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223A - 주출구가 있는 용기 - Google Patents

주출구가 있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223A
KR20040069223A KR10-2004-7011287A KR20047011287A KR20040069223A KR 20040069223 A KR20040069223 A KR 20040069223A KR 20047011287 A KR20047011287 A KR 20047011287A KR 20040069223 A KR20040069223 A KR 2004006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ubular element
joining region
blank
e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687B1 (ko
Inventor
볼드리니훌비오
지오티로베르토
Original Assignee
아지오나리아 코스트루지오니 마크쉬네 오토마티쉐 에이.씨.엠.에이.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오나리아 코스트루지오니 마크쉬네 오토마티쉐 에이.씨.엠.에이.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아지오나리아 코스트루지오니 마크쉬네 오토마티쉐 에이.씨.엠.에이.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6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2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polygon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다층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로부터 만들어지는 액체 제품용 용기(1)는 네 개의 측벽(4, 5, 6, 7)을 구비한 본질적으로 평행 육면체의 본체(2), 액체 내용물을 따르는 주출구를 제공하는 관형 요소(17)을 향하여 모이는 네 개의 각진 면(4a, 5a, 6a, 7a)을 제공하는 상부(9)를 포함한다. 관형 요소(17)는 또한 상부(9)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네 개의 태그(24)를 제공한다. 상기 태그는, 용기(1)에서 폐쇄부 및 강화 요소로서 작용하는 결합 영역(12)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대응하는 모서리(11)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모서리(11)와 함께 융착될 수 있는 고정 기구로서 기능한다.

Description

주출구가 있는 용기{CONTAINER WITH SPOUT}
상기 언급한 제품에 적용가능한 병포장과 포장의 기술 분야는, 특히 액체에 적합하고 음식에 안전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 코팅된 다층(multi-layer) 종이 재료, 전형적으로는 카드보드(cardboard) 또는 판지(paperboard)로 된 중공체 형상의 용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용기는, 일반적으로 롤로부터 분리된 다음, 당해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기를 형성하도록 미리 금을 낸 선을 따라 접히는 납작한 다이컷(diecut) 블랭크(blank)로 만들어진다.
수용기는 채워질 수 있도록 상부에서 개방된 상태로 있고, 그 이하부터는, 개방된 상부의 경계를 정하는 블랭크의 모서리는 밀폐 폐쇄부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도록 결합되고 함께 밀봉된다.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대안적인 방법은 용기의 상부에 단단한 관형 요소 또는 "목"을 부착하는 것이고, 이러한 관형 요소 또는 "목"은, 용기에 폐쇄부를 제공하는 관련 캡과 짝결합될 수 있고 제품을 따를 수 있는 주출구를 제공한다.
상기 단단한 관형 요소는 보통 열융착(heat-weld)에 의해 또는 열용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용기의 상부를 구성하는 블랭크 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단단한 관형 요소가 블랭크의 결합 모서리와 일치하는 지점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밀봉 효과를 얻기가 특히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해결책의 단점의 하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용기에 밀폐 폐쇄부를 공급하는 것이 특히 복잡하고 달성하기 어려우며 접착제 그리고/또는 융착 재료를 상당히 많이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가 함유하고 있는 제품을 따르거나 뽑아내는 주출구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반적인 범위에서는 제한이 없지만, 본 발명은 액체 제품, 전형적으로는 광천수, 우유, 과일 쥬스, 요구르트 및 이와 비슷한 것과 같은 음식 제품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용기를 도시하는,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캡을 구비한 도 1의 용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용기를 일정 부분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은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다섯 가지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의해 도 1, 2, 3 및 4의 용기의 세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각 측면에 대한 측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캡을 구비한 도 10에 도시한 용기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일정 부분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은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세부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상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적이고 실용적이며 값싸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한 단점에 영향 받지 않는, 전술한 형태의 제품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용기(1)의 상부(9)에 결합된 관형 요소(17)를 포함하고, 이 용기(1)의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따를 수 있는 주출구(15)를 제공하고, 상부(9)는 결합 영역(12; 40)을 확립하기 위해 겹치기 접촉으로 접합된 블랭크의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11; 35; 41)를 포함하는, 다층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로 만들어지는 용기로서, 관형 요소(17)는, 상기 블랭크의 모서리(11; 35; 41)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고 상기 모서리들이 결합되는 영역(12; 40)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융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4)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용기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면에 관하여, 본 발명인 용기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다.
