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532B1 -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532B1
KR0182532B1 KR1019950010613A KR19950010613A KR0182532B1 KR 0182532 B1 KR0182532 B1 KR 0182532B1 KR 1019950010613 A KR1019950010613 A KR 1019950010613A KR 19950010613 A KR19950010613 A KR 19950010613A KR 0182532 B1 KR0182532 B1 KR 018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combustion
temperature
fan mo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98A (ko
Inventor
안상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532B1/ko
Publication of KR96003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모터의 동작시에 음이온을 발생하여 실내의 살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연소연료를 공급하는 전자펌프와, 상기 전자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된 연소연료를 기화시키도록 실내의 연소용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배출하는 버너모터와, 상기 연소연료 및 연소용 공기가 혼합된 가스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트와, 상기 이그나이트에 의해 점화된 기화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팬모터와, 상기 버너의 온도 및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된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버너온도가 기설정된 소정온도 이상인가를 비교판단하여 버너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팬모터구동수단과, 상기 팬모터이 구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가 온되면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음이온을 발생하는 AC형 음이온발생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NEGATIVE GENERATING APPARATUS OF A COMBUSTION DEVICE)
제1도는 종래에 의한 연소기기의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 제어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제어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제어회로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기의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전원수단 35 : 운전조작수단
40 : 온도감지수단 45 : 제어수단
50 : 버너모터구동수단 51 : 버너모터
55 : 버너 60 : 이그나이트구동수단
61 : 이그나이트 70 : 전자펌프구동수단
71 : 전자펌프 80 : 팬모터구동수단
81 : 팬모터 90 : 음이온발생수단
91 : 음이온발생기 100 : 표시수단
본 발명은 팬모터의 동작시에 음이온을 발생하여 실내의 살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연소기기에 있어서는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부(7)에 의해 변화하는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실내온도데이타를 제어부(5)에서 입력받아 운전조작부(3)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와 비교한다음 그 온도차에 따라 상기 연소기기의 연소레벨을 결정한다.
이때, 버너모터가 일정시간동안 구동되어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이그나이트가 동작되어 고압의 불꽃을 튀긴다.
그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전자펌프의 구동에 따라 연료탱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연료(석유, 등유등의 오일;이하, 연소연료라 한다)가 펌핑되어 노즐을 통해 버너내에 분사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된 연소연료는 공기통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버너에서 일정한 온도로 기화되고, 그 혼합된 가스는 이그나이트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가 행해진다.
이때, 상기 버너내에서 기화혼합가스가 이그나이트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가 행해짐으로써 상승되는 상기 버너의 온도를 온도감지부(7)에서 감지하여 버너온도가 소정온도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5)에서는 버너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팬모터구동부(9)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팬모터구동부(9)에서는 제어부(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팬모터(11)를 구동시킨다. 상기 팬모터(11)가 설정풍량에 따라 구동을 시작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모터(11)에 연결된 전류트랜스(CT1)에 소정의 교류전압이 유도되고, 상기 전류트랜스(CT1)에 유도된 교류전압은 브리지정류기(15)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전파정류된다.
상기 브리지정류기(15)에 의해 전파정류된 직류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은 평활용 캐패시터(C1)를 통해 필터링되고, 상기 평활용 캐패시터(C1)에서 필터링된 직류전압은 분압저항(R1, R2)을 통해 일정비율로 분압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면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에 저항(R3)을 개재해서 접속된 트랜지스터(TR2)가 턴온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교류전원입력단(1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은 감압트랜스(17)에 의해 소정의 저전압으로 감압되고, 상기 감압트랜스(17)에 의해 감압된 2차측 교류전압은 브리지정류기(19)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전파정류된다.
