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797A -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797A
KR20040082797A KR1020030017477A KR20030017477A KR20040082797A KR 20040082797 A KR20040082797 A KR 20040082797A KR 1020030017477 A KR1020030017477 A KR 1020030017477A KR 20030017477 A KR20030017477 A KR 20030017477A KR 20040082797 A KR20040082797 A KR 2004008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client
general
lottery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필하
Original Assignee
심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필하 filed Critical 심필하
Priority to KR102003001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2797A/ko
Publication of KR2004008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797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경매 혹은 추첨을 통해서 판매하는 경우 그 경매 혹은 추첨판매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에게 참여의 대가로 물품금액을 할인하여 주어 물품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경매참여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찰가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에게 경매참가비를 부과하는 단계와; 경매참여자 수가 설정 수 이상이면 경매참여자중 낙찰자를 선정하여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경매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경매물품과 동일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그 물품에 대해서 경매참여대가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하여 주는 단계와; 할인 금액, 낙찰 금액 혹은 일반 판매금액의 결제여부에 따라 결제된 물품의 배송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METHOD FOR SELLING A PRODUCT ON THE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을 경매 혹은 추첨을 통해서 판매하는 경우 그 경매 혹은 추첨판매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에게 참여의 대가로 물품금액을 할인하여 물품 판매를 촉진시키는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온라인상에서 판매되고 있는 물품에 일률적으로 매겨져 있는 가격이 결제됨으로서 해당 물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방법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은 물품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는 관계로 전자상거래에서 점차 진부한 방법으로 쇠퇴해 가고 있다.
또 하나의 물품 판매방법으로서 경매를 통한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경매를 통한 물품판매의 경우 입찰자 측면에서 보면 낙찰확률이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물품구매기회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일반 경매의 경우에는 최고가를 기입한 입찰자가 낙찰되는 관계로 입찰자 측면에서 보면 그 이익률이 저조하다고 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매 참여자들에게 경매 참가비를 부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유찰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경매 참가비를 순수하게 손실 처리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추첨 방식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방법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 판매방법은 판매 물품의 판매가에 비해 훨씬 적은 비용을 참가비로 지급받고, 그 추첨에 참여한 다수의 참여자중 한 명을 당첨자로 선정하여 그에게 해당 물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판매방식에서도 미당첨된 참여자들은 선지급된 추첨 참가비를 순손실 처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경매와 추첨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에서는 유찰자와 미당첨자들이 일정 부분의 순손실을 감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반 구매자들은 경매 혹은 추첨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에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경매 혹은 추첨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이 일부 구매자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매 혹은 추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이 지불한 비용을 물품 구매시 보상하여 줌으로서 보다 많은 구매자들이 경매 혹은 추첨판매 방식을 이용토록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매자의 경매 혹은 추첨 참가비용을 보존해 주면서 하나의 경매 혹은 추첨에 참여할 수 있는 횟수를 복수 제공하여 낙찰 혹은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물품 판매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물품 판매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와 결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쇼핑몰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서,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경매참여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찰가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에게 경매참가비를 부과하는 단계와;
경매참여자 수가 설정 수 이상이면 경매참여자중 낙찰자를 선정하여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경매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경매물품과 동일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그 물품에 대해서 경매참여대가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하여 주는 단계와;
할인 금액, 낙찰 금액 혹은 일반 판매금액의 결제여부에 따라 결제된 물품의 배송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경매를 통한 물품 판매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은 해당 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에 그 경매참가비로 지불한 금액에 상응하는 할인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 비용 없이 경매에 참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추첨 판매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추가 비용 없이 경매 혹은 추첨에 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범위내에서 복수 입찰하거나 추첨에 복수 참가함으로서 낙찰 및 당첨 확률을 높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 예를 들면 다양한 결제방식과 낙찰 혹은 당첨후 물품 인도까지의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물품 판매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물품 판매 시스템은 크게 물품 구매자인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와 물품 판매자인 쇼핑몰 서버(110), 그리고 결제기관의 하나인 결제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구매자인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를 통해 쇼핑몰 서버(110)에 접속하여 경매 혹은 추첨에 참여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일반 구매방법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쇼핑몰 서버(110)는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들에게 물품 판매를 위해 필요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웹 페이지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놓은 판매 물품 리스트가 게시되어 있으며 경매, 추첨, 복권 등과 같은 메뉴선택버튼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쇼핑몰 서버(110)는 물품 판매에 따른 결제정보를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결제서버(120)로 전송하여 결제승인요청하고, 그 결제승인결과정보를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쇼핑몰 서버(110)는 기본적으로 회원 DB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DB에는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예를 들면 개인신상정보와 이메일 주소 등)와 각 회원이 참여한 경매물품 혹은 추첨물품의 코드, 그리고 그 경매 혹은 추첨에 참여하여 부여받은 상품부여 포인트가 함께 저장된다. 상기 쇼핑몰 서버(110)는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기 및 프린터와 접속되어 오프라인을 통한 물품구매대금의 입금사실을 입력받거나 배송정보를 출력하여 줄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물품 판매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방법은 쇼핑몰 서버(110)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이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매를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판매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첨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정보 단말기(100)를 통해 쇼핑몰 서버(110)에 접속 가능하다. 이와 같이 쇼핑몰 서버(11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로그인 과정을 밟을 수 있다. 이러한 로그인 과정은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는 없다. 다만 회원 클라이언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클라이언트의 로그인(210단계)을 통해 회원인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회원 인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경매를 통한 물품구입의사, 즉 경매참여요청(215단계)이 있으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입찰가 입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입찰가를 입력 확인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입찰가를 수신받게 된다.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경매 참여한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입찰가를 분류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220단계)한다.
