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106A -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106A
KR20040076106A KR1020030011447A KR20030011447A KR20040076106A KR 20040076106 A KR20040076106 A KR 20040076106A KR 1020030011447 A KR1020030011447 A KR 1020030011447A KR 20030011447 A KR20030011447 A KR 20030011447A KR 20040076106 A KR20040076106 A KR 2004007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ver
composition
activity
pogongyo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선
조정원
이효선
최춘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제학원
송영선
이은자
조정원
이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제학원, 송영선, 이은자, 조정원, 이동석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to KR102003001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6106A/ko
Publication of KR2004007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1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H. DAHLST.=Mongolian dandelion)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식이 방법에 의해 유발된 간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관련 대표적인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다양한 원인에 의한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 for protec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본 발명은 간 보호 및 기능 활성을 갖는 포공영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식이 및 스트레스로 인해 간에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전사인자에 탁월한 저해 활성을 갖는 포공영 추출물을함유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생체는 정상적인 생리상태에서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며, 이러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방어계(antioxidant defense system)가 생체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항산화 방어계에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등과 같은 자유 라디칼을 제거시켜 생체를 보호하는 항산화 효소계 (superoxide dismutase(SOD), 카탈라제(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글루타치온 리덕타제(glutathione reductase)와 비효소적 항산화계 (글루타치온, 비타민 C, 토코페롤, 셀레늄 등)가 있다. 그러나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는 체내에서 자유 라디칼의 과다 생성을 촉진하거나 항산화계의 활성을 감소시켜 세포에 상해를 주며, 혈관을 비롯한 여러 조직에 손상을 일으켜 염증반응, 동맥경화, 간질환, 암 등 질환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Griending, K. K.et al.,Circulation,96, pp3264-3275, 1997 : Perez, D. D.,et al.,Ann. N.Y. Acad. Sci.,957, pp136-145, 2002).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염증을 유발하는 전사인자인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ng, S.et al.,Ann. Clin. Lab. Sci.,29(3), pp192-199, 1999 : Ai-Hsiang Lo.et al.,Carcinogenesis,23(60), pp983-991, 2002). NF-κB는 Rel 유전자계(Rel gene family)의 핵 단백질로서, 세포질에서는 I-κB와 결합되어 불활성인 형태로 존재하나, 유해산소(reactive oxygen),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 (Interleukin-1)과 같은 케모카인(chemokines) 및 지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I-κB 키나제(kinase)가 활성화된 후 인산화 과정을 통해 I-κB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p50과 p65의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로 구성된 NF-κB는 활성화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G. T.et al.,Atherosclerosis,159(1), pp17-26, 2001 : Epstein, F. H.et al.,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336(15), pp1066-1071, 1997 : Zhang W. J.et al.,FASEB J,15(130), pp2423-2432, 2001 : Denk, A.et al.,J. Biol. Chem.,276(30), pp28451-28458, 2001 : Sahnoun Z.et al.,Physiology,53(4), pp315-339, 1998 : Lindner V.,Pathobiology,66(6), pp311-320, 1998 : Landry, D. B.et al.,Am. J. Pathol.,151(4), pp1085-1095, 1997 : Gerritsen, M. E.et al.,Am. J. Phthol., 147(2), pp278-292, 1995).
한국에서 자생하는 천연물질의 섭취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간 기능을 개선한다는 여러 보고들이 있으며(성 인숙 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26;3, pp494-500, 1997 : 남 상명 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28:1, pp199-204, 1999),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녹차의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인 에피갈로카테친-3-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gallate) (Singh R,et al.,Arthritis Rheum,46(8), pp2079-2086, 2002 : Pianetti S,et al.,Cancer Res,62(3), pp652-655, 2002 : Yang F,et al.,Mol. Pharmacol.,60(3), pp528-533, 2001 : Yang F,et al.,J. Nutr.,128(12), pp2334-2340, 1998), 플라보노이드(Gerritsen, M. E.,et al,Am. J. Pathol.,147(2), pp278-292, 1995 : Wenzel U.et al.,Cancer Res.,60(14),pp3823-3831, 2000), 이소플라본(Davis J. N.et al.,Free Radic. Biol. Med.,30(11), pp1293-1302, 2001) 및 마늘(Ide N.et al.,J. Nutr.,131(3s), pp1020S-1026S, 2001 : Geng Z,et al.,Free Radic. Biol. Med.,23(2), pp345-350, 1997) 등은 NF-κB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포공영(Taraxacum playtcarpumH. DAHLST. =Mongolian dandelion)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인 민들레 및 동속 근연 식물의 전초(全草)로서, 전국 각지의 전야지(田野地), 길가 등지에서 흔히 분포하며, 전초(全草)에는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콜린, 이눌린(inulin) 및 펙틴 등이 함유되어 있고, 동속 근연식물인 약용 포공영(Taraxacum officinale)의 뿌리에는 타락솔(taraxol), 타락세롤(taraxerol), φ-타락사스테롤, 타락사스테롤, β-아미린(β-amyrin),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sitosterol), 콜린, 유기산, 과당,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청열(淸熱), 해독(解毒), 위염(胃炎)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1077-1078, 1998).
