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454A -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454A
KR20040068454A KR1020030027935A KR20030027935A KR20040068454A KR 20040068454 A KR20040068454 A KR 20040068454A KR 1020030027935 A KR1020030027935 A KR 1020030027935A KR 20030027935 A KR20030027935 A KR 20030027935A KR 20040068454 A KR20040068454 A KR 2004006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holes
concrete
septic tank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9527B1 (ko
Inventor
유천만
Original Assignee
유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천만 filed Critical 유천만
Publication of KR2004006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복토사의 자중 및 토사를 통해 매립물에 외력이 직접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립물의 파손을 막고, 이로써 매립물로부터의 내용물 누설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궁극적으로 누설물로 인한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덩이(2) 저면 콘크리트 바닥면(4)에 설치되는 정화조(6)를 둘러싸게 되며, 정화조(6) 상측으로 타설되는 다른 콘크리트 바닥면체(4')를 지지하게 되도록 상기한 콘크리트 바닥면(4)에 직립되는 정화조보호방벽(P)으로 설치되어지는 콘크리트 조립벽체에 있어서,
두 면체가 직교상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다수 모서리부재(22)∼(38)와;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38) 각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중간부재(22a)∼(38n)와;
이웃하는 부재들(일예:'22'와 '22a', '22a'와 '32a')을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이웃하는 부재들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조립벽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조립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조립벽체{concrete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립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지하에 매립되는 정화조 주변 토류로부터 정화조가 격리 보호되게 하는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조립벽체에 관한 것이다.
정화조(淨化槽)는 대개 분뇨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탱크를 말하는데, 건물마다 설치하는 경우와 몇 개의 건물이 공동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수세식 화장실에서 흘러들어 온 오수를 먼저 부패조에서 약 48시간 동안 정체시켜 침전 분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오물을 혐기성세균에 의해 부패 및 분해시켜서 일부를 액화 및 기화시키고, 이와 같은 부패 및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물을 무기물로 안정화시키게 된다.
정화조는 또, 나머지 오수를 산화조로 이동시켜서 주방이나 욕실에서 흐르는 생활하수에 의하여 쇄석면(碎石面)을 흐르는 사이에 산소성균의 작용과 쇄석층 내의 유통하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산화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정화조는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된 오수를 소독조로 이동시켜서 주입되는 염소용액에 의해 소화기 계통 병원균을 살균처리한 후 방류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정화조는 가능한 한 화장실에 접근하여 지중에 매립 설치하여야 하나넓은 부지에 몇 개의 건물이 있을 때는 부지와 변소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부패조를 2개소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정화조의 위치가 낮을 경우 처리수가 하수도로 자연방류되지 않으므로 방류수를 펌프로 흡출 방류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화조는 지중에 매립 설치되므로, 오수의 누설이 있을 경우, 주변 토질을 오염시키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토질 오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방벽을 구축하는 것이 기본적이다.
