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56B1 - 컴퓨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56B1
KR102254856B1 KR1020140126944A KR20140126944A KR102254856B1 KR 102254856 B1 KR102254856 B1 KR 102254856B1 KR 1020140126944 A KR1020140126944 A KR 1020140126944A KR 20140126944 A KR20140126944 A KR 20140126944A KR 102254856 B1 KR102254856 B1 KR 10225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screen
computer system
du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396A (ko
Inventor
이지혜
이정현
정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56B1/ko
Priority to US14/660,529 priority patent/US9626144B2/en
Publication of KR2016003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에 연결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부팅(Booting)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전자 기기를,입력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를 위한, 듀얼 컨트롤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력 장치로 여러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쉽게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입력 장치로 여러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 단말기, TV,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등 전자기기는 융합과 복합의 추세에 따라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전자 기기들의 연계 기능 및 동작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한 사용자 또는 단체 사용자들이 여러 전자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다수의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력 장치로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력 장치로 여러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에 연결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부팅(Booting)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전자 기기를,입력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를 위한, 듀얼 컨트롤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력 장치로 여러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쉽게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전자기기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3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방법과 관련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전자기기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전자 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210, 220), PCpersonal computer) 본체 또는 서버(230), 스마트폰(240), 노트북 컴퓨터(2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은, USB 등 유선 케이블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210, 220), PC 본체 또는 서버(230), 스마트폰(240), 노트북 컴퓨터(250) 등 전자 기기들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 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다른 전자 기기와 연계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은, PC 등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110)와 키보드(121), 마우스(122) 등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180), 스피커 등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의 본체(11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제어부(170),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은, 본체(110), 입력 장치(120),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와 디스플레이(18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TV, 모니터, 스마트폰, 휴대 단말기,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U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 DVI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컴퓨터 시스템(100)을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 다른 전자 기기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가 기기들로 컨텐트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키보드(121) 또는 마우스(12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체(110) 내의 각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펌퓨터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동작에 대응하는 화면을 연결된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 신호 처리, 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는 오디오 출력부(160)가 본체(110) 내에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부(160)는, 본체(11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오에스(OS)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에스(OS)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오에스(OS)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에스(OS)는,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웹 기반 등의 오에스(OS)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도 제어할 수 았다. 또한, 제어부(170)는,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를 위한, 듀얼 컨트롤 화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 제어에 따라, 컨퓨터 시스템 자체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컨퓨터 시스템 자체 화면과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되는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80)는, 영화 등 컨텐츠 재생과, 2 이상의 창을 동시에 띄우고 멀티태스킹 작업에 용이한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와이드(wide) 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본체(110)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그리고,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방법과 관련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a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스크탑 PC 시스템과 노트북 컴퓨터(250)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데스크탑 PC 시스템과 스마트 폰(240)이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0)은 본체(110), 디스플레이(180), 키보드(121), 마우스(122) 등의 입력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120)에 연결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1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및 다른 전자 기기들은 컨텐트 공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트 공유 모드란, 전자 기기가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기기로 컨텐트를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기기에서 전송하는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공유 모드는 연결된 전자 기기들이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미러링(mirroring) 모드와 연결된 복수의 기기 중 어느 한 기기에서 재생하고 있는 컨텐트를 다른 기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고, 컨텐트 공유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듀얼 스크린 듀얼 플레이(dual screen dual play, DSDP)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는 노트북 PC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트북 화면(310)과 동일한 영상(322)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80)의 