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226A -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226A
KR20040075226A KR1020030010740A KR20030010740A KR20040075226A KR 20040075226 A KR20040075226 A KR 20040075226A KR 1020030010740 A KR1020030010740 A KR 1020030010740A KR 20030010740 A KR20030010740 A KR 20030010740A KR 20040075226 A KR20040075226 A KR 20040075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jector
computer
platfor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402B1 (ko
Inventor
정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4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무선이든 유선이든 직접 컴퓨터와 프로젝터를 연결해야 하고 제어는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므로 다른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컴퓨터에서 프로젝터와의 연결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가능하며 미라 플랫폼의 대시보드 화면 또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의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는 엘씨디 모듈과; 상기 미라 플랫폼에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되는 기능 버튼 모듈과; 상기 원격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랜 모듈과;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의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연결되는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엘씨디 모듈의 화면을 그대로 스크린에 영사하는 프로젝터 본체와; 상기 프로젝터 본체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버튼 모듈로 구성되어 프로젝터 자체에서 컴퓨터에 접속하여 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을 열어 이를 스크린에 영사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리젠테이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SMART PROJECTOR MOUNTED MIRA PLATFORM AND IT'S OPERATING METHOD }
본 발명은 스마트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라 플랫폼을 프로젝터 내에 탑재하여 프로젝터 자체에서 컴퓨터에 접속하여 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을 열어 이를 스크린에 영사할 수 있게 한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에서는 프로젝터를 통한 회의 및 세미나가 일반화되어 있으며 가정에서는 프로젝터를 통한 텔레비전 시청도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화면을 영사해주는 프로젝터 본체와; 이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컴퓨터(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와 연결하도록 하는 케이블로 구성된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는 프로젝터를 살펴보면 컴퓨터와 프로젝터 사이의 통신 방법이 유선에서 블루투스 또는 무선 랜을 이용한 무선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 통신 방법은 최소한 1대의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프로젝터에 연결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프로젝터의 내용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무선이든 유선이든 직접 컴퓨터와 프로젝터를 연결해야 하고 제어는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므로 다른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컴퓨터에서 프로젝터와의 연결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폴더 및 파일을 공유해야 하고 프로젝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연결된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제어해야 한다. 즉, 프로젝터 구동의 주체가 컴퓨터가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무선 프로젝터의 구동 환경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가 무선 랜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컴퓨터에서 프로젝터에 접속하여 제어하는 구동 환경을 설명한다. 여기서, 각각의 장치들이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으며 프로젝터는 수신한 데이터를 스크린에 영사한다.
도 2는 종래 블루투스나 무선 랜을 사용하여 프로젝터를 구동시키는 환경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파워포인트 파일을 JPEG 파일로 전환하고 전환된 JPEG 파일을 프로젝터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앞뒤로 전환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을 함을 설명한다.
도 3은 종래 컴퓨터 없이 프로젝터 자체에서 구동하는 환경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젝터에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터는 메모리와 뷰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젝터의 뷰어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슬라이드를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 파일을 열어 스크린에 영사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함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컴퓨터에서 프로젝터에 데이터를 전송 및 저장해서 프로젝터에서 이 데이터를 스크린에 영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프로젝터로 저장해야 하는 동작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다른 컴퓨터에 있는 데이터 중 구동 가능한 데이터는 공유로 설정된 파일만이 접근 가능하고 로컬 컴퓨터이건 아니면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이건컴퓨터 자체가 프로젝터를 구동시키는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된 미라 플랫폼은 윈도우 씨이 닷넷 4.1과 원격 접속을 위한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Remote Desktop Protocol : RDP)을 이용해서 호스트 컴퓨터(엑스피 기반)의 환경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의 기술이다. 즉, 미라 플랫폼은 엑스피 기반의 호스트 컴퓨터에 로그인해서 마치 호스트 컴퓨터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미라 플랫폼을 프로젝터에 접목시켜 컴퓨터에서 프로젝터를 제어하지 않고 미라 플랫폼을 탑재한 프로젝터에서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해서 이 컴퓨터 환경 및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프로젝터 내에 미라 플랫폼을 탑재하여 프로젝터 자체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프리젠테이션할 파일을 열어 엘씨디 화면에 출력된 화면이 그대로 스크린에 영사할 수 있도록 한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 프로젝터의 구동 환경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개인용 컴퓨터에서 블루투스나 무선 랜을 사용하여 프로젝터를 구동시키는 환경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종래 개인용 컴퓨터 없이 프로젝터 자체에서 구동하는 환경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의 구동 환경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의 동작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엘씨디 모듈 42 : 스마트 프로젝터 기능 버튼