그러나 간 보호 및 기능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물질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이 간 보호 및 기능 개선분야의 연구 및 효능이 전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에서는 포공영 추출물의 간 보호 및 기능 활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간에 스트레스를 유발한 마우스 모델에서 미세 관찰과 더불어 분자생물학적인 실험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본발명에 따른 포공영 추출물이 간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성 전사인자인 NF-κB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킴으로서, 간의 보호 및 기능 활성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간 보호 및 기능 활성을 갖는 포공영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동물 모델에게 처리한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이 함유된 식이조성물의 섭취량에 관한 도이며,
도 2 는 포공영 추출물이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체중변화도이며,
도 3 은 포공영 추출물이 5% 또는 10%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minase) 및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의 활성 측정도이며,
도 4 는 포공영 추출물이 5% 또는 10%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간조직의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를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도이며,
도 5 는 포공영 추출물이 5% 또는 10%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간조직의 글루타치온(glutathione) 함량 측정도이며,
도 6 은 포공영 추출물이 5% 또는 10%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Cu,Zn-SOD 활성도이며,
도 7 은 포공영 추출물이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Mn-SOD 활성도이며,
도 8 은 포공영 추출물이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카탈라제(catalase) 활성도이며,
도 9 는 포공영 추출물이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간조직의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이며,
도 10 은 포공영 추출물이 함유된 식이조성물을 섭취한 동물 모델의 간조직의 글루타치온 리덕타제(glutathione reductase) 활성도이며,
도 11a 는 클로렐라(chlorella)를 섭취한 동물 모델의 간의 NF-κB 전사인자의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도이며, 도 11b 는 대조군, 포공영 추출물 5% 함유군, 포공영 추출물 10% 함유군에서의 NF-κB 활성 비교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H. DAHLS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간질환은 급만성 간염, 지방간, 간경변, 간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은 건조된 포공영 무게(㎏)의 약 5배 내지 2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내지 15배의 물, 저급 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5의 혼합비(㎏/ℓ)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10 내지 50℃,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동안 용매 추출, 단수 열수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따른 가용추출물인 추출물을 추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법으로 얻어지고 간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포공영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5 내지 500mg/㎏의 양,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을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간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포공영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 기능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포공영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콜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간 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포공영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한 국내산 포공영(미주식품)은 이물을 제거하고 세절하였으며, 증류수로 3번 정도 씻은 후 완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포공영 40g을 3000㎖비이커에 넣고 증류수 500㎖를 가하여 3차례 환류추출하여 여과지(filter No.2, Whatman사, 미국)로 여과한 후,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하여 20.8g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참조예 1. 실험 동물
