형태의 좌표들을 결과물(output) 라인(20) 상으로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에 제공한다. 라인(20) 상의 데이터 결과물은 또한 지역 데이터 검색 서브-시스템(24)에 활용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서브-시스템(24)은, 그 지역 내에서 사용자에게 이용될 수 있는 시설에 관한 적절한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26)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26)의 사용자에 의해 문의(interrogate)될 수 있다. 지역에 관한 상기 데이터는, 전형적으로는,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 내에 있는 정비소(service stations), 주유소(filling stations), 자동차 부품 판매소, 기계 공업소(mechanical workshops) 등의 위치에 관련될 것이다. 서브-시스템(24)은 데이터 라인(22) 상으로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에 제공되는 지역 데이터를 생성한다.
시스템(10)은,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으로부터 온 데이터 결과물을 처리하는 처리 수단(14)을 포함한다. 처리 수단(14)은 레이아웃 엔진(28)을 포함한다.서브-시스템(12)은 차량 관리 매개변수들에 관련되어 인쇄될 세부 사항에 기초한 컨텐츠 및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한다. 이 컨텐츠 및 레이아웃 정보는 서브-시스템(12)을 경유하여 레이아웃 엔진(28)으로 보내진다. 레이아웃 엔진(28)은, 제공되는 문장 및 데이터 컨텐츠와 레이아웃 정보에 기초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지의 기재를 생성한다. 각 페이지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또는 PDF와 같은 적절한 페이지 기재 언어에 의해 기재된다.
처리 수단은, 데이터 라인(32)을 통해 레이아웃 엔진과 통신하는 래스터화(rasterization) 모듈(34)을 더 포함한다. 페이지 압축(compression) 모듈(38)은 데이터 라인(36)을 통해 래스터화 모듈의 결과물에 연결된다. 레이아웃 엔진(28)에 의한 페이지 기재 결과물은, 데이터 라인(32) 상으로 래스터화 및 압축을 위한 모듈들(34 및 38)에 공급되며, 적절한 포맷(format)으로 인쇄될 데이터 결과물은 데이터 라인(40) 상으로 공급된다.
데이터 라인(40)은, 페이지 압축 모듈(38)의 결과물을 시스템(10)의 인쇄 유닛(16)의 프린터 콘트롤러(42)에 연결한다. 프린터 콘트롤러(42)는 차량관리에 관하여 요구되는 정보가 인쇄될 수 있는 프린터(100)를 제어한다.
시스템(1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수신기(18)의 첫번째 구체예에 있어서는, 지구 위치추적 시스템(GPS)으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 GPS은, GPS 범위 내의 어떠한 지점에서도 최소한 4개의 위성을 볼 수 있도록 정해진 패턴으로 지구궤도를 도는 24개의 위성으로 이루어진다. GPS 수신기(18) 위치에 관한 수많은 매개변수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이러한 최소 4개의 위성에 대한 목시선(line-of-sight)이다. 도 15의 도면에는, 4개의 위성들(50.1~50.4) 및 그들의 관련 송신 범위들(transmission foot prints)(50.5 내지 50.8)이 각각 2차원적 투사로 나타나 있다.
당업자들은, 위성들(50.1~50.4) 각각이 높은 정확도의 원자시계 및 천체 위치 추산 데이터(ephemeris data)를 또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 천체 위치 추산 데이터 및 현시간(current time)은, GPS 수신기(18)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각 위성들(50.1~50.4)에 의해 송신된다. GPS 수신기(18)에서의 시간을 위성 송신에 의해 수신된 시간과 비교하므로써, GPS 수신기(18)와 각 위성들(50.1~50.4)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천체 위치 추산 데이터에 더하여, 위성들(50.1~50.4)의 위치들도 또한 활용가능하다. 이들 두 종류의 정보가 주어지면, 위성들(50.1~50.4)을 중심으로 하는 구체 상의 한 지점으로 수신기(18)의 위치를 좁혀 내려갈 수 있다. 4개의 위성들(50.1~50.4)로부터 얻어진 4개의 데이터 세트를 이용해, 각 구체들(50.5~50.8)의 교차점에서 GPS 수신기(18)의 X, Y 및 Z 좌표가 얻어지며, 또한 UTC 시간의 정확한 측정이 얻어진다. 이들 좌표를 변환하면 위도, 경도 및 해발 고도의 관점에서 수신기의 위치가 얻어진다.
미군에 의한 "선택적 활용가능성(selective availability)"의 GPS에의 도입으로 생성되는 GPS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dGPS 또는 미분 GPS로 알려진 향상된 GPS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활용가능한 곳에 미분 신호를 사용한다. dGPS는 휴대용 수신기 이외에 GPS 수신기가 구비된 고정 기준 기지국(fixed reference base station)을 사용한다. 고정된 수신기는, 그것이 수신한 GPS 신호중의 오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휴대용 수신기로 송신한다. 그러면 휴대용 수신기는, 이 신호를 사용하여 그 위치 평가에 있어서 오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GPS의 사용에 대신하여, 또는 그에 더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전화 네트워크가 대체 사용될 수 있다. 이 네트워크는, 도시 경계 내에서와 같이 많은 수의 이동전화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는 인구 밀집 지역 내에만 사용가능하다.
전형적인 이동전화 네트워크는 다수의 기지국들(60.1~60.6)로 이루어진다(도 16).
각 기지국(60.1~60.6)은 셀(cell)을 규정(define)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지역 또는 송신 범위(foot print) 내에서 송신한다. 인접 기지국들과의 사이의 거리는 통상, 각 셀의 크기가 충분히 커서 그것과 이웃하는 셀 간에 어느 정도의 중첩(overlap)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서비스 권역(coverage area)을 넘나들며 배회하더라도, 그들이 항상 적어도 하나의 셀의 권역 내에 있기 때문에, 여전히 전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셀 내에서 움직일 때에는, 기지국(60.1~60.6)으로부터의 거리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따라 그 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가 달라진다. 사용자가 셀 사이를 움직일 때에는,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핸드세트(handset)는 보통, 더 낮은 신호 강도를 갖는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사용에서 더 높은 신호 강도를 갖는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사용으로 전환한다.