43 : 프로젝터 제어 버튼 44 : 무선 랜 모듈
45 :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 46 : 프로젝터 모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가능하며 미라 플랫폼의 대시보드 화면 또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의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는 엘씨디 모듈과; 상기 미라 플랫폼에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되는 기능 버튼 모듈과; 상기 원격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무선 랜 모듈과;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의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연결되는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엘씨디 모듈의 화면을 그대로 스크린에 영사하는 프로젝터 본체와; 상기 프로젝터 본체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버튼 모듈로 구성한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어 스마트 프로젝트가 부팅하여 엘씨디 화면에 사용자의 명령을 대기하는 대시보드 화면이 나타나는 단계와; 상기 대시보드 화면에서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컴퓨터를 선택하면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터와 프로젝터간에 세션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세션을 통해 전달받은 컴퓨터의 환경을 엘씨디 화면에 그대로 보여주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의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열면 엘씨디 화면에 이 파일에 담긴 내용이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스크린에 엘씨디 화면이 그대로 영사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스마트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의 구동 환경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이 가능하며 미라 플랫폼의 대시보드 화면 또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의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는 엘씨디 모듈(41)과; 상기 미라 플랫폼에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되는 기능 버튼 모듈(42)과; 상기 원격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랜 모듈(44)과;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의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연결되는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45)와; 상기 엘씨디 모듈(41)의 화면을 그대로 스크린에 영사하는 프로젝터 본체(46)와; 상기 프로젝터 본체(46)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버튼 모듈(43)로 구성된다.
프로젝터 상단에 위치한 모듈에는 엘씨디 모듈(41), 기능 버튼 모듈(42) 그리고, 프로젝터 본래의 제어 버튼 모듈(43)이 있다.
엘씨디 모듈(41)은 터치 스크린이 가능하며 미라 플랫폼의 대시보드 화면 또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의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기능 버튼 모듈(42)은 사용자가 미라 플랫폼에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되며 대시보드 버튼, 밉 버튼(가상 키보드), 볼륨 업/다운 버튼 등 미라 플랫폼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버튼을 포함한다.
프로젝터 본체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버튼 모듈(43)은 프로젝터 본래의 기능 버튼이며 스크린에 영사되는 이미지의 속성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젝터 하단에 위치한 모듈에는 프로젝트 본체(46), 무선 랜 모듈(44) 그리고,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45)가 있다.
프로젝트 본체(46)는 프로젝터 본래의 기능을 가진 모듈로 스크린에 이미지를 영상하는 기능이 대표적이다.
무선 랜 모듈(44)은 IEEE802.11b와 같은 무선 랜 규격에 따라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45)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고려한 선택 사항으로 연결되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 프로젝트가 사용자에 의해 어떤 과정을 거쳐 사용되는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의 동작 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 스마트 프로젝트가 부팅하여 엘씨디 화면에 사용자의 명령을 대기하는 대시보드 화면이 나타나는 단계(S51, S52)와; 상기 대시보드 화면에서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컴퓨터를 선택하면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터와 프로젝터간에 세션이 활성화되는 단계(S53)와; 상기 활성화된 세션을 통해 전달받은 컴퓨터의 환경을 엘씨디 화면에 그대로 보여주는 단계(S54)와; 상기 컴퓨터의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열면 엘씨디 화면에 이 파일에 담긴 내용이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스크린에 엘씨디 화면이 그대로 영사하는 단계(S55, S56)와; 다른 사용자가 상기 파일을 닫고 이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새로운 세션을 연결하여 새 파일을 열어 스크린에 영사하는 단계(S57)와; 상기 스크린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스마트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S58)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스마트 프로젝트의 전원을 켜면 엘씨디 화면에 미라 플랫폼의 부팅 화면이 표시된 후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는 대시보드 화면이 표시된다(S51, S52).
사용자가 대시보드 화면에서 접속을 원하는 컴퓨터를 선택하면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컴퓨터와 스마트 프로젝트간에 접속이 활성화되어 세션이 성립된다(S53).
스마트 프로젝트는 엘씨디 화면에 접속된 컴퓨터의 화면을 출력한다(S54).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 컴퓨터의 환경을 엘씨디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고 파일 디렉토리를 탐색하여 자신이 열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열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파워포인트나 그 밖의 세미나 자료를 열어서 프리젠테이션을 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프리젠테이션에 사용할 파일을 찾아 열면 엘씨디 화면에 파일에 담긴 내용이 표시되고 이 엘씨디 화면은 그대로 프로젝터를 통해 화이트보드에 영사되어 보여진다(S55, S56).
