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932A - 충격시 구동 샤프트가 후퇴 가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시 구동 샤프트가 후퇴 가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932A
KR20040068932A KR10-2004-7008771A KR20047008771A KR20040068932A KR 20040068932 A KR20040068932 A KR 20040068932A KR 20047008771 A KR20047008771 A KR 20047008771A KR 20040068932 A KR20040068932 A KR 2004006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ocking element
fixing
locking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린파스칼
프린셋조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Publication of KR2004006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9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4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comprising vibration or noise absorb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03Load-responsive rel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5Flexibly connected rigid members
    • Y10T403/454Connecting pin traverses radially interposed elast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4Flexible member is joint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24)의 회전을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스탠드(22)를 포함하는 형태의 와이퍼 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상기 스탠드(22)가 그 내부에 샤프트(24)의 회전을 안내하는 배럴(26)과, 충격 흡수 유닛(46)에 의해 자동차의 본체 요소(30)에 대해 상기 스탠드(22)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흡수 유닛(46)은 고정 요소(48)에 의해 자동차의 본체 요소(3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48)는 수직 로드(50)와, 상기 충격 흡수 유닛(46)의 잠금을 위한 록킹 요소(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드(50)와 록킹 요소(64)는 격렬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로드(50)와 록킹 요소(64)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샤프트(24)는 축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시 구동 샤프트가 후퇴 가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ARRANGEMENT FOR FIXING A WIPER DEVICE WHICH CAN BE USED TO RETRACT THE DRIVE SHAFT IN THE EVENT OF AN IMPACT}
전술한 스탠드는 와이핑 장치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에 보행자가 부딪혔을 경우, 자동차의 외부로 돌출하여 있는 와이퍼 기구의 일부 부품은 보행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무딘 흉기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심한 사고의 경우 차 내부에 근접한 엔진실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핑 장치는 충격의 영향력으로 인해 바람막이 유리(windscreen)용 개구부를 통해 차내로 뚫고 들어올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와 같이 단단한 부품이 우발적으로 차내로 침입하는 것은 승객의 안전에 위험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격렬한 충격시 와이퍼 장치의 거동을 보다 더 양호하게 예측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스탠드의 후퇴를 허용하는 수단은 특히 프랑스 특허 제FR-A-2.733.47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에서의 스탠드는 파열 개시 영역(rupture initiation area)을 포함하며, 또 유럽 특허 제EP-A-0.916.559호에는 구동 샤프트가 가이드 배럴 속으로 축방향을 따라 후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복잡한 형상을 갖는 부품 혹은 추가적인 부품들의 필요성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더 이상 표준형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하며, 그 결과 제조시의 추가적인 비용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핑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를 회전을 안내하는 동시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스탠드(stand)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에는 샤프트의 회전을 안내하는 배럴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댐퍼 블록(damper block)에 의해 자동차의 본체 요소에 대해 상기 스탠드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있고, 상기 댐퍼 블록은 고정 요소에 의해 상기 본체 요소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에는 상기 댐퍼 블록이 관통하고 상기 본체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 로드와, 상기 본체 요소 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댐퍼 블록의 수직 방향 잠금을 위한 록킹(locking) 요소가 있는 자동차용 와이핑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와이핑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와이핑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요소의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샤프트와 댐퍼 블록의 수직 축선을을 통과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도 1의 와이퍼 장치의 축방향 종단면도이며,
도 4는 가이드 스탠드와 드라이브 샤프트가 충격후에 후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3과 유사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블록과 고정 요소의 상세한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축방향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 5와 유사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요소의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에 대한 다섯 가지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 6과 유사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방향으로의 충격이 있을 경우 구동 샤프트의 후퇴를 허용하고, 또 표준형 부품들을 사용하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로드와 록킹 요소는, 상기 와이핑 장치가 충격의 수직 성분이 하방향으로 향하면서 주어진 값보다 더 큰격렬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로드에 대해 