용기(1)는, 적어도 제품에 대하여 노출된 표면상에는 음식에 안전한 재료의 얇은 층으로 코팅된 카드보드 또는 판지와 같은 다층 종이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도시되지 않은)블랭크로부터 조립된다.
도 1, 도 2 및 도 3의 용기(1)는 주된 수직축(A)을 기준으로 한 관형 용기 본체(2)를 포함하고, 사변형 형상의 저부(3)와 네 개의 수직 측벽(4, 5, 6, 및 7)을 제공한다.
각각의 수직 측벽(4, 5, 6, 및 7)은 벽(4, 5, 6, 및 7)에 평행하고, 두 개의 인접하는 벽(4, 5, 6, 및 7)에 수직으로 놓여 있다.
수직 측벽(4, 5, 6, 및 7)은 도면 부호 8로 표시되는 각각의 수직 코너 모서리에 의하여 옆의 벽과 구분된다.
용기(1)는 또한 각각의 수직 측벽(4, 5, 6, 및 7)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는 네 개의 각진 면(4a, 5a, 6a, 및 7a)을 제공하는 상부(9)를 포함한다.
네 개의 각진 면(4a, 5a, 6a, 및 7a) 각각은, 도드라진 제1 융착 봉합부(10) 각각에 의하여 양쪽 면에서 네 개의 각진 면(4a, 5a, 6a, 및 7a)에 결합된다.
제1 봉합부(10) 각각은 앞서 언급한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의 두 개의 모서리(11)(도 3 참조)를 함께 겹쳐서 융착함으로써 얻어진다.
제1 봉합부(10)는 각각의 결합 영역(12)을 구성하고, 각진 면(4a, 5a, 6a, 및 7a)은 상기 결합 영역(12)을 따라 연결된다.
관형 용기 본체(2)는,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수직 측벽(5와 7)이 두 개의 개별적인 길이방향 제2 융착 봉합부(13)를 제공하고 각각은 본체(2)의 횡방향 치수가 최소로 되게 하기 위해 구조에서 관계된 수직 측벽에 대하여 납작하게 되도록, 종이 재료의 블랭크로부터 잘 알려진 방식으로 조립된다.
각각의 수직 측벽(4, 5, 6 및 7)은, 바닥에서는 앞서 언급한 사변형 저부(3)에 의해, 측방향으로는 수직 코너 모서리(8)에 의해, 그리고 가장 위에서는 관계된 각진 면(4a, 5a, 6a 및 7a)의 경계를 정하는 접은 금의 선(14a)과도 일치하는 수평 코너 모서리(14)에 의해 경계가 정하여진다.
네 개의 각진 면(4a, 5a, 6a 및 7a)은, 관계된 수평한 접은 금의 선(14a)으로부터 용기(1)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는 주출구(15)를 향하여 모이고, 용기(1)의 각뿔대 부(16)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주출구(15)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관형 요소(17)의 형상이고, 플랜지 환형 부분(18)을 제공하며, 환형 부분(18)의 양쪽 면에서는 바닥 제1 부분(19)(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됨)과 상부 제2 부분(20)을 제공한다.
상부 제2 부분(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에 대한 폐쇄부를 제공하는 각각의 나사 캡(21)을 수용하기 위하여 나사가 형성된다.
각진 면(4a, 5a, 6a 및 7a)의 상부 단부는 용기(1)의 환형 상부 모서리(22)를 형성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환형 상부 모서리는 융착에 의해 앞서 언급한 관형 요소(17)의 바닥 제1 부분(19)에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랜지 환형 부분(18)은, 용기의 환형 모서리(22)에 제공되고 관형 요소(17)가 환형 모서리(22)에 대하여 바르게 위치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작용을 하는 어깨부(23)를 제공한다.
도 3에서 식별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형 요소(17)의 바닥 제1 부분(19)은, 관형 요소(17)의 둘레 주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하나와 그 다음 것이 직각으로 분리되는 네 개의 본질적으로 방사상인 돌출부(24)를 제공한다.
도드라진 제1 봉합부(10)는 환형 상부 모서리(22) 근처의 각 지점에서 환형 요소의 돌출부(24)와 겹칠 수 있다.
