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702A -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702A
KR20040073702A KR1020030009373A KR20030009373A KR20040073702A KR 20040073702 A KR20040073702 A KR 20040073702A KR 1020030009373 A KR1020030009373 A KR 1020030009373A KR 20030009373 A KR20030009373 A KR 20030009373A KR 20040073702 A KR20040073702 A KR 2004007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main
gas burner
gas
h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565B1 (ko
Inventor
강영철
이정춘
김종운
조대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5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3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only fixed at one of the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기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면으로 가스기기의 주화력원을 담당하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주화염공(21)이 구비되는 주화염부(20)와, 상기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 양측으로 구성되며, 몸체에 부화염공(31)이 구비되는 부화염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주화염부(20)와 부화염부(30)는 가스버너 본체(10)의 성형시 일체로 절곡 형성되므로, 본 발명인 가스기기용 가스버너는 본체(10) 형성시 주화염부(20)와 부화염부(30)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므로 써, 종래와 같이 부화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삭제시켜 작업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가스버너 자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 가스버너를 복수개로 병설하는 구성에서도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스기기용 가스버너{Gas Burner for Gas Instruments}
본 발명은 가스기기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 및 가스 온수기 등의 가스기기에 사용되는 가스버너의 성형시 가스버너의 상부로 양측면부로 구성되는 주화염부와 부화염부를 일체로 절곡 구성하므로 써, 제작공정의 단순화 및 이로 인한 제작단가를 저감시키며, 가스버너의 연소효율과 주화염부의 염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의 본체(1)의 상면(2)에 주화염공(3)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주화염공(3)의 양측에 부화염공(4)을 형성한 것과 같은 구성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실개소 51 - 162334, 동 실개소 63 - 61618호)에서 알려져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5)는 부화염용 가스분출공이고, (6)는 측판을 표시하고 있다.
한편, 이 부화염공(4)의 외측에 설치한 측판(6)의 상단은 이 가스버너 본체(1)의 상면에서 아래로 위치한 관계로 이 부화염공(4)에서의 부화염이 연소시, 이 가스버너의 외측에 생기는 공기류의 영향을 받아 불안정해지기 쉽고, 이에 따라주화염공에서도 주화염도 이에 영향을 받아 불안정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는 부화염공(4)의 외측에 부화염공(4)의 폭을 넓게 하여 주화염 자체를 안정시켜서 주화염공에 형성되는 주화염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가스기기용 가스버너의 구성에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염공의 염 안정화를 위한 부화염공이 양측 즉, 주화염공과 평행하게 부화염공이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가스버너 본체의 부화염공 외측으로 형성되는 2차공기의 환류속도가 매우 높게 형성되는 관계로 부화염공이 주화염공이 아닌 외측으로 압력과 속도차에 의해 이끌리는 현상으로 인하여 주화염공의 염 안정화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화염공의 측판 높이를 주화염공의 설정 높이 보다 높게 형성하면서, 주화염공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정하는 구성도 제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스버너의 전체적인 크기 및 폭이 증대되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별도의 측판을 가스버너 본체에 부가 형성해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노즐(50)을 통해 가스와 1차공기가 가스버너의 가스혼합관을 통해 공급되고(이하 유속 B) 상기 가스혼합관 내측에서 1차공기와 가스가 혼합되어 부화염공으로 이동되는 가스(유속 C)의 유속은 가스버너본체의 외측공기(2차공기) 유속( 유속 A)과의 상관관계가 유속A ≥유속 B 〉유속 C 갖으므로, 주화염공의 염 안정화를 위해서는 부화염공의 설정관계를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 및 가스 온수기 등의 가스기기에 사용되는 가스버너의 성형시 가스버너의 상부로 양측면부로 구성되는 주화염부와 부화염부를 일체로 절곡 구성하므로써, 제작공정의 단순화 및 이로 인한 제작단가를 저감시키며, 가스버너의 연소효율과 주화염부의 염안정화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기기용 가스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기기용 가스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버너 본체 상부로 구성되는 주화염부와 부화염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도.