상기 록킹 요소가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향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로드와 록킹 요소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 가이드 배럴 및 구동 샤프트의 축방향 후퇴를 달성하기 위해 본체 요소에 대해 댐퍼 블록의 수직 하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의한 분리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상기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로드에 부착되어 있고 충돌시 상기 로드로부터 분리 가능한 록킹 요소를 구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록킹 요소의 하단부에 의해 수용되는 동시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한 2개 이상의 러그(lug)를 포함하며, 상기 러그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내부면들은 상기 로드와 상기 록킹 요소의 연결을 위해 상기 로드의 벽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 상기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소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 상기 로드는 이것의 하단부의 근처에서 상기 록킹 요소의 바닥면에 대해 맞대어지도록 외측을 향해 만곡되는 하나 이상의 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 상기 록킹 요소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며 로드가 통과하게 되는 관형 및/또는 원통형의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 슬리브의 내벽과 상기 로드의 외벽은 상보적인 형상부(complementary shape)들의 협동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 상기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파열 개시 영역을 포함하며;
- 상기 록킹 요소와 상기 로드는 동일한 고정 요소의 2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는 상기 파열 개시 영역에 의해 상기 록킹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하며;
- 상기 록킹 요소는 중간 요소에 의해 상기 로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 요소는 상기 파열 개시 영역에 의해 상기 중간 요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더 명백해질 것이며, 이러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기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자동차 윈도우(도시 생략)용 와이퍼 장치(2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와이퍼 장치는 스탠드(22)와, 와이퍼 아암(도시 생략)을 구동하기 위한 샤프트(24)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22)는 샤프트(24)의 회전을 안내하고 또 샤프트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스탠드는 수직 축선(A1)에 따라 배치된 관형의 배럴(26)을 포함하며, 이 배럴은 그 축선(A1)을 중심으로 샤프트(24)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그 샤프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축선(A1)은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차량의 본체 요소(30)에 스탠드(22)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탠드(22)는 배럴(26)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다시 말해서 상기 축선(A1)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서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22)는 또한 배럴(26)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고 스탠드(22)를 와이퍼 장치(20)의 구동 시스템(도시 생략)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스터브(34)를 포함한다.
샤프트(24)의 상단부(36)는 와이퍼가 원뿔형 베어링 표면(38)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럴(26)의 상단부를 넘어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이 경우 상기 원뿔형 베어링 표면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에 반하여 와이퍼가 샤프트(24)의 상부 자유단의 나사 부분(36) 상으로 나사 체결된 너트(도시 생략)에 의해 축방향으로 클램핑 된다.
상기 샤프트(24)의 회전 구동을 허용하기 위해 크랭크(40)가 제공되며, 이 크랭크(40)는 샤프트(26)의 축선(A1)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면서 샤프트(24)의 하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일체가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어가 장치된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제어 링크 기구(도시 생략)에 상기 크랭크(40)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크랭크(40)는 샤프트(24)에 고정될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종방향의 자유단(40)에 구형의 스위벌(swivel: 44)을 구비하며, 이 스위벌은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구비되는 상보적인 형상(도시 생략)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설계에 따르면, 특히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는 댐퍼 블록(46)에 의해 본체 요소(3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댐퍼 블록(46)은 예컨대, 전체적으로 탄성 중합체 물질로 제조된 원통형의 블록일 수 있다.
상기 댐퍼 블록(46)은 샤프트(24)의 축선(A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축선(A2)을 따라 연장한다.
중앙의 고정 요소(48) 둘레에 탄성 중합체 물질로 성형된 소정의 구성 요소의 형태로 블록(46)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것이다. 상기 고정 요소(48)는 단면이 환상의 모양으로 되어 있는 관형 로드(50)를 포함하며, 이 관형 로드는 댐퍼 블록(46)을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관형 로드(50)는 이 로드(50)를 본체 요소(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54)를 수용하는 상부 나사부(52)를 포함한다. 상기 관형 로드(50)는 또한 수평의 상부 칼라(56)를 포함하며, 이 칼라의 바닥면(56i)은 블록(46)의 상부면(46s)에 맞대어 지고, 또 칼라의 상부면(56s)은 상기 나사(54)의 클램핑 작용을 받아 본체 요소(30)의 바닥면에 맞대어 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 요소(48)는 상기 블록(46)을 고정 요소(48)에 고정 가능하게 만드는 록킹 요소(64)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록킹 요소(64)는 거의 수평의 와셔이며, 이 와셔의 상부면(64s)은 블록(46)의 바닥면(46i)에 맞대어 지고, 또 연결 수단에 의해 로드(5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록(46)은 로드(50)의 칼라(56)와 상기 록킹 요소(64)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의 장착이 양호하게 클램핑 된다.