실험동물은 생후 5주령, 체중 18±.05g의 수컷 C57BL/6 마우스(효창사이언스)를 처음 1주간 스톡 다이어트(stock diet)를 이용하여 예비 사육하였으며, 예비 사육 후 체중과 콜레스테롤 수치에 따라 난괴법(completely randomized design)으로 3마리씩 플라스틱 케이지에 넣고, 각 군 당 12마리씩 3그룹(대조군, 5% 포공영, 10% 포공영)으로 나누어 12주간 사육하였으며, 해당 식이와 물은 자유급식법(ad libitum feeding method)으로 공급하였다. 사육기간 동안 식수로는 지하수를 공급하였으며, 사육실의 온도는 22∼25℃로 실온을 유지하였고, 명암은 12시간 간격으로 점등 및 소등을 하였다. 식이 섭취량과 체중은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식이 조성 및 시료 수집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포공영 추출물이 첨가된 식이조성의 동물 모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포공영 추출물을 분쇄하거나 또는 건조된 포공영을 분쇄하여 40메쉬의 체로 거른 후 식이에 첨가하였다. C57BL/6 생쥐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해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시켰으며, 사료 100g에대하여 코코아버터 7.5%, 옥수수 오일 7.5%, 콜레스테롤 1.25%을 각각의 식이에 혼합하였으며, 각 식이는 냉동보관하면서 실험동물에게 급여하였다. 미네랄 혼합물, 비타민 혼합물, DL-메티오닌(DL-methionine), 콜린 바이타르타레이트(choline bitartrate), 소듐 촐레이트(sodium cholate)는 ICN 제품을 이용하였고, 카제인은 천일상사, 옥수수 전분은 두산 옥수수 전분, 수크로스는 삼양설탕(정제당)을 사용하였고, 코코아버터는 롯데 삼강제품, 옥수수 오일은 오뚜기 식용유를 사용하였다. 12주간 사육한 실험동물은 4시간 가량 절식시킨 후 에테르를 이용한 호흡기 마취법으로 마취하고, 안구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취하여 혈장을 분리하였으며, 간은 적출하여 PBS 완충액(phosphate buffer saline, pH 7.4)으로 씻은 다음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액체 질소에 담근 후 -70℃에서 보관하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포공영 추출물이 첨가된 식이로 12주간 사육한 마우스의 식이 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은 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및 도 2 참조). 군간의 식이 섭취량은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체중 증가량 역시 일정하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식이 조성물에 10% 첨가된 포공영 추출물의 섭취는 동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minase)및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활성 측정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의 GOT 및 GPT 활성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GOT 및 GPT는 간세포에 대량으로 존재하는 효소로서, 간세포 손상시 세포외로 유출되어 혈중에 증가됨으로써 간 손상의 지표로 이용된다.
혈장의 GOT 활성은 효소법에 의한 정량용 키트 시약(영동제약)으로 측정하였다. 즉, 기질액 50㎕을 37℃에서 2 내지 3분간 가온 후 혈청 10㎕을 가하고 60분간 항온수조에서 반응시킨 후, 발색액 50㎕를 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으며, 여기에 0.4N 수산화나트륨 용액 500㎕를 가하고 충분히 혼합한 후 증류수를 대조군으로하여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곡선은 농도별로 희석한 기준액 (2mM 피루베이트, pyruvate)을 사용하였다.
혈장의 GST 활성은 효소법에 의한 정량용 키트 시약(영동제약)으로 측정하였다. 즉, 기질액 50㎕을 37℃에서 2 내지 3분간 가온 후 혈청 10㎕을 가하고 30분간 항온수조에서 반응시킨 후, 발색액 50㎕를 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으며 GOT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포공영 추출물을 5% 및 10% 함유한 식이 처리군에서 혈장의 GOT 및 GPT 활성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도 3 참조), 결국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인해 손상된 간의 기능 회복에 탁월한 활성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산화적 스트레스 측정(간 조직의 TBARS)
간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 정도는 지질의 산화 정도를 나타내는 TBARS로 측정하였으며, 오카와의 방법을 다소 수정하여 실시하였다(Ohkawa H,Anal. Biochem,95, p351, 1979).
간 0.1g(C57BL/6 mice)을 125mM 염화칼륨이 함유된 50mM HEPES 완충용액 1㎖로 균질화시킨 후, 시료 150㎕와 50㎕ 증류수 혼합용액을 37℃에서 60분간 반응시키고 0.4% TBA, 15% TCA 및 2.5% 염산을 혼합한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sigma사, 미국) 용액을 400㎕ 가한 후, 95℃수조에서 60분간 반응시킨 다음 4,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분리된 상층액을 취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표준으로는 1,1,3,3-테트라메톡시 프로판(1,1,3,3-tetramethoxy propane, TMP)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표준곡선에 대입시켜 말론디알데히드(malon dialdhyde, MDA)의 양으로 환산하였다.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5% 및 10%의 포공영 추출물 처리군의 간 조직 TBARS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함(p<0.05)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실험예 4. 간조직의 글루타치온 함량 측정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의 글루타치온 함량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Margaret A.et al.,Analytical Biochemistry,190, pp360-365, 1990).
