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058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058A
KR20040071058A KR1020040001534A KR20040001534A KR20040071058A KR 20040071058 A KR20040071058 A KR 20040071058A KR 1020040001534 A KR1020040001534 A KR 1020040001534A KR 20040001534 A KR20040001534 A KR 20040001534A KR 20040071058 A KR20040071058 A KR 2004007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using
pressing
printed wiring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구찌와따루
오기노데쯔하루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0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프린트 배선기판을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기판을 들어 올려도 빠지지 않고, 실장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아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프린트 배선기판 (5) 의 도체 패턴을 탄성 접촉부 (2c) 에 가압하여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하우징 (1) 내에 끼움 지지하는 레버 (4) 의 일단측에 끼움지지부 (4f) 를 형성하는 동시에, 타단측에 로크부 (4g) 를 형성하고, 레버 (4) 가 가압 조작되어 로크부 (4g) 가 로크됨에 따라, 끼움지지부 (4f) 가 가압수단 (2d) 에 맞닿고, 끼움지지부 (4f) 가 가압수단 (2d) 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끼움지지부 (4f) 가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가압하여 하우징 (1) 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 {A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프린트 배선기판 등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프린트 배선기판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트 배선기판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로는 복수의 접촉단자가 배열형성된 하우징에, 삽입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을 끼움 지지하고 하우징에 회전운동이가능하게 형성된 레버의 회전에 따라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을 가압하여 접촉단자에 접촉 (압접) 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제2814447호 참조).
이하, 종래의 프린트 배선기판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 은 종래의 프린트 배선기판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9 는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 도 10 은 동일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51 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 상측을 향해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에 복수의 접촉단자 (53) 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 (51) 의 양측부에는 레버 (가압부재) (57) 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운동 지지부를 갖는 유지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 (53) 는 도전성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U 자 형상의 접촉핑거부 (54) 와, 아암형상부의 선단에 형성된 회전운동 안내부 (55) 와, 연결부 (56) 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56) 에는 하우징 (51)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부 (56A) 가 형성되어 있고, 또 접촉핑거부 (54) 의 선단에는 돌기형상으로 접촉부 (5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운동 안내부 (55) 의 중심 (55A) 과 하우징 (1) 의 회전운동 지지부의 중심은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51) 의 개구부에는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레버 (57) 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 (57) 는 가압부 (60) 를 갖고, 이 가압부 (60) 의 상면에는 일련의 접촉단자 (53) 의 회전운동 안내부 (55) 와 걸어맞춰지는 원호부를 갖는 회전운동 피안내부 (61)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운동 안내부 (55) 는 빗살형상으로 배열된 축형상을 이루며, 이 회전운동 안내부 (55) 에 레버 (57) 의 회전운동 피안내부 (61) 가 회전운동 안내되어 레버 (57) 가 회전운동되게 되어 있다.
