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414B1 - 오수 정화조 - Google Patents

오수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414B1
KR100537414B1 KR10-2003-0065052A KR20030065052A KR100537414B1 KR 100537414 B1 KR100537414 B1 KR 100537414B1 KR 20030065052 A KR20030065052 A KR 20030065052A KR 100537414 B1 KR100537414 B1 KR 100537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ank
septic tank
wall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581A (ko
Inventor
남궁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Priority to KR10-2003-006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4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42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아파트, 사무소 건물, 학교, 상점 건물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 시공하는 오수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수 정화조의 시공성과 완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오수 정화조의 기능과 윤하중, 측압, 부력 등에 대하여 균열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오랫동안 부식 등이나 변형 및 누수 등에 대하여 안전한 오수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는,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오수 정화조는, 수평 수직 토압에 대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 홈형강을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오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와, 상기 부패조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다음 부패조로 넘겨주는 도류벽과, 상기 부패조로부터 처리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해 최종 부패조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를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예비여과조와, 상기 예비여과조로부터 여과되어 넘겨진 오수를 재여과하기 위해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해 오수를 배수 시키기 위해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구성된 받침대와 벽체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구성된 배수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오수 정화조의 시공성, 시공후 오수 처리 안정성, 오수 처리 신뢰성 등이 항상되어 토양 및 지하수 등의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효과적으로 쓰일수 있다.

Description

오수 정화조{The Sewage Disposal}
본 발명은 주택, 아파트, 사무소 건물, 학교, 상점 건물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 시공하는 오수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수 정화조의 시공성과 완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오수 정화조의 기능과 윤하중, 측압, 부력 등에 대하여 균열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오랫동안 부식 등이나 변형 및 누수 등에 대하여 안전한 오수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거주지로 분류되는 주택, 아파트, 사무소, 건물, 학교, 상점 건물 등에는 반드시 오수 정화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콘크리트 제품이어서 오래 가지 않아 부식되어 오수가 새어나가 지하수를 오염 시키거나 토양을 오염시켜 왔다.
콘크리트 정화조의 경우 윤압이나 토압 하중을 충분히 견디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변형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보강과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증가시켜 보강을 강화하는 방법이지만, 이같은 무한대의 보강방법은 투자비용이나 운반 및 시공 비용 등의 상승으로 나타나 바람직한 대안이 되지 못하였다.
기능적으로는 한번 매설한 오수 정화조는 내구연한을 길게하여 자주 교체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오수나 가스 등으로 오수 정화조가 부식되지 않아야 하며 오수 유입관, 배수관 연결 부위에 파이핑(piping)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파이핑 현상은 주로 관과 관을 연결하는 이음매 배관 부위 또는 관 접합 부분 및 배관 부분에서 나타나는데, 이로인해 지하수가 유입 되거나 오수가 새어나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손쉽게 연결 부위에 구멍을 내어 연결이 가능하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한번 매설하면 누수가 나지 않으며 부식이 없고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없는 오수 정화조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중에 매설하는 오수 정화조는 콘크리트 구조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며, 오수 정화조의 크기에 따라 오수 정화조의 처리 공간과 모양 및 구조를 달리하여 설계되었다.
도 1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시공한 오수 정화조의 구조물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온 오수 정화조 구조물 표본이다.
현장 타설 오수 정화조는 지중상의 지반에 타설하는 오수 정화조 기초구조물(11)과, 상기 기초구조물(11)을 지지 기반으로 그 상부에 설치되는 오수 정화조(10)로 크게 구분된다.
도 1의 오수 정화조 시공 단면도는 각각 제1부패실(12)과 제2부패실(13)을 별도로 격벽(14)을 중심으로 시공한 경우로서, 일측에 오수를 유입시키는 오수유입관(15)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별도의 여과조(16)를 설치하여 배수관(17)을 통해 오수를 배출시키도록 시공한 경우이다.
오수 정화조(10)는 이와 같이 오수를 유입시키는 오수유입관(15)과 부패실, 그리고 부패실에서 충분한 정도로 오수를 부패 시키기 위해 오수를 오버 플로우 시키는 한편 부패실을 구획하는 격벽(14)과, 상기 각각의 제1.2부패실(12)(13)에 유입된 오수의 흐름에 안정성을 주기 위해 부패실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베리어(18)와, 부패실에서 부패된 오수를 여과시키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여과조(16)와, 여과조(16)에서 여과된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17)과, 여과조(16)내 오수를 관리하거나 청소하기 위해 여과조(16)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여과조 맨홀(19a)과, 상기 각각의 제1.2부패조(12)(13)내 오수를 관리 하거나 부패조의 청소를 위한 부패조 맨홀(19b)(19c)을 구비한다.
