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77B1 -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77B1
KR920008877B1 KR1019890014343A KR890014343A KR920008877B1 KR 920008877 B1 KR920008877 B1 KR 920008877B1 KR 1019890014343 A KR1019890014343 A KR 1019890014343A KR 890014343 A KR890014343 A KR 890014343A KR 920008877 B1 KR920008877 B1 KR 92000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voltage
flame detection
combustion
vf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337A (ko
Inventor
문중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877B1/ko
Priority to JP2269288A priority patent/JPH03134408A/ja
Publication of KR91000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8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power-assis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ionisation-sensitive elements, i.e. flame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1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이 적용되는 석유 팬히터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불꽃감지부의 상세도.
제3도는 공기 공급량의 변화에 대한 불꽃감지부의 불꽃감지전압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의 공기 공급량 조절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마이콤 6 : 불꽃감지부
9 : 전자펌프 14 : 버너모타
VFR, BFRI, VFRD : 불꽃감지전압.
본 발명은 석유 팬히터 등과 같은 연소기기에 있어서, 연소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의 연소비가 최적인 상태로 연소될수 있도록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소기기는 연료공급수단 즉 전자펌프가 구동되면서 이때 공급되어지는 연료량에 따라 공기량을 공급하는 버너모터의 회전수를 연료량과 공기량이 최적의 연소비가 되도록 미리 설정한 값으로 구동하는 버너로 연소용공기를 공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너모터의 회전수를 미리 설정하는 것은 기구메카니즘, 전자펌프의 연료토출량 및 버너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공기공급량등이 이상적일 경우에 연료량과 공기량의 연소비가 최적인 상태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으나, 연소기기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기구 메카니즘이 손상되어 전자펌프의 연료토출량 및 버너모터의 회전수에 따른 공기공급량이 가변되며 기타 주변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연료량과 공기량의 연소비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 수 없어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고, 연료의 소비가 많음은 물론 심한 매연이 나오게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너로 공급되는 연료가 완전연소가 될 수 있도록 연료량에 따른 최적의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량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너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프레임로드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현재 공급되고 있는 연료량에 맞게 설정된 버너모터의 회전수로 구동하는 불꽃감지 전압을 입력한후, 버너모터의 회전수를 증가 시키면서 단위시간 간격으로 불꽃전압을 입력하여 그 값이 최대가 되는 모터회전수를 찾아내고, 또한 버너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서 불꽃감지전압을 입력하여 그 값이 최대가 되는 모터회전수를 찾아내어 상기 연료량에 맞게 설정된 버너모터의 회전수에 의해 입력된 불꽃감지전압과, 서로 비교하여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버너모터의 회전수로 모터를 구동토록 함으로써 연료량과 공기공급량의 연소비가 최적이 되는 상태로 항상 연소용공기가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이 적용되는 석유 