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585A -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 Google Patents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585A
KR20040076585A KR1020040005568A KR20040005568A KR20040076585A KR 20040076585 A KR20040076585 A KR 20040076585A KR 1020040005568 A KR1020040005568 A KR 1020040005568A KR 20040005568 A KR20040005568 A KR 20040005568A KR 20040076585 A KR20040076585 A KR 20040076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toe
sole
foo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스즈키사치요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5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6Conditioning fluids entering or exiting the reaction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12M37/02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 및 양말을 신고서 신발을 신는 경우의 양 상태에 있어서,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유효하게 촉진할 수 있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는 제 1의 안창(10)과, 제 2의 안창(30)을 구비한다. 제 1의 안창(10)은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11)을 갖는다. 제 2의 안창(30)은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32)와, 제 1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로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33)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31)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A SET OF INSOLES FOR BABY AND CHILD-CARE SHOES}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소아용 신발을 위한 안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소아의 발바닥 장심(掌心)의 형성을 촉진하는 안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유소아용 신발은 유소아가 걷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데, 그 사용 목적은 발의 보호때문이다.
유소아기에 있어서의 발의 성장은 걷기 시작하는 1세 전후부터 6세 또는 7세 정도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고 한다. 특히, 비교적 저연령의 유아기에 있어서, 발을 건전한 상태로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발의 건전한 성장의 전형적인 현상으로서,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있다. 발바닥 장심은 보행시에 있어서 충격 흡수 효과를 발휘하고, 등뼈를 통하여 뇌를 지킨다는 중요한 역할을 다하는 것이다.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위해서는 발에 의해 지면을 붙잡도록 발의 각 발가락을 운동시키면서 걷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와 같은 보행 상태는 유소아가 맨발로 걷는 때에 보다 용이하게 실현된다.
다른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의 보호를 위해서는 신발이 필요하게 된다. 유소아가 신발을 착용하면, 발의 각 발가락의 움직임이 저해되고, 지면을 붙잡도록 발을 운동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그 결과로서 발의 건전한 성장을 저해하는 일이 있다.
본건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은 특개2001-157601호 공보에 유소아의 발의 건전한 성장을 촉진하도록 개량된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을 개시하였다.
[특허 문헌 1]
특개2001-157601호 공보(도 2, 도 3)
특개2001-157601호 공보에 개시된 안창은 특히 유소아가 맨발로 신발을 착용하는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양말을 신고 신발을 신는 경우에는 특개2001-157601호 공보에 개시된 안창을 사용할 수가 없다. 유소아의 하루 생활을 보면,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와 양말을 신고 신발을 착용한 경우가 섞여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 및 양말을 신고 신발을 신는 경우의 양 상태에 있어서,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유효하게 촉진할 수 있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는 제 1의 안창과, 제 2의 안창을 구비한다. 제 1의 안창은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을 갖는다. 제 2의 안창은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와, 제 1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로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는 안창 세트는 요철이 없는 플랫한 형상의 제 3의 안창을 또한 구비한다.
제 1의 안창의 칸막이벽의 높이는 바람직하기는 유소아의 발의 발가락과 거의 같거나, 그것보다도 크다. 제 2의 안창의 세로 융기부 및 가로 융기부의 높이는 바람직하기는 5㎜ 이하이다.
전형적인 사용 형태로서, 제 1의 안창은 맨발용이고, 제 2의 안창은 양말용이고, 제 3의 안창은 두께 조정용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안창 세트는 제 4의 안창과 제 5의 안창을 또한 구비한다. 제 4의 안창은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 및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를 갖는다. 제 5의 안창은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와, 제 1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로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 및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를 갖는다.
상기 각 구성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는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항에서 설명한다.