즉, 사용자는 컴퓨터로부터 프로젝터로의 데이터 저장 과정이 필요 없고 프로젝터가 사용자의 컴퓨터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
프리젠테이션이 끝난 뒤에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와 새로운 세션을 연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하는 파일을 열어 프로젝터를 통해 화이트보드에 영사할 수 있다(S57).
사용자는 프리젠테이션을 하면서 밉 버튼(가상 키보드), 터치 스크린,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를 사용하여 화이트보드에 영사되는 화면을 전환하거나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동작을 통해 편집할 수 있다(S58).
또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미라 플랫폼을 탑재하여 스마트 프로젝터 자체에서 사용자에게 컴퓨터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할 자료들을 공유시킬 필요 없이 로그인 권한을 가지고 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자체 내에 파일을 저장할 필요도 없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로젝터를 통한 프리젠테이션을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터치 스크린이 가능하며 미라 플랫폼의 대시보드 화면 또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의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는 엘씨디 모듈과; 상기 미라 플랫폼에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되는 기능 버튼 모듈과; 상기 원격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랜 모듈과;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의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연결되는 키보드/마우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엘씨디 모듈의 화면을 그대로 스크린에 영사하는 프로젝터 본체와; 상기 프로젝터 본체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버튼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 프로젝터.
  2. 전원이 공급되어 스마트 프로젝트가 부팅하여 엘씨디 화면에 사용자의 명령을 대기하는 대시보드 화면이 나타나는 단계와; 상기 대시보드 화면에서 사용자가 접속을 원하는 컴퓨터를 선택하면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터와 프로젝터간에 세션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세션을 통해 전달받은 컴퓨터의 환경을 엘씨디 화면에 그대로 보여주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의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열면 엘씨디 화면에 이 파일에 담긴 내용이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스크린에 엘씨디 화면이 그대로 영사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스마트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라 플랫폼을 장착한스마트 프로젝터의 동작 방법.
KR1020030010740A 2003-02-20 2003-02-20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093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40A KR100933402B1 (ko) 2003-02-20 2003-02-20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40A KR100933402B1 (ko) 2003-02-20 2003-02-20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226A true KR20040075226A (ko) 2004-08-27
KR100933402B1 KR100933402B1 (ko) 2009-12-22

Family

ID=3736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740A KR100933402B1 (ko) 2003-02-20 2003-02-20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3270C (zh) * 2004-12-22 2008-08-20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无线网络设定方法
CN111526349A (zh) * 2020-04-30 2020-08-11 北京博纳菲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技术的远程控制投影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85B1 (ko) 2018-07-02 2020-12-01 이상윤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KR20220065227A (ko) 2020-11-13 2022-05-20 이태양 손동작 인식 프리젠터 기능을 가진 스마트 프로젝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053A (ja) 1999-06-23 2001-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投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3270C (zh) * 2004-12-22 2008-08-20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无线网络设定方法
CN111526349A (zh) * 2020-04-30 2020-08-11 北京博纳菲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技术的远程控制投影仪
CN111526349B (zh) * 2020-04-30 2021-10-08 重庆中尊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技术的远程控制投影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402B1 (ko) 200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1363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control program and image data control method
JP6495471B2 (ja) 電子デバイス、入出力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1228515B (zh) 用于管理多个计算机的装置和系统
US9665384B2 (en) Aggregation of computing device settings
US8504183B2 (en) Web browser based remote control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JP4186465B2 (ja) プロジェクタ
US20170235477A1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Multi-Source Systems
US20020002707A1 (en) System and method to display remote content
US20040113934A1 (en) Programmed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display of presentation files
US20130290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portable computation unit on an external display unit
KR102254856B1 (ko) 컴퓨터 시스템
US6601129B1 (en) Interface device between PC and keyboard enabling switching of data
JP2004127048A (ja) 情報処理装置
EP2494776B1 (en)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2067102A1 (fr) Processeur de données, logique de commande de l'affichage du processeur de données, support d'enregistrement, et logiciel
JP200417113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切り替え方法
US9307210B2 (en) Image output apparatus, method, and medium
WO2016165374A1 (zh) 一种实现多屏显示的方法及装置
KR100933402B1 (ko) 프로젝터 및 그 동작 방법
CN100472376C (zh) 电源管理方法
KR20070019382A (ko) 네트워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887331B1 (en)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device, content reproducing system,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content reproducing program
KR20070020970A (ko) 프리젠테이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TW201250537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6755B1 (ko)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