상기 블록(46)은 베이스 플레이트(32)에서의 상보적인 하우징(68) 내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상기 하우징(68)은 댐퍼 블록(46)의 원통형 측벽에 형성된 홈부(69)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의 원형의 외관을 가지는 구멍이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르면, 록킹 요소(64)와 로드(50) 사이의 상기 연결 수단은 격렬한 충격이 있을 경우, 특히 보행자와의 충돌이 있을 경우에 록킹 요소(64)와 로드(50)가 분리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는 블록(46)이 상기 로드(50)에 대해 수직 하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상기 로드(46)는 고정 요소(48)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32), 배럴(26) 및 구동 샤프트(24)의 축방향 후퇴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그러나, 상기 분리는 하방향으로 향하는, 다시 말해서 하방향으로 향하는 수직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충격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50)의 하단부는 록킹 요소(64)의 바닥면(64i)에 맞대어지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주름이 지고, 이에 따라 연결 수단을 형성하게 되는 러그(70)를 포함한다(도 5 참조).
상기 러그(70)의 크기는 격렬한 충격이 있을 경우 소성적으로 변형 및/또는 파열되어 로드(50)와 축방향으로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러그(70)는 록킹 요소(64)를 더 이상 구속하지 않으며, 그 결과 록킹 요소는 로드(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연결 수단이 충격시 소성적으로 변형하게 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 요소(64)는 블록(46)을 관통하여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고 또 로드(50)가 통과하게 되는 관형 슬리브(72)를 포함한다. 로드(50)와 록킹 요소(64) 사이의 연결 수단은 관형 슬리브(72)의 내면 상의 상보적인 형상부(74b)와 협동하는 로드(50)의 볼록한 외부면 상에 돌기(relief) 형태의 형상부(74a)의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 형태의 상보적인 형상부(74a, 74b)들은 포개 놓은 환상의 캠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돌기 형상부들은 로드(50)의 주변의 벽에 형성된 널링 부분, 혹은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보다 더 유연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너트와 나사 연결부로 이루어진 암/수나사 조립체 등의 다른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다.
록킹 요소(64)의 분리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상보적인 형상부(74a, 74b)의 치수와 그것을 구성하는 재료는 충격시 변형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상기 관형 슬리브(72)와 나아가 록킹 요소(64)는 완전한 분리가 일어날 때까지 로드(50)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0에는 상기 연결 수단이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50)와 록킹 요소(64)는 동일한 고정 요소(48)의 2개의 부분이다.
상기 록킹 요소(64)는 블록(46)을 관통하여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고 또 그 고정 나사(54)가 통과하게 되는 관형 슬리브(72)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50)는 록킹 요소(64)의 바닥면으로부터 축방향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러그(7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러그(76)의 내부면(78)은 고정 나사(54) 상의 수나사와 협동하여 고정 나사(54)에 록킹 요소가 고정되도록 해주는 암나사를 포함한다. 각각의 러그(76)는 두께가 감소되어 있는 영역(8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영역(80)이 저탄성 강도를 지니게 되고, 이는 러그(76)가 충돌시에 상보적인 나사부에 의해 가해진 경사 효과(ramp effect) 하에서 외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고정 나사(54)로부터 록킹 요소(64)의 분리를 허용 해준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수단은 로드(50)에 부착된 요소(8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에 부착된 요소(82)는 로드(50) 내의 상보적인 홈부(84)에 수용되어 있는 분할형 탄성 링(82)이다. 상기 링(82)은 록킹 요소(64)가 바닥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써클립(circlip) 형태의 탄성 링(82)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컨대 "그리팍스(Grifaxe)" 형태의 브래싱 링(bracing ring)과 같은 임의의 탄성의 환형 요소 또는 스프링 링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상기 홈부(84)의 깊이뿐만 아니라 링(82)의 치수 및 재료는 이 링(82)이 충돌시 홈부(84)로부터 빠져 나와 록킹 요소(64)의 분리를 허용해줄 수 있도록 결정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고정 수단은 파열 개시 영역(86)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와 록킹 요소(64)는 동일한 고정 요소(48)의 2개의 부분이다.
상기 록킹 요소(64)는 블록(46)을 관통하여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고 또 고정 나사(54)가 관통하게 되는 관형 슬리브(7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로드(50)는 록킹 요소(64)의 바닥면(64i)으로부터 축방향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 형성 관형 요소이다.