셀의 분포 및 전파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서 수신될 수 있는 신호를발산하는 핸드세트의 능력이 주어지면, 일정한 정확도 내에서, 가능하게는 약 10 미터의 정확도 내에서 핸드세트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통화량(traffic) 조절 메카니즘의 착상이 가능하다.
수신기(18)로서 기능하는 핸드세트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다수의 다른 기술들이 채택될 수 있다. 선택되는 기술은 주로 핸드세트 기술의 종류 및 그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핸드세트(18)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 버스트(burst)의 도달 시간 사이의 차이는, 세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기(18)에 이르는 거리의 계산에 의해 수신기(18)의 위치를 삼각측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기술의 역은, 그에 의해 수신기(18)가 가까운 기지국들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 버스트들에 기초하여 그 위치를 결정하는 바, 특화된 위치 결정 기능을 수신기(18)에 도입시키므로써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동전화 네트워크와 GPS의 조합은 보조-GPS(Assistance-GPS)로 불리우는 시스템을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될 것이다.
지역 데이터 검색 서브-시스템(24)은 지역 데이터 서버와 대응되는 접근 메카니즘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되는 접근 메카니즘의 종류는 지역 데이터 서버에 의존할 것이다.
지역 데이터 서버는, 여행자 사무소, 지역 신문 및 현재 이벤트 핫라인(current event hotline)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의 조합과 유사하다. 서버는, 매우 다양한 소스(source)로부터, 시스템(10)의 타겟 사용자에게 관심이 될 만한 다양한 최근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지역 서버에 저장된 정보는, 요청이이루어진 날의 시간, 사용자의 특정 위치(그들이 즉시 목적지로 삼을 수 있다는 표시 포함), 사용자가 관계된 일(여행자로서 사용자의 목적은 쇼핑하는 사람과는 매우 다를 것이다) 및 사용자 단말기(26)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 관련 일반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카테고리에 따라 검색된다.
사용자 단말기(26)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성질을 갖는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역 정보가 제공된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무시될 수 있는, 이미지, 텍스트 및 잠재적인 레이아웃 정보를 양자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활용가능하게 만들어진 정보의 종류는, 주유소, 차량 정비 시설 등과 같은 그 지역 내의 차량 유지보수 시설의 위치에 관계된다.
서버는 공유된 자원일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에 의해 접근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서버는, 최근의, 그리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사용자에게 배달되는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매체를 예약 구독하는 서비스에 의한 것과 같은 지역 데이터 서버의 휴대용 버전(version)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면 이 매체는, 대응되는 판독기(reader) 및 사용자의 현재 요구에 적절한 정보를 검색하는 접근 메카니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아웃 엔진(28)은, 복수의 소스(source)들로부터 나온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요구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내재된(embeded) 레이아웃 정보를 갖지 않는다. 공급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먼저 그 컨텐츠의 포맷된 기재를 생성하는 것이필요할 수 있으며, 그러면 이는 페이지 기재 언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레이아웃 엔진(28)에 의해 생성될 페이지 기재 언어는, 데이터 요소들의 종류 및 페이지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요소들의 구조(structuring)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된 페이지 기재 언어가 포스트스크립트이면, 페이지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들은, 선분(line segment) 및 곡선들로 구성되는 실선 경로(filled path) 및 점선 경로(stroked path), 대응되는 폰트(font) 정의를 갖는 텍스트 및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레이아웃를 위한 템플릿(template)은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레이아웃 엔진(28)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정적 완성형 템플릿(static built-in template)일 수도 있으며, 또는 심지어 그 데이터를 공급하는 소스와 같은 다른 어떤 소스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레이아웃 및 컨텐츠 기재를 위해서는,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위한 일관된 레이아웃의 세트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는 텍스트(textual) 및 그래픽(graphical) 양자 모두일 수 있다.
복수의 분리된 위치로부터 데이터가 유래되도록 하는 데이터 레이아웃 방법의 일 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및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다.
XML은, 태그(tag)들의 세트를 컨텐츠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컨텐츠가 표지(mark up)되도록 한다. 특정 XML 컨텐츠에 있어서 각 태그의 정의는, XML에 의해참고되는 개별 개요(separate scheme)에 기재된다.
XSL은, 선택을 수행하는 동시에 연산(operation)들을 필터링하는 동안 XML을 다른 포맷(예를 들면, HTML)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XML 컨텐츠와 레이아웃 특정(layout specification)으로서 XSL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지의 기재가 포맷 언어(formatting language)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포맷 언어는 인쇄에 적합한 페이지 기재 언어(즉, 목적물의 기재, 그 위치 및 복합 세부사항을 제공하는 것)로 번역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한 레이아웃 및 컨텐츠의 기재는, 페이지 기재의 생성 목적으로 레이아웃 엔진(28)에 의해 공급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특정된 문서이다. CSS(Cascading Style Sheet) 표준에 따라 특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타일시트(stylesheet)가, 레이아웃 엔진(28)이 공급된 스타일을 태그들의 세트와 연관짓도록 하면서, 또한 공급될 수 있다. 만약 어떠한 스타일 시트도 공급되지 않는다면, 레이아웃 엔진(28)에 내재된 기본(default) 스타일 세트가 채택된다.
그러면 HTML 문서는 인쇄에 적합한 페이지 기재 언어로 번역된다.
페이지 기재 언어로부터, 프린터(100)의 프린트 엔진(나타내지 않음)에 보내어질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래스터화 모듈(34)이 제공된다. 이 포맷은, 출력 장치의 컬러 전반(gamut), 사용될 표지(marker)의 종류, 사용되는 표지의 수(및 그들 각각의 컬러) 및 표지되는 매체와 같은 프린트 엔진의 특징에 따라 다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래스터화 모듈(34)에 의해 수신되는 페이지 기재는 또한 다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많은 페이지 기재 언어들은, 페이지가 실용적으로 생성된 방식으로 기재된다는 점에서 프로그램 지향적이다. 다른 페이지 기재 언어들은, 화가의 알고리듬에 의해 페이지 상에 놓여진 목적물 세트의 관점에서 페이지를 기재한다. 또한 다른 페이지 기재 언어들은, 각각 다른 목적물의 이웃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의된 복합(compositing) 순서로, 페이지 상에 위치한 목적물의 분류 체계(hierarchy)를 정의하는 복합(compositing) 모델의 관점에서 페이지를 기재한다.
