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390A -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390A
KR20040080390A KR1020040057877A KR20040057877A KR20040080390A KR 20040080390 A KR20040080390 A KR 20040080390A KR 1020040057877 A KR1020040057877 A KR 1020040057877A KR 20040057877 A KR20040057877 A KR 20040057877A KR 20040080390 A KR20040080390 A KR 2004008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othermic
heat generating
resin material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이건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국 filed Critical 이건국
Priority to KR102004005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0390A/ko
Publication of KR2004008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3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 작용 체의 구성 방법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 저항치 특성이 수 내지 수백kΩ이고, 열가소성 수지 재에 소정의 도전성 카본 재가 함유된, 통상의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 목적의 용품 성형 가공원료로 사용되는, 비교적 도전성이 낮은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발열작용 층을 성형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 수지 재 층에, 도전성 금속 박막 판재 또는 선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인서트 사출 내지는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 내지는 매설되는 형태로 가공하여 통전(通電) 선로 부를 구성하고,
상기 통전 선로 부를 포함하여,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발열 작용 층을 감싸서, 절연, 보온, 단열, 방수, 충격 보호 작용을 하는 절연 외피 층이 성형 가공 내지는 접착 또는 발포 등의 가공 방법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발열 작용 체의 구성 방법으로, 평판 형태, 박스 형상, 타일 형상, 파이프 형상, 레일 형상, 전선 형태 등을 취하면서, 소기의 발열 목적과 사용 용도에 맞게 변형 실시한, 바닥 난방 장치, 수족관 난방 장치, 냉장고 댐퍼 부 결빙 방치 장치, 파이프 동파 방지 장치, 변기용 좌판 발열 장치, 업소용 김치 숙성 용기의 발열 장치, 김치 냉장고용 레일의 결일 방지 장치 등의 구성에서, 발열 수단이 제공되는 발열 작용 부의 구성 방법과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 작용을 원하는 각종 상품 및 시설 및 용품에서 발열 수단을 구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응용 개발 폭이 넓고, 설계 및 양산 적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발열 작용 체의 제조 방법이 용이하고, 그의 구성 원가가 저렴하며,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발열 목적의 기술 분야에서, 종래 니크롬 발열 전선을 사용하거나, 씨즈 히터를 사용하는 방법 대비, 발열 및 난방 작용 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광범위한 응용 기술이 제공되고 저렴하게 구성되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 및 그 제조 방법{a heater and heating system for methode of formation and methode 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발열, 난방, 보은, 해빙 등의 기능이 제공되는 발열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과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가장 많이 서술되는 "발열 작용 체" , "발열 구조 체" , "통전 선로" , "외피 층"의 용어의 정의를 요약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는, 물체, 사물,인체, 기기 등의 유, 무형 체를 가열, 보온, 난방, 숙성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총괄 지칭하는 것으로서, 크게 보아 두 용어의 의미는 구분되지 않지만 굳이 구분하자면,
발열 수단을 제공하는 형태가, 소정의 전기 전자 제품 및 사용 처 면에서 일부분의 부품 상태로 제공되어지는 것을 "발열 작용 체" 라하고,
발열 수단을 제공하는 형태가, "발열 작용 체" 만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 완제품 상태로 제공되어지는 것을 "발열 구조 체" 라 용어를 정의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 시키는 작용이 구비되는 것을 칭하는 것이며, 비교적 낮은 150℃ 이하의 온도로 발열 작용이 제공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그의 대표적인 사용처로는 건물 옥내, 외 바닥 및 벽면 등의 난방 수단에 사용되어지는 발열 구조 체 및 전기냉장고 및 김치 냉장고 및 기타 전기 전자 기기에서 결빙 방지 내지는 건조, 보온, 숙성 등의 목적의 발열 수단을 갖는 부품에 사용되어지는 발열 작용 체 및 기타 온열 조끼, 온열 방석, 온열 치료기, 김 서림 방지 거울, 온열 매트, 온열 장판 등에서 발열 수단으로 사용되어지는 발열 작용 체등을 일례로 들 수 있다.
다음은,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에 관한 종래의 기술 현황을 요약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전 열선(일명 니크롬 열선, 실리콘 전열선)을 이용한 발열 작용 체는 전기장판, 온열 매트, 온열 침대, 온열 방석, 온열 조끼, 온돌 판넬, 건물 바닥 난방 등에서 저렴한 발열 수단으로 채용되어져 왔으며, 근래, 전열선과 같은 선상(線上) 발열의 경우 전자계파가 많이 발생되어 채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전자계파의 발생 규제가 심한 유럽의 경우 전열선 방식의 발열 상품이판매되는 경우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시장에서 외면당하고 있으며, 또한 면상 발열체에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이 낮아, 시장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기한 전열선 방식의 발열 수단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로서, 전자계파의 발생이 현저히 낮으면서 열 변환 효율이 높은 면상 발열체라는 새로운 분야가 탄생되기 시작한 것은 십 수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세월이 흐르는 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발명 또는 개선되어진 면상 발열체가 시판되고 있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되는 기술이 공개되어져 왔다.
간단히 말하자면, 종래 선상 발열의 대체 상품으로서, 대부분 카본 내지는 기타 반도전성 혼합 물질 등의 전기적 저항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구성한, 면상(面狀) 전체에서 고른 열이 발생되는 면상 발열체가 "발열 작용 체" 의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공지되어진 내용 중에서, 면상 발열체를 제조하거나, 구성하는 방법의 공통적인 기술을 요약하자면, 발열 소재가 대부분 도전성 카본(carbon) 내지는 혼합 금속을 사용하고, 그 도전성 재료는 분말 내지는 페이스트(paste) 재 또는 혼합 고형 재로 제공되어지고 있으며, 그 것을 섬유사화(纖柔絲化) 하여 직조하거나, 증착, 인쇄, 코팅(coating), 페인팅(painting) 등의 발열 층 피막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발열 수단이 구비되도록 제공되어져 왔다.
상기한 종래의 발열 도료 피막 처리 방식의 면상 발열체는, 0.1 ∼ 0.4 mm(미리) 정도 두께의 열가소성 수지 재 필름에 발열 특수 도료를 사용하여 두께가 50∼ 200㎛(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피막(도막이라고도 칭함) 처리하여, 발열 작용 수단의 면상 발열 부를 구성하고, 가동 전원이 220 볼트 인 경우 약 50 ∼ 100 Cm 정도의 간격(간격에 따라 발열량 조절)으로, 도전성 구리 테이프 부착, 동박 코팅, 도전성 도료 인쇄 등의 방법으로 통전 전극을 구성하여, 1㎡ 당 100 ∼ 400 와트의 발열량을 나타내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면상 발열체는 설치 내지는 사용에 있어서, 바닥 및 설치면의 굴곡 면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또 바닥을 평탄하게 처리하는 작업이 추가되는 문제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며, 통전 전극 구성 부분의 스파크 발생으로 소비자 크레임(claim)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개조 및 보수 시의 비용 부담이 높으며, 전기 전자 기기의 발열 작용 부품으로 채용되어지기에는 단가 상승 부담이 크고, 특히 협소 면적에서는 발열 부의 구성이 난해하여 고비용으로 처리해야 하는 곤란한 점이 있어, 채용을 꺼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제시한 용어 "통전 선로" 라 함은 발열 수단 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가 흐르는 두 전극의 라인(또는 패턴)으로 구비되는, 발열 전원 공급 통로를 칭하는 것으로 용어를 정의한다.