한편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경매 참여한 클라이언트에게 경매참가비를 부과(225단계)한다. 이러한 경매참가비의 부과사실은 이미 초기 웹 페이지 혹은 클라이언트의 경매참여 요청시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경매참가비는 경매되는 물품의 일반 판매가의 3% 범위 이내에서 책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유찰 가능성을 고려함인데 경매참가비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경매 물품과 동일 물품을 구매하지 않는 유찰자의 입장에서는 그 만큼 순손실분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경매참가비는 일반적인 결제방식 예를 들면신용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와 같은 방법을 통해 경매참여시 바로 결제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료포인트를 통해 부과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유료포인트는 신용카드 결제, 휴대폰 결제, 지로 입금과 같은 방법을 통해 우선 구입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료포인트는 회원정보와 함께 관리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클라이언트인 회원이 경매에 참여한 경우 그 경매 물품의 일반 판매가의 1%에 상응하는 유료포인트를 해당 회원의 유료 포인트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경매참가비를 부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매참가비를 각 경매참여자에게 부과하는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이후 230단계로 진행하여 경매참여자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더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경매에 참여할 수 없게 인원수를 제한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회원들에게 인원수 제한을 통해 낙찰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기 위함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경매참여자수가 설정치에 다다르면 이후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일반적인 경매방식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낙찰자를 선정한다. 즉, 최고 입찰가를 적어 낸 경매참여자를 낙찰자로 선정하여 그 사실을 메일 혹은 SMS를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통보(235단계)하여 준다. 그리고 이러한 낙찰사실을 웹 페이지에 게시하여 경매에 참여한 회원들에게 최고 낙찰가 및 낙찰자를 통보하여 준다. 참고적으로 낙찰사실을 통보받은 낙찰자는 추후 지정된 기간내에서 자신이 입력한 입찰가 대금을 온라인(카드, 휴대폰 결제 등)상에서 혹은오프라인(지로입금)상에서 결제 완료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그 사실을 결제서버(120) 혹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고 배송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여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사후 처리를 한다. 배송에 필요한 정보의 출력은 인쇄물을 통해 관리자에게 출력될 수도 있으며, 직접 연계된 배송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공지사실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경매에 참여하여 유찰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경매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240단계)하여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매참가비로 부과되는 유료포인트와 상품보유 포인트 및 1원은 일대일 개념인 것을 가정한다. 예를 들어 경매참가비가 일반 판매가의 1%로 책정되어 있다면 1,000,000원의 일반 판매가의 1%인 10,000이 경매참가비에 해당하며 이때 차감되는 유료포인트는 10,000이고 유찰로 인해 환급받는 상품보유 포인트 역시 10,000포인트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찰로 인해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받은 클라이언트는 추후에 상기 상품보유 포인트를 실 금액으로 환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누리게 되는데, 하나의 제약사항으로 자신이 참여한 경매 물품과 동일한 물품을 일반 구매할 경우에만 환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로그인한 클라이언트가 소정 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그 클라이언트가 구매 요청한 물품에 대하여 이전에 그 물품의 경매에 참여하여 유찰된 적이 있는가를 검색(245단계)한다. 만약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하여 유찰된 경험이 있다면 그 유찰로 인해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가 얼마인지를 체크하여 그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만큼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250단계)하여 준다. 이는 단순히 할인가격을 클라이언트에게 제시하여 주는 수준에 불과하다. 이러한 할인가격 제시에 클라이언트가 결제요청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일반적인 결제 플로우를 통해 결제 수행한다. 그리고 255단계에서 할인가격의 결제가 완료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클라이언트가 일반 구매한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여 준다. 배송정보의 출력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린트를 통해 관리자에게 출력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직접 배송회사 서버로 전송 출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매에 참여하여 유찰된 클라이언트는 동일 물품을 일반 구매할 경우 경매참가비를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매참여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매물품과 동일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에만 그 경매참여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를 환급받을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적립된 상품보유 포인트가 일정 포인트 이상(우량고객에 해당됨)일 경우에도 일반 구매 물품의 판매가에서 일정 금액을 할인하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경매방식을 통한 물품 판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첨방식을 통해 물품 판매를 촉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클라이언트의 로그인(310단계)을 통해 회원인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회원 인증이 완료된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100)로부터 추첨방식을 통한 물품구입의사, 즉 추첨구매참여요청(315단계)이 있으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추첨참여 클라이언트에게 추첨참가비를 부과(320단계)한다. 