도 1은 어른의 발의 중심 이동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압력 분포 분석을 위해 유소아의 발을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오른쪽발 하중의 시간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발바닥의 중심 이동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좌우의 발의 중심 이동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안창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안창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선 8-8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9는 안창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선 10-10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1은 안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안창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 13-13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4는 안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 15-15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6은 안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안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안창의 칸막이벽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안창의 칸막이벽을 폭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20은 안창 세트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안창 세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안창 세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안창 세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안창 세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안창 세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안창 세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제 1 안창 11 : 칸막이벽
20 : 제 2 안창 21 : 칸막이벽
22 :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 30 : 제 3 안창
31 : 역T자 형상 융기부 32 : 세로 융기부
33 : 가로 융기부 40 : 제 4 안창
41 : 역T자 형상 융기부 42 : 세로 융기부
43 : 가로 융기부 44 :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
50 : 제 5 안창 60 : 제 6 안창
61 : 칸막이벽 62 : 경질 재료부
63 : 연질 재료부
도 1은 발바닥 장심이 형성된 어른의 발의 바닥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중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은 보행시의 체중 이동의 궤적이다. 어른의 보행시의 중심 이동에 주목하면, 최초에 뒤꿈치로 접지하고, 중심이 발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 5 중족골(中足骨) 골두부(骨頭部)로부터 제 1 중족골 골두부로 이행하고, 엄지발가락(제 1 발가락)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간다.
발바닥 장심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걷기를 시작하는 유소아의 경우에는 전혀 다른 중심 이동의 궤적을 나타낸다. 본원의 발명자는 발바닥의 압(壓) 분포 계측에 의해 유소아의 보행 분석을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걷기를 개시하는때와 걷기가 익숙해진 시기에서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에 차이점이 나타난다고 예측하고, 보행시의 발바닥에의 하중 부하의 상태 및 중심(重心)을 파악하기 위해 압분포 매트를 이용하여 계측을 행하였다.
피실험자의 생후 13개월, 14개월, 15개월시에, 아기를 불러 자유 보행으로 압 분포 매트 위를 걷게 하고, 하중 변화 및 중심 이동의 비교를 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압 분포 매트는 센서 분해능 1[㎠], 센서 부의 사이즈가 48㎝×44㎝이고, 수직력을 압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센서의 측정 범위는 1.96 내지 19.6[kPa], 정밀도는 ±10%이다. 상기 매트를 2장 연결하여, 유효 측정 영역이 96㎝×44㎝로 되도록 설치하고, 샘플링 주파수 100[H]로 계측을 하였다.
생후 13개월, 14개월, 15개월시의 각각의 계측 결과 중에서, 발로 서있는 시간이 거의 동일한 오른쪽발 1걸음을 선출하여 비교를 한다. 유소아의 발바닥은 아직 미발달 상태로서 평발이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길이의 중심(中心)으로 하중 분포를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분할하였다.
도 3은 오른쪽발 하중의 시간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생후 13개월, 14개월, 15개월인 때의 각각에 있어서, 뒷부분 하중이 0[N]이 되는 시각을 보면, 13개월시에서 0.19[s], 14개월시에서 0.29[s], 15개월시에서 0.31[s]로서, 뒷부분에의 하중 시간이 성장에 수반하여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거의 발 전체로 착지하고, 그 후 뒤꿈치를 띄어 간다는 미숙한 보행 방법으로부터, 뒤꿈치로부터 착지하고 서서히 앞부분으로 하중을 이동하여 가는 보행 방식으로 발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발바닥의 중심 이동의 궤적을 도시하고 있다. 13개월시에서는 뒤꿈치로부터 발끝으로 직선형상으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반면에, 14개월시, 15개월시가 됨에 따라 원호를 그리며 발끝을 향하고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즉, 발 폭 방향으로도 중심 이동이 있음에 의해, 안정감을 얻을 수 있고, 보행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또한, 유소아의 좌우의 발의 중심 이동의 궤적도 조사하였다. 도 5는 보행 개시 시기의 한 예로서 생후 13개월(보행 시작 후 1개월)의 유소아, 및 걷기가 익숙해진 시기의 한 예로서 생후 19개월(보행 시작 후 9개월)의 유소아의 중심 이동의 궤적, 시간 인자 및 거리 인자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 및 (b)을 비교하여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보행 개시 시기는 발 중앙부로 중심이 이동하고, 그대로 다음 발로 이동하고 있다. 이것은 한 쪽 발로 선 때에, 중심이 앞발부로 이동하기 전에 다음의 발이 착지하고, 양쪽 발이 접지한 상태에서 중심을 이동하기 있기 때문이다. 즉, 중심 이동이 효율성 좋게 되지 않는다.
