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363A -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및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및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363A
KR20040083363A KR1020040017325A KR20040017325A KR20040083363A KR 20040083363 A KR20040083363 A KR 20040083363A KR 1020040017325 A KR1020040017325 A KR 1020040017325A KR 20040017325 A KR20040017325 A KR 20040017325A KR 20040083363 A KR20040083363 A KR 2004008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ection
power
oil
oil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센라르스
순발악셀
Original Assignee
댄포스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댄포스 아/에스 filed Critical 댄포스 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8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23D11/42Star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02Starting or ignition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06Postpu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32Igniting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안개(3)가 형성되어 점화 장치(14, 15)를 통해 가이드 되고, 상기 점화 장치가 점화 시간 동안의 전력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오일 버너(1)의 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스타트시에 주변 부하를 가급적 작게 유지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점화 시간이 적어도 2개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시간적으로 나중의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 장치가 시간적으로 앞선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전력으로 작동된다.

Description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및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METHOD FOR IGNITING OF A OIL BURNER AND IGNITION DEVICE FOR A OIL BURNER ARRANGEMENT}
본 발명은 오일 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오일 안개가 형성되어 점화 장치를 통해 가이드 되고, 상기 점화 장치는 점화 시간 동안의 전력 공급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공급 장치와 연결된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의되고 있는 유형의 오일 버너는 가열 장치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열 수요에 매칭시키려는 이유에서 오일 버너는 연속으로 작동되지 않고 오히려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오일 버너는 수 분간의 간격을 두고 점화된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열 수요가 지시될 때까지, 예컨대 가열수의 온도가 예정된 값 아래로 강하할 때까지 재차 스위치-오프 된다.
오일 버너를 점화하기 위해 오일이 분무된다. 그 다음에 오일 안개의 형태로 존재하는 오일이 점화 장치를 통해 가이드 된다. 점화 장치는 예를 들어 불꽃 구간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불꽃이 반복적으로 스파크를 일으키도록 상기 불꽃 구간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대안적인 점화 장치는 소위 "핫 스팟(Hot Spot)", 말하자면 가열 가능한 전극이고, 상기 전극의 온도는 오일 안개가 발화될 정도로 높게 만들어질 수 있다.
점화 과정 중에는 유해 물질, 특히 NOx및 O3를 함유하는 폐가스가 형성된다. 폐가스에 함유된 상기와 같은 유해 물질의 함량은 가급적 작게 유지되어야 한다.
연소 공간의 환기 장치가 개시되면, 점화 장치가 종래 방식에 따라 작동된다. 상기 환기 장치는 통상적으로 펌프의 작동과 함께 사용된다. 상기 펌프는 환기 장치 또는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와 동일한 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 연소 공간을 예비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 시간 동안에는 펌프가 필요한 오일 압력을 이미 다 소비했기는 하지만, 예비 환기 장치의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자성 밸브는 계속해서 차단 상태로 유지된다. 자성 밸브가 오일 공급을 개시하면, 점화 장치가 동작을 재개한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후에는 점화 장치가 오일 안개를 발화시킨다. 그러나 신뢰성의 이유에서, 임의의 원인으로 인해 불꽃이 소멸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점화 장치의 작동이 재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타트 시에 주변 부하를 가급적 작게 유지하는 것이다.
도 1 은 오일 버너 장치의 개략도.
도 2 는 점화 장치에 파워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시간에 따른 파형도.
도 3 은 점화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변형된 파형도.
도 4 는 점화 장치에 파워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시간에 따른 파형도의 추가 변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 버너 장치 2 : 연소 챔버
3 : 오일 안개 4 : 열교환기
5 : 폐가스 라인 6 : 노즐
7 : 펌프 8 : 라인
9 : 자성 밸브 10 : 탱크
11 : 팬 12 : 구동 장치
13 : 구동 샤프트 14 : 점화 장치
15 : 불꽃 구간 16 : 전력 공급 장치
17 : 공급 전압 18 : 제어 장치
19 : 불꽃 센서
상기 과제는 서문에 언급한 방식의 방법에서, 점화 시간이 적어도 2개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시간적으로 나중의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 장치가 시간적으로 앞선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전력으로 작동됨으로써 해결된다.