즉, 지표면으로부터 정화조가 묻힐 수 있는 충분한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그 저면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평평한 콘크리트 바닥면을 확보하고, 이러한 바닥면 위에 정화조를 설치한 후 복토하여 정화조의 매립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정화조를 매립함에 있어서는, 정화조 상측으로 복토된 토사 자중, 또는 토사를 통해 정화조에 작용되는 외력 등이 정화조에 직접 작용되고, 이에 따라서 정화조가 파손될 수 있고, 이럴 경우 정화조로부터 오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며, 결국 누설 오물로 인한 오염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개는, 도 1에서와 같이 구덩이(2) 저면에 콘크리트 바닥면체(4)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이 콘크리트 바닥면체(4)상에 설치되는 정화조(6)를 둘러싸게 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체(4)상에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벽체(P)를 타설/양생시키며, 이러한 콘크리트벽체(P) 내외측 공간으로 복토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콘크리트벽체(P) 상측으로 콘크리트평면체(4')를 다시 타설/양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콘크리트평면체(4') 상측으로 또 다시 복토가 이루어지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화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벽을 설치하는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기초공사와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등과 같은 작업이 긴 시간을 통하여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생산성 또한 매우 낮아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정화조 상측으로 작용되는 토사의 자중 및 토사를 통해 작용되는 외력 등에 의해 콘크리트평면체(4'), 정화조, 콘크리트벽체(P) 등이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콘크리트물의 철거 등과 같은 사후처리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을 또 소요하게 되며, 그 부산물의 처리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정화조 상측으로 작용되는 토사의 자중 및 토사를 통해 정화조에 작용되는 외력 등이 정화조에 직접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화조의 파손을 막고, 이로써 정화조로부터의 오물 누설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궁극적으로 누설 오물로 인한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갖게 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초공사와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등과 같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구조물의 구축에 대한 공사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작업성을 개선하게 됨과 아울러 생산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정화조 상측으로 작용되는 토사의 자중 및 토사를 통해 작용되는 외력 등에 의해 콘크리트평면체(4'), 정화조, 콘크리트벽체(P) 등이 파손되었을 경우 파손된 콘크리트물의 철거 등과 같은 사후처리 작업, 이러한 작업에 따르는 매우 어려운 작업 및 많은 시간을 또 소요하게 되는 문제 등을 배제할 수 있게 되고, 사후처리에 따르는 생성 부산물의 처리에 대한 문제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게 된 콘크리트 조립벽체를 제공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적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일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구성요소들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구성 및 이에 적용된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일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 및 구성요소들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 및 구성요소들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또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 및 구성요소들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10 및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를 이루는 구성요소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1b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간 결합수단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구성 및 이에 적용된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일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 및 구성요소들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의 또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 및 구성요소들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를 이루는 구성요소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각각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덩이(2) 저면 콘크리트 바닥면(4)에 설치되는 정화조(6)를 둘러싸게 되며, 정화조(6) 상측으로 타설되는 다른 콘크리트 바닥면체(4')를 지지하게 되도록 상기한 콘크리트 바닥면(4)에 직립되는 정화조보호방벽(P)으로 설치되어지는 콘크리트 조립벽체에 있어서, 두 면체가 직교상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다수 모서리부재(22)∼(38)와,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38) 각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중간부재(22a)∼(38n)와, 이웃하는 부재들(일예:'22'와 '22a', '22a'와 '32a')을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이웃하는 부재들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조립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38) 및 다수 중간부재(22a) ∼(38n)들의 일측 단부 및 상측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42)∼(58), (42a)∼(58n)과, 상응하는 상기 결합단(4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38) 및 다수 중간부재(22a)∼(38n)들의 타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파이는 슬롯(62)∼(78)(62a)∼(78n)과, 이웃하는 두 개 부재들(일예:'22'와'22a', '22a'와 '32a')의 단부 다수개소에 부재들의 양측면으로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부재들에 뚫린 다수 구멍(H)들과 각각 일치되는 다수의 다른 구멍(H')들이 뚫리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 제1덧판(80)(82)과, 이웃하는 네 개 부재들(일예:'22'와 '22a'와 '32'와 '32a')의 각 모서리단부 위치에서 양측면에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부재들('22'와 '22a'와 '32'와 '32a')에 뚫린 또 다른 다수 구멍(H)들과 일치되는 또 다른 다수 구멍(H')들이 뚫리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 제2덧판(84)과, 상기 제1덧판(80)(82)의 다수 구멍(H')과 제2덧판(84)의 다수 구멍(H') 및 이 구멍(H')들과 위치 상응되는 다수 부재들(22)∼(38)(22a)∼(38n)의 다수 구멍(H)들에 그 나사단부가 각기 관통되는 다수 볼트부재(B)와, 상기 볼트부재(B)들에 체결되는 너트부재(N)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다수 볼트부재(B)의 머리부가 각각 밀착되는 다수 와셔(W1) 및 상기 다수 너트부재(N)의 일측면이 밀착되는 다수의 다른 와셔(W2)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복수 층 다수 칸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22)∼(38) (22a)∼(38n)들에 일직선상에서 위치 상응되도록 뚫리는 복수의 가로홀과 복수의 세로홀에 각각 관통되어지는 다수 강선(100a)(100b); 해당 부재의 단부에서 강선(100a)(100b)들을 각각 인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강선(100a)(100b)들의 각 양단부에 결합되어지는 다수 쌍의 고정부재(10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수 쌍의 고정부재(102) 각각은 공히, 상기 강선(100a)(100b)들의각 단부를 물 수 있는 분할척(102a); 상기 분할척(102a)이 계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고무링(102b); 상기 고무링(102b)에 의해 계합이 유지되는 상기한 분할척(102a)이 점차 조여지도록 내재되는 척바렐(102c)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이웃하는 두 개 부재(예컨대, '22'와 '22a'와 '22a'와 '32a')들의 상응하는 양측단부 및 상하단부 위치 내측면에 각각 파이는 다수 쌍의 긴홈(Ha); 상기 긴홈(Ha)들에 뚫리는 다수 구멍(Ha'); 상기 긴홈(Ha)을 통하여 구멍(Ha')에 관통되어지는 다수의 다른 볼트부재(Ba); 상기 다른 볼트부재(Ba) 각각에 상응하여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다른 너트부재(N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수 부재들중 단변부에 위치되는 다수 부재(22)(24)(32)(34)들은,'ㄷ'자의 형태로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수 부재들중 단변부에 위치되는 다수 부재(22)(24)(32)(34)들은,'ㄷ'자의 형태로 일체 형성되되, 그 중앙단부가 호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링수단은, 다수 부재들(22)∼(38)(22a)∼(38n-1')의 각 슬롯(62)에 끼워져 이웃하는 다른 부재들(22a)∼(38n')의 결합단(42)∼(58)(42a)∼(58n)에 의해 압축되는 다수 시일부재(S1) 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덩이(2) 저면 콘크리트 바닥면(4)에 설치되는 정화조(6)를 둘러싸게 되며, 정화조(6) 상측으로 타설되는 다른 콘크리트 바닥면체(4')를 지지하게 되도록 상기한 콘크리트 바닥면(4)에 직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에 관련된다.
즉, 지표면으로부터 정화조(6)가 묻힐 수 있는 충분한 깊이의 구덩이(2)를 파고, 그 저면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평평한 콘크리트 바닥면(4)을 확보하고, 이러한 바닥면(4) 위에 정화조(6)를 설치하며, 상기 정화조(6)를 둘러 싸게 되는 상태하에서 상기한 콘크리트 바닥면(4)에 직립되도록 설치되는 보호방벽(P)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1)
상기 보호방벽(P)의 일 실시예로서, 다수 모서리부재(22)∼(38)와, 다수 중간부재(22a)∼(38n) 및 결합수단과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들(22)∼(38)은 두 면체가 직교상태로 연장된 형태의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다수 중간부재들(22a)∼(38n)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상기한 다수 모서리부재들(22)∼(38) 각 사이 다수 층 및 다수 칸의 위치에 배치되어진다.
또 상기 결합수단은, 이웃하는 부재들(예컨대, '22'와 '22a','22a'와 '32a')을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수 부재들(22)∼(38)(22a)∼(38n) 각각에 결합단(42)∼(58)(42a)∼(58n) 및 슬롯(62)이 형성되어지고, 다수제1덧판(80)(82)과 다수 제2덧판(84) 그리고 다수 볼트부재(B)와 너트부재(N)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즉, 상기 결합단들(42)∼(58)(42a)∼(58n)이 상기한 다수 모서리부재(22)∼(38) 및 다수 중간부재(22a)∼(38n)들의 일측 단부 및 상측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이며, 이와 같은 결합단(42)∼(58)(42a)∼(58n)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38) 및 다수 중간부재(22a)∼(38n)들의 타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슬롯(62)이 각각 파이게 된 것이다(도 2 및 도 4 참조).