글루타치온은 히드록실 라디칼과 일중항산소의 포착제(scavenger)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의 기질로서 작용한다. 많은 세포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함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 방어에 도움을 주고, 높은 산소 농도에 노출이 됨으로서 활성이 없어지는 효소를 재생시킬 수 있다.
간 0.1g 에 20mM 트리스, 250mM 수크로오스, 1mM EDTA, 20mM 보론산, 1mM 세린(serine)이 혼합된 TES 완충용액 500㎕를 넣은 후, 글라스 테프론 균질기(glass teflon homogenizer, 유진산업, 한국)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키고, 상등액 400㎕을 취해 5% SSA(5-Sulfosalicylic acid, Sigma사, 미국) 100㎕ 혼합한 후, 상등액 20㎕에 물 180㎕를 가하여 10배 희석시켰다. 이것을 혼합한 후 40㎕를 취해 0.1% SSA 960㎕으로 100배 희석시켰으며, 100mM 인산완충용액 452㎕, 1mM 디티온니트로벤젠(DTNB, Dithionitrobenzene) 224㎕, 1mM NADPH 300㎕, GSH 환원효소 1.6 유니트/㎖가 되도록 반응 혼합물을 만든 후, 상등액 50㎕와 96 웰에서 반응시켜 2분간 405nm에서 흡광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때 표준곡선은 농도별로 조제한 옥시-글루타치온(oxi-glutathione)을 사용하였다.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5% 및 10% 포공영 추출물 처리군의 간조직 글루타치온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실험예 5. 항산화 영양소의 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 활성 측정
5-1. 시료조제
간조직에 대해 20배의 차가운 50mM 인산완충용액(pH7.4)를 첨가하여 글라스 테플론 균질기로 균질화하였다. 간 균질액을 4℃,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테이블 탑 원심분리기(Eppendorf사, 미국)를 이용하여 1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질 획분(상층액)과 미토콘드리아 획분(펠렛, pellet)을 얻었다. 세포질 획분에는 Cu, Zn-SOD,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글루타치온 리덕타제를 측정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획분에서는 Mn-SOD를 측정하였다.
5-2. Cu,Zn-SOD, Mn-SOD 활성 측정
Cu,Zn-SOD, Mn-SOD 활성 측정은 하기 문헌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Oyanagui Y.,Anal Biochem.,4, p290, 1948).
Cu,Zn-SOD 활성은 간 조직액을 1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용액 500㎕, 블랭크로서 인산완충용액(pH7.8) 500㎕를 취한 후, 75mM 소듐-크산틴(sodium-xanthine) 50㎕, 50㎕의 10mM 히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ydrochloride)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전배양(preincubation)시켰으며, 0.1 유니트/㎖의 크산틴 옥시다제(Sigma사, 미국) 200㎕를 가한 후 20분간 배양시키고, 1% 설파닐아미드 (sulfanilamide, 구입처 기재 요망) 용액 1000㎕와 0.02%(W/V)의 N-(1-나트틸)에틸렌 디아민(N-(1-naphthyl)ethylene diamine, Sigma사, 미국) 1000㎕를 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Cu,Zn-SOD 값을 구하였다.
Mn-SOD 활성의 측정은 간 조직액의 13,000rpm, 20분 원심분리한 침전물(pellet)을 0.1% 트리톤 X-100에 녹인 것을 농도별로 희석하고 시료로 사용하였다. 무처리군으로서는 65mM 인산완충용액(pH 7.8)을 500㎕ 취하고 75mM 소듐-크산틴(sodium-xanthine) 50㎕, 10mM 히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ydroxylamine hydrochloride) 50㎕, 4mM 시안화칼륨(KCN) 200㎕를 첨가한 뒤 37℃에서 10분간 전배양시켰다. 0.1유니트/㎖의 크산틴 옥시다제 200㎕를 가한 후 20분간 배양시키고, 1% 설파아닐아미드 용액 1000㎕와 0.02%(W/V)의 N-(1-나트틸) 에틸렌 디아민 1000㎕를 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Mn-SOD 값을 구하였다.