다른 영역에서는 노트북 PC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래픽 작업 화면(321)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는 스마트 폰(2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폰 화면(330)과 동일한 영상(342)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80)의 다른 영역에서는 스마트 폰과 무관한 멀티태스킹 작업 화면(341)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및 전자 기기는 Wi-Fi 얼라이언스가 도입한 와이파이 인증 미라캐스트™(Wi-Fi CERTIFIED Miracast™),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Wireless Display(WiDi) 등 공개된 멀티미디어 전송기술을 지원할 수 있고 그 규격에 따라 컨텐트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공유를 위한 데이터는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른 유, 무선통신을 통하여 직접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되거나, 별도로 연결된 웹서버를 통하여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0)은 연결된 입력 장치(120), 예를 들어,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조작하여 연결된 노트북 PC(250), 스마트 폰(240) 등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상기 노트북(250), 스마트 폰(240)의 입력 수단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노트북 화면(310)과 동일한 영상(322), 스마트 폰 화면(330)과 동일한 영상(342) 등을 보면서 컴퓨터 시스템(100)의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조작하여 노트북(250), 스마트 폰(240) 등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기초한 데이터, 예를 들어, 키보드(121), 마우스(122)의 키/스크롤/이동 입력 신호 또는 키보드(121), 마우스(122)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또는 상기 노트북 화면(310)과 동일한 영상(322),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조작에 기초한 스마트 폰 화면(330)과 동일한 영상(342)의 편집 데이터를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240, 2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개의 입력 장치 또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입력 장치들로 2개의 이상의 전자 기기를 모두 제어할 수 있고, 심리스(Seamless)한 전자 기기간의 마우스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상기 입력 장치(120)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를 위한, 듀얼 컨트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설정에 따라서, 제어부(170)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부팅(Booting)시, 자동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나, 이미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에 있는 전자 기기를 감지할 수 있고, 듀얼 컨트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동일 네트워크, 예를 들어, 동일한 AP를 가지고, 메인(Main), 서브(Sub)로 사용할 전자 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의 듀얼 컨트롤 시작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으로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제시되는 첫 화면일 수 있다. 한편,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은 설정에 따라 부팅 시 자동 실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듀얼 컨트롤 화면은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메인(Main)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메인 컴퓨터 시스템이 제어할 서브(sub)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연결 전자 기기 표시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연결 전자 기기 표시 영역(410)이, 메인 컴퓨터 시스템을 표시하는 메인(main) 영역(411)과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서브(sub) 영역(412)을 포함하고, 각 영역(411, 412)에 전자 기기들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영역(410)은 연결된 PC 등 전자 기기들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전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들의 소정 기준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서브(sub)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180) 또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180) 또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연결된 전자 기기를 더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 직접 연결된 전자 기기도 상기 서브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연결 설정(421), 옵션(422) 카테고리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된 카테고리를 색상, 크기, 하이라이트 효과 등 적어도 하나의 표시 상태를 다른 항목과 구분되도록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연결 설정(421), 옵션(422) 항목의 선택에 대응하는 설정 항목 화면과 옵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상기 연결 설정 항목 화면이 초기 화면이고, 상기옵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 옵션 항목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이름 및 창 크기 기능 버튼 영역(4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8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영역에 소정 크기를 가지는 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도움말 메뉴를 실행하는 상세 도움말 버튼(440), 듀얼 컨트롤 모드 애플리케이션의 목적, 기능, 상태 등의 정보를 텍스트(Text)로 제공하는 정보 영역(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영역(450)과 표시되는 문구는 대표화면에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사용 가이드 텍스트, 아이콘이 표시되는 세부 정보 영역(4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 동작 상황에 따른 가이드를 텍스트(Text), 아이콘 등 그래픽 오브젝트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메인(Main), 서브(Sub) 전자 기기 리스트를 현재 네트워크 연결 기준으로 불러오는 새로고침 버튼(470), 선택된 두 PC를 링크하여 컨트롤기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듀얼 컨트롤 버튼(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들의 소정 기준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서브(sub)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기준은, 사용자 설정 우선순위,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의 다른 입력 장치와의 연결 유무,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의 다른 디스플레이와의 연결 유무,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가 구동중인 프로그램, 상기 네트워크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우선 순위가 있으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설정 우선순위에 따라 전자 기기를 선별하여 표시하거나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서브 전자 기기가 다른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지 유무에 따른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서버나 다른 입력 장치가 현재 연결되지 않은 전자 기기의 경우, 메인(mina) 전자 기기,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의 필요성이 더 크므로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부(170)는 서브 전자 기기가 다른 모니터 장치 등 디스플레이와 연결되어 있는지 유무에 따른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서브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메인 컴퓨터 시스템과의 연관성 유무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컴퓨터 시스템이 그래픽 작업 PC인 경우 서브 PC에서 사진 또는 동영상 의 실행 또는 다운로드시에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으로 듀얼 컨트롤 모드로 동작 가능한 실시예의 경우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설치 및/또는 실행 여부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다른 서브 전자 