또, 상기 제1덧판들(80)(82)은, 이웃하는 두 개 부재들(일예:'22'와 '22a', '22a'와 '32a')의 양측단부 다수개소 양측면에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부재들('22'와 '22a', '22a'와 '32a')에 뚫린 다수 구멍(H)들과 각각 일치되는 다수의 다른 구멍(H')들이 뚫리게 형성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덧판들(84) 역시, 이웃하는 네 개 부재들(예컨대, '22'와 '22a'와 '32'와 '32a')의 각 모서리단부 위치에서 양측면에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부재들('22'와 '22a'와 '32'와 '32a')에 뚫린 또 다른 다수 구멍(H)들과 일치되는 또 다른 다수 구멍(H')들이 뚫리게 형성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덧판(80)(82)의 다수 구멍(H')과 제2덧판(84)의 다수 구멍(H') 및 이 구멍(H')들과 위치 상응되는 다수 부재들(22)∼(38)(22a)∼(38n)의 다수 구멍(H)들에 상기 볼트부재(B)의 나사단부가 각기 관통되게 하고, 이러한 볼트부재(B)들에 너트부재(N)들을 각각 체결하여 분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다수 부재들(22)∼(38)(22a)∼(38n)을 연쇄적으로 연장시킨 상태에서 견고하게 결합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 결합단(42)∼(58)(42a)∼(58n)들의 단부 단면 형태 및 이와 상응하는 슬롯(62)의 단면 형태는, 둥근 형태 또는 다각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다수 와셔(W1)(W2)들은 상기한 다수 부재들(22)∼(38)(22a)∼(38n)과 볼트부재(B)의 머리부 사이, 그리고 다수 부재들(22)∼(38)(22a)∼(38n)과 다수 너트부재(N) 사이 각각에 개재되어진다(도 4 참조).
(실시예2)
상기한 결합수단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 모서리부재(22)∼(38)와, 다수 중간부재(22a)∼(38n) 및 실링수단과 함께 보호방벽(P)을 구성하게 되어 있다.
즉, 복수 층 다수 칸에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모서리부재(22)∼(38)와, 다수 중간부재(22a)∼(38n)들에 일직선상에서 위치 상응되도록 뚫리는 복수의 가로홀과 복수의 세로홀에 각각 관통되어지는 강선(100a)(100b)와 이 강선(100a)(100b)의 각 양단부에 결합되어지는 다수 쌍의 고정부재(102)로 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11c 참조).
특히, 상기한 다수 쌍의 고정부재(102)들 각각은, 해당 부재의 단부에서 강선(100a)(100b)들을 물어 고정시킬 수 있는 분할척(102a)과, 상기 분할척(102a)이 계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고무링(102b) 및 상기 고무링(102b)에 의해 계합이유지되는 상기한 분할척(102a)이 점차 조여지도록 내재되는 척바렐(102c)로 이루어진다(도 10 내지 도 11c 참조).
물론, 이와 같은 결합수단에 '(실시예1)'에서와 같은 다수 제1덧판(80)(82)과, 다수 제2덧판(84)과, 다수 볼트부재(B) 및 너트부재(N)들이 더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3)
상기 결합수단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 모서리부재(22)∼(38)와, 다수 중간부재(22a)∼(38n) 및 실링수단과 함께 보호방벽(P)을 구성하게 되어 있다(도 12 내지 도 16 참조).
즉,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38)와 다수 중간부재(22a)∼(38n) 내측면에 이웃하는 두 개 부재들의 상응하는 양측단부 및 상하단부 위치로 다수 쌍의 긴홈(Ha)(Nb)이 파이고, 이러한 긴홈(Ha)(Nb)들에 다수 구멍(Ha')(Nb')이 각각 뚫리게 된 것이다(도 13 및 도 14 참조).