상기, 제시한 용어 "외피 층" 이라 함은,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에서 발열 수단 부를 감싸고 있는 외측 표면 처리 부를 칭하는 것이며, 또한 그 표면 처리는 절연 목적을 공통으로 갖으며, 보온, 열전도, 단열, 충격 보호, 내지는 소기의 목적에 따른 외형 구조 물 형태를 제공하는 등의 부수적 목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 열선을 이용한 발열 수단의 구성 및 발열 도료를 피막 처리 한 발열 수단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을 충분히 고려한,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를 제공하기 위함이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개선 및 진보되어진 발명의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있어서, 종래 보다 품질과 신뢰성이 향상되고, 저렴한 원가로 구성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제 1 과제는, 카본 섬유 사 또는 발열 도료를 이용한 피막 처리 층 방식의 면상 발열체로 구성한 발열 작용 체 대비, 제조비용이 낮게 제공되어야 하며,
제 2 과제는, 종래 전열선 방식 대비 전자계파 방출 량을 현저히 감소되게 구성되는 기술이어야 하며,
제 3 과제는, 통전 선로의 전극 처리 부분 및 전원 단자 접속 부에서 스파크 발생 현상 및 접촉 저항 증가 및 국부 발열 현상 등의 품질 문제가 없도록 발열부와 밀착 접합되는 신뢰성이 보증되는 기술이어야 하며,
제 4 과제는, 가공 공정상에서 불량 발생 확률이 낮도록 하는, 생산성 향상이 제공되는 기술이어야 하며,
제 5 과제는, 전기 전자 제품에서, 발열 작용 체를 채용하기가 편리하고, 탈부착 및 구성이 용이한 장점이 제공되는 기술이어야 하며,
제 6 과제는, 전기 전자 제품의 협소 부분에 장착되는 발열 장치에 적절히 대응 할 수 있도록, 발열 부의 전기적 저항치가 종래 대비 수 내지 수백 배 이상 증가되어, 통전 선로의 두 라인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되는 발열 수단의 구성 기술이어야 하며,
제 7 과제는, 발열 수단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희소성으로 인한 원가 상승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이어야 하며,
제 8 과제는, 종래 발열 도료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에서 발열 피막 층이 쉽게 크랙이 발생되는 신뢰성의 문제점이 개선되는 기술이어야 하며,
제 9 과제는, 특수 설비 내지는 장비를 갖추지 않고, 범용 시설로도 생산이 가능한 생산의 용이성이 제공되고, 시설 투자비가 저렴한 장점이 제공되어야하며, 제조 방법도 간단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여러 가지의 기술적 과제가 개선되고, 종래 기술 대비 진보성이 있어야 하며, 다양한 응용 실시가 용이한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장점이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A), (B), (C-1), (C-2), (D-1), (D-2), (E-1), (E-2), (F-1), (F-2), (G), (H-1), (H-2), (1)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형성한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의, 설치 일례의 평면도 및 단면도, 통전 선로의 사시도, 발열 수단 부의 부분 단면도, 전원 입력 단자 부의 사시도, 외피 층의 부분 사시도 및 시험 실시 데이터 표
도 2는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형성한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의 변형 실시 일례의 부분 사시도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를 취하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의 변형 실시 일례의 단면도
도 4의 (A), (B), (C-1), (C-2), (D-1), (D-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 방식 및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의 변형 실시 일례의 통전 선로 사시도, 통전 선로 장착 부단면도, 부분 확대 사시도, 조립 단면도
도 5의 (A-1), (A-2), (B-1), (B-2), (B-3), (B-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따른 공정 순서도
도 6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전기냉장고의 댐퍼 부의 결빙 방지 작용의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며, (D)는 그 변형 실시 일례의 평면도
도 7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 자재의 일종인 타일에 발열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의 평면도, 부분 단면도, 시공 실시일례의 단면도
도 8의 (A), (B), (C), (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수지 재 파이프에 발열 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의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
도 9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뷔페식당용 음식 수용 용기에 발열 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의 사시도, 단면도, 통전선로의 배치 평면도
도 10의 (A), (B), (C), (D-1), (D-2), (D-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들의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11의 (A), (B-1), (B-2), (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변기 좌판에 발열 작용을 겸비시킨 발열 구조 체의, 살시 일례의 사시도 및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2의 (A), (B), (C), (D)는 본 발명에 따른, 관상용 수족관의 난방용 장치를 구성한 실시 일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및 단면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3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내지 숙성 기능을 갖는 업소용 김치 숙성 용기 형태를 취하는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14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 냉장고의 레일에 결빙 방지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발열 수단의 발열 작용 층
2, 2x, 2y, 2z, 2z', 2a, 2b, 2b', 2c ∼ 3j.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층의 일면을 감싸고 있는 제 1 외피 층
3, 3', 3x, 3y, 3z, 3z', 3a, 3b, 3b'∼ 3j.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층의 일면을 감싸고 있는 제 2 외피 층
10, 10', 10y, 10z, 10a, 10b, ∼ 10ja, 10jb. 발열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의 통전 선로
11, 11'. 전원 입력 단자 연결 터미널 부
20. 전원 입력 전선 21. 전원 접속 단자
100, 100a, 100a', 100b, 100b'.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체
101a, 101b, 101b', 102, 103, 104, 105a, 105b, 105c, 106a, 106b, 107,108, 109.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의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에 따라 발열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구조 체.
"H". 발열 면
"Pro-1a, Pro-b, Pro-2a, Pro-2b, Pro-2c, Pro-2d".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체의 제조 공정별 가공 순서의 블록도
table.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한 발열 작용 층의 전기적 및 발열 특성을 시험한 데이터 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되어지고, 기술적 기반이 되는 내용에 대하여, 반복적 서술을 피하기 위하여 미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에서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층(도면상의 도시 부호 "1 및 1'" )을 구성하는 재료인 도전성 수지 재에 관하여, 미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도전성 수지 재는 통상적으로 정전기 방지 용품 및 전자파 차폐 용품 등의 제조 목적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compound) 또는 전도성 컴파운드 또는 전도성 수지라 호칭되어지는 것이며, 압출, 사출 등의 열 성형 방법으로 소기의 목적을 갖는 물체로 가공되며, 그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는 "PS"(플리스티렌), "PP"(폴리프로필렌), "ABS"(에이비에스), "HIPS"(하이 임펙트 폴리스티렌) 등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에 도전성 카본 블랙 재 내지는 도전성 카본 파이버 등이 5 내지 25 중량 부(wt,%) 이내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전기적 특성에 맞는 소정의 중량 부가 혼합되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구성에서 발열 수단을 제공하는 발열 작용 층을 상기한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를 사용하여 열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발열 수단이 제공되는 발열 작용 층을 구성하는 재료인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의 특성을 살펴보자면, "ASTM D729 시험 방법" (미국 재료 시험 협회,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을 기준으로, 물질 비중이 0.9 ∼ 1.4 g/cc 정도이고, "ASTM D638 시험 방법" 을 기준(분당 5mm)으로 인장 강도가 1,000 kg/㎠ 이상이며, "ASTM D648 시험 방법" 을 기준(18.6kgf/㎠)으로, 열 변형 온도가 100 내지 200℃ 정도이며, 표면 저항이 "ASTM D257 시험 방법" 를 기준으로, 카본 블랙의 중량 부 5 내지 25(wt,%)이내에서, 혼합 비율에 따라 수 내지 수백 kΩ정도의, 비교적 높은 전기적 저항치의 특성을 갖는 것이다.
참조로, 종래 수지 재 시트에 발열 도료를 사용하여 발열 피막 층을 형성시키는 방식의 면상 발열체에 있어서, 발열 수단의 피막 형성층의 표면 저항은 수십에서 수백 Ω정도의(대부분 50 ∼ 500 Ω/sq 정도이며, 일부는 700 Ω/sq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있으나, 거의 500 Ω/sq 이하라 하여도 됨) 전기적으로 낮은 저항치의 특성을 지니며, 본 발명의 발열 수단은 종래 대비 약 수 내지 수백 배 정도인, 수 내지 수백 kΩ/sq 정도의 전기적 저항치(표면 저항)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구성에서 발열 수단을 제공하는 발열 작용 층의 구성 원료인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전기적 저항 치에 맞는 그레이드(grade)별로 구분되어지는 컴파운드들 중에서 선택 한 후, 열 성형(일명 사출 및 압출 성형) 가공 방법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어서, "통전 선로(도면상의 도시 부호 "10, 10', 10y, 10z, 10a ∼ 10jb" )" 를 미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구리, 은, 니켈, 철, 알루미늄 내지는 기타 도전성 합금을 재료로 하고, 그 재료를 이용 판재 형상으로 가공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의 두께는 총 연장 길이를 감안하여 0.1 내지 1.5mm 정도에서 실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의 폭은 통전 선로의 총 길이를 감안하여 1 내지 10mm 내외에서 실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전 선로가 판재로 구비되는 경우는 성형 시 도전성 수지 재와의 밀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원형 각형 등의 형상으로 천공(구멍 따냄) 처리를, 소정의 간격 마다 반복되게 가공하여 제공되어진다.
한편, 상기한 통전 선로가 판재가 아닌 도전성 금속 선(線)재로 제공되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그는 단선 내지는 연선(복선, 여러 가닥의 전선을 모아 놓은)의 형태로 제공되어진다.
또한, 상기 선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의 단면적은 0.1 ∼ 2.0㎟ 정도가 바람직한 실시 일례이다.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와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기에서 미리 설명한 발열 수단의 구성 재료 및 통전 선로의 구성 재료 및 가공 내용 등에 관하여 미리 설명한 이유는 아래 서술될 도면의 설명 및 기술적 구성 내용에서 이해를 원활하게 하고, 반복 서술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A), (B), (C-1), (C-2), (D-1), (D-2), (E-1), (E-2), (F-1), (F-2), (G), (H-1), (H-2), (I)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版)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형성한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를, 시설일례의 평면도 및 단면도, 통전 선로의 사시도, 발열 수단 부의 부분 단면도, 전원입력 단자 부의 사시도, 외피 층의 부분 사시도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0)를 이용한 바닥, 벽면 등의 면(面) 난방 시설의 실시 일례를 평면도와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수 내지 수백kΩ정도의 표면 저항 특성 치를 지니는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 가공되는 발열 작용 층(1)과 발열 전원 공급의 통전 선로 부(10) 및 전원 연결 단자 터미널 부(11)로, 발열 수단이 구비되는 발열 작용 부가 구성되고,
상기 발열 작용 부 양면에, 절연 및 충격 보호 등의 목적으로 구성되는, 난방 설치 기준으로 상측 면의 제 1 외피 층(2)과; 절연, 단열, 충격 보호 등의 목적으로 구성되는, 난방 설치 기준으로 하측(접지면)의 제 2 외피 층(3)이, 접착 재(4)를 이용한 접합 내지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일체화 시켜 구성한, 끼움조립 설치 방식의 판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0)가 제공되어,
상기 발열 구조 체(100) 복수 개를, 도시 부호 "A" 및 "B" 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호 끼움(원 안의 도시 부호 "가" ) 설치 후, 요철 홈 결합부의 윗면 틈새("C")를 실링 목적의 본드 작업을 한 후, 전원 접속 단자(21)가 결성된 전원 공급 선(20)을 전원 연결 터미널(11)에 접속 처리하여 마감하는 방식으로, 면 난방 시설이 구축되어짐을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의 (C-1), (C-2), (D-1), (D-2), (E-1), (E-2), (F-1), (F-2), (G), (H-1), (H-2), (I)는, 상기 도 1의 (A), (B)의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 설치 방식 및 판 형태로 구비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한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0)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다음과 같다.
도 1의 (C-1) 및 (C-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전 선로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C-1)은, 도전성 수지 재와의 성형 시 밀착성의 향상을 위한 복수의 천공("PH") 처리가 되어지고, 도전성 박막 금속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를 도시한 것이며,
(C-2)는, 연선 형태의 선재로 구성되는 통전 선로(10')를 도시한 것이며, 그 세부 내용은 상기에서 미리 설명한바 있어 생략한다.