레버 (57) 는 회전운동 피안내부 (61) 와 대향되는 하면에, 두개의 인접 평탄면의 이행부에 의해 가압돌기부 (62) 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 (57) 가 축부 및 회전운동 피안내부 (61) 로 안내되어 폐쇄위치를 향해 하측으로 회전운동했을 때, 하우징 (51) 의 지지부 (51B) 및 접촉단자 (53) 의 접촉부 (54A) 의 2 점으로 지지되고 있는 프린트 배선기판 (F) 을 이 2 점간에서 상측으로부터 가압돌기부 (62) 가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기판 (F) 을 삽입할 때, 레버 (57) 를 하측을 향해 폐쇄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키면, 레버 (57) 의 가압돌기부 (62) 가 프린트 배선기판 (F) 에 맞닿아 접촉단자 (53) 의 접촉부 (54A) 와 하우징 (51) 의 지지부 (51B) 의 2 점간을 가압한다. 그 결과, 프린트 배선기판 (F) 에 탄성 변형이 생겨 맞닿는 압력을 가지고 접촉부 (54A) 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프린트 배선기판용 커넥터 장치의 구조에서는, 하우징 (51) 에 프린트 배선기판 (F) 을 삽입하는 측의 개구를 덮도록, 레버 (57) 를 회전운동시켜 가압돌기부 (62) 로 프린트 배선기판 (F) 을 끼움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기판 (F) 을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기판 (F) 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레버 (57) 가 해제되는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프린트 배선기판 (F) 이 하우징 (51) 으로부터 빠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레버 (57) 의 회전운동 영역내에는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실장 장소에 제약을 받아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프린트 배선기판을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기판을 들어 올려도 빠지지 않고, 실장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아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동일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동일 커넥터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초기 상태의 하우징과 레버의 임시고정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레버의 동작 도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레버의 동작 도중의 하우징과 레버의 임시고정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레버가 로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의 레버가 로크된 상태의 하우징과 레버의 임시고정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a: 개구부
1b: 측벽부 1c: 기대부
1d: 가이드홈부 1e: 돌기부
1f: 걸림홈 1g: 입벽부
2: 접촉단자 2a: 아암부
2b: 아암부 (가압수단) 2c: 탄성 접촉부
2d: 가압부 (가압수단) 2e: 로크부 (로크수단)
2f: 단자부 3: 접촉단자
3a: 탄성 접촉부 3b: 단자부
4: 레버 4a: 상판부
4b: 지축부 4c: 걸림돌기부
4d: 슬릿홈 4e: 슬릿홈
4f: 끼움지지부(挾持部) 4g: 로크부 (로크수단)
5: 프린트 배선기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열 설치되어 삽입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를 갖는 접촉단자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을 상기 탄성 접촉부에 가압하여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상기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하는 끼움지지부를 갖는 레버와, 탄성력을 갖고 상기 끼움지지부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일단측에 상기 끼움지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측에 로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가압 조작되어 상기 로크부가 로크됨에 따라,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가압수단에 맞닿고,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가압수단은 일체의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구성하는 한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탄성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다른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레버의 끼움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기부측에 상기 레버를 로크하는 로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을 갖는 상기 다른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의 끼움지지부에는 원호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지지부의 원호면이 상기 가압부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레버를 가압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레버를 로크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끼움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낸다. 도 1 은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커넥터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 은 커넥터 장치의 초기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초기 상태의 하우징과 레버의 임시고정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 는 레버의 동작 도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레버의 동작 도중의 하우징과 레버의 임시고정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 은 레버가 로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레버가 로크된 상태의 하우징과 레버의 임시고정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되어 개구부 (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양측부에는 측벽부 (1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양측벽부 (1b,1b) 와의 사이에 평판형상의 기대부 (1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측벽부 (1b) 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레버 (4) 의 양단측에 형성된 지축부 (4b) 가 삽입되고, 레버 (4) 의 동작시에 지축부 (4b) 를 슬라이딩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 (1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측벽부 (1b) 의 일단측 내측면에는 볼록형상의 돌기부 (1e) 에 둘러싸인 오목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홈 (1f)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 (1f) 에 후술하는 레버 (4) 의 걸림돌기부 (4c) 가 걸려 레버 (4) 가 임시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기대부 (1c) 의 후단측에는 입벽부 (1g)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입벽부 (1g) 와 상기 기대부 (1c) 에는 복수의 접촉단자 (2,3) 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대향하여 배열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 (2) 는 도전성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된 아암부 (2a,2b) 를 갖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 (2) 를 U 