기기의 네트워크 유무선 여부, 네트워크 속도 등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조건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서브(sub) 영역(412)에,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듀얼 컨트롤 모드 관련 프로그램의 설치 및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응답 신호를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감지된 상태를 다른 전자 기기에 알리거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듀얼 컨트롤 화면이 소정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전자 기기 표시 영역은, 메인 컴퓨터 시스템을 표시하는 메인(main) 영역(510)과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서브(sub)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영역(510)에는 메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오브젝트(511)와 네트워크 정보, 운영 체제 정보 등 메인 전자 기기 정보(519)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서브 영역(520)에는 서브 전자 기기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521, 522, 523, 524)와 하나 이상의 서브 전자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 운영 체제 정보 등 서브 전자 기기 정보(529)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메인 영역(510)과 서브 영역(520)에 표시되는 정보를 소정 조건 만족 여부에 따라 선별하여 표시하거나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영역(520)에 표시된 오브젝트(521, 522, 523, 524)들은 현재 듀얼 컨트롤 모드로 동작 가능한 기기들에 대응하거나 우선 순위가 높은 서브 전자 기기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서브 전자 기기가 서브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521, 522)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523)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노트북(526)과 같이 전자 기기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듀얼 컨트롤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소정 기준에 따라 그루핑(grouping)하여 구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정보 내용을 서브 영역을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에 나누어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듀얼 컨트롤 화면(800)에 포함되는 상기 연결 전자 기기 표시 영역(810)은, 메인 컴퓨터 시스템을 표시하는 메인(main) 영역과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서브(sub) 영역으로 나누어 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8에서 예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브 전자 기기들만 상기 연결 전자 기기 표시 영역(8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듀얼 컨트로 화면(900)의 메인 영역(910)에는 메인 컴퓨터 시스템(910)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 컴퓨터 시스템(910)은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듀얼 컨트로 화면(900)의 서브 영역(920)에는 복수의 서브 전자 기기 후보 몰록(921, 922, 923, 924, 925)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서브 후보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921, 922, 923, 924, 925) 중 어느 하나(921)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오브젝트(921)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된 서브 후보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921, 922, 923, 924, 925)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듀얼 컨트롤 버튼(930)을 선택하거나, 상기 감지된 서브 후보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921, 922, 923, 924, 925)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를 더블 클릭하여 듀얼 컨트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911)에 연결된 다른 입력 장치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듀얼 컨트롤 모드에서는 메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와 서브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메인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만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전자 기기에서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선택한 경우, 서브 전자 기기에 메인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는 표시되더라도, 선택이 불가능 하도록 듀얼 컨트롤 버튼(93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한 서브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화면은,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의 출력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상기 서브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18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로, 상기 입력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는, 상기 입력 장치의 키 입력 정보, 상기 입력 장치의 키 입력 시 커서의 위치 정보,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항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100)은 연결된 입력 장치(120), 예를 들어,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조작하여 연결된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체(100)에 연결된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상기 서브 전자 기기의 입력 수단으로도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하여 서브 전자 기기와 동일한 영상을 보면서 컴퓨터 시스템(100)의 키보드(121), 마우스(122)를 조작하여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0과 같이, 듀얼 컨트롤 화면(1000)은 소정 영역(1010)에 선택된 최종 서브 전자 기기(1011)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전자 기기에 관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 트레이(1020)에 듀얼 컨트롤 아이콘에 메인/서브 전자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옵션(1021, 1022)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브 전자 기기로 설정이 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이벤트(Event) 발생시 서브 전자 기기로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한 프로그램이 후보 서브 전자 기기와 관련있는 경우, 후보 서브 전자 기기에서 다운로드(Download) 예약한 태스크(Task) 등의 작업 완료 시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연결 설정, 옵션항목의 선택에 대응하는 설정 항목 화면과 옵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상기 연결 설정 항목 화면이 초기 화면이고, 상기옵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 옵션 항목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옵션 항목 화면(11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부팅 시 자동 실행 항목(1110)을 선택하여 부팅 시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듀얼 컨트롤 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180)와 같은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모니터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 등 특정 조건에서만 자동으로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부팅 이후 네트워크에 다른 PC가 연결된 경우또는 21:9의 디스플레이(180)에 다른 PC가 연결된 경우에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PC가 전체화면으로 제1 메인 PC의 모니터를 사용하다가,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된 제1 메인 PC가 부팅한 경우를 살펴보면, 제2 PC에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안된 경우 제1 메인 PC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PC리스트 표시하거나, 제2 PC가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제2 PC를 우선적으로 서브 영역에 표시하도록 설장 할 수 있다.