도 1의 (D-1) 및 (D-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층(1)에 상기 통전 선로가 접합 구성되는 실시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D-1) 및 (D-2)는, 도전성 금속 박막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 및 선 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가, 도전성 수지재로 성형한 발열 수단의 발열 작용 층(1)에 인서트(insert) 사출 가공 방법으로, 그 통전 선로가 매설되어진 형태로 구성되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의 (E-1) 및 (E-2)는 도전성 금속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에, 그리고 (F-1) 및 (F-2)는 도전성 선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에 구성되는 전원 입력 단자 연결 터미널 부(11, 11')의 결합(또는 접합)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E-1) 및 (F-1)는 접속 단자가 통상의 탭 터미널(tab terminal, 11) 형태로; (E-2) 및 (F-2)는 접속 단자가 통상의 리셉터클(receptacle, 11') 형태로구성되어지는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또한, (E-1) 및 (E-2)는, 탭 터미널(11) 및 리셉터클(11')로 구비되는 접속 단자에 버링(burring) 가공된 구멍("BH")에,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의 천공 구멍("PH")에 끼운 후 버링 날개 부를 압착(또는 말아서 고정)하여 결합하는 실시 일례이며, (F-1) 및 (F-2)는, 탭 터미널(11) 및 리셉터클(11')로 구비되는 접속 단자에, 선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의 선단 부를 용접 내지는 납땜("Wd")처리하여 결합하는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G)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구조 체(100)에서, 난방 설치 기준으로 상층 면을 구성하고, 절연 및 충격 보호 등의 목적으로 구비되는 제 1 외피 층(2)의 실시 일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외피 층(2)은, 통상의 나무 마루 바닥 마감재와 같이 복수 개를 용이하게 조립 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 홈 부("AI") 및 요철 홈에 삽입되어지는 돌출부("Ar")가 형성되어지고, 전원 입력 단자 연결 터미널 부의 접속 단자 수용 홈("H1", "H2")이 형성되어지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발열 수단을 수용하는 발열 작용 층이 형성되어지는 함체 부( "가" )가 제공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며,
또한, 열가소성 수지 재, 열경화성 수지 재, 합성 고무 재 등의 절연성 재료를 이용하여 열 성형 가공으로 제조되어지는 것이며, 그의 총 두께는 5 내지 20mm 정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발열 작용 층이 접촉되는 면과 맨 윗면 간의 두께는, 구성 재료 별로 구분하여 절연 특성, 열전도 특성, 발열 온도 상승 속도 특성, 내 충격 특성, 내 마모 특성 등을 감안하여 약 2 내지 15mm 정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H-1) 및 (H-2)는, 끼움 조립 설치 방식의 판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0)에서, 면 난방 설치 기준으로 설치 장소 부착 면을 향하고, 절연, 충격 보호, 단열, 보온 등의 목적으로 구비되는 제 2 외피 층(3, 3')의 실시 일례의 구조를 부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제 2 외피 층(3, 3')은, 평면 판 형상을 갖으며, 보온 효과와 열 변형 감소 효과와, 원료 절감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바닥 면 또는 난방 설치 장소의 부착 면을 향하는 면에, 공기 보온 및 단열 작용 목적의 사각 또는 육각 또는 기타 원 형 등의 복수 반복 홈이 형성되어지는 구조를 취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재, 열경화성 수지 재, 합성 고무 재 등의 절연성 재료를 이용하여 열 성형 가공으로 제조되어지는 것이며, 그의 두께는 난방 목적 및 구성 재료 별로 구분하여 절연 특성, 단열 특성, 내 충격 특성 등을 감안하여 0.5내지 15mm 정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I)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층(1, 1')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 일례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 제품을 제작 후 실험한 것으로,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발열 수단의 발열 작용 층(1)에, 두께 0.2mm의 구리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를 설치하고, 그의 발열 및 전기적 특성 시험을 실시한 일례의 대표되는 데이터(data)를 설명하기 위해 발열 작용 체 부의 평면도 및 데이터 표(table)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제 1의 시험 제작 후 실험한 내용은, 표면 저항 특성이 85kΩ정도로 측정된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하여 구비한, 발열 면("H")의 길이가 3m, 통전 선로의 설치 간격(폭)이 15cm, 발열 층의 두께가 1.5mm, 발열 면의 총 면적이 0.45㎡인 조건의 발열 작용 층(1)에, 단상 교류 220볼트 60Hz의 전원을 공급하여 시험한 결과, 소비전력이 150 와트 정도, 전원 인가 약 30 분 후에 측정한 발열 온도가 약 68℃정도인 것으로, 실험 결과가 나타났으며,
제 2의 시험 제작 후 실험한 내용은, 표면 저항 특성이 85kΩ정도로 측정된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하여 구비한, 발열 면("H")의 길이가 3m, 통전 선로(10)의 설치 간격(폭)이 30cm, 발열 층의 두께가 1.5mm, 발열 면의 총 면적이 0.9㎡인 조건의 발열 작용 층(1)에, 단상 교류 220불트 60Hz의 전원을 공급하여 시험한 결과, 소비전력이 140 와트 정도, 전원 인가 약 30 분 후에 측정한 발열 온도가 약 36℃ 정도인 것으로, 실험 결과가 나타났다.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정리하자면, 발열 작용 층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전극 배치 간격에 따라 발열 온도 및 소비 전력 등을 용이하게 조정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데이터를 감안하면, 결국 통전 선로의 양 극간의 단면적의 조정 및 도전성 수지 재 그레이드로 구분되는 표면 저항 치의 선택에 따라 발열 작용의 성능 및 특성 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를 사용하는 소기의 목적에 따라 필요한 발열 및 전기적 특성을 조정 할 수 있는 것이며, 그 특성을 조정하는 것들은, 동일한 전압 조건에서, 도전성 수지 재 성형 층의 두께의 조절, 통전 선로의 선간 간격 조절, 도전성 수지 재의 도전성 카본 블랙 함량에 따른 표면 저항치의 조절로 제공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열 작용 층(1)의 두께는 열 성형 시의 액상 화된 수 지 재의 흐름 성을 감안하여 최소 두께는 0.3 이상으로, 성형 후 냉각 한 다음의 수축 현상 등을 감안하여 최대 두께는 10mm 이내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단, 사출 조건의 개선과 사출 성형기의 개선에 따라 그 실시 치수는 다소 변경되어 질 수도 있는것이다.
도 2는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형성한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를, 상기 도 1에서 구성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변형 실시한 일례를 부분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전성 금속 판재로 구비되고, 전원 접속 단자 구멍("h1")과 밀착성 향상을 위한 복수의 구멍("h2")이 형성된 통전 선로(10y)를 성형 금형에 넣고, 도전성수지 재로 열 성형하는 즉,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가공되어진 발열 작용 층(1)의 상하 면에 양면테이프(4a, 4b)를 사용하여, 난방 시설 작업 시 끼움 조립이 용이하도록 요 홈 및 돌기가 구비되어지는 상측 면의 제 1 외피 층(2x)과, 하측 면의 제 2 외피 층(3x)을 접합시켜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변형 실시 일례의 끼움 조립 방식 판형 발열 구조 체(100a)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식 판 형태를 취하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를,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구성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변형 실시한 일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전성 금속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y)를 사출 성형 금형에 넣고, 도전성 수지 재로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가공되어진 발열 작용 층(1)의 상면에 양면테이프(4a)로 난방 시설 작업 시 끼움 조립이 되도록 "ㄱ" , "ㄴ" 자 형태(원안, 도시 부호 "SR", "SL")의 플렌지(flange) 부가 구비되어지는 상측 면의 제 1 외피 층(2y)을 접착 설치하고, 우레탄 등의 발포성 폼(foam) 재 또는 액상 에폭시몰딩 재 등으로 하측 공간에 충진 시킨 후 굳히는 방법으로 하측 면의 절연 외피 층(3y)을 구성시켜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변형 실시 일례의 발열 작용 체(100a')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 (B), (C-1), (C-2), (D-1), (D-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 조립 방식 및 판 형태로 제공되고,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를, 상기 도 1 및 도 2 및 도 3에서 구성하는 실시 일례의 또 다른 변형 실시 일례를, 통전 선로 사시도, 통전 선로 장착 부 단면도, 부분 확대 사시도, 조립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는, 통전 선로(10z)를 구성하는 금속 박막 판재에 원형 등의 다수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4의 (B)는, 상기한 "도 1 및 도 2 및 도 3의 실시 일례의 설명" 에서의 통전 선로 부(10z)의 구성 방법이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구성되어지던 것을 변형 실시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또는 제 2 외피 층(2z 또는 3z)에 보스("bs", boss, 일명 원 기둥 돌기)가 구비되게 성형 가공하고, 그 보스에 상기 통전 선로 부(10z)를 삽입하고, 보스("bs")가 끼워질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게,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하여 가공된 발열 층(1')을 삽입한 후, 보스("bs")의 봉우리 부분을 버섯 모양("bsw")으로 가열압착(일명 열 융착)하여 구성하는 변형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변형 실시 일례를 도 4의 (C-1)과 (C-2) 및 (D-1)과 (D-2)를 참조로, 상기 도 4의 (B)의 내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수지 재로 구비되는 상면 측 제 1 외피 층(2z)에 보스("bs")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성형 가공하여 준비하고,
상기 보스("bs")에 복수의 구멍이 가공되어진 도전성 금속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 부(10z)를 삽입 시킨 후, 또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보스("bs")가 관통되는 구멍에 형성되어 제공되는 발열 층(1')을 삽입하고,
보스("bs")의 봉우리 부분을 버섯 모양("bsw")으로 열 융착하여 상호 밀착접속되어지게 가공 한 후,
우레탄 등의 발포성 폼(foam) 재 또는 액상 에폭시 몰딩 재 등으로 하측공간에 충진 시킨 후 굳히는 방법으로 하측 면의 제 2 외피 층(3z)을 구성시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다른 변형 실시 일례의 판형 발열 구조 체(100b)를 "(C-1)"과 "(C-2)"에 부분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보스를 형성 시킨 방법의 변형 실시 일례로서, 수지 재로 구비되는 하면 측 제 2 외피 층(3z')에 보스가 일체로 형성되게 성형 가공하여 준비하고,
상기 하면 측 제 2 외피 층(3z')의 보스에 통전 선로 부(10z)를 삽입 시킨후, 또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로 열 성형 가공으로 구비되고, 보스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제공되는 발열 층(1')을 삽입하고,
보스의 봉우리 부분을 버섯 모양("bsw")으로 가열 압착하여 상호 밀착 접속되어지게 가공 한 후,
상측 면의 제 1 외피 층(2z')을 접합시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또 다른 변형 실시 일례의 발열 작용 체(100b')를 "(D-1)"과 "(D-2)"에 부분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1), (A-2), (B-1), (B-2), (B-3), (B-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수지 재로 구비되는 성형 층이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제조 방법에 따른 공정 순서도이며, 상기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로 설명하였던, 본 발명에 따른 발열 구조 체(100, 100a, 100a', 100b, 100b')의 제조 방법이, 굳이 구분하자면 선(先) 공정과 후(後)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그를 구분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1)은, 첫째 방법의 선 공정 순서("Pro-1a")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통전 선로 구성 재료인 선재 또는 판재를 투입하여, 선재는 소정의 길이로 컷팅(cuttimg) 작업을, 판재는 구멍 따냄 가공을 마치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며, 필요에 따라 전원 연결 단자(탭 단자 또는 리셉터클)를 투입하여, 통전 선로 끝단에 용접 또는 압착 가공을 한 다음,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를 투입하여, 양면 중 한쪽 면의 절연 외피층을 열 성형 가공한 다음,
성형 금형에, 상기 절연 외피 층의 성형 가공 체를 안착 시킨 후, 통전 선로 배치 부에, 가공을 마친 통전 선로 구성체를 안착 시킨 후,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성형(일명 인서트 몰딩)하여 완성하고, 그 완성품을 전기적 특성과 형태 검사를 마친 뒤, 후(後) 공정으로 이동한다.