상기 로드(50)는 파열 개시 영역(86)에 의해 록킹 요소(6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영역은 충돌시 파괴되어 록킹 요소(64)의 분리를 허용해줄 수 있을 정도의 치수의 단면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요소(64)는,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고 있고 록킹 요소(54)의 고정을 달성하기 위해 로드(50)의 암나사부와 협동하는 수나사부를 갖는 나사 요소(88)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요소는 파열 개시 영역(86)에 의해 록킹 요소(64)의 수평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파열 개시 영역(86)의 단면의 크기는 충돌시 부서지도록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록킹 요소(64)의 수평 부분과 나사 요소(88)는 상기 로드(50)에 나사 체결되어 남아 있는 상기 나사 요소를 분리시키며, 따라서 록킹 요소(64)의 분리를허용 해준다.
파열 후 나사 요소(88)의 제거뿐만 아니라, 초기에 로드(50) 안으로 록킹 요소(64)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록킹 요소(64)는 6각형의 형상부(90)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부(90)는 상보적인 나사 체결 키이(도시 생략)에 의해 록킹 요소(64)와 나사 요소(88)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도 12에는 본체 요소(30)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분리를 허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록(46)이 본체 요소(30)에 고정되기 전에는, 가는 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블록(46)은 수직 축선 "A2"를 중심으로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2)의 하우징(68)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 "D"을 갖는 원통형이고 관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블록(46)은 또한 직경이 "d" 인 중앙의 축방향 구멍(92)을 포함하며, 블록의 상단부는 반경 방향의 외부 견부(9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요소(48)는 구멍(92)을 관통하고 또 고정 나사(54)가 통과하게 되는, 수직 축선 "A2"를 중심으로 한 원통형의 관형 상측 부분(9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요소(48)의 상측 부분(96)은 바닥 부분(98)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바닥 부분(98)은 수직 축선 "A2"를 중심으로 하고 블록(46)에 있는 구멍(92)의 직경 "d" 보다 더 큰 직경 "d1"을 갖는 만곡된 돌출 요소이다. 상기 바닥 부분(98)은 또한 고정 나사(5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나사부(100)를 포함한다.
와이핑 장치(20)가 본체 요소(30) 상에 제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고정 요소(48)는 전체적으로 블록(46) 내측에서 맞물린다.
고정 요소(48)의 바닥 부분(98)은 구멍(92)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치수 때문에, 그 부분은 나사 체결 힘을 받아 블록(46) 속으로 점진적으로 유입될 때, 블록(46)을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만들어, 블록(46)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블록(46) 상에서 반경 방향 팽창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반경 방향의 팽창부(102)는 블록(46)의 외경 "D", 나아가 하우징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 "D1"을 지니기 때문에, 블록(46)에 베이스 플레이트(32)를 축방향 연결하는 데에 반경 방향 팽창부(102)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블록의 내경 "d"와 외경 "D"에 따라 좌우되는 상기 반경 방향의 팽창부(102)의 치수와, 상기 고정 요소(48)의 하측 부분(98)의 치수와, 그리고 상기 블록(46)을 구성하는 재료는 베이스 플레이트(32)가 충돌시 블록(4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충돌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아래로 밀리고, 그리고 블록(46)의 탄성으로 인해 반경 방향의 팽창부(102)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32)의 힘은 반경 방향 팽창부(102)의 변형을 유발하여 블록(46)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32)의 축방향으로의 미끄러짐과 이에 따라 본체 요소(30)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2)의 분리를 허용한다.