시공방법은, 먼저 오수 정화조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굴착을 하고 그 바닥면을 다진 뒤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구조물(11)을 양생한다.
기초구조물(11)이 양생되면 그 위에 다시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오수 정화조(10)의 외부 벽체(20)와 격벽(14) 그리고 베리어(18) 및 여과조(16), 맨홀구멍을 각각 시공하고 상부에 맨홀(19a)(19b)(19c)을 설치하여 오수 정화조(10)의 기본적인 구조물을 콘크리트로 완성한 뒤 외부 벽체(20)에 오수유입관(15)과 배수관(17)을 별도로 설치하여 오수정화조(10)를 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 오수 정화조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포함한 다양한 사전 준비 작업 및 시공 작업이 필요하므로 공기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수밀을 위한 방수 공사를 병행해야 하는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방수 공사를 완벽하게 하였더라도 콘크리트 부식이나 노화 등에 의해 쉽게 훼손되어 수밀 보존성이 떨어져 누수가 생겨 지하수와 토양 오염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수 공사의 시공상 또는 시공후 훼손의 문제점과 더불어 오수유입관 및 배수관 연결부 등의 파이핑 현상으로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오수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 콘크리트 타설로 시공되는 여과조는 구성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능상 오수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 정화조 시공을 위한 다양한 사전 준비 작업 없이 곧바로 지하 공간에 투입하여 오수 정화조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오수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 정화조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 공기를 단축 시킬 수 있는 오수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 정화조 시공에 있어서 수밀을 위한 방수 공사 없이 누수를 막을 수 있는 오수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식이나 노화 등에 의해 훼손되어 수밀 보존성이 떨어지는 오수 정화조의 기능상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오수 정화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 정화조의 연결부 등의 파이핑 현상으로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오수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오수 정화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의 처리 효율을 높혀 정화된 오수를 배출 시킬 수 있는 오수 정화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는, 오수 정화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지중에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 하고, 그 굴착 공간에 설치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격벽과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부패조를 설치하고 그 부패조의 일측에는 여과조를 설치하여 부패되고 여과된 오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 시키는 오수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정화조는,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오수 정화조는, 수평 수직 토압에 대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 홈형강을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오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와, 상기 부패조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다음 부패조로 넘겨주는 도류벽과, 상기 부패조로부터 처리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해 최종 부패조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예비여과조와, 상기 예비여과조로부터 여과되어 넘겨진 오수를 재여과하기 위해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해 오수를 배수 시키기 위해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구성된 받침대와 벽체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구성된 배수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류벽은, 상기 부패조의 내부 모서리를 따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조는 예비여과조에서 유입된 오수를 여과조의 쇄석층 표면에 넘쳐 흐르게 하여 밑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살수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비여과조 및 여과조에 충진되는 쇄석은 알갱이 입자 크기에 따라 큰 쇄석과 중간쇄석 그리고 작은쇄석으로 구분하여 충진하되, 상기 예비여과조에는 상부에 중간쇄석을 충진하고 그 하부에 큰쇄석을 충진하며, 상기 여과조에는 상부에 중간쇄석을 충진하고 하부에 작은쇄석을 충진하여 오수의 이동에 따라 오수속에 포함된 불순물 입자를 단계적으로 여과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오수 정화조를 구성하면, 통체로 사출 성형 제작이 가능하므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 없이 굴착만으로 오수 정화조의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재료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반 및 시공성이 양호한 특징을 갖게되며, 또한 재료 자체적으로 방수처리 기능을 갖게되므로 방수시공이 불필요하고, 파손이나 훼손 등에 대한 누수에 대비할 수 있는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있고, 또한 오수의 처리에 있어서 오수의 흐름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단계적으로 오수를 처리하여 오수처리 효과를 크게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적합한 오수 정화조를 구성할 수 있게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오수 정화조의 전체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판)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벽판 부위의 구성을 보인 평면 상세도이고, (b)는 슬래브 및 저판 부위의 구성을 보인 평면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정화조 구조물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정화조 구조물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정화조에 의한 오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취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는,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통체로 이루어진다.