페이지, 페이지 세트, 페이지 상의 목적물의 서브-세트 또는 다수의 페이지 상의 목적물의 서브 세트가 래스터화 모듈(3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래스터화의 방법 중 하나는, 페이지 기재 언어가 페이지 모델을 형성하는 것으로 초기 해석되는 분할-및-통치(divide-and-conquer)식 접근에 관계된다. 페이지가 스캔되고, 목적물들이 인카운터(encounter)된 다음에 복합되어 그 페이지의 일부분에 대한 픽스맵(pixmap) 결과물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목적물들은 래스터화된다. 그러면 픽스맵은, 출력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특징에 부합하기 위하여, 출력 장치의 컬러 영역 내로 맵핑(map)되거나 또는 디더링(dither)된다(또는 오류 제거된다).
래스터화 모듈(34)에 의해 채택될 수 있는 다른 래스터화 방법은, 목적물의 종류, 페이지에 대해 목적물이 차지하는 범위(coverage)(및 현재 렌더링(render)되는 페이지의 분율(portion)) 및 목적물의 캐싱(caching)의 측면에 따라, 각 목적물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렌더링(render)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문자열이 래스터화되면, 그 문자열 내의 각 문자는 전체적으로 래스터화될 수 있고, 그러면 추후의 재사용을 위하여 캐시(cache)될 수 있는 반면, 채워진 직사각형은 단지 필요한 때에만 래스터화될 수 있다.
래스터화 모듈(34)에 대한 출력 요구에 따라, 페이지 압축 모듈(38)로 진행되기 위하여, 래스터화될 각 페이지는 전체로서 생성되거나, 또는 밴드 모양의 형태(band-wise fashion)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만약 페이지가 임의의 크기보다 더 크다면, 그리고 메모리 유지가 필요하다면, 페이지는 요청에 따라 래스터화될 수 있는 다수의 밴드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린터 콘트롤러(42)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래스터화된 페이지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페이지 압축 모듈(38)이 제공된다. 최종 인쇄된 이미지의 품질에 있어서 가시적인 저하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다수의 기술을 사용하여 페이지 데이터가 압축된다.
콘톤(contone) 데이터의 압축방법으로는 JPEG 압축이 있다. 이 압축 기술을 사용하면, 콘톤 픽셀(pixel)들이 휘도/색차 표시(luminance/chrominance representation)로 변환되고, 이는 그 다음에 데이터의 분리 코사인 변환의 양자화(quantization of a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 데이터의 양자화된 버전(quantized version)은, 제로값 요소들의 연속을 감소시켜, 실제적으로 이미지 품질의 뚜렷한 손실 없이 데이터 크기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10:1 감소의 결과를 낳도록 코드화된 엔트로피(entropy)이다.
JPEG 2000 표준에 채택된 바와 같은 웨이블릿(wavelet) 변환은 콘톤 데이터의 압축을 위해 사용된다. 두개의 다른 웨이블릿 변환들이 JPEG 2000에 의해 특정되는데, 즉, 손실 압축용 9/7 웨이블릿 변환 및 무손실 압축용 5/3 3 웨이블릿 변환이 그것이다. 9/7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압축 결과가 분리 코사인 변환을 사용한 압축 결과보다 시각적으로 우수하다면, 재구성된 이미지의 뚜렷한 저하 없이도 최소한 50:1의 압축비가 달성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JPEG 2000에 채택된 스캔 순서는 원본 이미지의 나선형(spiral) 스캔이고, 한번에 하나의 픽셀을 가로지른다. 이는,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완전한 페이지가 디코딩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페이지가 수차례 중복되어 디코딩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쇄에 응용하기에는 편리하지 않다. 이를 치유하기 위하여, 완전한 압축 페이지의 수신과는 독립적으로, 수신된 이미지의 각 부분이 즉시 디코딩되고 인쇄될 수 있도록, 각 이미지 열을 연속하여 가로지르는 대체 스캔 순서를 채택할 수 있다.
2단(bilevel) 이미지의 압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그룹 3 또는 그룹 4 팩스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알고리듬은 전형적인 2단 이미지의 2차원적 성질을 이용하여 평균 30:1의 압축을 달성한다.
JBIG(Joint Bilevel Image Group)는, 보다 복잡한 인코더/디코더 조합으로 구형 그룹 3 및 그룹 4 팩스 알고리듬보다 더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는, JBIG2로 불리우는 2단 이미지 압축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입력 이미지를, 인코딩되는 영역의 성질에 따라 특화된 기술로 압축되는 다수의 영역으로 성공적으로 분할하기위하여, JBIG2는 인코더에 필수적으로 의존한다. 텍스트 요소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은 각 문자에 대응하는 비트맵(bitmap)들의 인코딩된 버전을 저장하는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인코딩된다. 하프톤(half toned)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영역들(특히, 정렬된 하프 토닝(ordered half toning)이 사용된 경우)은, 하프톤 패턴들 및 그들이 적용되는 영역들의 사전(dictionary)을 저장하므로써 인코딩된다. 선도(line art)와 같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은 압축된 비트맵 표시로 인코딩된다.
어떤 예에 있어서, 페이지 압축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그런 경우, 페이지 압축 모듈(38)은 영압축(null compression)을 사용하는 기능을 하는데, 여기에서 페이지는 전혀 압축되지 않으며, 페이지 압축 모듈(38)은 통과 모듈(pass through module)로서 기능한다.
프린터 콘트롤러(42)는 인쇄 과정의 하드웨어 특정 측면을 다루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시스템의 세부사항을 변경하여 일련의 인쇄 모듈들을 더 향상시키지 않고도, 수많은 다른 종류의 인쇄 메카니즘들 또는 프린터(100)들이 채택될 수 있도록 한다.