또한, 제2 PC가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 있으나 같은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에는 네트워크 변경을 유도하거나,제2 PC에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 인터넷을 통하여 설치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트롤기기 이동 키(key) 항목(1120)을 선택하여, 메인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빠르게 메인 컴퓨터 시스템과 서브 기기로 이동할 수 있는 단축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 장치로 메인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 사용하다가 설정된 단축키를 눌러 서브 전자 기기에 대한 입력 장치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고, 마우스 포인터는 전환된 기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지정 키(key) 생성 메뉴 항목(1130)을 선택하여, 별도의 입력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기기와 서브 전자 기기의 종류가 다르거나 운영 체계가 다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입력 장치, 입력 키는 다른 기기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하는 키 입력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지정 키(key) 생성 메뉴 항목(1130)에서 사용자가 지정하여 매핑한 기능이 활성화되는 키 조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의 운영 체제가 다른 경우에, 사용자 지정 단축키 후보를 팝업(pop-up)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으로 표시된 후보를 선택하고 매핑 키를 선택함으로써 더욱 쉽게 사용자 지정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기기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또는 듀얼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전지 기기가 없는 경우 등에 표시되는 듀얼 컨트롤 화면(1200)을 예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듀얼 컨트를 화면(1200)에는 서브 전자 기기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상단에“사용 가능한 Sub PC가 검색되지 않습니다. 전원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 후 [새로고침] 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텍스트(Text) 가이드(12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전자 기기들의 정렬 순서가 번경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에서 두번째로 표시되고 있던 전자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전자 기기의 정렬 순서를 가장 앞으로 변경하고, 나머지 전자 기기들을 순차적으로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는 데스크탑 PC 시스템과 스마트 폰(240)을 연결하여 작업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와 도 1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의 일부 영역에는 스마트 폰(2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폰 화면(240)과 동일한 워드 애플리케이션 영상(1420)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180)의 다른 영역에서는 멀티태스킹 작업 화면(143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멀티태스킹 작업 화면(1430) 내의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1431)를 복사하여 워드 애플리케이션 영상(1420)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미지의 복사에 기초한 데이터가 스마트 폰(240)으로 전송되고, 스마트 폰의 워드 애플리케이션 영상(1440) 내에 동일한 이미지(1451)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입력 장치로 여러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쉽게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프로세서(제어부)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컴퓨터 시스템
110 : 본체
13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
120 : 입력 장치

Claims (20)

  1. 컴퓨터 시스템으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에 연결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부팅(Booting)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를 위한, 듀얼 컨트롤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연결 설정 항목 화면과 옵션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옵션 항목 화면은 사용자 지정 단축키 생성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의 운영 체제가 다른 경우에, 사용자 지정 단축키 후보를 팝업(pop-up)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전자 기기를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서브(sub)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들의 소정 기준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서브(sub)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준은, 사용자 설정 우선순위,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의 다른 입력 장치와의 연결 유무,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의 다른 디스플레이와의 연결 유무,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가 구동중인 프로그램, 상기 네트워크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sub) 영역에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듀얼 컨트롤 모드 관련 프로그램의 설치 및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한 응답 신호를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를 상기 입력 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컨트롤(Dual control)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에 연결된 다른 입력 장치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한 서브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은,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의 출력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화면을, 상기 서브 화면과 함께 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듀얼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전자 기기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한 데이터는, 상기 입력 장치의 키 입력 정보, 상기 입력 장치의 키 입력 시 커서의 위치 정보,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선택된 항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전자 기기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전자 기기에 관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1: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컨트롤 화면은, 상기 연결 설정 항목 화면이 초기 화면이고, 상기옵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에 옵션 항목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26944A 2014-09-23 2014-09-23 컴퓨터 시스템 KR10225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44A KR102254856B1 (ko) 2014-09-23 2014-09-23 컴퓨터 시스템