팬히터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연소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과, 정전원을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원부(2)와, 각종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부(3)와,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와, 버너의 온도 및 실내온도등을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와, 버너의 연료연소에 따른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부(6)와, 히터(7)를 발열시켜 버너를 가열하는 히터구동부(8)와, 전자펌프(9)를 구동시켜 버너로 연료를 공급하는 전자펌프구동부(10)와, 이그나이터(11)를 구동시켜 버너로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 구동부(12)와, 내부의 가열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팬모터(13) 및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버너모타(14)를 각각 구동시키는 팬모타 구동부(15) 및 버너모타 구동부(16)와, 팬모타(13) 및 버너모타(1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팬모타 회전수 감지부(17) 및 버너모타 회전수 감지부(1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석유 팬히터는 정전원부(2)가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키보드부(3)를 조작하여 동작명령을 입력시키면, 마이콤(1)은 히터구동부(8)를 제어하여 히터구동부(8)가 히터(7)를 발열시키고, 버너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버너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마이콤(1)은 전자펌프 구동부(10) 및 이그나이터 구동부(12)를 제어하여 전자펌프 구동부(10)가 전자펌프 (9)를 구동시키면서 버너로 연료를 분사시키고, 이그나이터 구동부(12)는 이그나이터 (11)를 구동시켜 버너로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시키며, 점화가 되어 연료가 연소되면, 팬모타 구동부(15) 및 버너모타 구동부(16)를 제어하는 팬모타 구동부(15)가 팬모타(13)를 구동시키면서 연료의 연소에 따라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고, 버너모타 구동부(16)는 버너모타(15)를 구동시켜 버너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며, 팬모타 회전수 감지부(17) 및 버너모타 회전수 감지부(18)는 팬모타(13) 및 버너모타(14)의 회전수를 각기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불꽃감지부(6)는 연료의 연소에 따른 불꽃감지전압을 출력하고 출력한 불꽃감지전압으로 연료의 연소상태를 판별하며, 버너모타(14)를 제어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최적의 상태로 연료가 연소되게 하며, 표시부(4)에 현재 실내온도, 설정온도 및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2도는 불꽃감지부(6)의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감지의 기준전압(VA)을 공급하는 저항(R1∼R3), 콘덴서(C1) 및 연산증폭기(OP1)로 된 기준전압 공급부(61)와, 불꽃의 상태를 감지하는 저항(R4∼R9), 연산증폭기(OP2) 및 프레임로드(FR)로 된 감지부(62)와, 상기 기준전압 공급부(61) 및 감지부(62)의 출력전압을 비교 증폭하여 불꽃의 감지전압(VFR)을 출력하는 저항(R10∼R15), 콘덴서(C2,C3) 및 연산증폭기(OP3)로 된 불꽃감지전압 출력부(63)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불꽃감지부(6)는 동작전원(VCC,VB)이 인가되면 기준전압 공급부(61)의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다음의 식과 같이 기준전압(VA)이 인가되고, 그 기준전압(VA)은 연산 증폭기(OP1)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된다.
Figure kpo00001
그리고, 감지부(62)는 버너의 불꽃에 따라 프레임로드(FR)의 저항값이 가변되면서 기준전압(VA)을 기준으로 다음의 식과 같이 감지전압(VF)을 출력하게 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RFR은 프레임로드(FR)의 저항값임.
이와 같이(62)가 기준전압(VA) 및 감지전압(VF)을 각기 출력하면, 그 출력한 기준전압(VA) 및 감지전압(VF)은 불꽃감지전압 출력부(63)의 연산증폭기(OP3)에 인가되어 연산증폭기(OP3)는 다음의 식과 같이 감지전압(VOUT)을 출력하게 된다.
Figure kpo00003
그리고 연산증폭기(OP3)가 출력하는 감지전압(VOUT)은 저항(R13,R14)에 의해 다음의 식과 같이 분할되어 불꽃감지전압(VFR)으로 되고, 그 불꽃감지전압( VFR)은 저항(R15)을 통해 마이콤(1)으로 입력된다.