걷기가 익숙해진 시기에서는 중심은 발꿈치부를 통과하여 앞발부로 이동하고, 다음 발의 발꿈치부로 이동하고 있다. 즉, 한 쪽 발로 선 때에 뒤꿈치로부터 앞발부로의 중심 이동이 나타나고, 그 후 다음 발이 착지하고 있다. 이것은 앞발부로 지면을 차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1보행주기 중의 한 쪽 발로 서 있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유각(遊脚)시간율은 보행 시작시에는 21.5%, 걷기가 익숙해진 시기에는 31.0%로 증가하고 있고, 한 쪽 발로 선 때의 안정성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보폭은 보행 시작시가 25.9㎝인 것에 대하여, 걷기가 익숙해진 시기에서는 37.4㎝로 커저 있고, 보행 속도도 0.63㎞/h로부터 1.35㎞/h로 증가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보행의 효율이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계측 결과로부터, 보행 시작에서부터 걷기가 익숙하여감에 따라, 보행시의 안정성의 증가, 보행 효율의 증가가 나타나서 보행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유소아의 보행 특성을 고려하여, 그 성장 단계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안창 세트 및 안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안창 세트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제 1의 안창(10)과,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제 2의 안창(20)과,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제 3의 안창(30)과,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한 제 4의 안창(40)과, 도 16에 도시한 제 5의 안창(50)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종류의 안창을 조합시켜서 안창 세트를 만드는데, 그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의 조합 방식이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기재한 안창의 조합으로 안창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A. 제 1 안창(10) + 제 2 안창(20)(도 20)
B. 제 3 안창(30) + 제 4 안창(40)(도 21)
C. 제 1 안창(10) + 제 3 안창(30)(도 22)
D. 제 2 안창(20) + 제 4 안창(40)(도 23)
E. 제 1 안창(10) + 제 3 안창(30) + 제 5 안창(50)(도 24)
F. 제 2 안창(20) + 제 4 안창(40) + 제 5 안창(50)(도 25)
G. 제 1 안창(10) + 제 2 안창(20) + 제 3 안창(30) + 제 4 안창(40) + 제 5 안창(50)(도 26)
도 6에 도시한 제 1 안창(10) 및 도 11에 도시한 제 3 안창(30)은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끼여지는 발가락 사이 융기부를 가지며, 나머지 영역은 융기부가 없는 플랫한 형상이다. 상기 안창(10 및 30)은 걷기 시작하는 단계의 유소아에 적합한 것이다. 걷기 시작하는 유소아의 보행 동작은 발바닥 전체를 거의 동시에 지면에 접지하는 소위 철석 철석 걷기 방식으로서, 중심 이동의 궤적은 직선적이며 엄지발가락(제 1 발가락)의 위치에서 떼어진다.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에 붙잡는 동작을 주는 발가락 사이 융기부의 존재는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촉진한다. 걷기 시작하는 아장아장 걷는단계에서는 철석철석 보행, 즉 편평족으로 밖에 걸을 수 없기 때문에, 발가락 사이 융기부 이외의 영역에서는 플랫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걷기 시작하는 단계에서 안창의 발바닥 장심부분에 융기부가 있면, 좌우의 밸런스가 나빠지고, 유소아의 보행성이 불안정하게 된다.