US14/660,529 US9626144B2 (en) 2014-09-23 2015-03-17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44A KR102254856B1 (ko) 2014-09-23 2014-09-23 컴퓨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396A KR20160035396A (ko) 2016-03-31
KR102254856B1 true KR102254856B1 (ko) 2021-05-21

Family

ID=5552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944A KR102254856B1 (ko) 2014-09-23 2014-09-23 컴퓨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6144B2 (ko)
KR (1) KR102254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693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664B1 (ko) * 2016-10-18 2018-08-22 주식회사 에이텍 외부 영상과 입력장치를 동기화하는 공유장치
CN108073225A (zh) * 2016-11-15 2018-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屏终端、屏幕显示方法及装置
KR101997221B1 (ko) * 2017-10-13 2019-07-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및 제어 방법
CN108897451B (zh) * 2018-06-29 2021-11-16 南昌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主副显示屏识别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45701B (zh) * 2018-10-26 2021-02-23 北京计算机技术及应用研究所 一种双控磁盘阵列的自动精简配置同步方法
EP4064615A4 (en) * 2019-11-19 2023-08-1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KR20210101496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4621A1 (en) 2001-06-29 2003-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ooting of a target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based on a provided administrator topology GUI
US20070088780A1 (en) * 2002-05-27 2007-04-1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ata transmission system, process and program, image data out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90268093A1 (en) 2008-04-28 2009-10-29 Honda Motor Co., Ltd. Video Display System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522A (en) * 1994-12-13 1999-03-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provided child window controls
US5850340A (en) * 1996-04-05 1998-12-15 York; Matthew Integrated remote controlled computer and television system
KR101651927B1 (ko) * 2010-03-15 2016-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4621A1 (en) 2001-06-29 2003-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ooting of a target device in a network environment based on a provided administrator topology GUI
US20070088780A1 (en) * 2002-05-27 2007-04-19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ata transmission system, process and program, image data out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90268093A1 (en) 2008-04-28 2009-10-29 Honda Motor Co., Ltd. Video Display System for a Mot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693A1 (ko) *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5495A1 (en) 2016-03-24
KR20160035396A (ko) 2016-03-31
US9626144B2 (en)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856B1 (ko) 컴퓨터 시스템
US20230308502A1 (en) Contextual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US10200738B2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956008B2 (en)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US10708534B2 (en)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US10216370B2 (en) Tabs in system task switchers
US2012021027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201401499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0365779B2 (en) Dynamically assigning shortcuts to menu items and actions
WO2021031623A1 (zh) 显示设备、分享文件的方法和服务器
US20170285813A1 (en) Touch-Input Support for an External Touch-Capable Display Device
KR20140043360A (ko) 이머시브 쉘 및 애플리케이션 쉘의 디스플레이
US20140344862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331200A1 (en) Multi-Function Display with Selectively Autonomous Secondary Modules
WO2020248681A1 (zh) 显示设备及蓝牙开关状态的显示方法
US11934624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control command to an external apparatus
US20080297667A1 (en) Projection apparatus with direct attachment of external storage media
CN111259639A (zh)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JP6140928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032608A (zh) 终端设备、显示控制方法及介质
KR20120081878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20081877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