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30)는, 기초구조물(40)의 상부에 얹혀지는 구조로 설치되며, 그 주요부분은, 수평 수직 토압에 대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 홈형강(31)(32)을 구비하는 벽체(33)와, 상기 벽체(33)에 설치된 오수유입관(34)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35a)(35b)(35c)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와, 상기 부패조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다음 부패조로 넘겨주는 도류벽(36a)(36b)과, 상기 부패조로부터 처리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해 최종 부패조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를 받침대(37)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예비여과조(38)와, 상기 예비여과조(38)로부터 여과되어 넘겨진 오수를 재여과하기 위해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38)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여과조(39)와, 상기 여과조(39)를 통해 오수를 배수 시키기 위해 상기 여과조(39)의 하부에 구성된 받침대(38)와 벽체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구성된 배수공간(39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패조는, 벽체(33)에 설치된 오수유입관(34)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고 오수를 이웃하는 부패조로 넘겨주기 위해 도류벽(36a)(36b)을 구비하는 제1부패조(41)와, 제1부패조(41)로부터 넘겨진 오수를 재수용하고 상부측에 도류벽(36a)을 구비하는 제2부패조(42)와, 제2부패조로(42)부터 넘겨진 오수를 재 수용하기 위해 제2부패조(42)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된 제3부패조(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류벽(36a)(36b)은, 제1.2부패조(41)(42)의 내부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도류벽(36a)(36b)이 설치된 벽체(33)의 모서리 부분은 오수 유동홈(44a)(4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조(39)는 예비여과조(38)에서 유입된 오수를 여과조(39)의 쇄석층 표면에 넘쳐 흐르게 하여 밑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살수통(45)을 구비한다. 살수통(45)은 여과조(39)에 설치되어 상기 예비여과조(38)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쇄석층으로 흘려보내기 위하여 V형홈의 긴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예비여과조(38) 및 여과조(39)에 충진되는 쇄석은 알갱이 입자 크기에 따라 큰 쇄석과 중간쇄석 그리고 작은쇄석으로 구분하여 충진된다.
예비여과조(38)에는 상부에 중간쇄석(46)을 충진하고 하부에 큰쇄석(47)을 충진하고, 여과조(39)에는 상부에 중간쇄석(46)을 충진하고 하부에 작은쇄석(48)을 충진하여 오수의 이동에 따라 오수속에 포함된 불순물 입자를 단계적으로 여과시키도록 구성한다.
상판 벽체(33)에는 제1.2.3부패조(41)(42)(43) 및 에비여과조(38) 그리고 여과조(39)의 윗면부에 각각 맨홀구멍(50)을 형성하여 맨홀(51)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3은 배기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는 도 2와 같이 전체 외관 벽체의 형상이 통체로 이루어지며, 이 구조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으로 제작하여 구성된다. 성형에 적합한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 섬유의 복합 구조재료인 FRP수지가 적합하다. FRP수지는 내부식성이 있고 반영구적이며, 또한 내 약품성이 있고 오수와 가스 등에 반응하지 않고 이온용출이 없는 등의 재료 특성이 있어 누수가 생기지 않고 유지관리가 쉬워 오수 정화조의 성형을 위한 구조재료로 적당하다.
도 2와 같이 성형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는 굴착된 공간에 투입하면 모든 오수 정화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따라서 별로도 현장 콘크리트 타설 공사나 방수공사 등이 불필요 하고, 연결부 등을 정밀하게 사전 제작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파이핑 현상에 따르는 누수 발생의 가능성도 줄어든다. 즉, 현장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지는 오수 정화조를 합성수지 구조물로 사전 제작하여 시공함으로서 공기단축은 물론 시공성을 항상 시킬 수 있고 기능적으로는 누수 등에 대비할 수 있어 양호한 오수 정화 시설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 구조물 적용에 따른 강도 보강을 위해 도 3과 같이 벽체(33)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홈 형강(31)(32)을 설치하면 토사 이동에 의한 응력을 보상할 수 있다. (a)는 수직 벽체(33) 부위에 대한 보강 구성이고, (b)는 슬래브 또는 저판 벽체(33) 부위에 대한 보강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에 의한 오수 처리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정화조는, 벽체에 설치된 오수유입관(34)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35a)(35b)(35c)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로 되어 있다.
오수는 처음 제1부패조(41)에 설치된 오수유입관(34)을 따라 유입되어 도류벽(36a)을 따라 오수 유동홈(44a)을 타고 넘어가 제2부패조(42)에 수용되고, 마찬가지로 다시 도류벽(36b)을 따라 오수 유동홈(44b)을 타고 넘어가 제3부패조(43)에 이르러 예비여과조(38)를 통과한다.