즉, 각각의 돌출부(24)는, 겹치게 맞닿아서 결합되고 융착되어 제1 봉합부(10)를 형성하는 블랭크의 두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고, 결합 영역(12)의 주어진 부분과 일치한다.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돌출부(24)는, 관형 요소(17)의 바닥 제1 부분(19)에 한쪽이 고정된 다각형 윤곽의 외팔보(cantilever)인 태그(25)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각각 도면 부호 26 및 27로 표시된 둥근 윤곽의 태그(26 및 27)이다. 이 태그(26 및 27)는 마찬가지로 관형 요소(17)의 바닥 제1 부분(19)에 한쪽이 고정된 외팔보이다. 도 7의 태그(27)는 유리하게는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고 제1 융착 봉합부(10)의 각도와 조화를 이룬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돌출부(24)는, 바닥 제1 부분(19)과 플랜지 환형 부분(18)의 어깨부(23)에 고정된 다각형 윤곽의 태그(28)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돌출부(24)는 대못(peg)(29)이다.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형 용기 본체(2)는, 주축(A)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되지 않는)반쯤 세워진 관형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재료의 블랭크를 앞서 언급한 수직 코너 모서리(8)를 따라 구부리고 길이방향 봉합부(13)를 융착하고, 그 다음 사변형 저부(3)를 형성하기 위해 반쯤 세워진 관형 부품의 일 단부를 내부로 접어서 형성된다.
네 개의 각진 면(4a, 5a, 6a, 및 7a)은 제1 봉합부(10)를 따라 결합되고 함께 융착되며, 이러한 단계의 일부로서 관형 요소(17)가 융착에 의해 용기(1)의 환형 상부 모서리(22)에 고정된다.
이러한 융착 단계 중에, 블랭크의 두 개의 대응하는 모서리 사이에 위치한 각각의 돌출부(24)는 (보통의, 그리고 도시되지 않는)융착 수단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될 것이고, 돌출부의 플라스틱 재료는 봉합 매개물로서 용기의 폐쇄부 속으로 사실상 합체될 것이다.
즉, 돌출부(24)의 플라스틱 재료는 융착되는 조립체에서 충전 재료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환형 상부 모서리(22)에서 밀봉 작업에 있어 특히 중요한 결합 영역(12)의 효과적인 밀봉을 확실히 하도록 돕는다.
유리하게는, 각진 표면(4a, 5a, 6a, 및 7a)으로부터 도드라진 제1 융착 봉합부(10)가 융기된 것은 주축(A)을 따라 압착하는 힘에 대한 저항에 관하여 상부(9)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용기(1)의 다른 실시예는, 주된 수직축(A)을 기준으로 하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가진 납작한 본체(30)를 포함하고, 저부(31)와 옆모습이 볼록한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32)을 제공한다.
용기(1)는, 각각이 측벽(32) 중의 하나와 각각 결합하는 두 개의 각진 면(33)을 제공하는 상부(9)를 포함한다. 측벽(32)과 각각의 각진 면(33)은 각각의 융착 봉합부(34)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각 융착 봉합부(34)는, 용기(1)를 만드는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의 두 모서리(35)를 겹치고 함께 융착하여 얻어진다.
도 1,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용기(1)는, 플랜지 환형 부분(18)과 환형 부분 양쪽의 바닥 제1 부분(19) 및 상부 제2 부분(20)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원통형의 관형 요소(17)에 의해 형성되는 주출구(15)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각진 면(33)이 단지 두 개라는 점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로서, 관형 요소(17)는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는 단지 두 개의 본질적으로 방사상의 돌출부(24)를 제공하며, 이들은 180°의 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봉합부(34)를 형성하기 위해 겹쳐져서 융착된 블랭크의 두 모서리(35)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실시예의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본체(36)에는 원뿔대형 벽(37)으로 된 상부(9)가 얹혀진다.
원뿔대형 벽(37)은 도면 부호 38로 표시한 원뿔에 속할 수 있고, 기준 원뿔(38)의 (도시되지 않는)발생원(generator)을 따라 신장하는 상기 벽(37) 위의 결합 영역(40)을 확립하는 도드라진 융착 봉합부(39)를 제공한다.
융착 봉합부(39)는, 원뿔대형 벽(37)을 만드는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의 두 모서리(41)를 겹쳐서 함께 융착하여 얻어진다.