도 5의 (A-2)은, 둘째 방법의 선 공정 순서("Pro-1b")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통전 선로 구성 재료인 도전성 금속 박막 판재에 구명 따냄 가공을 하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며, 필요에 따라 전원 연결의 탭 또는 리셉터클 단자를 투입하여, 통전 선로 끝단에 용접 또는 압착 가공을 한 다음,
수지 재, 합성 고무 재를 투입하여, 양면 중 한쪽 면의 절연 외피 층을 열성형 가공한 다음,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열 성형 가공 한 다음,
상긴, 절연 외피 층 성형 체의 보스(원 기둥 돌기)부에 통전 선로 구성재를 안착 시킨 후,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 한 발열 작용 층을 안착 시킨 다음, 보스의 봉우리 부분을 열 융착하여 상호 밀착 접속되어지게 가공하여 완성하고, 그 완성품을 전기적 특성과 형태 검사를 마친 뒤, 후(後) 공정으로 이동한다.
도 5는 (B-1), (B-2), (B-3), (B-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의 후 공정 부분의 제조 공정 순서도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B-1)은, 상기 두 가지의 선 공정 순서에 따라 가공되어진 "Pro-1a"의 공정 순서 또는 "Pro-1b"의 공정 순서로 가공된 완성품을 성형 금형에 안착 시킨 후,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를 투입하여, 긴(旣) 형성된 외피 층의 반대면에 다른 외피 층을 열 성형 가공(인서트 성형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내압성능, 내지는 외관 등의 검사를 하여 완성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에서 후(後) 공정의 제 1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2)는, 상기 두 가지의 선 공정 순서에 따라 가공되어진 "Pro-1a"의 공정 순서 또는 "Pro-1b"의 공정 순서로 가공된 완성품에,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열 성형 가공한 절연 외피 층을 올려놓고 열융착 기계로 접합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내압 성능, 내지는 외관 등의 검사를 하여 완성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에서 후(後) 공정의 제 2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3)은, 상기 두 가지의 선 공정 순서에 따라 가공되어진 "Pro-1a"의 공정 순서 또는 "Pro-1b"의 공정 순서로 가공된 완성품과,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열 성형 가공한 절연 외피 층을 양면테이프 내지는 본드 등의 접착부재로 접합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내압 성능, 내지는 외관 등의 검사를 하여 완성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에서 후(後) 공정의 제 3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4)는, 상기 두 가지의 선 공정 순서에 따라 가공되어진 "Pro-1a"의 공정 순서 또는 "Pro-1b"의 공정 순서로 가공된 완성품에, 에폭시 등의 몰딩액재 또는 우레탄 등의 발포 폼 재를 충진 후 건조(또는 숙성이라고도 함)하는 방법으로 하측 절연 외피 층을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내압 성능, 내지는 외관 등의 검사를 하여 완성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에서 후(後) 공정의 제 1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구조 체 및 발열 작용 체의 기본이 되는 기술적 구성 및 작용과 그의 제조 방법을 "도 1 및 도 2 및 도 3 및 도 4 및 도 5"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며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발열 수단으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층(1, 1')을, 수 내지 수백kΩ정도의 표면 저항치 특성을 갖는 도전성 수지 재를 이용하여, 0.3 내지 10mm 의 두께의 판(plate) 형태로 열 성형 가공하여 구비하는 한편,
복수의 구멍이 가공된 도전성 금속 판재 또는 통상의 선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의 끝단에 전원 접속 단자를 압착 또는 용접 가공 방법으로 결합한 후, 요구되는 발열 특성에 맞게 두 통전 선로 간의 간격을 설정하여 배치하고, 열융착 또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법으로, 상기 발열 작용 층에 접합되어지도록 구성하고,
난방 설치를 기준으로 상측 표면에 해당되고, 요철 홈 및 그 요철 홈에 삽입되어지는 돌출부와, 전원 입력 단자 연결 터미널 부의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지 재 또는 합성 고무 재로 가공되어지는 것으로, 절연 및 충격 보호 등의 작용을 하는 제 1 외피 층을 상기 발열 작용 층과 인서트 성형 가공 또는 접착 부재를 이용한 가공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지게 구성하고,
난방 설치 기준으로 하부 측에 해당되고, 수지 재, 합성 고무 재로 열 성형방법 내지는 발포 재 또는 몰딩 액재를 이용하여 발포, 충진의 방법으로 가공되어지는 것으로, 절연, 충격 보호, 단열 보온 등의 작용을 하는 제 2 외피 층을 상기한 제 1 외피 층의 반대 면에 접합되어지게 밀봉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체 면이 절연 외피 층으로 감싸지고, 그 내부에 도전성 수지재로 구비되는 발열 작용 층과 전원 공급의 통전 선로가 성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작용을 갖는 발열 구조 체 및 발열 작용 체의 구성과 그의 제조 방법의 발명이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발열 구조 체(100, 100a, 100a', 100b, 100b')의 구성 방법과, 제조 방법("Pr0-1a", "Pro-1b", "Pr0-2a", "Pro-2b""Pr0-2c", "Pro-2d")를 이용하여 내지는 응용하여, 소기의 사용 목적에 맞게 발열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실시 일례들을 "도 6 내지 도 14" 에 도시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전기냉장고의 댐퍼 부의 결빙 방지 작용의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D)는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하는 일례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전기냉장고에서 냉기(冷氣) 통로를 열고 닫는 작용을 하는 댐퍼(damper)에 있어서, 결빙 시 열리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 영하 20℃의 분위기 온도에서 약 5℃ 정도로 발열되는 전기 발열 작용 체를 구성시키는데, 종래의 실시 방법은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가소성 수지 재 필름에 도전성 발열 도료를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동박 패턴(pattern) 형태처럼 인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빈번한 단선 불량 발생 문제, 선상 가열로 인한 가열 효율 저하 문제, 양산 제조 과정에서의 균일 품질 관리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 등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통상의 냉장고 댐퍼 부의 형상은 대부분 원형 또는 사각 형이지만, 직사각 막대 형태를 취 할 수도 있는 것이며, 발열용 공급 전원은 직류 12볼트 또는 교류 120 또는 220볼트이며, 전원 공급 접속 단자(21)가 결성된 전원 공급 전선(20)을 이용하여 발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6의 (A)는 원형 타입의 구조를, (B)는 사각 타입의 구조를 각각 부분절개 평면도로 도시하였으며, (C)는 단면도로 통합 도시한 것으로서,
인서트 사출 금형에, 바깥쪽에 플렌지(flange) 부가 제공되는 박스 형태를 갖추며,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하여 준비되는 제 1 외피 층(2a 및 2b)을 장착하고, 도전성 금속 박막 판재 또는 선재로 사용하여, 전원 접속 단자 부(11)와 소정의 간격으로 통전 라인(또는 패턴)이 구비되는 형태로 가공된 통전 선로(10a 및 10b)를 제 1 외피 층의 홈("A")에 삽입 장착 한 후, 도전성 수지 재로 덧씌우는, 일명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으로 발열 작용 층(1)이, 제 1 외피 층에 일체가 되게 형성 시킨 다음, 그 발열 작용 층(1)의 노출면에 합성 고무 재, 수지 재, 우레탄 폼 발포재, 에폭시 몰딩 액재 등을 사용하여 열 성형으로, 제 2 외피 층(3a, 3b)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전기냉장고용 댐퍼 부의 결빙 방지 수단이 제공되고, 원형 또는 각형의 평면 형태로 제공되어지는 발열 작용 체(101a, 101b)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D)는, 직사각 형태를 갖는 전기냉장고용 댐퍼 부 결빙 방지 발열작용 체를 부분 절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로 도시한 것으로, 통선 선로(10b') 배치 부분에 다수의 보스(도시 부호 "B", 원기등 돌기)가 형성되고, 바깥쪽에 플렌지부가 제공되는 틀 형태를 갖추며,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하여 준비되는 제 1 외피 층(2b')의 보스에 통전 선로(10a')를 끼운 후, 그 위에,