상기 브리지정류기(19)에 의해 전파정류된 직류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은 평활용 캐패시터(C5)를 통해 필터링되고, 상기 평활용 캐패시터(C5)에서 필터링된 직류전압은 정전압소자(21)의 입력단(I)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압소자(21)의 출력단(O)에는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어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단자에 인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단자에 접속된 음이온발생기(23)에 일정한 DC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음이온발생기(23)가 동작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여 실내의 살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음이온발생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팬모터가 동작해야만 음이온이 발생하므로 팬모터가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팬모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회로 및 음이온발생기가 DC전압으로 제어하므로 제어회로가 복잡할뿐만 아니라, 제조비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팬모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AC형의 음이온발생기를 사용하여 제어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는, 연소연료를 공급하는 전자펌프와, 상기 전자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된 연소연료를 기화시키도록 실내의 연소용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배출하는 버너모터와, 상기 연소연료 및 연소용 공기가 혼합된 가스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트와, 상기 이그나이트에 의해 점화된 기화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실낼 배출하는 팬모터와, 상기 버너의 온도 및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된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버너온도가 기설정된 소정온도 이상인가를 비교판단하여 버너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팬모터구동수단과, 상기 팬모터의 구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가 온되면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음이온을 발생하는 AC형 음이온발생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수단(30)은 교류전원입력단(1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연소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운전조작수단(35)은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난방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연소기기의 가동시간등에 관한 운전조건을 입력하도록 상기 연소기기의 콘트롤판넬상에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연소기기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운전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온도감지수단(40)은 상기 연소기기의 난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연소로 내부온도 즉, 버너(55)의 온도(Tb)와 실내온도(Tr)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이다.
제어수단(45)은 상기 전원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연소기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연소기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45)은 상기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에 따라 상기 연소기기의 연소레벨을 결정한다.
또한, 버너모터구동수단(50)은 상기 제어수단(4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연소기기의 초기동작시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도시되지않은 배기구를 통해 배출시킴은 물론, 실내의 연소용 공기를 버너(55)내로 흡입하도록 버너모터(51)를 구동제어하는 것으로써, 이 버너모터(51)의 축에는 송풍기가 장착되어 있다.
이그나이트구동수단(60)은 상기 제어수단(4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버너(55)내에 분사된 연소연료에 불꽃을 튀기어 점화시키도록 이그나이트(61;점화트랜스)를 구동제어하고, 전자펌프구동수단(70)은 상기 제어수단(4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연료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연소연료를 압축하여 도시되지 않은 노즐을 통해 버너(55)내로 분사하도록 펌핑하는 전자펌프(71)를 구동제어한다.
또, 팬모터구동수단(80)은 상기 제어수단(4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버너(55)내에서 기화혼합가스가 상기 이그나이트(61)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가 행해짐으로써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상기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풍량에 따라 팬모터(81)를 '강', '중', '약'으로 구동제어한다.
음이온발생수단(90)은 상기 팬모터구동수단(80)에 의한 팬모터(81)의 구동시에 상기 제어수단(4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실내의 살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하도록 자유전자인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으로써, 이 음이온발생수단(90)은 상기 제어수단(45)의 출력단자(01, 0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온/오프되는 릴레이(RY1)와, 상기 릴레이(RY1)의 온/오프동작시에 상기 교류전원입력단(1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입력받아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기(9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표시수단(100)은 상기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의 난방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연소기기의 가동시간등의 운전조건을 표시함은 물론, 상기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 및 연료탱크내의 연료량등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기의 제어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제5a도 내지 제5c도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연소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수단(30)에서는 교류전원입력단(1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상기 연소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45)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제어수단(45)에서 입력받아 상기 연소기기를 초기화시키고, 스텝S2에서는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난방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연소기기의 가동시간등의 운전조건을 입력한다.