또, 상기 긴홈(Ha)들을 통하여 다수 구멍(Ha')에 끼워지는 다수의 다른 볼트부재(Ba)가 구비되어지며, 이러한 다른 볼트부재(Ba) 각각에 상응하여 체결되어지는 다수의 다른 너트부재(Na)들이 긴홈(Nb)들 각각에 내재되어질 수 있게 된 것이다(도 12 내지 도 14 참조).
(실시예4)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 부재들중 단변부에 위치되는 다수 부재(22)(24)(32)(34)들은,'ㄷ'자의 형태로 일체 형성될 수도 있고(도 17 참조),이와 같이 'ㄷ'자의 형태로 일체 형성되되, 그 중앙단부가 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8 참조).
또, 최하층으로 배치되는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22)∼(28)와 다수 중간부재(22a)∼(28n)의 각 내측면 하단부위로, 돌축단이 더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돌출단으로부터 철근이 부분 노출 상태로 구비되게 하여 이러한 돌출단 및 철근으로 하여금 구덩이(2) 저면으로 타설 양생됨으로써, 조성되어지는 콘크리트 바닥면(4)(도 1 참조)과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5)
뿐만 아니라 상기 실링수단은, 이웃하는 부재들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수 부재들(22)∼(38)(22a)∼(38n)의 각 슬롯(62)에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다수 시일부재(S)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 시일부재(S)들은 이웃하는 다른 부재들(22a)∼(38n')의 결합단(42)∼(58)(42a)∼(58n)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다수 부재들(22)∼(38)(22a)∼(38n) 간에 확고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수 실시예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조립벽체는 정화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벽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물론, 주차장용 옹벽이나 축사용 또는 창고용 옹벽으로도 구축될 수 있고, 심지어는 군사용 참호를 구축하는 건축구조물로도 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을 채용하지 않게 된 구조이므로 자연 콘크리트 옹벽을 철거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철거물이 생성되지 않아 철거물 후처리에 대한 곤란성 또한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9)

  1. 구덩이 저면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정화조를 둘러싸게 되며, 정화조 상측으로 타설되는 다른 콘크리트 바닥면체를 지지하게 되도록 상기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직립되는 정화조보호방벽으로 설치되어지는 콘크리트 조립벽체에 있어서,
    두 면체가 직교상태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다수 모서리부재와;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 각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중간부재와;
    이웃하는 부재들을 연결상태로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이웃하는 부재들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은,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 및 다수 중간부재들의 일측 단부 및 상측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과;
    상응하는 상기 결합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다수 모서리부재 및 다수 중간부재들의 타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각각 파이는 슬롯과;
    이웃하는 두 개 부재들의 단부 다수개소에 부재들의 양측면으로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부재들에 뚫린 다수 구멍들과 각각 일치되는 다수의 다른 구멍들이 뚫리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 제1덧판과;
    이웃하는 네 개 부재들의 각 모서리단부 위치에서 양측면에 접촉되게 각각배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부재들에 뚫린 또 다른 다수 구멍(H)들과 일치되는 또 다른 다수 구멍들이 뚫리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 제2덧판과;
    상기 제1덧판의 다수 구멍과 제2덧판의 다수 구멍 및 이 구멍들과 위치 상응되는 다수 부재들의 다수 구멍들에 그 나사단부가 각기 관통되는 다수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들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 볼트부재의 머리부가 각각 밀착되는 다수 와셔 및 상기 다수 너트부재의 일측면이 밀착되는 다수의 다른 와셔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은,
    복수 층 다수 칸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들에 일직선상에서 위치 상응되도록 뚫리는 복수의 가로홀과 복수의 세로홀에 각각 관통되어지는 다수 강선;
    해당 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강선들을 각각 인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강선들의 각 양단부에 결합되어지는 다수 쌍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 쌍의 고정부재 각각은 공히,
    상기 강선들의 각 단부를 물 수 있는 분할척;
    상기 분할척이 계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비된 고무링;
    상기 고무링에 의해 계합이 유지되는 상기한 분할척이 점차 조여지도록 내재되는 척바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은,
    이웃하는 두 개 부재들의 상응하는 양측단부 및 상하단부 위치 내측면에 각각 파이는 다수 쌍의 긴홈;
    상기 긴홈들에 뚫리는 다수 구멍;
    상기 긴홈을 통하여 구멍에 관통되어지는 다수의 다른 볼트부재;
    상기 다른 볼트부재 각각에 상응하여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다른 너트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7. 제 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 부재들중 단변부에 위치되는 다수 부재들은,
    'ㄷ'자의 형태로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8. 제 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 부재들중 단변부에 위치되는 다수 부재들은,
    'ㄷ'자의 형태로 일체 형성되되, 그 중앙단부가 호의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링수단은,
    다수 부재들의 각 슬롯에 끼워져 이웃하는 다른 부재들(의 결합단에 의해 압축되는 다수 시일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립벽체.