본 방법의 SOD(superoxide dismutase) 1 NU(Nitrate Unit)는 측정계에서 생성되는 유해산소(superoxide)에 의한 반응이 검체중의 SOD에 의해 50% 저해될 경우의 검체량(ID50)을 나타낸다.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포공영 추출물 5% 처리군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 처리군에서는 Cu,Zn-SOD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도 6 참조). Mn-SOD 활성 역시 Cu,Zn-SOD와 동일한 경향을 보였음을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참조).
5-3. 카탈라제 활성 측정
카탈라제의 측정은 하기 문헌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Abei H.,Academic press,150, p121, 1984).
1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세포질 획분 30㎕에 50mM 인산완충용액(pH 7.0) 600㎕를 가하였으며, 30mM 과산화수소수용액을 300㎕ 가하여 240nm에서 10초 간격으로 1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과산화수소수 기질대신에 50mM 인산완충용액(pH 7.0) 300㎕를 가하고, 다른 조건은 위와 동일하게 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표준 시료는 농도별로 조제한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1분 동안 1μmole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는 효소의 양을 1 유니트로 하였으며,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포공영 추출물 5% 처리군 및 대조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포공영 추출물 10% 처리군은 카탈라제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참조).
5-4.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GSH-px) 활성 측정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GSH-px) 활성은 하기 문헌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Lawrence R. A.et al.,Biochem. Biophys. Res. Comm.,71, p952, 1976).
효소 활성은 GSH-px가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면서 소비된 글루타치온을 환원형으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NADPH의 양을 시료 90㎕에 대해 250mM 포타슘 인산완충용액(pH 7.0) 180㎕, 10mM EDTA 90㎕, 10mM NaN390㎕, 10mM GSH 90㎕, 2mM NADPH 90㎕, 증류수 174㎕, 글루타치온 리덕타제(500유니트/1.2㎖) 6㎕를 이용하여 340nm에서 2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NADPH 표준곡선은 농도별로 조제한 2mM NADPH 90㎕, 250mM 포타슘 인산완충용액(pH7.0) 180㎕, 10mM EDTA 90㎕, 10mM NaN390㎕, 증류수 450㎕를 이용하여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GSH-px 1 유니트는 1분간 1nmole NADPH를 산화시키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포공영 추출물 5% 및 10%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9 참조), 이 결과는 포공영 추출물이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5-5. 글루타치온 리덕타제 활성 측정
글루타치온 리덕타제 활성은 하기 문헌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Inger C.et al.,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113, pp484-490, 1985).
시료 500㎕에 EDTA가 함유된 0.2M 인산완충용액 250㎕, 2mM NADPH 25㎕, 20mM의 산화된 글루타치온인 GSSG 25㎕, 증류수 200㎕을 함유한 반응혼합물을 이용하여 340nm에서 2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글루타치온 리덕타제 활성 1 유니트는 1분당 1nmole의 NADPH 환원을 촉매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된다.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포공영 추출물 5% 및 10%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글루타치온을 환원형으로 전환시키는 글루타치온 리덕타제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농도에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도 10 참조).
5-6. 단백질 함량의 측정
단백질 농도 결정은 브래드포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Bradford,Ann Biochem,72, pp248-54, 1976). 세포질 획분과 0.1% 트리톤 X-100에 녹여진 미토콘드리아 획분을 4㎕를 취해 2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브래드포드 염료 시약(Bio-Rad사, 미국)은 5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다. 즉, 10㎕ 시료에 200㎕ 염료시약을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시키고 59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곡선은 표준 단백질(Bovine Serum albumin, Sigma사, 미국) 제품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작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포공영 추출물은 SOD와 글루타치온 리덕타제 등의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조직으로부터 과산화수소 또는 히드록실 라디칼과 같은 활성 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여 생체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NF-κB(Nuclear factor- κB) 측정
6-1. 시료 조제
-70℃에 보관된 간은 0.6% NP 40(Igepal), 0.15M 염화나트륨, 10mM 트리스(pH 7.9), 1mM EDTA 완충용액에 1000:1의 비율로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칵테일(proteinase inhibitor cocktail, Sigma사, 미국)을 혼합한 RNA 용해액으로 균질화하였다. 이것을 얼음에서 5분간 배양하고 4℃, 10분간 2,300rpm(1250g)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위의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여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여기에 10mM HEPES (pH7.9), 0.1mM EDTA, 1.5mM 염화마그네슘, 420mM 염화나트륨, 25% 글리세롤을 혼합한 완충용액에 1:0.03의 비율로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칵테일, 1:0.01의 비율로 50mM DTT(Dithiotreitol, Sigma사)를 혼합하여 만든 추출 완충액 60㎕을 넣어 혼합하고 얼음에서 20분간 배양시키고 4℃, 10분간 2,300rpm(125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중 일부는 단백질 농도 결정을 위해 브래드포드 시험법을 실행하며, 나머지는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Protean Ⅱ xi Cell, Bio-Rad사, 미국)를 이용하기 위해 -70℃에 보관하였다.