이때, 표시수단(100)에서는 상기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입력된 난방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연소기기의 가동시간 등을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S3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운전조작수단(35)의 운전스위치가 온되었는가를 판별하여, 운전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운전스위치가 온될때까지 상기 연소기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스텝S3에서의 판별결과, 운전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S4로 나아가서 현재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5)에 출력하고, 제어수단(45)에서는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데이타(Tr)를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S5에서는 상기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입력된 난방설정온도(Ts)가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보다 큰가를 판별하여, 난방설정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를 난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텝S4로 복귀하여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S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탭S5에서의 판별결과, 난방설정온도(Ts)가 실내온도(Tr)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를 난방시켜야 하므로 스텝S6에서는 난방설정온도(Ts)와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45)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연소레벨(가장 낮은 연소상태에서 가장 높은 연소상태까지를 일정한 단계로 분류한 것)을 결정하고, 스텝S7에서는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수단(45)에서 버너모터구동수단(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버너모터구동수단(50)에서는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소정시간(프리퍼지타임)동안 버너모터(51)를 구동시켜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도시되지 않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버너모터(51)의 구동에 의한 프리퍼지타임이 경과하여 연소로내의 폐가스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면, 스텝S8에서 제어수단(45)은 버너(55)내에 불꽃을 튀기어 점화시키도록 이그나이트구동수단(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그나이트구동수단(60)에서는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소정시간동안 이그나이트(61)를 구동시켜 버너(55)내에 고압의 불꽃을 튀기고, 스텝S9에서 제어수단(45)은 상기 스텝S6에서 결정된 연소레벨에 따라 연소연료를 버터(55)내에 공급하도록 전자펌프구동수단(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펌프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전자펌프(71)를 구동하여 연료탱크내의 연소연료를 펌핑하기 시작하고, 상기 전자펌프(71)를 구동하여 연료탱크내의 연소연료를 펌핑하기 시작하고, 상기 전자펌프(71)에 의해 펌핑되는 연소연료가 노즐을 통해 버너(55)내로 분사된다.
이때, 버너모터구동수단(50)에서는 상기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버너모터(51)를 구동시켜 실내의 연소용 공기를 공기통로를 통해 버너(55)내로 흡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버너(55)에서는 전자펌프(71)의 구동에 따라 공급된 연소연료와 버너모터(51)의 구동에 따라 흡입된 실내의 연소용 공기를 혼합시켜 일정한 온도에서 기화하도록 하면서 연소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기화혼합가스를 상기 이그나이트(61)에 의해 점화시켜 연소를 행한다.
이어서, 스텝S10에서는 상기 연소기기의 연소시에 상승하는 연소로 내부온도 즉, 버너(55)의 온도(Tb)를 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45)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1에서 제어수단(45)은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버너(55)의 온도(Tb)가 45℃(연소운전시에 찬바람이 실내로 토출되지 않는 최저온도)이상인가를 판별하여, 상기 버너(55)의 온도(Tb)가 45℃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버너(55)의 온도(Tb)가 45℃가 될때까지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버너(55)의 온도(Tb)를 계속해서 감지하면서 스텝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1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버너(55)의 온도(Tb)가 45℃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버너(55)에서 가열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어도 찬바람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으므로 스텝S12에서 제어수단(45)은 버너(55)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팬모터구동수단(8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팬모터(81)를 구동시킴으로써 버너(55)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난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팬모터(81)는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에 따라 '강풍', '중풍' 또는 '약풍'으로 구동된다.
상기와 같이 팬모터(81)가 구동되면, 스텝S13에서 제어수단(45)은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출력단자(01, 02)를 통해 음이온발생수단(90)에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45)의 출력단자(01, 02)에 접속된 여자코일(L1)에 전류가 유기되면서 릴레이(RY1)가 온된다.
상기 릴레이(RY1)가 온되면, 스텝S14에서는 교류전원입력단(1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이 음이온발생기(91)에 인가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91)로부터 음이온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91)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팬모터(81)의 구동에 따라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의 살균 및 탈취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팬모터(81)가 구동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실내온도(Tr)가 점차 상승하여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입력된 난방설정온도(Ts)와 같아지게 되는데, 스텝S15에서는 상기 팬모터(81)의 구동에 따라 변화하는 실내온도(Tr)를 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45)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S16에서 제어수단(45)은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운전조작수단(35)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난방설정온도(Ts)와 같은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난방설정온도(Ts)와 같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5로 복귀하여 스텝S1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16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난방설정온도(Ts)와 같은 경우(YES일 경우)에는 연소기기의 난방운전을 정지해야 하므로 스텝S17에서는 상기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전자펌프(71), 이그나이트(61)를 정지시키고 버너모터(51)와 팬모터(81)만을 구동시킨다.