Figure kpo00004
이때 버너의 불꽃이 최적의 상태 즉, 공기 공급량이 적정하여 연료가 완전 연소될 경우에는 버너의 불꽃이 가장 강하게 되어 프레임로드(FR)의 저항값(RFR)이 가장 작게되므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감지전압(VFR)이 가장 높게 되고, 공기 공급량이 적거나 또는 많음에 따라 프레임로드(FR)의 저항값(RFR)이 커지게 되므로 불꽃감지전압(VFR)이 점차 낮아지게 되어 마이콤(1)은 불꽃감지전압(VFR)의 크기로 공기 공급량이 적정한 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로서, 연소기기에 전원이 인가되고 연소동작에 대한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키신호입력단계(100)와, 상기 키 신호입력단계(10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른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단계(101)와, 운전스위치가 온되어 있나를 판단하는 운전 온판다단계(102)와, 상기 운전온판단단계 (102)에서 운전온시 히터를 발열시키는 히터발열단계(103)와, 상기 히터발열단계( 103)에서 발열된 히터온도가 소정온도이상 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소정온도가 될 때까지 히터를 발열시키는 히터온도판단단계(104)와, 상기 히터온도판단단계(104)에서 히터온도가 소정온도이상이 되면,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구동단계(105)와, 상기 이그나이터 구동단계(105)에서 연소점화 완료되면 실내온도 및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발열단계를 결정하는 발열단계결정단계(106)와, 상기 발열단계결정단계(106)에서 결정된 발열단계에 따라 전자펌프, 팬모타, 버너모타를 구동시키는 전자펌프, 팬모타, 버너모터구동단계(107)와, 상기 전자펌프, 팬모타 및 버너모타 구동단계(107)에서 구동연소중에 발생되는 불꽃전압을 프레임로드로 감지하여 입력하는 불꽃감지전압 입력단계(108)와, 상기 불꽃감지전압 입력단계(108)에서 입력되는 불꽃감지전압이 소정의 값인가를 판단하는 불꽃감지전압판단단계(109)와, 상기 불꽃감지전압판단단계(109)에서 불꽃감지전압(VFR)이 소정의 값이면 운전조건이 정상인가를 판단하여 다음동작을 수행하면서 운전을 하는 운전조건판단단계(110)로 하여 연소구동을 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불꽃감지전압판단단계(109)에서 불꽃감지전압(VFR)이 소정의 값이상이 아니면, 버너모타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버너모타 회전수증가단계(117)와, 상기 버너모타회전수 증가단계(111)에서 증가된 공기량에 따라 변화하는 불꽃감지전압(VFRI)을 입력하는 불꽃감지전압 입력단계(112)와, 상기 불꽃감지전압 입력단계(112)에서 입력된 불꽃감지전압(VFRI)이 기 불꽃감지전압(VFR)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불꽃감지전압 비교판단단계(113)와, 상기 불꽃감지전압 비교판단단계(113)에서 입력된 불꽃감지전압 (VFRI)이 불꽃감지전압보다 크면 입력된 불꽃감지전압(VFRI)을 저장하는 불꽃감지전압저장단계(114)로 하여 버너모타 회전수를 계속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연소공기량 증가단계(가)와, 상기 불꽃감지전압 비교판단단계(113)에서 불꽃감지저압 (VFRI)이 기 불꽃감지전압(VFR)보다 크지 않으면 버너모타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버너모타 회전수감소단계(115)와, 상기 버너모타 회전수감소단계(115)에서 감소된 회전수에 따른 공기량에 의하여 변화되는 불꽃감지전압(VFRD)를 입력하는 불꽃감지 전압입력단계(116)와, 상기 불꽃감지전압입력단계(116)에서 입력된 불꽃감지전압( VFRD)이 기 불꽃감지전압(VFR)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 17)와, 상기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17)에서 불꽃감지전압(VFRD)이 기 불꽃감지전압(VFR)보다 크면 상기 불꽃감지전압(VFRD)을 저장하면서 상기 버너모타 회전수 감소단계(115)로부터 반복수행하는 불꽃감지 전압저장단계(118)로 하여 버너모타회전수를 계속 감소시키는 연소 공기량 감소단계(나)와, 상기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17)에서 불꽃감지전압(VFRD)가 기 불꽃감지전압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운전조건판단단계(110)를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소기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마이콤(1)에서는 키신호입력단계(100)에서 키입력기능을 수행하여 키보드부(3)로부터 동작명령을 입력하고, 표시단계(101)에서 표시기능을 수행하여 표시부(4)에 동작상태등을 표시하며, 운전온 판단단계(102)에서 키보드부(3)의 운전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온되었을 경우에 마이콤(1)에서는 히터발열단계(103)로 가서 히터구동부(8)를 제어하여 히터(7)를 발열시키면서 