도 2는 종래 가스버너의 주화염부와 부화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의 상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부화염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부화염부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버너 본체 11 - 가스혼합관
20 - 주화염부 21 - 주화염공
30 - 부화염부 31 - 부화염공
40 - 굴곡부 45 - 협곡홈
50 - 노즐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면으로 가스기기의 주화력원을 담당하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주화염공(21)이 구비되는 주화염부(20)와, 상기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 양측으로 구성되며, 몸체에 부화염공(31)이 구비되는 부화염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주화염부(20)와 부화염부(30)는 가스버너 본체(10)의 성형시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가스기기용 가스버너는 본체(10) 형성시 주화염부(20)와 부화염부(30)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므로 써, 종래와 같이 부화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삭제시켜 작업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가스버너 자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 가스버너를 복수개로 병설하는 구성에서도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가스버너 본체 상부로 구성되는 주화염부와 부화염부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가스버너의 주화염부와 부화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의 상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부화염부의 일 실시예로서 주화염공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부화염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부화염부의 타 실시예로서 주화염공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부화염공이 소정 주기를 갖고 상,하로 배열 형성되는 상태를 요부 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스기기용 가스버너는 종래의 가스버너 본체 구성과는 달리 주화염부의 양측으로 구성되는 부화염부를 가스버너 본체의 성형시 일체로 절곡시켜 형성하므로 써, 별도의 부화염부 형성을 위한 공정 및 작업없이 간편하게 가스버너 본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단순화로 인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인 적용된 가스버너 본체(10)의 구성에서 주화염부(20)의 양측면부로 형성되는 부화염부(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 방향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 본체(10)의 성형시 일체로 프레싱 절곡시켜 형성되는 가스버너 본체(10)의 주화염부(20) 양측으로 구성되는 부화염부(30)는 부화염부(30)의 몸체 기울기가 주화염부(20)의 주염과 직각 방향을 이룰 수 있는 기울기를 갖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주화염부(20)에서 발생되는 주염의 안정화를 위하여 부화염부(30)가 내측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슬릿형상을 갖는 주화염공(21)의 주염 안정화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화염부(30)가 내측 주화염부(20) 방향을 향해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일종의 가이드역활에 의해 가스버너 본체(10)의 외측으로 발생되는 2차공기의 환류속도에 의한 부화염부(30)의 부염이 외측으로 이끌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스버너 본체(10)의 부화염부(30)의 부화염공(31)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과 중심축상으로 다수개 형성할 수있다.
즉, 슬릿형상의 주화염공(21)의 양측에서 주화염공(21)의 중심선상의 외측방향으로 부화염공(31)이 다수개 형성되므로,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는 주화염공(21)에서 발생되는 주염의 안정화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화염공(31)은 주화염공(21)의 외측부에서 소정의 높이 간격차를 갖고 상,하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도 6과 같이 소정의 상,하 간격차를 갖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부화염공(31)이 형성된 관계로 주화염공(21)에서 발생되는 주염의 안정화를 위하여 부화염공(31)이 소정 간격차를 갖으면서 상,하에서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화염공(31)이 주화염공(21)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수개 또는 소정의 상,하 간격차를 갖도록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가스버너 본체(10)의 외측으로 발생되는 2차공기에 의한 환류와, 주염 자체에 의한 환류시 보다 안정되게 주염을 안정화시켜 가스버너 자체의 연소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스버너 본체(10)의 몸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혼합관(11)을 통한 가스와 1차공기의 원할한 공급과 가스버너 본체(10) 외측으로 발생되는 2차공기에 의한 환류로 부염이 외측으로 이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에 굴곡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4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화염공(21)의 하측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로 협곡홈(45)을 형성하여, 2차공기의 환류로 발생되는 부염의 이끌림현상을 방지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가스버너 본체(10)의 외측에서 상부로 상승되는 환류된 2차공기가 굴곡부(40)인 협곡홈(45)에 의해 2차공기의 상승시 간섭 및 유속 진행시간을 지체시켜 부염 및 주염의 전체적인 염균형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스버너 본체(10)의 굴곡부(40)에 의해 내측으로 공급되는 혼합된 가스와 1차공기 역시 공급되는 속도를 굴곡부(40)에 의해 원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염의 불안정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가스기기용 가스버너는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부로 