이는, 연소운전장지시에도 상기 버너모터(51)와 팬모터(81)를 구동하여 연소기기내의 가열된 버너(55)를 식혀줌으로써 기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스텝S18에서는 상기 버너모터(51)와 팬모터(81)의 구동에 따라 낮아지는 버너(55)의 온도(Tb)를 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5)에 출력하고, 스텝S19로 나아가서 제어수단(45)은 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버너(55)의 온도(Tb)가 30℃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S19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버너(55)의 온도(Tb)가 30℃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가열된 버너(55)가 안전하게 식은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스텝S17로 복귀하여 버너(55)의 온도(Tb)가 30℃가 될때까지 버너모터(51)와 팬모터(81)를 계속해서 구동시키면서 스텝S17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S19에서의 판별결과, 상기 버너(55)의 온도(Tb)가 30℃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버너(55)가 안전하게 식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스텝S20에서는 상기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팬모터(81)를 정지시켜 연소기기를 운전대기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팬모터(81)가 정지되면, 스텝S21에서 제어수단(45)은 음이온이 더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출력단자(01, 02)를 통해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45)의 출력단자(01, 02)에 접속된 여자코일(L1)에 전류가 유기되지 않게 되면서 릴레이(RY1)가 오프된다.
상리 릴레이(RY1)가 오프되면, 교류전원입력단(13)으로부터 음이온발생기(91)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차단되어 상기 음이온발생기(91)에서는 음이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스텝S22에서는 상기 팬모터(81)의 정치후에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22로 복귀하여 버너모터(51)를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구동시키면서 스텝S2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S22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연소고내의 폐가스가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었다고 판단하여 스텝S23에서는 상기 제어수단(45)의 제어에 따라 버너모터(51)를 정지시키면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연소기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팬모터와 음이온발생기가 적용되는 공기조화기 및 냉장고등에서도 본 발명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팬모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AC형의 음이온발생기를 사용하여 제어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소연료를 공급하는 전자펌프와, 상기 전자펌프의 구동에 따라 공급된 연소연료를 기화시키도록 실내의 연소용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연소로내의 폐가스를 배출하는 버너모터와, 상기 연소연료 및 연소용 공기가 혼합된 가스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트와, 상기 이그나이트에 의해 점화된 기화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팬모터와, 상기 버너의 온도 및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된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버너온도가 기설정된 소정온도 이상인가를 비교판단하여 버너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구동시키는 팬모터구동수단과, 상기 팬모터의 구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가 온되면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음이온을 발생하는 AC형 음이온발생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1019950010613A 1995-04-29 1995-04-29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018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613A KR0182532B1 (ko) 1995-04-29 1995-04-29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613A KR0182532B1 (ko) 1995-04-29 1995-04-29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98A KR960038298A (ko) 1996-11-21
KR0182532B1 true KR0182532B1 (ko) 1999-03-20

Family

ID=1941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613A KR0182532B1 (ko) 1995-04-29 1995-04-29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5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98A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12895A (ja) 燃料油バーナのための熱表面点火制御器
KR0182532B1 (ko)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0159610B1 (ko) 온풍난방기의 에어퍼지 장치 및 방법
KR0168171B1 (ko) 냉난방기의 연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9612B1 (ko) 온풍난방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0182531B1 (ko) 연소기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20008877B1 (ko)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KR0136725B1 (ko) 연소기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3438B1 (ko) 연소기기의 점화방법
JPH0682038A (ja) 気化器のヒータ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921333B2 (ja) 気化器温度制御装置
KR960010794B1 (ko) 팬히터의 절약연소 제어방법
KR19980043498A (ko) 냉난방기의 난방장치 및 난방장치의 작동제어방법
KR0157491B1 (ko) 분젠식 팬히터의 불꽃조절 제어방법
KR100213647B1 (ko) 오일연소기의 초기점화 제어방법
JP2023178672A (ja) 燃焼機
JP2704608B2 (ja) 燃焼装置
KR950005241B1 (ko) 석유연소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9980014768A (ko) 팬히터 온도상승 제어방법
KR19980074902A (ko) 연소기기의 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198103A (ja) 燃焼装置
JPH0561645U (ja) 気化式暖房装置
JPH06313541A (ja) 温風暖房機
KR19980072595A (ko) 연소기기의 구동제어장치
KR19980075422A (ko) 연소기기의 구동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