NOx및 O3를 함유하는 폐가스의 부하는 점화 장치의 작동과 연관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점화 장치의 동작 동안, 폐가스 부하는 점화 장치의 동작이 없는 경우보다 전술한 유해 물질 가스가 있는 경우가 더 크다. 하지만 많은 버너 제작자의 요구 때문에 오일 안개의 점화 후에도 점화 장치의 작동은 완전히 포기될 수 없다. 그러나 점화 장치의 파워 감소는 폐가스 내에 함유된 유해 물질, 특히 질소산화물(NOx) 및 오존(O3)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를 한다. 다시 말해 재점화-섹션에서 전력이 적게 사용되면, 그에 상응하게 유해 물질 함량도 적게 발생된다. 점화-섹션에 이어지는 재점화-섹션에서 불꽃이 소멸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꽃은 재차 발화된다. 다시 말해서, 오일 버너는 실제로 지금까지와 동일한 신뢰성으로 작동되지만 폐가스의 유해 물질 부하는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공급 주파수로 전력이 공급된다. 주파수의 감소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조치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점화 펄스, 즉 각각의 불꽃에서 소정의 유해 물질이 형성되는데, 이 때 불꽃이 적으면 유해 물질도 적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한다. 점화 불꽃의 발생에 책임이 있는 각각의 제 2 펄스 또는 3 개 펄스 중 2 개 펄스가 촉진됨으로써, 공급 주파수는 간단한 방식으로 절반 또는 1/3 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기 회로 장치에 의해서 상당히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전류 진폭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조치도 또한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조치이다. 주파수의 감소는 완전히 전류 진폭의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점화-섹션에서의 전력은 미리 주어진 신뢰성으로 오일 안개의 점화를 가능하게 하는 값으로 유지된다. 상기 신뢰성은 사용자에 의해 소정 한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주변 부하를 가급적 작게 유지하고자 한다면, 전력을 가능한대로 크게 감소시켜야 한다. 연소 공간이 가열되어 오일 버너의 작동 조건이 최적이 될 때까지 불꽃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재점화가 바람직하다. 전력이 작은 경우에는, 연소 공간이 가열될 때까지 불꽃이 불안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그와 달리 안정된 불꽃 발생 값에 도달하면, 선택 가능성은 더 높아지고, 보다 높은 전력으로 인해 재점화-섹션에서는 또한 보다 큰 폐가스 부하를 감수해야 한다.
점화 시간의 처음에 예비 점화-섹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예비 점화-섹션에서는 점화 장치가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파워로 작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일의 원래 개시 전에 이미 연소 공간의 예비 환기 장치가 작동된다. 상기 예비 환기 동안에는, 오일이 경우에 따라 연소 공간 내부로 유출될 때에도 점화가 직접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화 장치가 작동된다. 그러나 예비 환기 시간 동안, 즉 예비 점화-섹션에서는 기본적으로 점화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오일 버너의 작동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상기 예비 점화-섹션에서는 점화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아무 문제없이 감소될 수 있다.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폐가스 부하도 또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예비 점화-섹션에서의 전력은 재점화-섹션에서의 전력과 일치한다. 이것은 장치적인 그리고 회로 기술적인 비용을 작게 유지시킨다. 기본적으로는 단 2개의 파워 단계만이 설정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단계는 예비 점화-섹션 및 재점화-섹션을 위한 감소된 파워 단계이고, 다른 단계는 점화-섹션을 위한 보다 높은 파워 단계이다. 예비 점화-섹션 및 재점화-섹션에서는 주변 부하가 점화-섹션에서보다 훨씬 더 작게 유지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오일이 오일 안개의 형성을 개시할 때 점화-섹션이 시작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시점은 상이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오일을 노즐로 방출시키는 자성 밸브용 개시 신호는 점화-섹션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오일의 방출과 오일 안개의 원래의 형성 사이에 상대적으로 짧은, 그러나 점화 장치의 전력을 충분한 정도로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이 있다는 사실이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불꽃의 존재가 확인되면 점화-섹션이 종료된다. 이 시점에서는 더 높은 전력이 더 이상 필요치 않다. 다만 신뢰성의 이유에서만 점화 장치는 불꽃이 실수로 소멸되는 경우에 재점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감소된 전력으로 작동된다.