도 1,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용기(1)는, 플랜지 환형 부분(18)과 환형 부분 양쪽의 바닥 제1 부분(19) 및 상부 제2 부분(20)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원주형의 관형 요소(17)에 의해 형성되는 주출구(15)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융착 봉합부(39)가 단지 하나라는 점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로서, 관형 요소(17)는 도 13에 도시된 단지 하나의 돌출부(24)를 제공하며, 이 돌출부는 봉합부(39)를 형성하기 위해 겹쳐서 융착된 블랭크의 두 모서리(4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폐쇄부의 밀봉을 유지하고 용기의 우발적이거나 보증되지 않는 개방을 막기 위해서, 통상적인 형태의 찢어서 개방되는 요소가 환형 플랜지 부분과 캡 사이에 배치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관형 요소(17)의 바닥 제1 부분(19)은, 관형 요소(17)가 용기(1)의 환형 상부 모서리(22)에 대한 주어진 위치를 확실히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으로서 기능하는 납작한 주변 구역(42)을 제공한다.
용기(1)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관형요소(17)는 사변형 형상의 바닥 제1 부분(19), 이미 기술된 것과 유사한 원통 형상의 상부 제2 부분(20)을 제공한다.

Claims (17)

  1. 다층(multi-layer)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로 만들어지는 용기로서, 용기(1)의 상부(9)에 결합된 관형 요소(17)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1)의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따를 수 있는 주출구(15)를 제공하고, 상부(9)는 결합 영역(12; 40)을 확립하기 위해 겹치기 접촉으로 접합된 블랭크의 두 개 이상의 모서리(11; 35; 41)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관형 요소(17)는, 상기 블랭크의 모서리(11; 35; 41) 사이에 넣을 수 있고 상기 모서리들이 결합되는 영역(12; 40)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융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4)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관형 요소(17)는 플랜지 환형 부분(18)을 포함하고, 용기(1)의 상부 모서리(22)는 상기 플랜지 환형 부분(18)에 대하여 맞추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관형 요소(17)는, 플랜지 환형 부분(18)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돌출부(24)를 합체시키며 상부 모서리(2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바닥 제1 부분(19)과, 플랜지 환형 부분(18)의 상기 일 측면과 반대편 측면에 위치하고 용기(1)의 폐쇄 요소(21)와 짝 연결되도록 설계된 상부 제2 부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요소(17)는, 각 결합 영역(12; 40)을 구성하는 블랭크의 대응하는 모서리(11; 35; 41)들 사이에 넣을 수 있는 두 개의 돌출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요소(17)는, 관형 요소(17)의 둘레 주변에 분포되고 각 결합 영역(12)을 구성하는 블랭크의 대응하는 모서리(11)들 사이에 넣을 수 있는 네 개의 돌출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평행 육면체의 본체(2)를 포함하고, 용기(1)의 상부(9)는, 평행 육면체 본체(2)의 각각의 벽(4, 5, 6, 7)으로부터 신장하고 관형 요소(17)를 향하여 모이는 네 개의 면(4a, 5a, 6a, 7a)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네 개의 면(4a, 5a, 6a, 7a)은 결합 영역(12)에 의하여 하나의 면이 또 다른 면과 서로 연결되고, 종이 재료로 된 블랭크의 모서리(11)는 상기 결합 영역(12)을 따라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결합 영역(12)은 평행 육면체 본체(2)의 벽(4, 5, 6, 7)을 분리하는 각각의 코너 모서리(8)와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9)와 일치하고 관형 요소(17)를 향하여 모이는 원뿔대형 벽(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원뿔대형 벽(37)은 블랭크의 모서리(41)가 접합되는 결합 영역(40)을 제공하고, 상기 결합 영역(40)은 원뿔대형 벽(37)이 속할 수 있는 원뿔의 발생원(generator)을 따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면이 타원형인 납작한 본체(30)을 포함하고, 용기(1)의 상부(9)는 관형 요소(17)를 향하여 모이는 두 개의 면(33)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영역(12; 40)을 구성하는 모서리(11; 35; 41)들 사이에 넣을 수 있는 돌출부(24)는 다각형 윤곽의 태그(tag)(25)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영역(12; 40)을 구성하는 모서리(11; 35; 41)들 사이에 넣을 수 있는 돌출부(24)는 둥근 윤곽의 태그(tag)(26; 27)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태그(25; 26; 27)는 관형 요소(17)의 바닥 제1 부분(19)에 한쪽이 고정된 외팔보(cantilev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영역(12; 40)을 구성하는 모서리(11; 35; 41)들 사이에 넣을 수 있는 돌출부(24)는 관형 요소에 한쪽이 고정된 외팔보인 대못(peg)(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영역(12; 40)을 구성하는 모서리(11; 35; 41)들 사이에 넣을 수 있는 돌출부(24)는 모서리(11; 35; 41)들을 융착하는 데 쓰이는 충전재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형 요소(17)의 적어도 바닥 제1 부분(19)이, 용기(1)의 상부(9)에 대한 관형 요소(17)의 위치를 정하는 기준으로서 기능하는 납작한 구역(42)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47011287A 2002-01-21 2003-01-09 주출구가 있는 용기 KR100989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2002A000024 2002-01-21