프린터 콘트롤러(42)는, 상기 서술된 압축 기술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압축된 각 페이지의 래스터화된 버전을 수신한다. 페이지의 크기와 선행하는 모듈들(34 및 38)의 기능에 따라, 페이지는 전체적으로, 또는 밴드 모양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프린터 콘트롤러(42)에서, 페이지 데이터는 프린터 순서에 있어 점진적으로 접근되고, 필요하다면 압축해제되며, 프린터(100)의 하드웨어에 적합한 포맷으로조직화되어 프린터(100)의 하드웨어가 그 프린트헤드(300)를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식은, 프린트 데이터의 배율확대(up scaling) 및 디더링과, 필요하다면, 사용되는 표지(marker) 및 용지를 위한 조정과 같은, 특정 프린트헤드(300)의 특수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것과 같은 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프린터(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린터(100)는 상부 덮개(116)에 의해 덮여진 섀시(chassis)(112)(도 3)를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상부 덮개에 접근 개구(access opening)(118)를 가진다. 접근 개구(118)는 플랩(flap)(120)에 의해 닫힌다. 플랩(120)은, 카트리지(122)가 프린터(100)로부터 제거될 때 플랩이 위쪽으로 솟아올라 접근 개구(118)를 닫을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바이어스(bias)되어 있다.
프린터(100)에 명령을 보내는 장치는, 예를 들면, 원동기 차량의 와이어링 룸(wiring loom)을 통해 프린터(100)에 전선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그 대신에, 상기 장치는 무선 방식으로 프린터(100)에 명령을 보낼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프린터(100)는 적외선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감지할 수 있는 포트(124)를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프린트헤드(300)를 포함한다(도 3). 프린트헤드(300)는 페이지폭 잉크젯 프린트헤드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프린트헤드(300)는, 카트리지(122)에 저장된 인쇄 매체 상에 사진급 인쇄를 하는 4색 프린트헤드, 또는 3색 플러스 적외선 잉크 프린트헤드이다. 1600dpi의 인쇄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린트헤드(300)는 노즐 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린트헤드(300)의 노즐들은 본 출원인의 멤젯(Memjet)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하에서 프린트헤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린트헤드(300)는 섀시(112)로 보호되는 인쇄회로기판(PCB)(136)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한 쌍의 구동모터들(138 및 140)이 섀시(112)의 측벽(142) 상에 탑재된다. 스텝퍼 모터 형태인 구동모터(138)는 첫번째 기어열(gear train)(144)의 형태로 되어 있는 첫번째 구동 배열(arrangement)을 구동한다. 첫번째 기어열(144)은 섀시(112)의 측면 몰딩(146) 상에 탑재된다.
역시 스텝퍼 모터 형태인 구동모터(140)는 두번째 기어열(150)의 형태로 되어 있는 두번째 구동 배열을 통해 구동 롤러(148)를 구동한다.
프린트헤드(300)는, 잉크 공급 매니폴드(manifold)(156)를 통해 카트리지(122)의 잉크 공급조(supply reservoir)(154)(도 7)와 연결된 잉크 호스(152)로부터 잉크를 받는 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4의 도면을 참조하면, 프린터(100)의 분해도가 예시되어 있다. 프린트헤드(300)는 TAB 필름(154)을 통해 PCB(136)와 연결되어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슬롯(158)은 측면 몰딩(146)에 규정되어 있다. 슬롯(158)은 그 안에 카트리지(122)의 대응하는 형태를 받는다. 또한, 롤러 세트(160)는 프린터(100)의 기저부(base)(162) 상에 탑재된다. 롤러 세트(160)는 회전축(rotatable axle)(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콕(cog)(164)은 축(162)의 각 말단에 직접 탑재된다. 카트리지(122)가 프린터(100)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꺼내어질 때 구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각각의 콕(164)이 카트리지(122)의 각 측면에 하나씩 있는 세로로 뻗어있는 랙(rack)(200, 202)을 구속(engage)한다.
첫번째 기어열(144)은 프린터(100)의 픽업 롤러(168)를 구속한다. 픽업 롤러(168)는, 인쇄가 일어날 때 프린터(100)의 프린트헤드(300)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카트리지(122) 내의 용지 더미(170)(도 5)로부터 종잇장 형태의 인쇄 매체를 집어낸다.
도 4의 도면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첫번째 기어열(144)은, 스텝퍼 모터(138)로부터 첫번째 기어열(144)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프린터(100)를 가로질러 뻗어있는 축(172)을 통해, 스텝퍼 모터(138)에 의해 동력을 얻는다. 기어(174)는 축(172)의 한쪽 끝에 있는 몰딩(146)에 반대되어 탑재된다. 기어(174)는 감속 기어 세트(176)를 구동한다. 또한, 감속 기어 세트(176)는 리버싱(reversing) 메카니즘(178)과 이어져 있다. 따라서, 기어열(144)은 두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리버싱 메카니즘(178)이 선택되지 않은 때에는, 기어열(144)은, 카트리지(122)를 프린터(100) 내로 공급하거나 또는 프린터(100)로부터 카트리지(122)를 빼내기 위하여 카트리지(122) 상의 상부 랙(180)을 구속한다. 그 대신에, 리버싱 메카니즘(178)이 선택된 때에는, 그것은 픽업 롤러(168)를, 또는 보다 특정적으로는 픽업 롤러(168)의 한쪽 말단에 탑재된 기어(182)를 구속한다. 그러면 기어열(144)은, 프린트헤드(300)로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 롤러(148)에 용지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도 6 및 도 7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카트리지(12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122)는 기저부 몰딩(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저부 몰딩(190)은 금속 덮개(192)에 의해 닫힌다. 덮개(192)는 그 전면 모서리에 규정되어 있는 가로로 이격된 개구(transversely spaced opening)(194) 한 쌍을 갖는다. 이들 개구(194)는, 프린터(100)의 픽업 롤러(168)가 카트리지(122) 내의 용지 더미(170) 중 가장 위쪽의 시트를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톱니 모양 랙(toothed rack)(196)은 카트리지(122)의 한쪽 측면 상에 제공된다. 톱니 모양 랙(196)은, 카트리지(122)의 프린터(100) 내로의 삽입 또는 프린터(100)로부터의 배출을 위하여 첫번째 기어열(144)의 기어에 의해 구속된 상부 랙(180)을 규정한다. 립(rib)(198)은 톱니 모양 랙(196)의 측면을 따라 세로로 뻗어 있다. 립(198)은 프린터(100)의 측면 몰딩(146) 내의 슬롯(158) 내로 받아들여진다. 톱니 모양 랙(196)의 하부 표면은, 또한 콕(164) 중 하나와의 연결(engagement)을 위하여 세로로 뻗어있는 랙 중 하나(200)(도 7)를 갖는다. 카트리지(122)의 기저부 몰딩(190)의 반대쪽 측면은, 카트리지(122)가 프린터(100)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프린터(100)로부터 빼내어질 때, 카트리지(122)의 구부러짐을 막기 위해 다른 콕(164)을 구속하는, 세로로 뻗어있는 랙 중 다른 하나(202)를 지닌다.