보스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지고,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는 발열 작용 층(1)을 삽입 한 후 열 융착으로 접합 고정한 다음, 그 발열 작용 층(1)의 노출면에 합성 고무 재, 수지 재, 우레탄 폼 발포 재, 에폭시 몰딩 액재 등을 사용하여 제 2 외피 층(3b')을 형성시키는 구성 방법으로 변형 실시되어지는, 전기냉장고용 댐퍼 부의 결빙 방지 작용을 위한 발열 작용 체(101b')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으로는 예시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전기 전자 제품 분야에서, 자동판매기에 채용되는 수증기 건조 히터 장치, 전기냉장고에 채용되는 고내등 예열히터 장치 등의 일정 부분을 가열, 보온, 건조 등의 목적으로 발열 작용 체를 구비시켜야 할 경우, 상기한 "도 6" 의 구성 방법을 응용 실시하면, 용이하게 구성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건설 자재의 일종인 타일에 발열 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를 (A)는 평면도, (B)는 (A)의 a와 b 구간의 단면도, (C)는 시공 실시 일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아파트 내지는 일반 건물의 화장실 또는 욕실의 바닥, 벽면 마감재로 시설되어지는 타일은, 대부분 평판 형태를 갖으며, 그 구성 재료는 규소 토, 고령토, 황토, 등등 기타 광물질의 배합 원료로 구비되며, 거의 발열 기능을 포함하지않고 있으며, 일부 특허나 실용신안으로 출원은 되어 있지만 경제성 및 안전성이 떨어져 범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 타일에서, 부착 면 부에 발열 작용 체를 부설시켜, 발열 작용을 겸비한 타일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바깥쪽 테두리에 전원 접속 단자 수용 홈과 플렌지(flange) 부가 제공되는 사각 틀 형태를 갖추며, 통상의 광물질, 또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하여 제 1 외피 층(2c)을 구비하고,
양 끝 단 부에 "U" 자형 탄력 접촉 구조를 갖는 전원 접속 단자 부(도시부호 "A" 부)와 복수의 구멍이 구비되는 형태로 가공된 통전 선로(10c)와 발열 작용 층(1)을 도전성 수지 재로 인서트 사출 가공하여, 발열 작용 층(1)에 통전 선로가 접합된 체로 형성 시킨 완성품을, 상기 제 1 외피 층(2c)에 삽입하고, 발열 작용 층(1)이 수용되어진 부분에 합성 고무 재, 수지 재, 우레탄 폼 발포 재, 에폭시 몰딩 액재 등을 사용하여 제 2 외피 층(3c)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실시되어지는 것으로서,
난방 목적의 발열 작용을 겸비시킨, 타일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2)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으로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건물 옥내 공사 분야에서 대리석 또는 열경화성 내지는 합성 수지 판재로 구비되는, 장식 목적의 바닥, 벽면 마감 공사 자재에 난방 또는 결빙 방지 기능을 갖도록 발열 기능을 구비시켜야 할 경우, 상기 "도 7" 의 구성 방법을 응용 실시하면, 용이하게 구성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의 (A), (B), (C), (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수지 재 파이프에 발열 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를 단면도 및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A)는 사시도이며, (B)는 (A)의 파이프 상측 끝단 부 확대 사시도 이며, (C)는 (A)의 "a" 와 "b" 간의 섹션(section)도로서,
피브이씨(PVC), 피이(PE)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를 사용하여 제 1 외피 층원통(2d, 내측 파이프)을 성형한 후, 그 동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선재 또는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10d)를 배치시킨 다음, 그 외주 면에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1)을 피복되게 압출 성형 하고, 또 다시 그 외주 면에 피브이씨(PVC), 피이(PE)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 내지는 연질 우레탄 또는 합성 고무 재를 사용하여 제 2 외피 층(3d, 외측 파이프)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난방, 동파 방지 등의 목적으로 발열 작용을 갖추도록 한,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103)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D)는, 상기 발열 작용을 겸비한 파이프 형태의 발열 작용 체(103)의 전원 접속 실시 일례로서, 통전 선로(10d) 부분을 절개한 후, 도시 부호 "A"의 원안처럼 노출된 통전 선로(10d)에 전원 공급 선(20)에 결합된 전원 공급 단자(21)를 연결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으로는 예시 하지는 않았지만, 가온(加溫), 결빙 방지, 동파 방지 등의 기능을 겸비토록 하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형태의 파이프 구조를 갖는 송유관, 수도관, 보일러 관, 하수관, 자전거 손잡이, 에어컨 실외기 파이프 등에 이용하고자 할 경우, 즉 그 파이프에 발열 작용 수단을 구성 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도 8" 의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103)" 의 구성 방법을 이용 실시하면, 용이하게 구성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뷔페식당용 음식 수용 용기에 발열 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를, (A)에 사시도로, (B)에 단면도로, (C)에는 통전 선로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종래, 뷔페식당용 용기는 대부분 알루미늄으로 가공된 것이며, 음식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기 위하여 하단에 고체 연료를 지펴 놓는 방법으로 처리하여왔으며, 그 방법은 화재 발생 소지가 높은 단점, 국부 가열로 인한 온도 차이로 음식의 맛이 위치에 따라 고르지 못하는 문제점, 고체 연료 불꽃으로 인한 용기의 그을림 발생 문제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의 (A)는 뷔페식당용 음식 수용 용기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기능을 갖도록 한 발열 구조 체(104)의 사시도로서, 외형 구조가 음식을 수용하는 부분(도시부호 "T")과 용기의 하단 부(도시부호 "B")로 이루어짐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B)는, 용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제 2 외피 층(3e)을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하고, 제 2 외피 층(3e)에 "도 9의 (C)" 에 도시한 것처럼 전원 접속 단자 부(원 안의 "A" 부)가 구비된 통전 선로(10ea 와 10eb)를 배치 한 후,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를 사용하여 발열 작용 층(1)을 접합 성형 시킨다음, 음식을 수용하는 부분인 제 1 외피 층(2e)을 무독성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성형 접합시켜 형성 시키는 구성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음식 보온의 목적으로 발열 작용을 갖추도록 한, 뷔페식당용 음식 수용 용기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4)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는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뷔페식당용 음식 수용 용기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4)의 기술적 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그 보다 큰 유사 형태의 물체 또는 유사 형태의 용기에 변형 실시되어 질 수 있는 일례로서, 아기 목욕 용 수온의 보온 작용을 갖는 욕조, 떡볶이, 오뎅 등을 수용하는 분식점용 보온 용기 등에 응용 실시되어 질 수 있는 일례가 있을 것이며, 그 응용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0의 (A), (B), (C), (D-1), (D-2), (D-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들을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종래, 발열 전선은 대부분 니크롬 열선을 수지 재로 피복 처리한 일명 전열선이 대부분이며, 그는 대부분 전기 온열 장판 및 침대, 전기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전열선을 채용하는 경우는 전자계파 발생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구부림 부분에서 쉽게 단선되거나 과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 정온 발열 전선 등의 기술이 공개 내지는 일부 실시되어 왔으나, 범용화 되지 못하는 이유는 비교적 가격이 높다는 문제로 기인하는 것이다.
도 10의 (A), (B), (C)는 정면도이며, (B-1)는 (A) 및 (B)의 "t 와 t'"간, (B-2)는 (B)의 "s 와 s'"간, (B-3)은 (C)의 "u" 와 "u'"간의 절단 단면도를 도시한것으로서,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전선 가공 방법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전선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의 기술적 구성은, 제 1 및 제 2 외피 층 중 하나의 외피 층이 생략되어지고, 비교적 연질의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도전성 수지 재를 사용하여 통전 선로(10f, 10f', 10fa, 10fb)와 함께, 압출 성형하여 발열 작용 층(1)을 형성 시킨 후, 그 성형품의 겉면에 절연 외피 층(2f, 2fa, 2fb)을 형성시켜 완성되어지는 지는 것이다.