블록(46)의 탄성은 기후 조건에 따라, 특히 외부 온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조건에 있어서의 블록의 탄성은 상기 반경 방향 팽창부(102)의 변형을 위해 더 큰 크기의 충격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초래할 수 있다. 보행자와의충돌 경우에는 이러한 변형을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고정 요소는 팽창부(102)가 정상적인 기후 조건 하에서 변형되는 충격의 크기보다 더 큰 충격 중에 파열되는 것을 결정하는 파열 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간단한 기계적 개량이 본 발명의 변형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록(46)은 고정 나사(54)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2)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본체 요소(30)는 블록(46)에 있는 홈부(69)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 요소(30) 상에 와이핑 장치(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는 충돌시에 이들 요소들의 분리를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 요소는 많은 표준형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그 요소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10)

  1. 자동차용 와이핑 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A1)으로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구동 샤프트(24)를 회전을 안내하면서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스탠드(22)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22)에는 샤프트(24)의 회전을 안내하는 배럴(26)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댐퍼 블록(46)에 의해 자동차의 본체 요소(30)에 대해 상기 스탠드(22)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의 베이스 플레이트(32)가 있고, 상기 댐퍼 블록(46)에는 고정 요소(48)에 의해 상기 본체 요소(3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48)에는 상기 댐퍼 블록(46)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 요소(30)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 로드(50)와, 상기 본체 요소(30) 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댐퍼 블록(46)의 수직 방향 잠금을 위한 록킹 요소(64)가 있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50)와 록킹 요소(64)는, 상기 와이핑 장치(20)가 충격의 수직 성분이 하방향으로 향하면서 주어진 값보다 더 큰 격렬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로드(50)에 대해 상기 록킹 요소(64)가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향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로드(50)와 록킹 요소(64)가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선행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76, 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선행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로드(50)에 부착되어 있고 충돌시에는 상기 로드(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록킹 요소를 구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요소(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록킹 요소(64)의 하단부에 의해 수용되는 동시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2개 이상의 러그(76)를 포함하며, 상기 러그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내부면(78)들은 상기 로드(50)와 상기 록킹 요소(64)의 연결을 위해 상기 로드(50)의 벽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소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70, 74a, 7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선행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50)는 이것의 하단부에 근처에서 상기 록킹 요소(64)의 바닥면에 대해 맞대어 지도록 외측을 향해 만곡되는 하나 이상의 러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64)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면서 로드(50)가 통과하게 되는 관형 및/또는 원통형의 슬리브(72)를 포함하며, 상기 관형슬리브(72)의 내벽과 상기 로드(50)의 외벽은 상보적인 형상부(74a, 74b)의 협동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파열 개시 영역(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선행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64)와 상기 로드(50)는 동일한 고정 요소(48)의 2개의 부분이며, 상기 로드(50)는 파열 개시 영역(86)에 의해 상기 록킹 요소(6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요소(64)는 중간 요소(88)에 의해 상기 로드(5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 요소(64)는 파열 개시 영역(86)에 의해 상기 중간 요소(8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4-7008771A 2001-12-07 2002-12-04 충격시 구동 샤프트가 후퇴 가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040068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5886 2001-12-07
FR0115886A FR2833370B1 (fr) 2001-12-07 2001-12-07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dispositif d'essuyage permettant l'effacement de l'arbre d'entrainement en cas de choc
PCT/FR2002/004186 WO2003047926A1 (fr) 2001-12-07 2002-12-04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dispositif d'essuyage permettant l'effacement de l'arbre d'entrainement en cas de cho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932A true KR20040068932A (ko) 2004-08-02

Family

ID=887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771A KR20040068932A (ko) 2001-12-07 2002-12-04 충격시 구동 샤프트가 후퇴 가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53561B2 (ko)
EP (1) EP1451047B1 (ko)
JP (1) JP2005511381A (ko)
KR (1) KR20040068932A (ko)
AT (1) ATE382516T1 (ko)
AU (1) AU2002364422A1 (ko)
DE (1) DE60224439T2 (ko)
ES (1) ES2299633T3 (ko)
FR (1) FR2833370B1 (ko)
WO (1) WO2003047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2298A1 (de) * 2002-09-12 2004-03-18 Robert Bosch Gmbh Lagerung für Wischerantriebe