버너를 가열하고, 히터온도 판단단계(104)로 가서 발열되는 히터(7)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 즉, 버너가 소정온도 이상 가열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온도이상으로 될 때까지 히터(7)를 계속 발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소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마이콤(1)에서는 이그나이터 구동단계(105)로 가서 이그나이터(11)로 동작시켜 점화시키고, 점화가 되면 마이콤(1)에서는 발열단계결정단계(106)로 가서 실내온도 및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발열단계를 결정한 후 전자펌프, 팬모타, 버너모타구동단계(107)로 가서 전자펌프(9), 팬모타(13) 및 버너모타(14)를 구동시켜 전자펌프(9)가 연료를 공급하고, 팬모타(13)가 연료의 연소에 따라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며, 버너모타(14)가 버너로 연료의 연소용 공기를 공급시키면서 연료를 점화 및 연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료가 연소되면, 마이콤(1)에서는 불꽃감지전압입력단계(108)로 가서 불꽃감지부(6) 입력하고, 불꽃감지전압판단단계 (109)로 가서 그 불꽃감지전압(VFR)이 소정값 이상 즉, 연료가 최적의 상태로 연소될 경우의 값이 이상인지를 판별하고, 소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마이콤(1)에서는 연료량과 공기량의 연소비가 최적상태라고 판단한 후 운전조건판단단계(110)로 가서 운전조건이 정상인지를 판별하여 정상이면 다음 동작을 수행하면서 계속 운전한다.
그러나, 상기 불꽃감지전압 판단단계(109)에서 불꽃감지전압(VFR)이 소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연료량과 공기량의 연소비가 최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마이콤(1)에서는 연소공기량 증가단계(가)인 버너모타회전수 증가단계(111)로 가서 버너모타(14)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불꽃감지전압입력단계(112)로 가서 공기 공급량의 증가에 따른 불꽃감지전압(VFRI)을 입력한 후 마이콤(1)에서는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13)로 가서 바로전의 불꽃 감지전압(1)에서는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13)로 가서 바로전의 불꽃 감지전압(VFR)과 비교하여 VFRI
Figure kpo00005
VRF일 경우에는 즉 프레임로드의 저항값이 작아지면 마이콤(1)에서는 불꽃감지전압 저장단계(114)로 가서 불꽃감지전압(VFRI)을 불꽃감지전압(VFR)으로 저장하고, 다시 버너모타 회전수 증가단계(111)로 가서 버너모타(14)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며, 상기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13)에서 VFRI
Figure kpo00006
VFR이 아닌 경우 즉 프레임로드의 저항값(RFR)이 커지면 마이콤(1)에서는 연소공기량 감소단계(나)인 버너모타 회전수감소단계(115)로 가서 버너모타(14)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고, 불꽃감지전압 입력단계(116)로 가서 공기 공급량의 감소에 따른 불꽃감지전압(VFRD)을 입력한 후 불꽃감지전압비교판단단계(117)로 가서 불꽃감지전압(VFR)과 비교하여 VFRD
Figure kpo00007
VFR일 경우 즉 프레임로드의 저항값이 작아지면 마이콤(1)에서는 불꽃감지전압저장단계(118)로 가서 불꽃감지전압(VFRD)을 불꽃감지전압(VFR)으로 저장하고, 상기 버너모타회전수감소단계(115)로 가서 버너모타(14)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버너의 연소상태가 최적이 되도록 버너로 최적의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조절하며, VFRD
Figure kpo00008
VFR이 아닐 경우에는 즉 프레임로드의 저항값이 커지면 운전조건판단단계(110)로 가서 운전조건이 정상인지를 판별하여 정상일 경우에 다음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너의 불꽃에 따라 연소용 공기가 최적으로 공급되게 하므로 연료가 완전 연소되어 연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매연이 적게 나오게 되어 사용자가 쾌적하게 연소기기를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소기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마이콤(1)에 의하여 입력된 연소동작신호에 따라 히터와 이그나이터를 구동시켜 점화하고 발열단계로 결정하여 결정된 발열단계로 전자펌프, 팬모타, 버너모타를 구동하여 연소하며, 프레임로드로 연소중인 불꽃감지전압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불꽃감지전압(VFR)이 소정의 불꽃감지전압 이상이면 운전조건이 정상임을 판단하면서 연소구동을 하는 연소기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불꽃감지전압 (VFR)이 소정의 불꽃감지전압 이상이 아니면, 버너모타의 회전수를 증가한 후 회전수에 따른 불꽃감지전압(VFRI)을 입력하고 이 입력된 불꽃감지전압(VFRI)이 기 감지된 불꽃감지전압(VFR)이 이상인가를 판단한 후 이상이면 이를 저장하면서 버너모타 회전수를 계속 증가시켜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연소공기량 증가단계(가)와, 상기 연소공기량 증가단계(가)에서 증가된 회전수에 따른 불꽃감지전압(VFRI)이 기 감지된 불꽃감지전압(VFR)이상이 아니면, 버너모타 회전수를 감소하고 이 회전수 감소에 따른 불꽃감지전압(VFRD)을 입력하여 이 불꽃감지전압(VFR)이 기 감지된 불꽃감지전압(VFR)이상인가를 판단하여 불꽃감지전압(VFRD)이 크면 이를 저장하면서 버너모타 회전수를 계속 감소시켜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연소공기량 감소단계(나)로 하여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연소구동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KR1019890014343A 1989-10-06 1989-10-06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KR92000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343A KR920008877B1 (ko) 1989-10-06 1989-10-06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JP2269288A JPH03134408A (ja) 1989-10-06 1990-10-05 燃焼機器の空気供給量調節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343A KR920008877B1 (ko) 1989-10-06 1989-10-06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337A KR910008337A (ko) 1991-05-31
KR920008877B1 true KR920008877B1 (ko) 1992-10-10

Family

ID=1929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343A KR920008877B1 (ko) 1989-10-06 1989-10-06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134408A (ko)
KR (1) KR920008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6829A3 (en) * 1998-12-29 2003-03-12 Daewoo Electronics Co., Ltd Combustion control method for gas boiler
JP4593845B2 (ja) * 2001-08-28 2010-12-08 サンポット株式会社 石油燃焼器の再点火方法
JP5153955B1 (ja) 2012-07-03 2013-02-27 勝行 上林 エネルギー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804A (ja) * 1983-08-29 1985-03-16 Toray Eng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337A (ko) 1991-05-31
JPH03134408A (ja) 199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877B1 (ko)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GB2318862A (en) Gas boiler ignition
KR930006377B1 (ko) 석유 팬 히터의 공연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868067B2 (ja) 燃焼制御装置
KR910000901B1 (ko) 석유연소기의 발열량 제어방법
KR0168076B1 (ko) 연소기기의 공연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39098B1 (ko) 가스 보일러의 연소 제어 방법
KR0182532B1 (ko) 연소기기의 음이온발생장치
KR940000880B1 (ko) 오일 팬히터의 착화검지방법
KR910000227B1 (ko) 기화식 석유 연소기의 구동회로
KR0155423B1 (ko) 오일연소기의 자동 불꽃조정회로
KR0170837B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40002552A (ko) 난방기의 연소제어방법과 그 회로
KR950005241B1 (ko) 석유연소기기의 운전제어방법
KR0168171B1 (ko) 냉난방기의 연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40006906B1 (ko) 가스기기의 연소 안전장치
KR100213647B1 (ko) 오일연소기의 초기점화 제어방법
KR100206754B1 (ko) 가스보일러의 연소 비례 제어방법
KR100187045B1 (ko) 오일연소기의 점화검지방법
KR0171929B1 (ko) 오일연소기의 연소 제어방법
KR920008882B1 (ko) 연소기기의 과열 검출방법
KR0156217B1 (ko) 온풍난방기의 연소장치 및 제어방법
KR19990027494A (ko) 가스압 변동에 따른 배기팬 제어방법
JP3680325B2 (ja) 温風暖房装置
KR930004520B1 (ko) 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