상기 과제는 서문에 언급한 유형의 점화 장치에서, 전력 공급 장치가 스타트 과정 동안에 작용할 수 있는 파워 조절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파워 조절 장치에 의해, 점화 시간의 예정된 섹션에서는 보다 높은 전력이 점화 장치에 공급될 수 있고, 점화 시간의 다른 섹션에서는 보다낮은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보다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폐가스 부하가 작게 유지된다. 전체적으로 관찰한다면, 파워 조절 장치에 의한 전력 감소에 의해 폐가스 부하가 감소된다.
이 경우에는, 파워 조절 장치가 점화 주파수-변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전력 공급 장치의 작동 동안에는 점화 장치에 제공되는 주파수가 변동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불꽃 구간의 사용시 예정된 단위 시간 내에 형성되는 불꽃의 개수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점화 주파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제 2 펄스 또는 3 개 펄스 중 2 개 펄스가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워 조절 장치는 오일 방출을 위한 신호와 결합되어 오일 방출시에 점화 파워를 상승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계속해서 점화되어야 하는 오일 안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만 상승된 전력이 사용된다는 사실이 확실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워 조절 장치는 불꽃 센서와 결합되어 불꽃 검출시 점화 파워를 감소시킨다. 그 경우 상승된 전기 에너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점화 장치의 작동은 실제로 오일 안개의 형성 시작과 불꽃의 발생 사이의 시간적 범위에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연관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예를 들어 중앙 가열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을 열교환기(4)를 통해 가열하기 위해서 오일 안개(3)가 발화되는 장소인 연소 챔버(2)를 구비한 오일 버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오일 안개(3)의 발화시에 발생되는 폐가스는 폐가스 라인(5)을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폐가스 라인(5)을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의 유해 물질 부하, 특히 NOx및 O3의 부하를 작게 유지하려는 노력이 강구되었다. 정상 연소 과정 동안에는 폐가스 부하가 이미 상당히 작다. 그러나 오일 버너 장치가 개시되면 폐가스 부하는 상승된다.
오일 안개(3)는 노즐(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노즐에는 펌프(7)로부터 라인(8)을 거쳐 예정된 최소 작동 압력하에 있는 오일이 제공된다. 상기 최소 작동 압력의 크기는, 오일이 필수적인 신뢰성 및 안정성으로 연소 챔버(2) 내부로 분무될 정도이다. 라인(8) 내에는 자성 밸브(9)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밸브는 펌프(7)가 필요한 최소 작동 압력을 구성할 때까지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자성 밸브(9)는 펌프(7)로부터 노즐(6)까지 이루어지는 오일 공급을 개시한다. 펌프(7)는 탱크(10)로부터 오일을 빼낸다.
구동 장치(12)를 구비한 팬(11)은 연소 챔버(2)에 필요한 양의 공기를 공급한다. 팬(11) 및 구동 장치(12)는 다만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구동 장치(12)는 많은 경우에 펌프(7)도 구동시키며, 이와 같은 사실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동 샤프트(13)에 의해서 명확해진다.
점화 장치(14)는 불꽃 구간(15)을 포함하고, 점화 장치(14)가 전력 공급 장치(16)로부터 상응하는 전압 펄스를 제공받으면, 스타트 과정시에 불꽃이 상기 불꽃 구간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킨다. 전력 공급 장치(16)는 공급 전압(17)으로부터 전기 에너지, 예컨대 50 Hz의 주파수를 공급 받는다. 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초당 50개의 불꽃도 형성된다. 오일 버너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장치(18), 특히 펌프(7), 팬(11) 및 자성 밸브(9) 그리고 점화 장치(14)가 제공된다.
연소 챔버(2) 내의 불꽃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불꽃 센서(19)가 제공된다. 불꽃 센서(19)로부터 점화 장치(14)의 전력 공급 장치(16)까지의 연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당연히 불꽃 센서(19)와 제어 장치(18) 사이의 상응하는 연결도 가능하며, 이와 같은 연결이 많은 경우에는 심지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오일 버너 장치(1)는 하기와 같이 동작한다:
제어 장치가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온도 센서 또는 다른 센서를 통해 열 수요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펌프(7) 및 팬(11)을 동시에 작동시킨다. 그와 동시에 전력 공급 장치(16)가 작동되고, 상기 장치는 점화 장치(14)를 통해 일련의 불꽃을 불꽃 구간(15) 위로 스파킹 할 수 있다. 소위 상기 "예비 환기 시간"에는 자성 밸브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예비 환기 시간 동안의 팬(11)의 작동에 의해 연소 챔버(2)에 신선한 공기가 공급된다.