공급 슬롯(204)은, 사용시 인쇄될 종잇장이 통과하는 금속 덮개의 전면 모서리에 규정된다. 공급 슬롯(204)은 한번에 한 장 이상의 종이가 프린트헤드(30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라스틱 스트립(206)에 의해 부분적으로 규정된다.
가로로 뻗어있는 홈통(trough)(208)은 스트립(206)의 밖을 항하여 규정된다. 홈통(208)은 그 안에 스프링 장치된 롤러(210)를 가지고 있다. 롤러(210)는 홈통(208) 내에서 복수의 클립(212)을 통해 지지된다.
롤러(210)는 복수의 리프(leaf) 스프링(214)을 통해 홈통(208)의 기저부에 대하여 위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리프 스프링(214)은, 부분적으로 홈통(208)을 형성하는 L-형상 금속 브라켓(bracket)(216)과 일체로 형성된다. 롤러(210)는 클립(212) 내에서 스냅-고정(snap-fit)된다.
플레이튼(platen)(218)이 기저부 몰딩(190) 내에 제공된다. 플레이튼(218)은, 용지 더미(170)를 덮개(192)에 반대로 솟아오르게 하기 위하여, 기저부 몰딩(190)의 플로어(222)를 구속하는 복수의 리프 스프링(220)을 통해, 스프링으로 바이어스된다.
잉크 공급조(154)는 기저부 몰딩(190)과 일체로 형성된 잉크 공급 몰딩(224)을 포함한다. 잉크 공급 몰딩(224)은 복수의 잉크 공급 채널(226)을 규정한다. 각각의 잉크 공급 채널(226)은 특정 컬러의 잉크를 지니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컬러(color)"는, 예를 들면 적외선 잉크와 같이,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는 보이지 않는 잉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채널(226)들은 몰딩(224)에 열접합되는 연성 주머니상 막(flexible bladder-like membrane)(228)에 의해 닫힌다. 잉크가 각 채널(226)로부터 나오면, 관련된 막(228)이 채널(226) 안으로 무너져 들어가고, 그에 의해 공기가 채널(226) 속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각 채널(226)은 잉크 배출구(230)와 이어져 있다. 각 잉크 배출구(230)는 파열가능한 봉인(seal)의 형태이다.
도 4의 도면에 보다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린터(100)의 잉크 공급 매니폴드(156)는 핀(232)들을 포함한다. 이들 핀(232)은 잉크 공급 호스(152)와 이어진다. 카트리지(122)가 프린터(100) 내로 삽입될 때, 그리고 카트리지(122)가 기어열(144)에 의해 원위치로 오게 될 때, 핀(232)들은, 관련된 잉크 공급 채널(226)과 이어지도록 호스(152)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봉인(230)에 구멍을 뚫는다.
카트리지(122)는 품질 보증 칩(234)을 포함한다. 이 칩(234)은 카트리지(122)와 프린터(100) 사이의 정확한 연결을 보장하고, 카트리지(122)가 요구되는 품질을 지니는 것을 보장한다. 칩(234)은, 프린터(100)의 잉크 공급 매니폴드(156) 상에 탑재된 칩 접촉부(236)를 통해 프린터(100)와 이어진다. 따라서, 카트리지(122)가 기어열(144)에 의해 원위치로 오게 될 때, 칩(234)과 프린터(100)의 회로기판(136) 사이에 연결이 확립될 수 있도록, 칩(234)은 접촉부(236)를 구속한다.
잉크 공급 및 용지 공급이 일단 고갈되면 카트리지가 분리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카트리지(122)는 분리제거가능한(disposable) 유닛이다. 그 대신에, 카트리지(122)는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일단 카트리지(122)에서의 잉크 및 용지의 공급이 고갈되고, 카트리지(122)가 프린터(100)로부터 배출되면, 다 쓴 빈 카트리지(122)는 환불을 위하여 사용자가 공급자에게 가지고 갈 수 있다. 용지 및/또는 잉크의 공급이 일단 고갈되면 카트리지(122)가 자동적으로 프린터(100)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8 내지 도 14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프린트헤드(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린트헤드(300)는 노즐 어셈블리의 어레이(arra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프린트헤드는, 제2면의 "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특허"로 시작되는 문단에 나열된 특허출원 및 등록특허들에서 서술된 멤젯(Memjet) 기술을 포함하며, 이 개시 내용은 여기에서 명시적인 참조로서 도입된다.
도 8의 도면을 참조하면, 노즐 어셈블리가 예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400에 의해 지정된다.
어셈블리(400)는, 그 표면 상에 유전층(dielectric layer)(418)이 침적(deposit)된 실리콘 기재(substrate) 또는 웨이퍼(416)를 포함한다. CMOS 패시베이션(passivation) 층(420)은 유전층(418) 상에 침적된다.
각 노즐 어셈블리(400)는, 노즐 개구(424)를 규정하는 노즐(422), 레버 암(lever arm)(426) 형태의 연결 부재(member) 및 액츄에이터(428)를 포함한다. 레버 암(426)은 액츄에이터(428)를 노즐(422)에 연결한다.
도 9 내지 도 11의 도면에 보다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422)은, 왕관부(crown portion)(430)에 의존하는 치마부(skirt portion)(432)를 갖는, 왕관부(crown portion)(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치마부(432)는 노즐 챔버(434)의 주위벽(peripheral wall)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노즐 개구(424)는 노즐 챔버(434)와 유체연결되어 있다. 노즐 개구(424)는, 노즐 챔버(434) 내에서 잉크 몸체(440)의 메니스커스(438)(도 9)를 "고정(pin)"하는 높인 가장자리(raised rim)(436)로 둘러싸여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잉크 주입 어퍼쳐(aperture)(442)(도 13의 도면에 가장 명확하게 나타남)는노즐 챔버(434)의 플로어(446)에 규정되어 있다. 어퍼쳐(442)는 기재(416)를 통해 규정된 잉크 주입 채널(448)과 유체연결되어 있다.