이러한 추첨참가비의 부과사실 역시 초기 웹 페이지 혹은 클라이언트의 추첨구매 참여요청시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추첨참가비 역시 추첨 판매되는 물품의 일반 판매가의 3% 범위 이내에서 책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선결제를 통해 사이버상에서 구입한 유료포인트의 삭감을 통해 부과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첨참가비를 각 추첨참여자에게 부과한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이후 325단계로 진행하여 추첨참여자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더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추첨에 참여할 수 없게 인원수를 제한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 역시 당첨확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추첨참여자수가 설정치에 다다르면 이후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일반적인 추첨방식에서 채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당첨자를 선정한다. 그리고 당첨자인 클라이언트에게 당첨사실을 메일 혹은 SMS를 통해 통보(330단계)하여 준다. 그리고 이러한 당첨사실을 웹 페이지에 게시하여 추첨에 참여한 회원들에게 통보하여 준다.
참고적으로 당첨사실을 통보받은 당첨자는 추후 지정된 기간내에 추첨가로 제시된 대금을 온라인(카드, 휴대폰 결제 등)상에서 혹은 오프라인(지로입금)상에서 결제 완료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그 사실을 결제서버(120) 혹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고 배송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여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사후 처리를 한다. 배송에 필요한 정보의 출력은 인쇄물을 통해 관리자에게출력될 수도 있으며, 직접 연계된 배송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 공지사실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추첨에 참여하여 미당첨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추첨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335단계)하여 준다. 그리고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추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가 해당 추첨 판매된 물품과 동일 물품을 일반 구매 요청하는가를 검사(340단계)한다. 검사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하여 미당첨 경험이 있다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해당 클라이언트가 그 물품의 추첨 판매 참여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가 얼마인지를 체크하여 그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만큼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345단계)하여 준다.
이러한 할인가격 제시에 클라이언트가 결제 요청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일반적인 결제 플로우를 통해 결제 수행한다. 그리고 350단계에서 할인가격의 결제가 완료되면, 쇼핑몰 서버(110)의 제어부는 클라이언트가 일반 구매한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355단계)하여 준다. 배송정보의 출력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린트를 통해 관리자에게 출력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직접 배송회사 서버로 전송 출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첨 판매에 참여하여 미당첨된 클라이언트는 동일 물품을 일반 구매할 경우 추첨참가비를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추첨참여로 인한 손실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 클라이언트가 경매 혹은 추첨에 일회 참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한된 범위내에서 복수 참여하여 낙찰 및 당첨확률을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 참여가 이루어진다면 구매자 입장에서는 동일 물품의 일반 구매시 그 만큼 할인 혜택이 많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매참여와 추첨참여를 통해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를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 물품에 대한 경매와 추첨에 참여했다면 동일 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경매와 추첨에 의해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를 취합하여 할인적용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매 혹은 추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들이 지불한 비용을 동일 물품 구매시 보상하여 줌으로서 보다 많은 구매자들이 경매 혹은 추첨판매 방식을 이용토록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경매 혹은 추첨 참여로 발생한 손실을 추후 동일 물품 구매시 보상하여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자의 경매 혹은 추첨 참가비용을 보존해 주면서 하나의 경매 혹은 추첨에 참여할 수 있는 횟수를 복수 제공하기 때문에 낙찰 혹은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와 결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쇼핑몰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에 있어서,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경매참여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찰가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에게 경매참가비를 부과하는 단계와;
    경매참여자 수가 설정 수 이상이면 경매참여자중 낙찰자를 선정하여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경매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경매물품과 동일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그 물품에 대해서 경매참여대가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하여 주는 단계와;
    할인 금액, 낙찰 금액 혹은 일반 판매금액의 결제여부에 따라 결제된 물품의 배송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립된 상기 상품보유 포인트가 일정 포인트 이상일 경우 일반 구매 물품의 판매가에서 일정 금액을 할인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매참가비는 경매 물품의 일반 판매가의 3% 범위 이내의 값으로 책정되며, 결제대가로 클라이언트에게 지급된 유료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부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 방법.