예비 환기 시간의 마지막에는 자성 밸브(9)가 개방된다. 압력하에 있는 오일은 노즐(6)에 이르러 그곳에서 오일 안개(3)의 형태로 배출된다. 오일 안개(3)는 불꽃 구간(15) 내에서 스파킹 되는 불꽃에 의해 발화된다. 그러나 점화 장치(14)의 작동은 연소 챔버(2) 내의 불꽃이 재차 뻗을 수 없다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속행된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오일 안개(3)는 불꽃 구간(15)의 불꽃에 의해 즉시 재차 발화된다.
불꽃이 불꽃 구간(15) 위로 스파킹 되는 동안에는 상승된 폐가스 부하가 형성된다. 특히 점화 장치(14)의 작동에 의해서는 심지어 질소산화물(NOx) 및 오존(O3)이 형성된다. 상기 물질들은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현재 오일 버너 시스템과의 관계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약간의 동작 변동에 의해 폐가스 부하는 전체적으로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것은 도 2를 참조하여 언급된다. 도 2는 점화 시간, 즉 스타트 과정시의 점화 장치의 작동 개시로부터 점화 장치 작동의 종결까지의 시간을 보여준다.
점화 시간은 3개의 섹션, 즉 예비 점화-섹션(a), 점화-섹션(b) 및 재점화-섹션(c)으로 세분된다.
전력 공급 장치(16)에 의해 점화 장치(14)에 공급되는 전기 펄스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펄스는 불꽃 구간(15)에서 불꽃을 발생시킨다.
점화-섹션(b)에서는 펄스 주파수가 예비 점화-섹션(a) 및 재점화-섹션(c)에서보다 훨씬 더 크다. 예를 들어 주파수가 펄스에 상응함으로써, 불꽃 구간(15)에서의 불꽃은 공급 전압(17)의 주파수, 즉 서유럽 50 Hz에 상응한다. 기본적으로 오일 안개(3)의 발화를 위해 전력이 전혀 필요치 않은 예비점화-섹션(a) 및 재점화-섹션(c)에서는 점화 주파수가 점화-섹션(b)에서의 점화 주파수의 일부에 상응한다. 예컨대 예비 점화-섹션(a) 및 재점화-섹션(c)에서의 주파수는 단지 10 Hz에 상응한다. 다시 말해, 점화-섹션(b)에서의 주파수의 1/5이다.
예비 점화-섹션(a) 및 재점화-섹션(c)에서의 점화 주파수의 감소에 의해 점화 장치(14)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그와 마찬가지로 폐가스도 줄어드는데, 그 이유는 상응하게 적은 불꽃이 스파킹 되어 각각의 불꽃이 폐가스 부하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예비 환기 시간과 일치하는 예비 점화-섹션(a)에서는 오일 안개(3)의 발화가 가능한데, 그 이유는 자성 밸브(9)가 계속해서 폐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불꽃 구간(15) 위로 스파킹 되는 불꽃의 형성이 불필요하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재점화-섹션(c)에서 불꽃 구간(15) 위로 형성되는 불꽃의 형성은 단지 예방 조치에 불과하다. 점화 주파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예방 조치는 유지된다. 연소 챔버(2) 내의 불꽃이 임의의 이유에서 소멸되었다면, 오일 안개(3)가 즉시 재차 발화될 가능성은 어떤 경우에도 약간 감소된다. 그러나 불꽃이 이미 한 번 존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상기 불꽃을 재차 발화시키기 위한 점화 불꽃은 보다 작거나 또는 거의 없다.
이제 점화 장치(14)가 자성 밸브(9)에 의한 오일의 방출과 관련하여 제어됨으로써, 자성 밸브(9)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점화-섹션(b)이 개시된다. 제어 장치(18)가 자성 밸브(9)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어 장치는 동시에 상응하는 명령을 전력 공급 장치(16) 또는 점화 장치(14) 자체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점화 장치(14) 또는 전력 공급 장치(16)가 자성 밸브(9)에 있는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가 자성 밸브(9)의 스위칭 상태를 지시할 수도 있다.