벽면부(450)는 어퍼쳐(442)를 제한하고, 플로어부(446)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노즐(422)의 치마부(432)는 노즐 챔버(434)의 주위벽의 첫번째 부분을 규정하고, 벽면부(450)는 노즐 챔버(434)의 주위벽의 두번째 부분을 규정한다.
벽면부(450)는 그 자유로운 말단에, 노즐(422)이 옮겨질 때 잉크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체 봉인으로서 작용하는, 안쪽으로 향한 립(inwardly directed lip)(452)을 가지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잉크(440)의 점성 및 립(452)과 치마부(432)사이 간격의 작은 단위로 인해, 안쪽으로 향한 립(452)과 표면장력이 노즐 챔버(434)로부터 잉크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봉인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액츄에이터(428)는 열굽힘(thermal bend) 액츄에이터이고, 기재(416)로부터, 또는 보다 특정적으로는 CMOS 패시베이션 층(420)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은 앵커(anchor)(454)에 연결된다. 앵커(454)는 액츄에이터(428)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전도성 패드(456) 상에 탑재된다.
액츄에이터(428)는 첫번째 쌍의 능동 빔(active beam)(4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두번째 쌍의 수동 빔(passive beam)(460) 위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두 쌍의 빔(458 및 460)은 모두 질화티타늄(TiN)과 같은 전도성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두 쌍의 빔(458 및 460)은 모두, 앵커(454)에 고정된 그들의 첫번째 말단과 암(426)에 연결된 반대편 말단을 갖는다. 전류가 능동 빔(458)을 통해 흐르게 되면, 빔(458)의 열팽창을 낳는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 수동 빔(460)은 같은 속도로 팽창하지 않기 때문에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하여, 암(426)이, 그리고 이에 따라 노즐(422)이, 도 10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재(416)를 향해 아래쪽으로 옮겨지게 된다. 이것이, 도 10의 도면 중 46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 개구(424)를 통한 잉크의 배출을 야기한다. 열원이 능동 빔(458)으로부터 제거되면, 즉, 전류의 흐름을 멈추면, 도 11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422)은 그 정지위치로 돌아온다. 노즐(422)이 그 정지위치로 돌아오면, 도 11의 도면 중 46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잉크방울 목(neck)의 파손의 결과로 잉크방울(464)이 형성된다. 그러면 잉크방울(464)은 종잇장과 같은 인쇄 매체 상으로 가게 된다. 잉크방울(464) 형성의 결과, 도 11의 도면 중 46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의(negative)"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이 "음의" 메니스커스(468)는, 노즐 어셈블리(400)로부터 다음 잉크 방울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메니스커스(438)가 형성되도록, 노즐 챔버(434) 내로 잉크(440)가 유입된다는 결과를 낳는다.
도 12 내지 도 14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프린트헤드(300)의 일부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린트헤드(300)는 4색 프린트헤드이다. 따라서, 프린트헤드(300)는, 각각의 색에 대해 하나씩, 노즐 어셈블리의 4개 그룹(370)을 포함한다. 각 그룹(370)은 두개의 열(372 및 374)로 배열된 노즐 어셈블리(400)를 가진다. 그룹(370) 중 하나가 도 13의 도면에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다.
열들(372 및 374) 내에서 노즐 어셈블리(400)를 조밀하게 밀집시키기 위하여, 열(374) 내의 노즐 어셈블리(400)는, 옵셋(offset)되거나 또는 열(372) 내의 노즐 어셈블리(400)에 대하여 파상배치(stagger)된다. 또한, 열(372) 내의 노즐 어셈블리(400)는 서로 충분히 멀리 떨어져서 놓여지게 되어, 열(374) 내의 노즐 어셈블리(400)의 레버 암(426)이 열(372) 내의 노즐 어셈블리(400)의 인접 노즐들(422) 사이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열(372) 내의 노즐(422)이, 열(374) 내의 인접 노즐 어셈블리(400)의 노즐(422)과 액츄에이터(428) 사이에 자리잡도록 하기 위하여 각 노즐 어셈블리(400)는 실질적으로 아령 모양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열들(372 및 374) 내에서 노즐들(422)을 조밀하게 밀집시키기 위하여, 각 노즐(422)은 실질적으로 6각형 모양이다.
기재(416)는, 패드(456)를 통해 노즐 어셈블리(400)의 액츄에이터(428)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그 위에 배열된 결합(bond) 패드(376)를 가진다. 이들 전기적 연결은 CMOS 층(나타나지 않음)을 통해 형성된다.
노즐 가드(380)는 프린트헤드(300)의 기재(416) 상에 탑재된다. 노즐 가드(380)는, 그를 통해 규정된 복수의 통로(passage)(384)를 갖는 몸체 부재(member)(382)를 포함한다. 노즐 개구(42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잉크가 배출될 때, 잉크가 인쇄 매체를 때리기 전에 관련된 통로(384)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로(384)는 프린트헤드(300)의 노즐 어셈블리(400)의 노즐 개구(424)와 정합(register)되어 있다.
몸체 부재(382)는, 분지(limb) 또는 지주(strut)(386)에 의해 노즐 어셈블리(4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격된 관계에서 탑재된다. 지주(386) 중 하나는 그 내부에 규정된 공기 주입 개구(388)를 갖는다.
프린트헤드(300)가 작동할 때, 공기는 주입 개구(388)를 통해 채워져서, 통로(384)를 통한 잉크 이동과 함께 되도록 통로(384)를 통해 보내어진다. 공기의 목적은 통로(384)를 외부 입자가 없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먼지 입자와 같은 이들 외부 입자가 노즐 어셈블리(400) 위로 떨어져 그 작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노즐 가드(380)에 공기 주입 개구(388)를 제공하므로써, 이 문제는 많은 정도로 제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도 17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린터(100)가 자동차 장착 엔터테인먼트(in-car entertainment) 유닛(500) 내에 구비되어 그 일부를 형성한다.