도 10의 (A)에 통전 선로(10f, 10f')의 두 가닥 사이가 평행되게 위치하는 형태를 취하며, 그 통전 선로 간에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1)을 압출 성형한 후, 그 발열 작용 층의 외주 면에, 열가소성 수지 재로 절연 외피 층(2f)을 압출 성형하여 구성되어지고, 선 전체 구간이 발열되는 특징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5a)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B)에, 상기 도 (A)와 가공 방법은 동일하나, 통전 선로(10f, 10f')의 두 가닥 사이가 평행되게 위치하는 형태와 소정의 간격 마다 중앙부를 비워두는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구성되어지고, 발열 구간이 징검다리처럼 부분 부분이 떨어져서 발열되는 특징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5b)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C)에 통상의 동축 케이블처럼 가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중앙부의 선재가 통전 선로(10fa)의 하나의 라인이며, 그 위를 도전성 수지 재로 압출 성형하여 발열 작용 층(1)을 형성 한 후, 그 발열 작용 층(1)의 외주 면을 도전성 금속재의 매쉬(mesh) 케이블(일명 쉴드 선)로 감싸, 다른 한 측 라인의 통전 선로(10fb)를 구비시킨 후, 열가소성 수지 재로 절연 외피 층(2fb)을 압출 성형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선 전체 구간이 발열되고, 동축 케이블 형태를 갖는 특징으로 제공되어지는,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5c)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구조를 갖는 발열 작용 체(105a, 105b, 105c)는 다양한 형태 내지는 형상 변경으로 변형 실시되어 질 수 있지만, 두 가닥의 통전 선로 라인 간에 수 내지 수 백kΩ정도의 표면 저항치를 특징으로 갖는 도전성 수지 재를 압출 성형하여 발열 수단을 형성시켜, 발열 작용 층이 구성되는 실시 일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도면으로는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발열 전선은 전기 온열 매트, 전기 난방 장판, 동파방치 히터 장치, 농사용 비닐하우스 난방, 전기 전자 제품의 선형(線形) 발열 체등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의 (A), (B-1), (B-2), (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변기 좌판에 발열 작용을 겸비시킨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를 사시도 및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1의 (A)는, 변기 본체에 설치되어지고, 상하 유동 구조를 제공하는 힌지 부("가")와, 발열 전원 공급 단자 접속(연결) 부("나")와, 내부에 발열 작용 체를 수용하고, 일반적인 "0" 또는 "C" 자 형태로 제공되는 좌석 부(점으로 해칭되어진 부분)로 구성되어지는, 발열 기능을 겸비한 변기 좌판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체(106a, 106b)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B-1) 및 (B-2)는, 도 (A) 좌석 부의 "a" 와 "b"간의 절단면을 변기 좌판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6a, 106b)의 실시 일례 별로 구분 도시한 것으로서,
(B-1)는, 제 1 실시 일례로서, 변기 좌판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6a)의 구성이, 수지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고, 변기 몸체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부분인 기존의 좌판 틀을 기준으로, 변기 몸체에 안착되는 반대의 상측 면에 바깥쪽으로 빙 둘러서 플렌지 부가 형성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도록 변경한 형태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되는 하측 부의 제 2 외피 층(3g)에 통전 선로(10g)를 배치한 후, 인서트 사출 금형에 넣고,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1)을 인서트 사출 가공하여 구성한 후, 그 상 측면에 제 1 외피 층(2g) 판을 밀폐되어지게 열 접합 가공을 한 후, 그 상측 면에 접착 부 재(640)로 좌석 쿠션(641)을 부착하여 완성되어지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B-2)는, 제 2 실시 일례로서, 변기 좌판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6b)의 구성이, 수지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고, 변기 몸체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부분인 기존의 좌판 틀을 기준으로, 변기 몸체에 안착되는 하측 면에 바깥쪽으로 빙 둘러서 플렌지 부가 형성된, 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도록 변경한 형태로 성형가공하여 구비되는 제 2 외피 층(3g')에,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1)을 성형 가공하여 구성한 후, 통전 선로(10g)를 열 접합 배치하여, 상기 제 2 외피 층(3g')에 넣고, 수지 재 내지는고무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는 제 1 외피 층(2g') 판을 밀폐되어지게 열 접합 가공을 한후, 상기 제 1 외피 층(2g')측의 상측 면에 접착 부 재(640)로 좌석 쿠션(641)을 부착하여 완성되어지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C)는, 상기 (A)의 발열 기능을 갖는 변기 좌판(106a, 106b)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바깥쪽으로 빙 둘러서 플렌지 부가 형성된, 한 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는 형태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되는 제 2 외피층(3g, 3g')에, 전원 접속 단자(11)가 결성된 통전 선로와 발열 수단을 제공하는 발열 작용 층(1)을 구성하여 제공되어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A), (B), (C), (D)는 본 발명에 따른, 관상용 수족관의 난방용 장치를 구성한 실시 일례의 평면도 및 측면도 및 단면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A)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며, (B)는 부분 절개 평면도이며, (C)는 (B)의 "a" 와 "b"간의 단면도로서, 한 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태를 갖추고, 수지재 내지는 고무 재로 성형 가공되는 제 2 외피 층(3h)이 구비되고, 도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전 선로(10h)에 전원 공급 전선(20)을 용접 결선하여 구비하고,
인서트 성형 금형에 상기 제 2 외피 층(3h)을 안착 시킨 후, 그 오피 층에 통전 선로(10h)를 안착 시키고, 온도가 열대어 및 파충류의 생장에 적절한 최소 20 최대 30℃ 정도로 발열하도록, 표면 저항이 85kΩ정도인 특성을 지닌 도전성 수지재로, 통전 선로의 배치 간격이 7 내지 8cm 정도이고 성형 두께가 0.4 내지 0.5mm정도인 특징을 갖추게 발열 작용 층(1)을 성형 가공한 다음,
한 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태로 상기 제 2 외피 층(3h)을 감싸는 크기를 갖추고, 상기 제 2 외피 층(3h)의 구비 재질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 가공되는 제 1 외피 층(2h)을, 상기 발열 작용 층(1)이 형성된 위에 뚜껑을 씌우듯 덮은 후 열 융착으로 밀봉 가공 처리하여 구성되는, 열대어 및 파충류 수족관용 판형히터의 구조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7)의 실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로, 도시 부호 "가" 는 후크(hook) 형태의 걸이 부이며, 도시 부호 "나" 의 원안의 내부를 도 (D)에 사시도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발열 작용 층(1)은 도전성 수지 재의 표면 저항 치의 변화에 따라, 발열 특성에 맞게 발열 작용 층의 두께 및 통전 선로의 배치 간격은 조정되어진다.
또한, 도면으로는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열대어 및 파충류 수족관용 히터의 구조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7)의 기술적 구성 방법을 이용 변형 실시하여, 가정용 난(蘭) 재배 실의 난방, 가정용 양액 재배 장치의 배양 원액의 보온 등에 적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결국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지는 것이다.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발효 내지 숙성 기능을 갖는 업소용 김치 숙성 용기 형태를 취하는 발열 구조 체의 실시 일례를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A)는,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B)는, 전원 접속 단자 부(11)를 기준한 단면도이며, (C)는 배치된 통전 선로만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밑반찬을 자체 조달하는, 고객이 많은 대중식당에서는 김치 소비량이 많아 김치 냉장고를 사용하기에는 시설비용 부담이 높고, 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새로 담은 김치를 빨리 숙성(익히기) 시키기 위하여, 특히 겨울에는 발열 전기장판 위에 올려놓고, 담요를 씌워 숙성하거나, 여름철에는 옥외에 놓아두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조리자가 원하는 급속 숙성 온도를 맞추기에는 어려웠던 것이 현실이며,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급속 숙성 온도로 발열하는 김치 숙성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내 외장 전체를 둘러싸는 상자 형태의 제 1 외피 층(2ii, 2io)을 수지재로 성형 가공하고,
전원 접속 단자 부(11)를 결합한 통전 선로(10ia, 10ib)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안착 시키고,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1)을 성형 가공 한 다음, 상기 제 1 외피 층(2ii, 2io)에 삽입 장착하고,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제 2 외피 층(3i)을 성형 가공한 후, 상기 발열 작용 층(1)과 제 1 외피 층(2ii, 2io) 사이에 삽입 후 접합하는 구성으로 업소용 김치 숙성 용기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8)가 제공되어진다.
상기 김치 숙성 목적의 발열 기능을 겸비하고, 사각 용기 형태를 지닌 발열 구조 체(108)의 발열 작용 층의 발열 특성은, 통전 선로의 배치 간격, 발열 작용 층의 두께 또는 도전성 수지 재의 저항치를 조절하여, 발열 온도가 약 15 에서 30℃ 정도 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일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상의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들을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4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 냉장고의 레일에 결빙 방지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의 실시 일례의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서랍식 김치 냉장고에서 서랍의 여 닫음을 힘들이지 않게 하기위하여 레일과 롤러를 설치하게 되는데, 레일에 결빙이 될 경우 열고 닫음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바, 대부분의 김치 냉장고 제조 회사에서는 레일 뒷면에 전기 발열 전선을 설치하여 결빙을 방지하고 있지만, 설치 방법 상 작업성이 낮고, 철재로 구비되어지는 바, 열 손실이 높으며, 전체적인 구성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가 구르는 레일 부분이 "ㄷ" 자형태의 빔(beam) 형태를 취하고, 김치 냉장고 벽에 고정 하는 나사 관통 부분의 구멍("Rh")이 복수 개 형성되고, 레일의 끝 단부에 전원 접속 연결 단자부(11)가 전원 공급 전선을 결선 할 수 있도록 노출되어지는 형태를 취하며,
상기 형태를 취하면서, 수지 재를 사용하여 제 1 외피 층(2j)을 성형 가공하고, 인서트 사출 금형에 그, 제 1 외피 층(2j)을 안착 시키고, 또한 두 통전 라인의 통전 선로(10ja, 10jb)를 삽입 안착 시킨 후, 도전성 수지 재를 이용하여 발열 작용 층(1)을 성형한 다음, 다시 인서트 사출 금형에 발열 작용 층(1)이 성형되어진 공정 완성품을 안착 시키고, 절연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수지 재를 사용하여 롤러가 접촉되는 부분의 제 2 외피 층(3j)을 성형 시켜 구성되어지는 서랍식 김치냉장고의 레일에 결빙 방지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9)를 도 14에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식 김치 냉장고의 레일에 결빙 방지 기능을 경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9)는, 소정의 형태 변형 실시를 하자면, 미닫이 식 창틀 및 유사한 물체 즉, 상하 또는 좌 우 왕복 운동 체를 받쳐 주거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조물에 등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마땅히 보호 받아야 하는 것이다.
참조로, 본 발명의 발열 작용 층은, 시판되는 도전성 수지 재를 기준으로, 그 컴파운드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보증하는 내열성을 감안하면, 약 130 내지 15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발열되는 특징을 갖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의 내용에서 응용실시되어지는 각 분야는 상기한 최고 발열 온도 이내에서 발열 목적 달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도면으로 예시하고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는,
수 내지 수백kΩ정도의 표면 저항 특성을 지닌 즉, 종래의 면상 발열체에 비하여 비교적 고저항인 특징을 갖는, 도전성 카본 블랙을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재와, 발열 전원 공급 라인의 수단을 제공하는 통전 선로를 인서트 사출 성형 가공 또는 열 융착 접합 가공으로, 발열 수단이 제공되는 발열 작용 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의 구성 방법과 제조 방법은, 발열 전선을 사용한 방식 및 발열 도료 피막형성 면상 발열 체 방식 등의 종래 발열 작용 체의 구성 기술과는 차별화되어짐이마땅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의 응용 실시 일례를 도면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외 다른 목적으로 실시되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도 1 내지 14에 도시한 구성 방법 및 제조 방법의 기술적, 논리적 범주 내에 있다면 그 또한 마땅히 보호 받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부문에서 제시한 제 1 내지 제 9 과제를 개선하는 기술이 제공되어지며, 전기 전자 제품에 채용되는 발열 작용 체를 구성하는 비용이 저렴하게 제공되는 장점과, 특히 형태가 복잡한 발열체의 경우 자동화 작업이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와, 종래 발열 도료를 이용한 발열 피막 층 형성 방법의 면상 발열체 보다 제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는 것이며, 종래 발열 전선을 이용한 방법 보다 전자파 발생이 훨씬 감소되는 효과가 제공되어지며, 다양한 형상 또는 특수 구조 내지는 발열 특성 및 목적에 맞는, 발열 수단 즉, 발열 작용 층의 구성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Claims (32)

  1. 난방, 가열, 보온, 결빙 방지, 건조 등의 발열 수단을 제공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에 관한 것으로,
    발열 수단을 구비시키기 위한 발열 작용 층의 구성이, 열가소성 수지 재에 도전성 카본 재가 5 내지 25 중량 부(wt,%) 이내로 함유되어, 수 내지 수백kΩ정도의 표면 저항치의 특성을 지닌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발열 작용 층에는, 도전성 금속의 판재 또는 선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가 발열 특성 및 목적에 맞는 조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져, 열융착 또는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으로 매설 설치 또는 열융착 가공 방법으로 접합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통전 선로가 설치된 발열 작용 층의 외측 전체를 수지 재, 고무 재등의 절연성 재료로 외피 층을 접착, 인서트 사출, 열 성형, 열융착 등의 가공 방법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구조 체 및 발열 작용 체.