불꽃이 형성된 경우에는 점화-섹션(b)이 종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불꽃 센서(19)를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이 목적을 위해 전력 공급 장치(16)와 연결되어 있다.
점화 주파수의 감소는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16)가 예정된 펄스를 점화 장치(14)로 계속 발송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펄스는 각각의 제 2 펄스, 각각의 제 3 펄스 또는 각각의 제 n-번째 펄스일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만 각각의 제 2, 제 3, 제 n-번째 펄스만을 점화 장치(14)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은 변형된 조치를 보여주는데, 상기 조치에서는 예비 점화-섹션(a) 및 재점화-섹션(c)에서 점화 장치(14)를 위한 점화 주파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공급 전압의 진폭 및 그와 동시에 전류의 진폭도 감소된다. 그럼으로써 폐가스 라인(5)에서는 폐가스 부하가 추가로 감소된다.
도 4 는 제 3 의 대안을 보여주며, 이 경우 전력은 "핫 스팟", 예컨대 백열등 점화 플러그 또는 백열등 전극에 전력이 공급될 때 조절된다. 단지 점화-섹션(b)에서만 상기 핫 스팟에 상승된 전력, 예컨대 상승된 전류 세기가 제공된다. 예비 점화 섹션(a) 및 재점화-섹션(c)에서는 전력의 공급이 대폭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장치(16)를 통해 점화 장치(14)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력 공급 장치(16) 또는 제어 장치(18)에 타이머가 내장될 수도 있는데, 상기 타이머는 점화 장치(14)의 전력 공급을 고정된 시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한다. 상기 타이머는 별도의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점화 장치(14)의 통합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시간적 흐름은 모두, 점화 파워가 전체 점화 시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치와 비교할 때, 점화 과정에서 질소산화물 및 오존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더 나아가 전력 공급의 변동은 또한 점화계 내에 있는 시스템 소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오일 버너 장치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심지어는 점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점화-섹션(b) 동안 더 큰 점화 파워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상태가 다만 짧은 시간 동안만 나타남으로써 오일 버너 장치(1)의 소자에 부정적인 영향이 제한적으로만 미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스타트 시에 주변 부하를 가급적 작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2)

  1. 오일 안개가 형성되어 점화 장치를 통해 가이드 되고, 상기 점화 장치가 점화 시간 동안의 전력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으로서,
    점화 시간이 적어도 2개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시간적으로 나중의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 장치가 시간적으로 앞선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전력으로 작동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공급 주파수로 전력이 공급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재점화-섹션에서는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전류 진폭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점화-섹션에서의 전력은 미리 주어진 신뢰성으로 오일 안개의 점화를 가능하게 하는 값으로 유지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화 시간의 처음에는 예비 점화-섹션이 제공되고, 상기 예비 점화-섹션에서는 점화 장치가 점화-섹션에서보다 적은 파워로 작동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예비 점화-섹션에서의 전력은 재점화-섹션에서의 전력과 일치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이 오일 안개의 형성을 개시할 때 점화-섹션이 시작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꽃의 존재가 확인되면 점화-섹션이 종료되는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9.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된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로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16)가 스타트 과정 동안에 작용할 수 있는 파워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조절 장치가 점화 주파수-변동 장치를 포함하는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조절 장치가 오일 방출을 위한 신호와 결합되어 오일 방출시에 점화 파워를 상승시키는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조절 장치가 불꽃 센서(19)와 결합되어 불꽃 검출시 점화 파워를 감소시키는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KR1020040017325A 2003-03-19 2004-03-15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및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KR20040083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0312111.0 2003-03-19
DE10312111A DE10312111B4 (de) 2003-03-19 2003-03-19 Verfahren zum Zünden eines Ölbrenners und Zündeinrichtung für eine Ölbrenner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363A true KR20040083363A (ko) 2004-10-01