제 1 안창(10) 및 제 3 안창(30)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안창(10)은 발가락 사이 융기부로서,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11)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안창(10)은 유소아가 맨발로 신발을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11)은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의 사이에 늘어나 있는 평평한 판형상 부재로서, 그 상방 단부(11a)가 약간 두껍게 되어 있다. 또한, 그 기단(基端)에 안창의 이면에 위치하는 기단 플레이트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걷기 시작하는 유소아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칸막이벽(11) 이외의 영역은 플랫한 형상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11)의 높이는 유소아의 발의 발가락과 거의 같거나 그보다도 더 크게 되어 있다. 유소아의 발은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의 사이에 위치하는 칸막이벽(11)을 끼우고 붙잡는 운동을 행하기 때문에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촉진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제 6 안창(60)은 제 1 안창(10)에 대해 개량을 한 것이다. 제 6 안창(60)은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61)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61)은 상대적으로 딱딱한 평평한 경질 재료부(62)와, 상기 경질 재료부(62)의 전체를 둘러싸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연질 재료부(63)을 갖는다. 경질 재료부(62)는 예를 들면 딱딱한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연질 재료부(63)은 예를 들면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칸막이벽(61)은 상당히 민감하고 약한 유소아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것이다. 제 6 안창(60)에 의하면, 부드러운 연질 재료부(63)이 유소아의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한편, 내부가 딱딱한 경질 재료부(62)는 칸막이벽(61)을 안정되게 기립 상태로 유지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제 3 안창(30)은 발가락 사이 융기부로서,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과의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32)와, 제 1 발가락(1)의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2)의 부분의 아래에 까지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33)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31)을 구비한다. 상기 제 3 안창(30)은 융기부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유소아가 양말을 신고 신발을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지만, 유소아가 맨발로 신발을 장착하는 경우에도, 제 3 안창(30)을 사용할 수 있다.
양말을 신은 채로 제 3 안창(30) 위에 발을 싣는 것을 고려하면, 역T자 형상 융기부(31)의 높이, 즉, 세로 융기부(32) 및 가로 융기부(33)의 높이는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소아는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도,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으로 세로 융기부(32)를 붙잡는 발가락 운동을 행한다. 상기 경우, 세로 융기부(32)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세로 융기부(32)만이면 발가락이 미끄러져 발가락의 붙잡기 동작이 충분치 않게 된다. 가로 융기부(33)는 이와 같은 발가락의 미끄럼을 고정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양호한 붙잡는 동작을 행하기 쉽게 한다.
걷기 시작하는 유소아는 편평족 보행이기 때문에, 제 4 발가락(4) 및 제 5 발가락(5)이 붙은 부분의 아래에 까지 융기부가 늘어나 있으면, 보행시에 발의 걸림 현상이 생기게 되어 보행 밸런스가 나빠진다. 그래서, 바람직하기는 가로 융기부(33)는 그 한쪽 단이 제 3 발가락(3)을 넘지 않는 길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안창(10)은 맨발로 신발을 장착하는 때에 사용되는 것이고, 제 3 안창(30)은 특히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 신발을 장착하는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안창(10)과 제 3 안창(3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안창 세트(도 22)에 의하면, 맨발의 상태 및 양말을 신은 상태의 양 상태에서 걷기 시작하는 유소아의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맨발의 상태와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는 양말의 두께만큼 신발 속의 발의 높이가 달라진다. 그래서, 제 1 안창(10)과 제 3 안창(30)의 조합에 더해 도 16에 도시한 요철이 없는 플랫한 형상의 제 5 안창(50)을 세트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4). 상기 제 5 안창(50)은 맨발로 신발을 신는 때, 제 1 안창(10)의 아래에 놓여진다. 제 3 안창(30)을 맨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 3 안창(30)의 아래에 제 5 안창(50)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9에 도시한 제 2 안창(20) 및 도 14에 도시한 제 4 안창(40)은 각각, 발가락 사이 융기부에 더하여,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를 갖는다. 상기 안창(20 및 40)은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단계의 유소아에 적합한 것이다.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시작되면, 중심 이동의 궤적이 원호를 그리게 된다. 단, 아직 만곡의 정도는 작다. 그래서, 상기 단계에서,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를 갖는 안창을 사용하면 발의 발바닥 장심부분에 닿는 융기부의 존재에 의해 밖으로 향하는 중심의 이동이 보다 커진다. 그 결과, 원호상의 중심 이동의 궤적의 만곡 정도가 커지고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보다 촉진하게 된다.
제 2 안창(20) 및 제 4 안창(40)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2 안창(20)은 발가락 사이 융기부로서,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21)을 구비하는 것에 더해,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22)를 구비한다. 칸막이벽(21)은 제 1 안창(10)의 칸막이벽(11)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2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 형성 영역의 전체에 닿는 형상으로 융기하여 있다.