6-2. 단백질 농도 결정
단백질 농도 결정은 브래드포드 시험법을 이용하였다.
상등액 중 4㎕를 취해 10배 희석하였으며, 브래드포드 염료 시약은 5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 5-6과 동일하다.
6-3. EMSA(Electrophoresis mobility shift assay)
파마샤 G-25 스핀 컬럼(MicroSpinTM G-25 Columns)을 이용하여 프로브를 제조하였다. 컬럼을 3000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한 후, 컬럼의 중심에 TE buffer 1×V6231, promega사) 50㎕ 가하여 원심분리하였으며, NF-κB 올리고뉴클레오티드 2㎕, T4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제 1㎕, T4폴리뉴클레오티드 키나제 10×완충용액 1㎕(gel shift assay core system, promega사), 핵산분해효소가 제거된 물(nuclease-free water) 5㎕(promega), [γ-32P]ATP(3000Ci/mmol at 10mCi/ml) 1㎕를 넣어 혼합액을 만든 후, 37℃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0.5M EDTA 1㎕를 첨가하여 반응을 멈추고, 이 용액에 TE 완충액 1×를 89㎕을 가하였으며, 이 혼합액을 칼럼 중앙에 분주한 후 3000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고 이것을 프로브로 사용하였다. 일정 농도의 단백질량이 되도록 시료의 양을 계산한 후, 바인딩 완충액 5×(promega사) 2㎕를 넣고 전체 용량을 핵산분해효소가 제거된 물로 보정한 후 실험을 행하였다. 혼합액은 얼음위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프로브 1㎕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으며, 여기에 젤 로딩 완충액 10×를 1㎕ 첨가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젤 로딩 완충액에 0.02% 브로모페놀 블루가 함유된 염료를 1㎕ 첨가하였으며, 시료는 4% 아크리아미드 젤(Sigma사)에 로딩한 후, 200V, 25mA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으며, 전기영동이 끝난 젤은 젤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말린 후 12시간 동안 스크린에 노출시켰으며 포스포 이미지 시스템(phospho image system, Packard사, 미국)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경쟁적 시험법(competitive assay)은 대조군을 사용하여 100배 정도 진한 1㎕의 비방사성의 NF-κB 올리고를 첨가하여 NF-κB 벤드를 확인하였다. 실험의 분석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유의성은 SPSS/PC+ 패키지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kan's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포공영 추출물 5%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0% 처리군은 유의적으로 NF-κB 활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도 11 참조). NF-κB 활성은 여러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항산화제나 영양상태에 의해 억제되어질 수 있는 전사인자이며(Davis J. N.et al.,Free Radic. Biol. Med.,30(11), pp1293-1302, 2001 : Liao F,et al.,J. Clin. Invest.,91, pp2572-2579, 1993 : Miyoshi, H.et al.,Am. J. Pathol.,158, pp967-975, 2001 : Wheeler, M.et al.,J. Leukoc. Biol.,69, pp622-630, 2001 : Muller D. N.etal.,FASEB J,15(10), pp1822-1824, 2001 : Spear B. T.et al.,J. Nutr.,132(10), pp3178-3185, 2002),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 처리는 조직에서의 NF-κB 활성을 억제하여 조직의 염증반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간 조직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독성 실험
본원에서 제조된 포공영 추출물의 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25±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와 235±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래트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을 각각 20mg/㎏, 10mg/㎏, 1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포공영 추출물의 경우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7. 포공영 환의 제조방법
포공영 잎을 수세하여 태양열에 의해 수분 40 내지 50%를 함유할 때까지 자연건조하거나 또는 포공영 잎의 녹색을 유지하기 위하여 차광망을 이용하여 수분 60 내지 70%가 될 때까지 건조후, 태양열에 의해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한다. 도라지는 포공영 뿌리와 같이 태양열에 의해 건조하며, 쥐눈이콩은 수세하여 마른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태양열 건조한 후, 건조기에서 8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준비한다. 상기의 포공영 잎과 뿌리, 도라지, 쥐눈이콩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 후, 오염되지 않은 지역의 1m 깊이의 황토를 채에 걸러 항아리독에 물과 배합하여 10일간 가라앉힌 다음 윗물을 고운 채와 가제에 걸러서 100 내지 120℃에서 끓이고 차게 식힌다. 상기 분쇄된 재료를 적당한 비(포공영:쥐눈이콩: 도라지=80:10:10)로 배합하여 환의 모양을 만든 후, 태양열에 수분 50% 정도 되도록 건조하고 60 내지 70℃의 건조기에서 2시간 건조하고, 실내 온도 20 내지 25℃의 황토방에서 1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된 환은 80℃의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포장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포공영 추출물은 항산화효소계를 활성화시키고,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로부터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 NF-κB 전사인자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각종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간기능 손상을 개선시키고, 간 보호제 및 기능 활성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H. DAHLST.=Mongolian dandelio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간 질환은 급만성 간염, 지방간, 간경변, 간암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80 중량%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4.