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암부 (2a,2b) 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단자 (2) 는 상기 아암부 (2a,2b) 가 상기 개구부 (1a) 의 상기 기대부 (1c) 상에 연장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입벽부 (1g) 에 고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한쪽 상기 아암부 (2a) 의 자유단측에는 삽입되는 프린트 배선기판 (5) 의도체 패턴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는 상측으로 개구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 (2d)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압부 (2d) 가 후술하는 레버 (4) 의 끼움지지부 (4f) 를 가압하는 것이 되고, 이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가 가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 (2) 의 탄성 접촉부 (2c) 와, 가압수단인 상기 가압부 (2d) 가 금속판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상기 접촉단자 (2) 와 가압수단인 상기 가압부 (2d) 에 확실하게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구성을 간략화하여 작업성 향상이 도모되고 저비용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기부측에는 볼록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로크부 (2e)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로크부 (2e) 와 후술하는 레버 (4) 의 타단측에 형성된 로크부 (4g) 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레버 (4) 가 로크위치에 로크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단자 (2) 의 후단측에는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2f)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 (3) 는 동일하게 도전성 금속판재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자유단측에는 삽입되는 프린트 배선기판 (5) 의 도전패턴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 (3a) 가 형성되고, 기부측에는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3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 (3) 는 기부측이 상기 하우징 (1) 의 기대부 (1c) 의 상기 입벽부 (1g) 와는 대향하는 측에 고착되고, 그 자유단측이상기 개구부 (1a) 내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접촉단자 (2) 의 탄성 접촉부 (2c) 와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 (4)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1)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레버 (4) 의 상판부 (4a) 는 평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장치의 실장시에는 이 평탄면인 상판부 (4a) 가 조립자동기의 흡착부로서 사용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 (4) 의 양측부 일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양측벽부 (1b) 의 가이드홈부 (1d) 에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지축부 (4b) 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축부 (4b) 가 형성된 측과 대향된 타단측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양측벽부 (1b) 의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상기 걸림홈 (1f) 에 걸어맞춰져 상기 레버 (4) 가 상기 하우징 (1) 에 임시고정되는 걸림돌기부 (4c) 가 동일하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4) 의 중앙에는 복수의 슬릿홈 (4d,4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홈 (4d,4e) 이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내에 연장 설치된, 상기 접촉단자 (2) 의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에 적절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 (4) 가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 (4) 의 일단측에서 상기 슬릿홈 (4d) 의 기부에는 단면이 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끼움지지부 (4f)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끼움지지부 (4f) 는 상기 접촉단자 (2) 의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압부 (2d) 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면이 상기 가압부 (2d) 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 (4f) 의 하단이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단자 (2) 의 한쪽 상기 아암부 (2a) 의 탄성 접촉부 (2c) 사이에 끼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 (4) 의 타단측에서 상기 슬릿홈 (4e) 의 기부에는 단면이 뿔형상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로크부 (4g)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 (4) 가 하측으로 가압 조작되었을 때, 상기 로크부 (4g) 가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볼록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2e) 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레버 (4) 가 로크위치에 로크되게 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8 에서 상기 구성의 커넥터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 (제품 납입시의 상태) 에서는, 상기 레버 (4) 는 상기 하우징 (1) 에 임시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레버 (4) 의 지축부 (4b) 와 반대측 양측부에 형성된 돌기형상의 상기 걸림돌기부 (4c) 가, 상기 하우징 (1) 의 양측벽부 (1b) 의 내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상기 걸림홈 (1f) 에 걸어맞춰져 있고, 레버 (4) 는 하우징 (1) 에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레버 (4) 의 상판부 (4a) 는 평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장치를 전자기기 등의 기판 상에 실장시키는 경우에는 조립자동기 등에 의해 상기 레버 (4) 의 상판부 (4a) 를 흡착시켜 척킹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 (4) 의 끼움지지부 (4f) 는 상기 접촉단자 (2) 의 다른쪽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상기 가압부 (2d) 에는 맞닿게 되어 있지만, 상기 가압부 (2d) 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하측으로의 가압력은 부여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내로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삽입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 (4) 가 상기 하우징 (1) 의 임시고정부에 임시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내로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삽입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를 기판 상에 실장한 후,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내로 프린트 배선기판 (5) 등을 삽입 장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레버 (4) 를 일단 들어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장시의 작업성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4) 의 지축부 (4b) 와 반대측의 선단측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4) 의 상기 걸림돌기부 (4c) 가 상기 걸림홈 (1f) 으로부터 빠지고, 상기 레버 (4) 의 상기 슬릿홈 (4e) 의 기부에 형성된 뿔형상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4g) 가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볼록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2e) 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레버 (4) 의 지축부 (4b) 측의 상기 슬릿홈 (4d) 의 기부에 형성된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상기 접촉단자 (2) 의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상기 가압부 (2d) 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우측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상기 가압부 (2d) 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 (4f) 의 하단이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가압하여 상기 접촉단자 (2) 의 한쪽 상기 아암부 (2a) 의 탄성 접촉부 (2c) 사이에 끼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접촉단자 (2) 는 상기 한쌍의 아암부 (2a,2b) 를 U 자 형상으로 대향시켜 형성함으로써 탄발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한 협지력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부 (2d) 를 탄성을 갖는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레버 (4) 의 끼움지지부 (4f) 에는 원호면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지지부 (4f) 의 원호면이 상기 가압부 (2d) 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 (1) 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부 (2d) 의 탄발력이 손실없이 확실하게 상기 레버 (4) 의 끼움지지부 (4f) 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끼움 지지하는 힘이 강화되어 강고한 끼움 지지가 가능해지고, 또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조작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상기 레버 (4) 의 지축부 (4b) 와 반대측 선단측을 하측으로 누르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4) 의 상기 걸림돌기부 (4c) 가 상기 걸림홈 (1f) 으로부터 더욱 빠지고, 상기 레버 (4) 의 상기 슬릿홈 (4e) 의 기부에 형성된 뿔형상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4g) 가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볼록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2e) 와 걸어맞춰져 로크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버 (4) 의 끼움지지부 (4f) 와 상기 접촉단자 (2) 의 탄성 접촉부 (2c) 사이에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 (4) 를 로크하는 로크수단으로서, 상기 레버 (4) 의 상기 슬릿홈 (4e) 의 기부에 형성된 뿔형상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4g) 와, 상기 접촉단자 (2) 의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기부측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크부 (2e) 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촉단자 (2) 에 형성된 상기 로크부 (2e) 를 상기 하우징 (1) 의 입벽부 (1g) 등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레버 (4) 의 끼움지지부 (4f) 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접촉단자 (2) 의 다른쪽 상기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압부 (2d) 로 구성하였지만, 상기 아암부 (2b) 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상기 가압부 (2d) 를 상기 하우징의 입벽부 (1g) 등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상기 레버 (4) 와의 슬라이딩 및 걸어맞춤이 성형재끼리가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상기 접촉단자 (2) 의 형상이 간략화되므로 저비용화가 도모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4) 의 그 일단측에 상기 끼움지지부(4f) 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타단측에 상기 로크부 (4g) 를 형성하고, 상기 레버 (4) 가 가압 조작되어 상기 로크부 (4g) 가 로크됨에 따라,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가압수단인 상기 아암부 (2b) 의 가압부 (2d) 에 맞닿고,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 (4f) 가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 (1) 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프린트 배선기판 (5) 이 상기 하우징 (1) 내에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기판 (5) 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상기 레버 (4) 의 상기 로크부 (4g) 는 상기 끼움지지부 (4f) 와는 반대측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크부 (4g) 에 상기 레버 (4) 가 해제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기판 (5) 이 상기 하우징 (1) 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레버 (4) 가 거의 회전운동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장치의 실장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아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열 설치되어 삽입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를 갖는 접촉단자와,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을 탄성 접촉부에 가압하여 프린트 배선기판을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하는 끼움지지부를 갖는 레버와, 탄성력을 갖고 끼움지지부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레버는 일단측에 끼움지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측에 로크부가 형성되고, 레버가가압 조작되어 로크부가 로크됨에 따라, 끼움지지부가 가압수단에 맞닿고, 끼움지지부가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끼움지지부가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압하여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기판이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기판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레버의 로크부는 끼움지지부와는 반대측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크부에 레버가 해제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기판이 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레버가 거의 회전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실장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아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또, 