  4.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정보 단말기와 결제 서버에 접속 가능한 쇼핑몰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에 있어서,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추첨구매 참여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추첨구매 참여한 클라이언트에게 추첨참가비를 부과하는 단계와;
    추첨구매 참여자 수가 설정 수 이상이면 당첨자를 추첨 선정하여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단계와;
    당첨 실패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추첨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하여 주는 단계와;
    당첨 실패한 클라이언트가 상기 추첨물품과 동일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그 물품에 대해서 추첨참여대가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하여 주는 단계와;
    할인 금액, 당첨 금액 혹은 일반 판매금액의 결제여부에 따라 결제된 물품의 배송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립된 상품보유 포인트가 일정 포인트 이상일 경우 일반 구매 물품의 판매가에서 일정 금액을 할인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첨참가비는 추첨 판매하는 물품의 일반 판매가 3% 범위내의 값으로 책정되며, 결제대가로 클라이언트에게 지급된 유료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부과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 방법.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당첨금액은 추첨 판매 물품의 일반 판매가의 3% 범위내의 값으로 책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로그인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경매참여정보를 수신받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찰가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경매참여한 클라이언트에게 경매참가비를 부과하는 단계와;
    경매참여자 수가 설정 수 이상이면 경매참여자중 낙찰자를 선정하여 그 사실을 통보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상기 경매참가비에 대응하는 상품보유 포인트를 적립하여 주는 단계와;
    유찰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경매물품과 동일물품을 일반 구매하는 경우 그 물품에 대해서 경매참여대가로 부여받은 상품보유 포인트에 대응하는 금액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하여 주는 단계와;
    할인 금액, 낙찰 금액 혹은 일반 판매금액의 결제여부에 따라 결제된 물품의 배송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일반 구매하는 물품에 대해 경매참여사실 및 추첨구매 참여사실이 있으면 해당 경매참여와 추첨구매참여대가로 부여받은 포인트의 합산치에 대응하는 금액을 일반 판매가에서 할인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물품 판매 방법.
KR1020030017477A 2003-03-20 2003-03-20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KR20040082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477A KR20040082797A (ko) 2003-03-20 2003-03-20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477A KR20040082797A (ko) 2003-03-20 2003-03-20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797A true KR20040082797A (ko) 2004-09-30

Family

ID=3736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477A KR20040082797A (ko) 2003-03-20 2003-03-20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2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69A1 (ko) * 2018-12-10 2020-06-18 이운 전자 상거래 및 오프라인의 추첨식 판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69A1 (ko) * 2018-12-10 2020-06-18 이운 전자 상거래 및 오프라인의 추첨식 판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64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oints with a network event
KR20020067248A (ko) 머드 게임을 위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TWI407378B (zh) 用於管理抽獎類型之線上商場的方法與系統
US20020107074A1 (en) Method and system of selling merchandise through a virtual shop with an electronic lottery
US20080077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ird party sponsorship of a network event
JP2006514368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20122363A (ko) 공동 구매 방법 및 공동 구매 서버
US201203107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 auction over a network
US20130332300A1 (en) Auction System and Method
KR20040082797A (ko)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 방법
KR20190113716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WO2019221579A1 (ko) 유저 반응형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82542B2 (ja) 取引システム、取引プログラム及び取引方法
KR100590448B1 (ko) 가변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49464A (ko) 선불방식의 인터넷 상거래를 포함하는 이벤트 제품 공개경매방법
KR102258913B1 (ko) 할인폭을 변경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US20160019637A1 (en) Collective network purchasing (cnp) system
KR100355412B1 (ko)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광고용 상품판매방법
WO2005076180A1 (en) Method and system of auction make use real-time auction information situation
KR20030065423A (ko) 추첨식 전자 상거래 운영 방법 및 운영 장치
KR20200032066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13462A (ko) 온라인 물품 판매방법
KR20090060782A (ko) 인터넷을 이용한 경매방법
KR20050036396A (ko) 최저가 제품구매를 위한 토너먼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107539A (ko) 확률경매 시스템 및 확률경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