IT2002BO000024A ITBO20020024A1 (it) 2002-01-21 2002-01-21 Contenitore
PCT/IB2003/000062 WO2003059762A2 (en) 2002-01-21 2003-01-09 Container with spo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223A true KR20040069223A (ko) 2004-08-04
KR100989687B1 KR100989687B1 (ko) 2010-10-26

Family

ID=1143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287A KR100989687B1 (ko) 2002-01-21 2003-01-09 주출구가 있는 용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597244B2 (ko)
EP (1) EP1474336B1 (ko)
JP (1) JP4620352B2 (ko)
KR (1) KR100989687B1 (ko)
CN (1) CN1318268C (ko)
AT (1) ATE380754T1 (ko)
AU (1) AU2003201070B2 (ko)
BR (1) BR0306888B1 (ko)
CA (1) CA2473997C (ko)
DE (1) DE60318016T2 (ko)
ES (1) ES2297167T3 (ko)
IT (1) ITBO20020024A1 (ko)
MX (1) MXPA04007015A (ko)
PL (1) PL202246B1 (ko)
RU (1) RU2296698C2 (ko)
WO (1) WO2003059762A2 (ko)
ZA (1) ZA2004051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20133A1 (it) * 2002-03-20 2003-09-22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Condotto di comunicazione per contenitori e contenitore munito di tale condotto
US7354426B2 (en) 2003-09-12 2008-04-08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container with a flexible 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102004034348A1 (de) * 2004-07-15 2006-02-09 Wb Will - Bake Gmbh Verpackung sowie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DE102005048821A1 (de) * 2005-10-10 2007-04-12 Georg Menshen Gmbh & Co. Kg Verpackungsbehälter
DK176664B1 (da) * 2007-01-18 2009-02-09 Micon Dev Aps Emballage
US20100327015A1 (en) * 2009-06-25 2010-12-30 Nihon Kim Co., Ltd. Storage container
US8858079B2 (en) * 2009-12-14 2014-10-14 Ge Healthcare Bio-Sciences Ab Three-dimensional plastic bag and production thereof
BR112013013796A2 (pt) * 2010-12-06 2016-09-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recipiente de acondicionamento, e, método para fabricar um recipiente de acondicionamento
BR112013014108A2 (pt) * 2010-12-07 2016-09-2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recipiente de acondicionamento, e, método para fabricar um recipiente de acondicionamento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US9481495B2 (en) * 2014-04-24 2016-11-01 Scholle Ip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WO2017001161A1 (de) * 2015-06-30 2017-01-05 Sig Technology Ag Ausgiesselement für eine verpackung sowie verbundverpackung mit einem solchen ausgiesselement
CN107735332B (zh) * 2015-06-30 2019-10-11 Sig技术股份公司 用于包装件的倾倒元件以及具有该倾倒元件的复合包装件
WO2019123037A1 (en) * 2017-12-18 2019-06-27 Guala Pack S.P.A. Cap and cap-spou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448A (en) * 1913-11-12 1914-06-16 Andrew J Selz Paper bottle.
US2819001A (en) * 1954-07-23 1958-01-07 American Can Co Container with plastic nozzle and method of attaching nozzle
IL34311A0 (en) * 1969-04-26 1970-06-17 Thimonnier & Cie A mouthpiece for a bag of plastics material
JPS61178329U (ko) * 1985-04-23 1986-11-07
US4903848A (en) * 1988-07-26 1990-02-27 Chattman Ronald L Mouthwash packaging
JPH0248556U (ko) * 1988-09-29 1990-04-04
DE8813832U1 (ko) * 1988-11-04 1990-03-15 Magnoni, Giordano, Modena, It
GB8920336D0 (en) * 1989-09-08 1989-10-25 Reed Packaging Ltd Carton and blank for making the same
FR2652062B1 (fr) * 1989-09-20 1992-01-10 Nicollet Hugues Sa Emballage a soufflets en carton, carton ondule ou autre materiau en feuille et flan correspondant.