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5. 포공영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30011447A 2003-02-24 2003-02-24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40076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47A KR20040076106A (ko) 2003-02-24 2003-02-24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47A KR20040076106A (ko) 2003-02-24 2003-02-24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14A Division KR20050051629A (ko) 2005-05-20 2005-05-20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급만성간염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106A true KR20040076106A (ko) 2004-08-31

Family

ID=3736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447A KR20040076106A (ko) 2003-02-24 2003-02-24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61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23B1 (ko) * 2007-01-19 2007-12-21 한국식품연구원 민들레로부터 폴리페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03355B1 (ko) * 2012-10-16 2014-06-05 천상욱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KR101403354B1 (ko) * 2012-10-16 2014-06-05 천상욱 민들레를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23B1 (ko) * 2007-01-19 2007-12-21 한국식품연구원 민들레로부터 폴리페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03355B1 (ko) * 2012-10-16 2014-06-05 천상욱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KR101403354B1 (ko) * 2012-10-16 2014-06-05 천상욱 민들레를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 et al.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Chemical structures, food sources, bioactivities, and product development
US812413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LDL oxidation
EP2953485B1 (en) Mangifera indica as a sirtuin 1 activating agent
ES2720628T3 (es) Extracto de uva, complemento nutricional que lo comprende y su uso como ingrediente funcional
Sultan et al. Supplementation of Nigella sativa fixed and essential oil mediates potassium bromate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ultiple organ toxicity.
Willis et al. Effects of processing on antioxidant capacity and metabolizing enzyme inhibition of tiger nut tubers
US20110003018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c diseases
Oloruntola et al. Proximate composition, phytochemical profile,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Justicia carnea leaf powder
Sunagar et al. Implication of solvent polarities on browntop millet (Urochloa ramosa) phenolic antioxidants and their ability to protect oxidative DNA damage and inhibi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enzymes
Tiwari et al. Pigeon pea seed husks as potent natural resource of anti‑oxidant and anti‑hyperglycaemic activity
Hussain et al. Comparative in vitro analysis of anti-diabetic activity of Indo-Pak black cardamom (Amomum subulatum Roxb.) and Chinese black cardamom (Amomum tsao-ko Crevost et Lemaire)
Dolatabadi et al. Effect of five year storage on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almond (Amygdalus communisL.) hull and shell from different genotypes
KR20040076106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5005162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급만성간염 치료 및 예방용조성물
JP2008050301A (ja) 膵リパーゼ阻害剤
WO2016126008A1 (ko)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aumgertel et al. Buckwheat as a source for the herbal drug Fagopyri herba: rutin content and activity of flavonoid-degrading enzymes during plant development
KR20060106065A (ko) 신선초 뿌리 추출물, 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및 잔소안제롤(xanthoangelol)의 간보호 효과
KR101027609B1 (ko) 가자미식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8205A (ko) 발효 쌀뜨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Seo et al. Anti-hangover and anti-gout effects of asparagus byproduct extracts
KR20180129579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7576B1 (ko) 명태식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85082B1 (ko)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EH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low-fat yogurt supplemented with Dried Nabaq fruit (Zizyphus spina-christi L) on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