KR1020030027935A 2003-01-25 2003-05-01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KR100589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992 2003-01-25
KR20030004992 2003-01-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648U Division KR200326293Y1 (ko) 2003-05-01 2003-05-01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454A true KR20040068454A (ko) 2004-07-31
KR100589527B1 KR100589527B1 (ko) 2006-06-15

Family

ID=3735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35A KR100589527B1 (ko) 2003-01-25 2003-05-01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9B1 (ko) * 2011-01-03 2011-06-13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화장실 벽체 조립 구조
KR20160121137A (ko) * 2015-04-10 2016-10-19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박스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825B1 (ko) * 2009-11-05 2010-06-24 한국가스공사 육상용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제작을 위한 단위벽 구조물
KR100964824B1 (ko) * 2009-11-05 2010-06-23 한국가스공사 육상용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제작방법
KR20190068297A (ko) 2017-12-08 2019-06-18 송희종 공장 제조 타입 정화조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정화조의 시공방법
KR20190068298A (ko) 2017-12-08 2019-06-18 송희종 현장 설치 타입 정화조의 시공방법
KR102047485B1 (ko) 2019-05-17 2019-11-21 (주)지지산업 지중 매설용 하수처리시설의 조립식 보호방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9B1 (ko) * 2011-01-03 2011-06-13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화장실 벽체 조립 구조
KR20160121137A (ko) * 2015-04-10 2016-10-19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박스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527B1 (ko)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420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0589527B1 (ko)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26293Y1 (ko)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정화조 보호방벽
JP4611123B2 (ja) 廃棄物処分場
JP5294258B2 (ja) 多槽構造プレハブ槽
JP2001248135A (ja) ジャケット構造物
KR20210119935A (ko) 버팀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54612A (ko) 방괴 유닛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KR200233297Y1 (ko) Frp특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오수맨홀
JP3384990B2 (ja) 浄化槽保護構築物及び施工方法
KR100583007B1 (ko) 조립식 잔교형 부두
KR100948627B1 (ko) 폴리에틸렌(PE)수지와EPS(Expandable Polystyrene)수지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기초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하수관을 시공하는 방법
JP4327156B2 (ja) 地中埋設浄化槽用のpcコンクリート製基礎プレート
KR200464347Y1 (ko)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JP4130402B2 (ja) ソイルセメント壁体を用いた高濃度汚泥処理装置
CN217174878U (zh) 一种用于临时工程的装配式咬合基础结构
JP2000301179A (ja) 浄化槽用基礎板及び浄化槽並びに浄化槽の施工方法
KR200346793Y1 (ko) 콘크리트 정화조
KR100537414B1 (ko) 오수 정화조
KR100596477B1 (ko) 건축단지의 배수관 보강구조
GB2410283A (en) Temporary cover assembly
KR200330339Y1 (ko) 조립식 잔교형 부두
JP2023149573A (ja) 既設渠の更生構造
KR200258870Y1 (ko) 교량의 기초부 우물통 시공용 철판 토류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