ICE 유닛(500)은, 콘트롤부(504)를 갖는 CD 플레이어(502) 및 라디오 이외에, 전면 컬러 LCD(506)를 포함한다. 유닛(500)은 위성 항법 유닛으로서 기능하며, 또한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유닛(500)은 상기 서술한 종류의 프린터(100)를 통합한다. 유닛(500)은 콘트롤 버튼 열(bank)(508)을 포함한다. 이 버튼 열(508)은 GPS 콘트롤부를 구성하며 위성 항법 목적으로 사용된다. 게다가, 이 유닛은, 프린터(100) 및 프린터(100)에 의해 인쇄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26)를 포함한다.
사용에 있어서, 시스템(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6)를 사용하여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를대신하여, 서브-시스템(12)은 차량 운전자의 주목이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정보를 생성하며, 이는 사용자 단말기(26)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이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서브-시스템(12)은, 그 중에서도 특히, 위치 결정 유닛(18) 및 지역 데이터 검색 서브-시스템(2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한다. 게다가, 서브-시스템(12)은, 차량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있는 센서를 사용한다.
전술한 지역 데이터는 서브-시스템(24)으로부터 데이터 라인(22) 상으로 제공된다. 이들 지역 데이터는, 예를 들면, 차량 사용자가 들를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정비소와 같은 중간 지점의 위치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유닛(18)으로부터 라인(20) 상으로 오는 위치 데이터 결과물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항법 위치 정보의 형태이다.
시스템(10)의 하나의 가능한 응용은, 계획된 정비 및 정비가 필요한 항목들의 보고에 관해 추천함과 같은 것에 의해, 차량 정비 필요사항을 결정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차량이 계획된 정비와 같은 정비를 받을 때가 되었다고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이 결정하면,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은, 위치 결정 유닛(18)과 서브-시스템(24)을 사용하여 가장 가까운 적절한 정비소의 위치를 결정한다. 필요한 정비의 종류와 함께 적절한 데이터가,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12)에 의해 추천된 대로, 사용자 단말기(26)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참고하도록 프린터(10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인쇄된다.
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6)의 사용에 의해 언제라도 재생될 수 있으며, 또는 서브-시스템(12)에 의해 정비 기한에 앞서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또한 차량의 정비가능한 항목들의 현재 상태에 관한 다양한 세부사항들의 인쇄본을 사용자 단말기(26)를 사용하여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브레이크 오일, 기름, 냉각수, 변속기 오일 등과 같은 차량의 유체 레벨에 관한 정보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내에 적절한 센서를 도입한 경우에는, 타이어 압력 또는 서스펜션 세팅과 같은 다른 기계적인 세부사항들도 보충 또는 조정을 위하여 다운로드될 수 있다.
시스템(10)의 다른 응용은, 세제(taxation) 목적으로 기록을 남겨두는 것에 사용하는 것이다. 업무용 및 개인용으로 둘 다 사용되는 차량과 관련된 운행비용은, 어떤 관할에서는, 세금 공제로서 회수될 수 있고, 또는 적어도 그러한 사용의 일부분은 세금 공제 목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업무용 및 개인용 사용간에 분담이 가능하도록 기록 책자를 유지하는 차량 소유자의 부담을 덜기 위하여, 서브-시스템(12)은 용도를 자동으로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것은, 행해진 각 여정의 시작점과 종료점 및 이 점들 사이에 주행된 거리를 서브-시스템(12)이 기록하게 하므로써 가능하다.
일 회계연도동안 행해진 여행의 매체 출력물(hard copy)로부터, 업무용 및 개인용 사용간에 분담이 쉽게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연료에 신경쓰는 사용자들을 위해, 서브-시스템(12)은, 경향이 운전자에 의해 관찰될 수 있도록, 연료 사용 패턴을 매체 출력물의 형태로서 주기적으로보고하게 프로그램될 수 있다. 그러면 이는, 운전자가 연료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운전 습관을 조정하거나, 경로를 바꾸거나 또는 차량의 미세 조정을 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10)의 또 다른 응용은, 택시와 같은 고용 차량에 사용하는 것이다. 택시는 보통, 요금을 계산하기 위하여 주행거리 및 소요시간의 측정을 수행하는 미터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들 미터기는 종종, 미터기 요금에 예약비, 짐 운반비 등과 같은 세부사항들로 인한 추가 요금을 더하기 위한 장비를 갖는다. 택시 미터기는, 사실상, 차량 관리 서브-시스템의 일 형태이고, 그 기능은 시스템(10)의 서브-시스템(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10)은, 택시로 운송되는 승객이 프린터(100)에 의해 그 여정에 대한 영수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택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영수증은, 취한 경로, 소요시간, 요금분석 등과 같이 현재의 미터기 시스템으로부터는 일반적으로 얻을 수 없는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잇점은, 차량의 작동에 관한 정보의 매체 출력물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0)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는 차량의 정비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세제 목적을 위한 차량에 관한 기록의 저장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추가적인 별도의 택시 미터기가 필요없는 택시의 경우와 같이, 대중 이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에 있어서, 시스템(10)은 차량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다수의 특정 구체예를 참고하여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많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8)

  1.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수단;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과 통신하는, 인쇄에 적합하게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수단; 및
    상기 운송수단 내에 장착된, 상기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은, 미리 결정된 작동 매개변수의 세부사항 및 운송수단 관련 정보를 얻는 운송수단 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시스템은, 요구가 있는 즉시, 필요로 하는 정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은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좌표의 세트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유닛은 지구 위치추적 시스템(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답하여 위치에 관계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지역 데이터 검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 검색 유닛은, 운송수단의 사용자에 적절한 시설에 관계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역 정보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수집 수단과 통신하는 레이아웃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엔진은 프린터에 통신될 데이터 요소들을 레이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레이아웃 엔진과 통신하는,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데이터 조작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닛은, 인쇄될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프린터 콘트롤러 및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전면 컬러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사진급 컬러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잉크젯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페이지폭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헤드는 노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레이는 미세전자기계적 기술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운송수단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인쇄에 적합하게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수단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운송수단 내에 장착된 인쇄 유닛 상에서, 사용자가 요구할 때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작동 매개변수의 세부사항 및 상기 운송수단 관련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요구가 있는 즉시, 필요로 하는 정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를 좌표의 세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관계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에 적절한 시설에 관계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인쇄될 데이터 요소들을 레이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요소들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온보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수단;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 및
    지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온보드 인쇄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의 보충가능한 품목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지보수에 유용한 시설에 관계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은 정비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작동의 측면에 관계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온보드 프린터 상에서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보충가능한 품목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유지보수에 유용한 시설에 관계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에 있어서 정비소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온보드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다양한 작동의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