DE3942319A1 (de) * 1989-12-21 1991-06-27 Pkl Verpackungssysteme Gmbh Behaelter fuer fluessigkeiten und schuettgueter in form einer im wesentlichen quaderfoermigen faltschachtel aus karton, insbesondere aus kartonkunststoffmehrschichtverbundmaterial
JPH09226755A (ja) * 1996-02-28 1997-09-02 Toppan Printing Co Ltd 口栓付き液体紙容器
US5852913A (en) * 1997-03-05 1998-12-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Orientationally sensitive closure and orienting apparatus therefor
US6016953A (en) * 1997-08-14 2000-01-2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Tetrahedral top carton
US6599225B2 (en) * 1998-10-27 2003-07-2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of closing the bottom of a container
KR200196226Y1 (ko) * 2000-04-07 2000-09-15 김종기 파우치 음료용기용 원터치식 스파우트
ITBO20020133A1 (it) * 2002-03-20 2003-09-22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Condotto di comunicazione per contenitori e contenitore munito di tale condot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02246B1 (pl) 2009-06-30
RU2004125604A (ru) 2005-03-10
KR100989687B1 (ko) 2010-10-26
JP4620352B2 (ja) 2011-01-26
JP2005514284A (ja) 2005-05-19
WO2003059762A2 (en) 2003-07-24
CN1620388A (zh) 2005-05-25
DE60318016T2 (de) 2008-12-11
EP1474336B1 (en) 2007-12-12
ITBO20020024A0 (it) 2002-01-21
ITBO20020024A1 (it) 2003-07-21
BR0306888B1 (pt) 2013-06-11
AU2003201070B2 (en) 2008-03-20
MXPA04007015A (es) 2004-10-11
RU2296698C2 (ru) 2007-04-10
WO2003059762A3 (en) 2003-12-24
AU2003201070A1 (en) 2003-07-30
PL370493A1 (en) 2005-05-30
US7597244B2 (en) 2009-10-06
CN1318268C (zh) 2007-05-30
EP1474336A2 (en) 2004-11-10
ZA200405130B (en) 2005-08-31
DE60318016D1 (de) 2008-01-24
CA2473997C (en) 2011-01-04
CA2473997A1 (en) 2003-07-24
US20050061862A1 (en) 2005-03-24
ES2297167T3 (es) 2008-05-01
ATE380754T1 (de) 2007-12-15
BR0306888A (pt) 2004-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687B1 (ko) 주출구가 있는 용기
US5147062A (en) Paper pack container with internal bag for receiving fluids
FI93817C (fi) Pakkaustölkki ja aihio sitä varten
RU2527713C2 (ru) Гибкая ёмкость для упаковыва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в стерильных условия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ую гибкую ёмкость
US5875958A (en) Cuboid flat gable composite package and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MXPA00008060A (es) Mejoras relacionadas con un empaque.
EP0505388A1 (en) ONE-PIECE POINT SPOUT WITH SEALED CONNECTION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A LIQUID-TIGHT CARDBOARD CONTAINER.
CA1126229A (en) Parallelepipedic packing container
CN100354186C (zh) 用于容器的倒出口和设有这样的倒出口的容器
CA1191800A (en) Opening arrangement for packing containers with pressurized contents
RU2270795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открыв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на упаковочной материал и упаковка,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136555C1 (ru) Запечатывание дна картонной упаковки
EP0260487B1 (en) Packing container
JPH05338649A (ja) 平頂容器
JP4310569B2 (ja) 包装容器
EP0277517B1 (en) A blank having folding lines for forming a container
JP3079817B2 (ja) 液体用紙容器
KR20210002148U (ko) 개봉이 용이한 카톤팩
JP2022548874A (ja) カートンブランクおよびカートンブランクから製造された切妻トップカートン
DK158146B (da) Emballagebeholder, navnlig til toerre, risledygtige produkter
WO1994018080A1 (en) Closure assembly for liquid holding containers
JP2018095284A (ja) 口栓付液体用紙容器
CS220773B2 (cs) Povlečený lepenkový příře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