접촉단자와 가압수단은 일체의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접촉단자를 구성하는 한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탄성 접촉부를 형성하고,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다른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레버의 끼움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기부측에 레버를 로크하는 로크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접촉단자와 가압수단에 확실하게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구성을 간략화시켜 작업성 향상이나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또, 가압부는 탄성을 갖는 다른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레버의 끼움지지부에는 원호면이 형성되고, 끼움지지부의 원호면이 가압부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끼움지지부가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압하여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압부의 탄발력이 손실없이 확실하게 레버의 끼움지지부에 전달되므로, 끼움지지부가 프린트 배선기판을 협지하는 힘이 강화되어 강고한 끼움 지지가 가능해지는 동시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하우징에 레버를 가압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레버를 로크하는 로크수단과, 끼움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레버와의 슬라이딩 및 걸어맞춤이 성형재끼리가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접촉단자의 형상이 간략화되므로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Claims (4)

  1.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열 설치되어 삽입되는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를 갖는 접촉단자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을 상기 탄성 접촉부에 가압하여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상기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하는 끼움지지부(挾持部)를 갖는 레버와, 탄성력을 갖고 상기 끼움지지부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일단측에 상기 끼움지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측에 로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가압수단에 맞닿고, 상기 레버가 가압 조작되어 상기 로크부가 로크됨에 따라,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가압수단은 일체의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를 구성하는 한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탄성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다른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상기 레버의 끼움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기부측에 상기 레버를 로크하는 로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을 갖는 상기 다른쪽 아암부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의 끼움지지부에는 원호면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지지부의 원호면이 상기 가압부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끼움지지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끼움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레버를 가압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레버를 로크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끼움지지부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상기 하우징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040001534A 2003-02-03 2004-01-09 커넥터 장치 KR20040071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5366A JP2004235115A (ja) 2003-02-03 2003-02-03 コネクタ装置
JPJP-P-2003-00025366 2003-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58A true KR20040071058A (ko) 2004-08-11

Family

ID=3295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534A KR20040071058A (ko) 2003-02-03 2004-01-09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235115A (ko)
KR (1) KR20040071058A (ko)
CN (1) CN1521900A (ko)
TW (1) TWI2304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716B2 (ja) * 2005-04-04 2011-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DE102005046053B4 (de) * 2005-09-27 2021-11-1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Vorrichtung mit einer Leiterplatte und einem Bauteil
JP4279823B2 (ja) 2005-10-26 2009-06-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35115A (ja) 2004-08-19
TW200503337A (en) 2005-01-16
TWI230485B (en) 2005-04-01
CN1521900A (zh)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111Y1 (ko)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100895344B1 (ko) 코넥터
US7140896B2 (en) Connector
EP0947944B1 (en) Card reader connector
US6851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US6551128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substrates
US8113872B2 (en) Flat-cable connector,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locking device
KR100963726B1 (ko) 커넥터
JP4359568B2 (ja) コネクタ
KR100344050B1 (ko) Pga 패키지용의 낮은 형상 전기 커넥터 및 단자
KR970031105A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EP3425740B1 (en) Conductive component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terminal
US7581973B2 (en) Cam structure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6062885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CN111628313B (zh) 板缘连接器
EP0122486B1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quasi-terminal pins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US5895287A (en) Flat cable connector
JP378640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KR100701540B1 (ko) 활주 작동식 결합 수단을 가진 케이블 커넥터
KR20040071058A (ko) 커넥터 장치
JP388962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20000011759A (ko) 평면회로용의납작한형태의전기커넥터
KR20000048323A (ko) 전기부품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