제 2 안창(20)은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유소아가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에서의 제 2 안창(20)의 사용은 칸막이벽(21)에 의한 발가락 운동의 촉진에 더해 중심 이동의 궤적의 만곡 정도를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22)에 의해 보다 크게 하기 때문에,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보다 촉진된다.
제 1 안창(10)과 제 2 안창(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안창 세트(도 20)는 유소아가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걷기 시작하는 단계로부터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단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제 4 안창(40)은 발가락 사이 융기부로서, 제 1 발가락(1)과 제 2 발가락(2)과의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42)와, 제 1 발가락(1)이 붙은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2)이 붙은 부분의 아래로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43)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41)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44)를 구비한다. 역T자 형상 융기부(41)는 제 3 안창(30)의 역T자 형상 융기부(31)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44)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 형성 영역의 전체에 닿는 형상으로 융기하여 있다.
제 4 안창(40)은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유소아가 양말을 신고 신발을 신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에서의 제 4 안창(40)의 사용은 역T자 형상 융기부(41)에 의한 발가락 운동의 촉진 이외에 중심 이동의 궤적의 만곡의 정도를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44)에 의해 보다 크게 하기 때문에,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보다 촉진된다.
제 3 안창(30)과 제 4 안창(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안창 세트(도 21)는 유소아가 특히 양말을 신고 신발을 신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걷기 시작하는 단계로부터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단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안창(20)은 맨발로 신발을 신는 때에 사용되는 것이고, 제 4 안창(40)은 특히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안창(20)과 제 4 안창(4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안창 세트(도23)에 의하면, 맨발의 상태 및 양말을 신은 상태의 양 상태에서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유소아에 대해,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맨발의 상태와 양말을 신은 상태에서는 양말의 두께 만큼 신발 속의 발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 2 안창(20)과 제 4 안창(40)의 조합에 더해, 도 16에 도시한 요철이 없는 플랫한 형상의 제 5 안창(50)을 세트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5).
도 26에 도시한 안창 세트는 제 1 안창(10)과, 제 2 안창(20)과, 제 3 안창(30)과, 제 4 안창(40)과, 제 5 안창(50)을 구비한다. 상기 안창 세트에 의하면, 맨발의 상태 및 양말을 신은 상태의 양 상태에도 대응할 수 있고, 게다가 걷기 시작하는 단계부터 발바닥 장심의 형성이 막 시작된 단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맨발로 신발을 신는 경우 및 양말을 신고 신발을 신는 경우의 양 상태에 있어서, 발바닥 장심의 형성을 유효하게 촉진할 수 있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한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을 갖는 제 1의 안창과,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와, 제 1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로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를 갖는 제 2의 안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요철이 없는 플랫한 형상의 제 3의 안창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안창의 칸막이벽의 높이는 유소아의 발의 발가락과 거의 같거나, 그것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안창의 세로 융기부 및 가로 융기부의 높이는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안창은 맨발용이고,
    상기 제 2의 안창은 양말용이고,
    상기 제 3의 안창은 두께 조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유소아의 발의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세워져 늘어나 있는 칸막이벽 및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를 갖는 제 4의 안창과,
    제 1 발가락과 제 2 발가락과의 사이에 작게 융기하여 늘어나 있는 세로 융기부와, 제 1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 및 제 2 발가락이 붙은 부분의 아래로 늘어나 있는 가로 융기부로 이루어지는 역T자 형상 융기부, 및 유소아의 발의 발바닥 장심에 닿는 발바닥 장심용 융기부를 갖는 제 5의 안창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KR1020040005568A 2003-02-25 2004-01-29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KR20040076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8165A JP2004254865A (ja) 2003-02-25 2003-02-25 乳幼児用靴の中敷きセット