    상기 차량에 의해 휴대되고,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 내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 수단;
    상기 위치 감지 수단과 연관되어 사용되고, 상기 지역에 관하여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지역 데이터 검색 유닛;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반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데이터 요소들로 처리하기 위한 레이아웃 엔진;
    상기 레이아웃 엔진에 연결되고,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전-인쇄 처리 수단; 및
    상기 정보의 매체 출력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온보드 프린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38.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의 다양한 작동의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지역 내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역에 관하여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하는 데이터를 얻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를 적어도 데이터 요소들로 처리하는 단계;
    인쇄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관련된 상기 정보의 매체 출력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상기 포맷된 데이터를 온보드 프린터를 통해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47012367A 2002-02-13 2003-02-12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관련 프린터 KR100720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S0474 2002-02-13
AUPS0474A AUPS047402A0 (en) 2002-02-13 2002-02-13 Methods and systems (ap65)
PCT/AU2003/000147 WO2003069511A1 (en) 2002-02-13 2003-02-12 Car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449A true KR20040083449A (ko) 2004-10-01
KR100720984B1 KR100720984B1 (ko) 2007-05-22

Family

ID=383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367A KR100720984B1 (ko) 2002-02-13 2003-02-12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관련 프린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90545B2 (ko)
EP (1) EP1483696A4 (ko)
JP (1) JP2005517934A (ko)
KR (1) KR100720984B1 (ko)
CN (1) CN100447794C (ko)
AU (1) AUPS047402A0 (ko)
CA (1) CA2475940A1 (ko)
IL (1) IL163511A0 (ko)
WO (1) WO2003069511A1 (ko)
ZA (1) ZA200406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S049802A0 (en) * 2002-02-13 2002-03-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and systems (ap62)
US20090254270A1 (en) * 2008-04-02 2009-10-08 O2Micr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path of a vehicle
US20090292418A1 (en) * 2008-05-23 2009-11-26 Kuykendal Robert L Trip logger
US9087348B2 (en) 2011-08-11 2015-07-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igital content networking
CN109445724B (zh) * 2018-10-12 2022-03-01 森大(深圳)技术有限公司 打印内存管理方法、装置及设备
CN111585045B (zh) * 2020-05-20 2022-04-12 西安黄河机电有限公司 一种多联骨牌稀布天线及其布阵方法
US11527153B1 (en) 2021-06-01 2022-12-13 Geotab Inc. Systems for analyzing vehicle traffic between geographic regions
US11335142B1 (en) * 2021-06-01 2022-05-17 Geotab Inc. Systems for analyzing vehicle journeys
US11862011B2 (en) 2021-06-01 2024-01-02 Geotab Inc. Methods for analyzing vehicle traffic between geographic regio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119A (ja) 1983-04-21 1984-11-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運行記録及び分析装置
EP0129949A3 (en) * 1983-06-17 1985-11-06 Fleetmaster (Proprietary) Limited Vehicle monitoring system
US4694408A (en) 1986-01-15 1987-09-15 Zaleski James V Apparatus for testing auto electronics systems
JPH0231607A (ja) * 1989-06-09 1990-02-0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施肥装置を備えた乗用水田作業車
JPH05272983A (ja) 1991-03-22 1993-10-22 Oki Electric Ind Co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789266B2 (ja) 1991-06-10 1998-08-20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車検場に於ける被検査車輌のナンバー自動読み取り装置およびそのナンバー自動読み取り方法
EP0693382B1 (en) * 1994-07-18 1998-08-26 Océ-Technologies B.V. Printer having a movable print head
JP3603386B2 (ja) * 1994-11-28 2004-12-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制御方法及びプリンタ
US5917434A (en) * 1995-06-15 1999-06-29 Trimble Navigation Limited Integrated taximeter/GPS position tracking system
JPH09243378A (ja) * 1996-03-06 1997-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5862500A (en) * 1996-04-16 1999-01-19 Tera Tech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motor vehicle travel information
JPH10123716A (ja) 1996-10-18 1998-05-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AUPP653698A0 (en) * 1998-10-16 1998-11-0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icromechanical fluid supply system (fluid08)
US6115655A (en) * 1998-01-27 2000-09-05 Keith; W. Curtis Method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vehicular mileage
US6529214B1 (en) * 1999-05-14 2003-03-04 Checkerboard Ltd. Interactive print job display system and method
US20020049535A1 (en) * 1999-09-20 2002-04-25 Ralf Rigo Wireless interactive voice-actuated mobile telematics system
KR100369806B1 (ko) * 1999-10-18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통계데이터 수집장치 및 방법
JP3522679B2 (ja) * 2000-10-19 2004-04-26 翼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整備システム及び車両整備方法
US6463967B1 (en) 2000-11-17 2002-10-15 The Lubrizol Corporation System for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orting the performance and safety condition of apparatus during refueling
US6812942B2 (en) * 2000-12-28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responsive in-vehicle display system
AUPS047802A0 (en) * 2002-02-13 2002-03-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and systems (AP6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3696A4 (en) 2009-08-26
IL163511A0 (en) 2005-12-18
ZA200406435B (en) 2005-09-27
CN100447794C (zh) 2008-12-31
CA2475940A1 (en) 2003-08-21
AUPS047402A0 (en) 2002-03-07
EP1483696A1 (en) 2004-12-08
US7590545B2 (en) 2009-09-15
US20050086063A1 (en) 2005-04-21
CN1714354A (zh) 2005-12-28
JP2005517934A (ja) 2005-06-16
WO2003069511A1 (en) 2003-08-21
KR100720984B1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5487A1 (en) Printer Incorporating a Printhead and Removable Cartridge at a Common End
KR100720984B1 (ko) 자동차 관리 시스템 및 관련 프린터
AU2003202626B2 (en) Car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printer
AU2003202637B2 (en) Locality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CA2475954C (en) Automotive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with associated printer
AU2003202645B2 (en) Automotive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with associated printer
AU2003202645A1 (en) Automotive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with associated printer
CA2475942C (en) Car entertainment system and associated printer
AU2003202636B2 (en) Car entertainment system and associated printer
US20050225641A1 (en) Camera and associated print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