  2. 제조 방법이 선(先) 공정과 후(後)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 공정이, 통전 선로 구성 재료인 선재 또는 판재를 투입하고,
    선재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 작업을, 판재는 구멍 따냄 가공 작업 후, 전원 연결 단자를 투입하여, 통전 선로 끝단에 용접 또는 압착 접속을 한 다음,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를 투입하여, 양면 중 한쪽 면의 외피 층을 열성형 가공한 다음,
    인서트 사출 금형에, 상기 외피 층의 성형된 가공 체를 안착 시킨 후, 통전 선로 배치 부에 상기 통전 선로를 안착 시킨 후,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성형하여 완성하는 제조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후(後) 공정이, 상기 선 공정 완성품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안착 시킨 후,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를 투입하여, 기(旣) 형성된 외피 층의 반대 면에 또다른 외피 층을 열 성형 가공하고, 외관 및 성능 검사를 하는 공정 순서로 완성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선(先) 공정이, 통전 선로 구성 재료인 도전성 금속 박막 판재에 구멍 따냄 가공을 하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며, 필요에 따라 전원 연결의 탭 또는 리셉터클 단자를 투입하여, 통전 선로 끝단에 용접 또는 압착 가공한 다음,
    수지 재, 합성 고무 재를 투입하여, 양면 중 한쪽 면의 절연 외피 층을 열성형 가공하고,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열 성형 가공 한 다음,
    상기, 절연 외피 층 성형 체의 원 기둥 돌기 부에 통전 선로를 안착 시킨 후,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로 성형 한 발열 작용 층을 안착 시킨 다음, 보스의 봉우리 부분을 열융착으로 상호 밀착 접속되어지게 가공하여 완성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
  4.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후(後) 공정이, 선 공정 완성품에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열 성형 가공한 절연 외피 층을 올려놓고 열융착 기계로 접합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및 외관 상태 등을 검사하여 완성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
  5.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후 공정이, 선 공정 완성품에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열 성형 가공한 절연 외피 층을 양면테이프 내지는 본드 등의 접착 부재로 접합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및 외관 상태 등을 검사하여 완성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
  6. 제 2 또는 3항에 있어서, 후 공정이, 선 공정 완성품에, 에폭시 등의 몰딩액재 또는 우레탄 등의 발포 폼 재를 충진 한 후 굳히는 방법으로 하측 절연 외피 층을 가공을 한 뒤, 발열 성능 및 외관 상태 등을 검사하여 완성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이 가공된 도전성 금속 판재 또는 선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안착 시키고, 도전성 수지 재를 이용하여 발열 작용 층을 사출 성형으로 구성하고,
    난방 설치를 기준으로 상측 표면에 해당되고, 측면에 요철 홈 및 그 요철 홈에 삽입되어지는 돌출부와, 전원 입력 단자 연결 터미널 부의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수지 재 또는 합성 고무 재로 구비되는, 제 1 외피 층을, 인서트 성형 가공 방법으로, 상기 통전 선로가 설치된 발열 작용 층에 접합되게 구성하고,
    난방 설치 기준으로 하부 측에 해당되고, 수지 재, 합성 고무 재로 열 성형 방법 내지는 발포 재 또는 몰딩 액재를 이용하여 발포, 충진 등의 방법으로 가공되어지는, 제 2 외피 층을, 상기의 제 1 절연 외피 층의 반대 측 면에 접합되어지게 구성하여 제공되는, 끼움 조립 설치 방식의 판 형태를 갖는 면(面) 난방 목적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
  8. 제 7항에 있어서, 통전 선로가 설치된 발열 작용 층의 상하 면에 양면테이프를 각각 부착하여, 제 1 및 제 2 외피 층을 구성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끼움 조립 설치 방식의 판 형태를 갖는 면(面) 난방 목적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
  9. 제 7 또는 8항에 있어서, 제 1외피 층의 끼움 조립 부분이, "ㄱ" , "ㄴ" 자 형태의 플렌지 부가 구비되어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끼움 조립 설치 방식의 판 형태를 갖는 면 난방 목적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
  10. 제 1 및 7항에 있어서, 통전 선로와 발열 작용 층의 열 융착 접합 방법의 실시를 위하여, 제 1 또는 제 2 외피 층에 보스(원 기둥 돌기)를 일체로 형성시켜 성형 가공되고, 그 보스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발열 작용 층이 도전성 수지재로 성형 가공되고,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에 다수의 구멍이 가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조립 설치 방식의 판 형태를 갖는 면 난방 목적으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
  11. 제 1 내지 10항에 있어서, 제 2 외피 층 하부 면이 사각 또는 육각 또는 기타 원 형 등의 복수의 반복 홈이 구비되어지는 형태의 구조를 갖고, 수지 재, 합성 고무 재 등의 절연성 재료를 이용하여 열 성형 가공으로 제조되며, 두께가 0.5 내지 15mm 정도로 구성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외피 층이 상자 형태의 바깥쪽에 플렌지 부가 제공되는 구조를 갖추며,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하여 준비되는 절연 외피 층을 인서트사출 금형에 안착시키고,
    도전성 금속 박막 판재 또는 선재로 사용하여, 전원 접속 단자 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통전 라인이 구비되는 형태로 가공된 통전 선로를 제 1 외피 층의 요홈에 안착시킨 후,
    도전성 수지 재를 인서트 사출 가공을 하여, 발열 작용 층을 성형시킨 다음, 그 발열 작용 층의 노출면에 합성 고무 재, 수지 재, 우레탄 폼 발포 재, 에폭시 몰딩 액재 등을 사용하여, 제 2 외피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특징을갖는, 전기냉장고용 댐퍼 부의 결빙 방지 수단이 제공되고, 원형 또는 각형의 평면 형태로 제공되어지는 발열 작용 체(101a, 101b).
  13. 제 1항에 있어서, 바깥쪽 테두리에 전원 접속 단자 수용 홈과 플렌지 부가 제공되는 사각 틀 형태를 갖추며, 통상의 토석 등의 광물질, 또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재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되는 제 1 외피 층에,
    도전성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U" 자형 탄성 접촉 구조를 갖는 전원 접속 단자 부와 복수의 구멍이 구비되는 형태로 가공된 통전 선로를 도전성 수지 재를 사용하여,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으로 발열 작용 층에 통전 선로가 매설된 형태로, 일체가 되게 가공한 것을, 상기 제 1 외피 층에 삽입하고, 발열 작용 층이 수용되어진 부분에 합성 고무 재, 수지 재, 우레탄 폼 발포 재, 에폭시 몰딩 액재 등을 사용하여 제 2 외피 층을 형성시켜 구성하고, 난방 목적의 발열 작용을 겸비시킨, 타일 형대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2).
  14. 제 1항에 있어서, 피브이씨(PVC), 피이(PE) 등의 열가소성 수재 재를 사용하여 제 1 외피 층 원통(내측 파이프)을 성형한 후, 그 외주 면에 선재 또는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를 배치시킨 다음,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피복성형 하고, 또 다시 그 외주 면에 피브이씨(PVC), 피이(PE)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 내지는 연질 우레탄 또는 합성 고무 재를 사용하여 제 2 외피 층(외측 파이프)을 성형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동파 방지 등의 목적으로 발열 작용을 갖추도록 한,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103).
  15. 제 1항에 있어서,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성형 가공하여 용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 1 절연 외피 층을 구성하고, 그 제 1 외피 층에 전원 접속 단자 부가 구비된 통전 선로를 배치 한 후,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를 사용하여 발열 작용 층을 성형 시킨 다음, 음식을 수용하는 부분인 제 2 절연 외피 층을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성형, 접합 시키는 구성 방법으로 제공되어지는, 음식 보온의 목적으로 발열 작용을 갖추도록 한, 뷔페식당용 음식 수용 용기 형태로 제공되는 발열 구조 체(104).
  16. 제 1항에 있어서, 한 측의 외피 층은 생략되어지고, 통전 선로의 두 가닥 사이가 평행되는 형태를 취하며, 두 통전 선로 간에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압출 성형 한 후, 그 발열 작용 층의 외주 면에, 수지 재로 절연 외피 층을 압출 성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5a).
  17. 제 16항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 마다 중앙부를 비워두는 형태를 취하며, 발열 구간이 징검다리처럼 일정 간격으로 부분 부분이 발열되는 특징으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피복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제공되는 발열 작용 체(105b).
  18. 제 1항에 있어서, 한 측의 절연 외피 층이 생략되어지고, 동축 케이블 형태로 가공되어지고, 중앙부의 선재가 통전 선로의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되고, 그 위를 도전성 수지 재로 압출 성형하여 발열 작용 층을 형성시킨 후, 그 발열 작용 층의 외주 면을 도전성 금속재의 매쉬 케이블(일명 쉴드 선)로 감싸는 방법으로 다른 한 측 라인의 통전 선로를 구비시킨 후, 수지 재로 절연 외피 층을 압출 성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전선 구조에 발열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5c).