형성되는 주화염부(20)와 상기 주화염부(20)의 양측으로 구성되는 부화염부(30)를 가스버너 본체(10)의 성형시 일체로 절곡시켜 함께 형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로 부염화부를 설치하면서 발생되는 공정 및 조립성 증대와 전체적인 주염의 안정화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의 구성과 같이 주염화부의 외측으로 별도의 부염화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가스버너 본체의 형성시 주염화부와 부염화부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므로, 제품의 제작단가 및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부염화부의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스버너 자체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개로 병설하는 구성에서도 제품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부염화부의 부염화공을 다수개 또는 상,하 간격차를 두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염의 안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가스버너 본체의 몸체에 굴곡부를 형성하므로, 가스버너 본체의 외측으로 발생되는 2차공기의 환류로 인한 부염의 이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스혼합관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된 가스와 1차공기를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다섯째, 주염과 부염의 안정화로 인한 가스버너 자체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면으로 가스기기의 주화력원을 담당하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주화염공(21)이 구비되는 주화염부(20)와, 상기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 양측으로 구성되며, 몸체에 부화염공(31)이 구비되는 부화염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 본체(10)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주화염부(20)와 부화염부(30)는 가스버너 본체(10)의 성형시 일체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염부(30)의 부화염공(31)은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 방향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염부(30)의 부화염공(31)은 주화염부(20)의 주화염공(21)과 중심축상으로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4.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염부(30)의 부화염공(31)은 주화염공(21)의 외측부에서 소정의 높이 간격차를 갖고 상,하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 본체(10)의 몸체에는 혼합된 가스와 1차공기의 원할한 공급과 가스버너 본체(10) 외측으로 발생되는 2차공기에 의한 환류로 부염이 외측으로 이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굴곡부(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6. 청구항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40)는 주화염공(21)의 하측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상,하부에 형성된 협곡홈(4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KR1020030009373A 2003-02-14 2003-02-14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KR10054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373A KR100540565B1 (ko) 2003-02-14 2003-02-14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373A KR100540565B1 (ko) 2003-02-14 2003-02-14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702A true KR20040073702A (ko) 2004-08-21
KR100540565B1 KR100540565B1 (ko) 2006-01-11

Family

ID=3736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373A KR100540565B1 (ko) 2003-02-14 2003-02-14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5185A (zh) * 2019-10-15 2021-04-16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火排单体、燃烧器和热水器
CN114440213A (zh) * 2021-12-20 2022-05-06 重庆海尔热水器有限公司 火排、燃烧器及燃气热水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5185A (zh) * 2019-10-15 2021-04-16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火排单体、燃烧器和热水器
CN114440213A (zh) * 2021-12-20 2022-05-06 重庆海尔热水器有限公司 火排、燃烧器及燃气热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565B1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96B1 (ko) 린-리치 연소방식을 이용한 분젠버너
US20100294214A1 (en) Burner for gas boiler
JP2015166660A (ja) バーナ、燃焼装置および燃焼方法
US20150034070A1 (en) Gas burner for a cooktop
JP2008527292A (ja) 非対称炎を生じさせる多段燃焼方法
KR100540565B1 (ko) 가스기기용 가스버너
US20120178033A1 (en) Lean-rich burner
JPH0449462Y2 (ko)
JP2006038418A (ja) 燃焼装置
JP2005265344A (ja) パイロットバーナ部を持った予混合式ガスバーナ
KR20090078581A (ko) 가스버너의 염공구조 및 가스버너
JP4007958B2 (ja) ガスバーナ
CN216047648U (zh) 一种附墙火焰气体燃烧器
CN113803718B (zh) 一种附墙火焰气体燃烧器及工艺
KR920001735Y1 (ko) 가스 버너
JP2002286207A (ja) バー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加熱装置
JP2001336716A (ja) 濃淡燃焼バーナの炎孔部材
JPS63251711A (ja) ガスバ−ナ
JP2716752B2 (ja) 強制燃焼式ガスバーナ
JPH0221111A (ja) 高負荷燃焼装置
JPH06103084B2 (ja)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JPH0216098Y2 (ko)
JPS63247514A (ja) ガスバ−ナ
JPH0637967B2 (ja) 予混合ガスバ−ナ
JP2002267114A (ja) 濃淡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