Family

ID=3204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25A KR20040083363A (ko) 2003-03-19 2004-03-15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및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20040083363A (ko)
CN (1) CN1550715A (ko)
DE (1) DE10312111B4 (ko)
FR (1) FR2852670B1 (ko)
GB (1) GB2401930B (ko)
IT (1) ITTO20040184A1 (ko)
SE (1) SE528997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85A (ko) 2015-01-21 2016-07-2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오일버너 및 이를 구비한 증발가스 처리장치용 가스연소기
KR102472623B1 (ko) 2022-03-23 2022-11-29 주식회사 에코플랜텍 하이브리드 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783B (zh) * 2019-10-15 2021-04-06 重庆利迈陶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热面点火器的控制策略
CN112161293A (zh) * 2020-08-19 2021-01-01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提高锅炉燃油自动点火成功率的优化控制方法
DE102022125189A1 (de) * 2022-09-29 2024-04-04 Vaillant Gmbh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eines Heizgerätes, Regel- und Steuergerät, Heizgerät und Computerprogram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4603C (de) * 1930-11-28 1934-10-25 Gilbert & Barker Mfg Co Elektrische Regelvorrichtung fuer OElzerstaeuberbrenner
DE2448098C2 (de) * 1974-10-09 1980-07-03 Danfoss A/S, Nordborg (Daenemark) Mit Wechselspannung gespeiste Schaltung für einen Flammenwächter einer Feuerungsanlage
DE3838298A1 (de) * 1988-11-11 1990-05-17 Ebeko Engineering Gmbh Zuendverfahren fuer einen atmosphaerischen oelbrenner mit einem elektrisch betriebenen widerstands-zuendelement
DE3901749A1 (de) * 1989-01-21 1990-07-26 Ebeko Engineering Gmbh Zuendverfahren fuer einen atmosphaerischen oelbrenner mit einem elektrisch betriebenen zuendelement
US5195886A (en) * 1989-09-29 1993-03-23 Zexel Corporation Combustion heater
KR100263029B1 (ko) * 1991-09-02 2000-09-01 수즈키 시게오 열풍기
DE19605216C5 (de) * 1996-02-13 2010-01-21 Webasto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zeugzusatzheizgerätes und Glüheinr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185A (ko) 2015-01-21 2016-07-2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오일버너 및 이를 구비한 증발가스 처리장치용 가스연소기
KR102472623B1 (ko) 2022-03-23 2022-11-29 주식회사 에코플랜텍 하이브리드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52670A1 (fr) 2004-09-24
SE0400671D0 (sv) 2004-03-17
ITTO20040184A1 (it) 2004-06-18
DE10312111A1 (de) 2004-10-07
GB2401930A (en) 2004-11-24
DE10312111B4 (de) 2005-06-16
CN1550715A (zh) 2004-12-01
GB2401930B (en) 2006-04-26
FR2852670B1 (fr) 2007-01-26
GB0405622D0 (en) 2004-04-21
SE528997C2 (sv) 2007-04-03
SE0400671L (sv)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35813A (en) Furnace and control system for gaseous and liquid fuel burners
KR20040083363A (ko) 오일 버너의 점화 방법 및 오일 버너 장치용 점화 장치
JP4542049B2 (ja) 燃焼制御装置
US4102630A (en) Burner control system
KR100212917B1 (ko) 연소기기의 점화/소화 제어방법
KR100395939B1 (ko) 쿨링팬과 오븐밸브 연동회로
KR100193438B1 (ko) 연소기기의 점화방법
JP3253576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960003581B1 (ko) 폐유 자동 연소장치
FI72594B (fi) Likstroemsdriven styranordning foer en gasbraennare.
JP3649840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493106B2 (ja) 燃焼暖房機
KR0157170B1 (ko) 압송무화식 팬히터의 소화시 냄새억제방법
JPH09250741A (ja) 燃焼装置
KR0182532B1 (ko)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JP2950040B2 (ja) 燃焼制御装置
KR19980052687A (ko) 팬히터의 기화기내 타르발생 제어방법
JP2004028509A (ja) 温風暖房機の制御装置
JPH07243614A (ja) ポット式石油燃焼器の防臭装置
JP2004293934A (ja) 気化式燃焼器の制御装置
JP2001165433A (ja) ポット式石油燃焼器の燃焼装置
JP2000111037A (ja) 石油給湯機の着火制御装置
KR19980075422A (ko) 연소기기의 구동제어방법
KR970066287A (ko) 무화식 석유 연소기기의 주위온도에 따른 점화제어방법
JPH07145934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