DE10327858A1 (de) 2003-06-18 2005-01-0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9266A1 (de) * 2003-06-30 2005-01-20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9570A1 (de) * 2003-06-30 2005-01-20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9574A1 (de) 2003-06-30 2005-01-20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336208A1 (de) 2003-08-07 2005-03-03 Valeo Systèmes d`Essuyage Befestigungsanordnung
DE102004007517A1 (de) * 2004-02-17 2005-09-0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10513A1 (de) * 2004-03-04 2005-09-22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R2868375B1 (fr) * 2004-04-01 2006-06-02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mecanisme d'essuyage
DE102004016810A1 (de) * 2004-04-06 2005-10-27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GB2424823B (en) * 2005-04-04 2009-05-06 Trico Products Corp Breakaway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a wiper system
DE102005048341A1 (de) * 2005-06-10 2006-12-14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6004048B4 (de) * 2006-01-28 2017-08-24 Valeo Wischersysteme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zur Verwendung bei einer Wischanlage für Fahrzeuge sowie Wischanlage
US20080066263A1 (en) * 2006-05-23 2008-03-20 Shaun Richmond Railway Car Pivot Assembly
WO2008028678A1 (de) * 2006-09-07 2008-03-13 Pal International A.S. Befestigungsvorrichtung einer scheibenwischanlage an einem kraftfahrzeug
EP2143601B1 (en) * 2008-07-07 2013-01-23 Volvo Car Corporation Wiper assembly
US8516647B2 (en) 2009-10-14 2013-08-27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llapsible pivot body for a windshield wiper system
DE102009056237A1 (de) * 2009-11-28 2011-06-01 Volkswagen Ag Haltestruktur für eine Scheibenwischerachse und Vorderstruktur für ein Fahrzeug
DE102009054830A1 (de) *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Scheibenwischvorrichtung
US8745810B2 (en) 2010-11-15 2014-06-10 Trico Products Corporation Pivot body for windshield wiper system
EP2680438B1 (en) * 2012-06-29 2018-10-10 Dav Touch control module
FR3025846B1 (fr) * 2014-09-12 2017-03-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rgane de montage anti-bruit d'un dispositif sur une paroi support muni de moyens de pre-maintien.
US10753224B2 (en) * 2017-04-27 2020-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stator vane actuator overload indicating bushing
US11976684B2 (en) * 2020-01-22 2024-05-07 Illinois Tool Works Inc. Floatin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115Y2 (ja) * 1991-07-30 1997-08-13 株式会社ミツバ モジユラ型ワイパ装置の躯体取付け構造
FR2733474B1 (fr) 1995-04-28 1997-06-06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de fixation a amorce de rupture, et platine appartenant a un tel dispostif
DE69828368T2 (de) 1997-10-22 2005-12-08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Wisch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3385196B2 (ja) * 1997-11-11 2003-03-10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ワイパー
FR2775456B1 (fr) * 1998-02-27 2000-05-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de fixation susceptible de s'effacer en cas de choc, et platine appartenant a un tel dispositif
DE10161976A1 (de) * 2001-12-17 2003-06-26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 einer Wischer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4439T2 (de) 2009-01-02
AU2002364422A1 (en) 2003-06-17
WO2003047926A1 (fr) 2003-06-12
FR2833370B1 (fr) 2004-01-30
ES2299633T3 (es) 2008-06-01
ATE382516T1 (de) 2008-01-15
US7353561B2 (en) 2008-04-08
EP1451047A1 (fr) 2004-09-01
JP2005511381A (ja) 2005-04-28
US20050039290A1 (en) 2005-02-24
EP1451047B1 (fr) 2008-01-02
FR2833370A1 (fr) 2003-06-13
DE60224439D1 (de)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8932A (ko) 충격시 구동 샤프트가 후퇴 가능하도록 와이퍼 장치를고정하기 위한 장치
US8181305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6532616B1 (en) Motor vehicle wiper device comprising a fixing plate
US7976056B2 (en) Fastener clip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899370B2 (en) Fixation of a wiper system
US20090249916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shearable jacket connector
KR20010005814A (ko) 와이퍼 장치
US20070137004A1 (en) Dual stage vehicle interior trim fastener
US20150048651A1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905006B2 (en) Retaining cap for a protective bellows
US6941611B2 (en) Energy absorbing wiper system for vehicle
JP3901355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2007515346A (ja) 衝撃が発生した際に、ワイパ機構の駆動軸を引込めるようにした案内装置
KR20030090669A (ko) 차량을 위한 안전 장치
JP4373918B2 (ja) ワイパ機構の固定装置
US20040123413A1 (en) Vehicle wiper apparatus with energy absorption collapsible pivot shaft
JP3430885B2 (ja) 自動車用ワイパー
KR20050083984A (ko) 특히 차량용 유리 와이퍼 장치
KR200301921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US11766989B1 (en) Collapsible hood bumper bracket
JPS5957005A (ja) 流体容器
KR100718766B1 (ko) 차량용 다관절 인사이드 미러 장치
WO2003086825A1 (en) A safety device for lifting a part of the hood or bonnet of a motor vehicle
KR100230044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20020038123A (ko) 자동차 와이퍼 피벗축 이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