JPJP-P-2003-00048165 2003-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585A true KR20040076585A (ko) 2004-09-01

Family

ID=3276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568A KR20040076585A (ko) 2003-02-25 2004-01-29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05476A1 (ko)
EP (1) EP1454544A3 (ko)
JP (1) JP2004254865A (ko)
KR (1) KR20040076585A (ko)
CN (1) CN1524468A (ko)
TW (1) TW2004220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263A1 (ko) 2010-09-07 2012-03-15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및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라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2339B2 (en) * 2008-05-15 2015-07-07 Ashton Industries, Inc. Children's progressive development orthotic system
US8336228B2 (en) * 2009-07-13 2012-12-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DE102013000730A1 (de) * 2012-09-25 2014-06-18 Gesundheitshaus Petrogalli Gmbh Dynamisch-, Flexibler-, ergonomisch geformter Zehentrennsteg mit Grundträgereinlage, zur Verwendung bei Hallux valgus und Digitus varus, als auch für andere Zehenfehlstellungen mit speziell angebrachten Spots
CN203789247U (zh) * 2014-04-24 2014-08-27 福建省长立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拖鞋中底
US20200060382A1 (en) * 2017-03-31 2020-02-27 John R. Pepper Digital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4883A (en) * 1923-02-05 1925-09-22 Sahlin Max Means for straightening crooked toes
US2506308A (en) * 1947-07-31 1950-05-02 Maynier Stella Toe separating device
DE825509C (de) * 1948-10-02 1951-12-20 Rudolf Dassler Schuh, Stiefel und sonstiges Schuhwerk
US4017987A (en) * 1976-01-28 1977-04-19 Perez Jr Louis A Pedicure sandal
US4207880A (en) * 1978-07-13 1980-06-17 Zinkovich K Helen Combination corrective toe separator apparatus and pedicure aid
USD260047S (en) * 1979-06-18 1981-08-04 Heinz Leonor W Pedicure sandal
USD271156S (en) * 1981-07-20 1983-11-01 Margaret Williamson Pedicure sandal
US4446633A (en) * 1982-06-04 1984-05-08 Scheinhaus Myron G J Biomechanical footwear
US5063692A (en) * 1990-05-24 1991-11-12 Junko Suginaka Footwear and insole pad thereof
DE29615958U1 (de) * 1995-01-04 1997-07-03 Nimrod Production 1979 Ltd Innensohle
IL112246A (en) * 1995-01-04 1996-03-31 Nimrod Production Ltd Pad and manufacturing process
DE19845884A1 (de) * 1998-10-06 2000-04-27 Wolfgang Weitzel Vorrichtung zum Korrigieren einer Fehlstellung einer Zehe
JP4129827B2 (ja) * 1999-12-03 2008-08-06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用靴
US6678971B2 (en) * 2002-02-04 2004-01-20 Marian J. Brooks Pedicure sand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263A1 (ko) 2010-09-07 2012-03-15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및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라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4544A2 (en) 2004-09-08
TW200422072A (en) 2004-11-01
EP1454544A3 (en) 2004-09-15
CN1524468A (zh) 2004-09-01
US20050005476A1 (en) 2005-01-13
JP2004254865A (ja)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657B2 (en) Outsole of a footwear article, having fin traction elements
CA2416121C (en) A shoe midsole
US20130291398A1 (en) Footwear insole for high heel shoes
EP0860121A3 (en) Shoe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ole
JPH01107701A (ja) 不滑性インソールベース
JP2001178502A (ja) ソール
KR830000524Y1 (ko) 보행화
EP3827689B1 (en) Shoe insole
KR20040076585A (ko) 유소아용 신발의 안창 세트
JP2010115291A (ja) インソール及びハーフインソール
JP5374765B2 (ja) 靴底
US20040221487A1 (en) Shoe construction
KR200362908Y1 (ko) 고도의 등산자세를 재현할 수 있는 신발
JP3009039B2 (ja) 履 物
KR100978290B1 (ko) 기능성 신발
KR101672477B1 (ko) 기능성 인솔
JP2020114345A (ja) 一本歯下駄
JP2004254864A (ja) 乳幼児用靴の中敷きセットおよび中敷き
JP2004254867A (ja) 乳幼児用靴の中敷き
JP4128470B2 (ja) 乳幼児用靴
JP2004254866A (ja) 乳幼児用靴の中敷き
JP6811495B1 (ja) アウトソール、及び履物
CN106983223B (zh) 婴幼儿鞋的鞋底
CN210094806U (zh) 一种儿童鞋子
KR200208652Y1 (ko) 신발창을 갖는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