  19. 제 1항에 있어서, 좌변기 본체에 설치되어지고, 상하 유동 구조를 제공하는 힌지 부와, 발열 전원 공급 단자 접속 부와, 내부에 발열 작용 체를 수용하고, "0" 또는 "C" 자 형태로 제공되는 좌석 부가 구비되는 형태를 갖으며,
    수지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고, 변기 몸체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부분인 기존의 좌판 틀을 기준으로, 변기 몸체에 안착되는 반대의 상측 면에 바깥쪽으로 빙 둘러서 플렌지 부가 형성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도록 한 형태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되는 하측 부의 제 2 외피 층에, 전원 접속 단자를 결성 시킨 통전 선로를 안착시킨 후, 인서트 사출 금형에 넣고, 그 위에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인서트 사출 가공으로 구성한 후, 그 상 측면에 제 1 외피 층을 밀폐되어 지게 열 접합 가공을 한 후, 그 상측 면에 접착 부 재로 좌석 쿠션을 부착하여 완성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갖는, 발열 기능을 겸비된 변기 좌판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체(106a)
  20. 제 19항에 있어서, 수지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고, 변기 몸체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부분인 기존의 좌판 틀을 기준으로, 변기 몸체에 안착되는 하측 면에 바깥쪽으로 빙 둘러서 플렌지 부가 형성된, 하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는 형태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되는 제 2 외피 층에,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성형 가공하여 구성한 후, 통전 선로를 열 융착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 2 외피 층에 넣고, 수지 재 내지는 고무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는 제 1 외피 층 판을 밀폐되어지게 열 접합 가공을 한 후, 그 상측 면에 좌석 쿠션을 부착하여 완성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갖는 발열 기능을 겸비된 변기 좌판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6b)
  21. 제 1항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 금형에 수지 재로 성형하여 구비되는 제 1 절연 외피 층을 안착 시킨 후, 전원 공급 전선이 접속된, 통전 선로를 안착 시키고, 최소 20 최대 30℃ 정도로 발열하도록, 통전 선로의 배치 간격을 7 내지 8cm 정도로, 성형 두께를 0.4 내지 0.5mm 정도로, 표면 저항이 85kΩ인 특성을 지닌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성형 가공한 다음,
    한 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태로 상기, 제 1 절연 외피 층을 감싸는 상자형태를 갖추고, 갈고리 모양의 걸이 부가 구비되는 형태를 취하며, 상기 절연 외피 층의 구비 재질과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성형 가공하여 제 2 절연 외피 층을 구비한 다음,
    상기 발열 작용 층이 형성된 공정 완성품 위에, 제 2 절연 외피 층을 뚜껑을 씌우듯 덮은 후 열 융착으로 가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대어 및 파충류 수족관에 걸어서 사용하는 판형 히터의 형태로 제공되어지는, 발열 구조 체(107).
  22. 제 1항에 있어서, 내 외장 전체를 둘러싸는 상자 형태의 제 1 외피 층을 수지재로 성형 가공하여 구비하고,
    전원 접속 단자 부를 결합한 통전 선로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안착 시키고,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을 성형 가공 한 다음, 상기 제 1 외피 층에 삽입 장착하고,
    수지 재 내지는 합성 고무 재로 제 2 외피 층을 성형 가공한 후, 상기 발열 작용 층과 제 1 외피 층 사이에 삽입 후 접합 설치하는 구성으로 재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김치 숙성 용기 형태를 갖는 발열 구조 체(108).
  23. 제 22항에 있어서, 통전 선로의 배치 간격, 발열 작용 층의 두께 또는 도전성 수지 재의 저항치를 조절하여, 발열 온도가 약 15 에서 3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김치 숙성 용기 형태를 갖는 발열 작용 체(108).
  24. 제 1항에 있어서, 롤러가 구르는 레일 부분이 "ㄷ" 자형태의 빔(beam) 형태를 취하고, 김치 냉장고 벽에 고정 하는 나사 관통 부분의 구멍이 복수 구비되고, 레일의 끝 단부에 전원 접속 연결 단자 부가 노출되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먼저, 수지 재를 사용하여 제 1 외피 층을 성형 가공 하고, 인서트 사출 금형에 제 1 외피 층을 안착 시킨 다음, 두 통전 라인의 통전 선로를 삽입 안착 시킨 후, 도전성 수지 재를 이용하여 발열 작용 층을 성형한 다음, 다시 인서트 사출 금형에 발열 작용 층이 성형되어진 공정 완성품을 안착 시키고, 내마모성을 갖는 수지 재를 사용하여 롤러가 접촉되는 부분의 제 2 외피 층을 성형 시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김치 냉장고의 레일에 결빙 방지 기능을 겸비토록 한 발열 작용 체(109).
  25. 제 1항에 있어서, 도전성 수지 재로 발열 작용 층이 구성되고, 최고 발열 온도가 130 내지 150℃ 이내에서 발열되는 특성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체.
  26. 제 1 내지 3항 및 7 내지 24항에 있어서,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ABS", "HIPS"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에 전기적 특성에 맞는 중량 부 만큼의 도전성 카본이 혼합되어 제공되고, 그 물질 비중이 0.9 ∼ 1.4 g/cc 정도이고, 인장 강도가 1,000kg/㎠ 이상이며, 열 변형 온도가 150 내지 200℃ 이내 정도이고, 표면 저항이수 내지 수백kΩ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수지 재 컴파운드를 사용하여 성형 가공으로 발열 수단을 구비시킨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27. 제 1 항에 있어서, 판재로 구비되는 통전 선로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28. 제 1항에 있어서, 통전 선로의 구성이, 구리, 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금속 선재로 구비되고, 단면적이 0.1 내지 2.0㎟ 정도인 단선 또는 복선(연선)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29. 제 1 내지 3항 및 7 내지 24항에 있어서, 표면 저항 특성이 85kΩ정도인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하여 구비한, 발열 작용 층의 발열 면의 길이가 3m, 통전 선로의 설치 간격이 15cm, 발열 작용 성형 층의 두께가 1.5mm, 발열 면의 총 면적이 0.45㎡인 조건의 발열 작용 층에, 단상 교류 220볼트 60Hz의 전원을 공급하면, 소비전력이 150 와트 내외, 전원 인가 30 분 후에 측정한 발열 온도가 약 68℃ 내외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 가공하여 발열 수단을 구비시킨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30. 제 1 내지 3항 및 7 내지 24항에 있어서, 표면 저항 특성이 85kΩ정도인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하여 구비한, 발열 작용 층의 발열 면의 길이가 3m, 통전 선로의 설치 간격이 30cm, 발열 층의 두께가 1.5mm, 발열 면의 총 면적이 0.9㎡인 조건의 발열 작용 층에, 단상 교류 220볼트 60Hz의 전원을 공급하면, 소비전력이 140와트 내외 정도, 전원 인가 30 분 후에 측정한 발열 온도가 약 36℃ 내외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 가공하여 발열 수단을 구비시킨 발열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31. 제 1 내지 3항 및 7 내지 24항에 있어서, 발열 작용 층의 발열 및 전기적 특성을 조정하는 수단들이, 도전성 수지 재 성형 층의 두께의 조절, 통전 선로의 선간 간격 조절, 도전성 수지 재의 도전성 카본 블랙 함량에 따른 표면 저항치의 조절로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도전성 수지 재를 성형 가공하여 발열 수단을 구비시킨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32. 제 1 내지 3항 및 7 내지 24항에 있어서, 발열 작용 층의 형성 두께가 최소 0.3mm 이상, 최대 10mm 내외 정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작용 체 및 발열 구조 체.
KR1020040057877A 2004-07-23 2004-07-23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80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877A KR20040080390A (ko) 2004-07-23 2004-07-23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877A KR20040080390A (ko) 2004-07-23 2004-07-23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390A true KR20040080390A (ko) 2004-09-18

Family

ID=3736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877A KR20040080390A (ko) 2004-07-23 2004-07-23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03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78B1 (ko) * 2007-03-14 2008-02-01 주식회사 과연우드 외표면 코팅층을 갖는 폴리스틸렌 발포 몰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473B1 (ko) * 2010-12-08 2013-07-12 박명숙 전열용 탄소저항체
KR20170027417A (ko) 2015-09-02 2017-03-10 이장우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매트
KR20200031231A (ko) * 2018-09-14 2020-03-24 에스테크 주식회사 차량 전장품의 수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차량 전장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78B1 (ko) * 2007-03-14 2008-02-01 주식회사 과연우드 외표면 코팅층을 갖는 폴리스틸렌 발포 몰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473B1 (ko) * 2010-12-08 2013-07-12 박명숙 전열용 탄소저항체
KR20170027417A (ko) 2015-09-02 2017-03-10 이장우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매트
KR20200031231A (ko) * 2018-09-14 2020-03-24 에스테크 주식회사 차량 전장품의 수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 방법 및 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차량 전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3117B (zh) 具有玻璃面板的门体及使用该门体的家用电器
CN206459251U (zh) 一种集成墙暖
CA1114875A (en) Baseboard heater with internal cable carrier
CN104093226B (zh) 一种用泡沫铝嵌套发热元件制作的电热板
CN206212302U (zh) 一种保温碳纤维发热模板
KR20040080390A (ko) 발열 기능을 갖는 발열 작용 체 및 구조 체의 구성 방법및 그 제조 방법
CN204642658U (zh) 一种外卖保温箱
CN204923416U (zh) 具有防变形隔热结构的电磁储水式热水器
CN105627412A (zh) 一种碳纤维电热板地暖结构
CN201722873U (zh) 外墙保温板及其连接件
US4697063A (en) Electric heating element
CN202248714U (zh) 一种地暖热导向系统
CN209666477U (zh) 一种石墨烯发热及空气净化的艺术装饰墙裙
CN201255464Y (zh) 干式地暖装置
CN202143228U (zh) 一种复合电热体
KR20150054130A (ko) 전도성 탄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황토패널 및 그 제조방법과 조성물
CN210463185U (zh) 一种节能型地暖系统
CN201772542U (zh) 一种板式电取暖器及其构成的采暖系统
CN208504530U (zh) 一种集成电热地暖系统
CN201143058Y (zh) 半导体冷暖床
CN101893280B (zh) 一种板式电取暖器及其构成的采暖系统
CN206269228U (zh) 集成电地暖
CN201217694Y (zh) 散热电解槽
CN201091385Y (zh) 电热沙发
CN220911667U (zh) 双胆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