예비여과조(38)에는 쇄석을 지지하고 받쳐주는 받침대(37)에 하부로부터 큰쇄석(47)이 충진되어 있어서 먼저 이곳을 오수가 통과하고 그 다음 다시 그 상층부의 중간쇄석(46)을 통과하여 다시 여과조(39)로 넘어간다.
여과조(39)의 상층부를 따라 이동하는 오수는 여과조(39)의 상부에 설치된 살수통(45)을 경유하여 위로부터 차례로 중간쇄석(46)과 작은쇄석(48)을 거쳐 쇄석 받침대(38)를 통과하여 배수공간(39)에 집수되어 배수관(52)을 따라 배출된다.
따라서, 오수의 유입부터 배수까지 여러 단계의 부패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서 오수의 양호한 부패 상태를 조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성된 오수를 다시 쇄석에 의한 입자 여과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여과시켜 배수 시킴으로서 오수의 양호한 여과 상태를 유지하여 배수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부패의 조성이나 여과처리 등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오수 정화조 구성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부분이다. 즉, 부패실의 조성이나 여과조의 구성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로는 만족할 만한 구조의 부패실 조성과 여과조의 구성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한편, 도류벽(36a)(36b)은, 제1.2부패조(41)(42)의 내부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도류벽(36a)(36b)이 설치된 벽체(33)의 모서리 부분은 오수 유동홈(44a)(44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조는 오수의 이동을 모서리 근처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적당한 수류를 형성하여 오수 유동에 적합하게 작용한다.
여과조(39)는 예비여과조(38)에서 유입된 오수를 여과조(39)의 쇄석층 표면에 넘쳐 흐르게 하여 밑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살수통(45)을 구비할수 있는데, 살수통(45)은 여과조(39)에 설치되어 상기 예비여과조(38)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쇄석층으로 흘려보내기 위하여 V형홈의 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예비여과조(38) 및 여과조(39)에 충진되는 쇄석은 알갱이 입자 크기에 따라 큰 쇄석과 중간쇄석 그리고 작은쇄석으로 구분하여 충진 되어 있는데, 예비여과조(38)에는 상부에 중간쇄석(46)을 충진하고 하부에 큰쇄석(47)을 충진하고, 여과조(39)에는 상부에 중간쇄석(46)을 충진하고 하부에 작은쇄석(48)을 충진하여 오수의 이동에 따라 오수속에 포함된 불순물 입자를 단계적으로 여과시킨다. 또한, 오수 정화조는 윗판, 벽판, 바닥판을 서로 분리하여 모퉁이에서 강결할 수 있도록 할수 있으며, 윗판에는 맨홀(51)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각각의 부패조 및 예비여과조 또는 여과조를 개별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 정화조를 사출 성형으로 통체로 제작하여 시공할 수 잇으므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 없이 굴착만으로 오수 정화조의 시공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재료 자체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반 및 시공성이 양호한 특징을 갖게되며, 또한 재료 자체적으로 방수처리 기능을 갖게되므로 방수시공이 불필요하고, 파손이나 훼손 등에 대한 누수에 대비할 수 있는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있고, 또한 오수의 처리에 있어서 오수의 흐름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단계적으로 오수를 처리하여 오수처리 효과를 크게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적합한 오수 정화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수 정화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오수 정화조의 전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판)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벽판 부위의 구성을 보인 평면 상세도이고, (b)는 슬래브 및 저판 부위의 구성을 보인 평면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정화조 구조물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정화조 구조물의 구성을 예로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정화조에 의한 오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오수정화조 31:수직홈형강
32:수평홈형강 33:벽체(판)
34:오수유입관 35a.35b.35c:격벽
36a.36b:도류벽 37:받침대
38:예비여과조 39:여과조
40:기초구조물 41:제1부패조
42:제2부패조 43:제3부패조
44a.44b:오수유동홈 45:살수통
46:중간쇄석 47:큰쇄석
48:작은쇄석 50:맨홀구멍
51:맨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오수 정화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지중에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그 굴착 공간에 설치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격벽과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부패조를 설치하고 그 부패조의 일측에는 여과조를 설치하여 부패되고 여과된 오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 시키는 오수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정화조는,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통체로 이루어지며, 수평 수직 토압에 대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 홈형강을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오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와,상기 부패조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다음 부패조로 넘겨주는 도류벽과, 상기 부패조로부터 처리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해 최종 부패조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예비여과조와, 상기 예비여과조로부터 여과되어 넘겨진 오수를 재여과하기 위해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해 오수를 배수 시키기 위해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구성된 받침대와 벽체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구성된 배수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류벽은, 상기 부패조의 내부 모서리를 따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조.
  4. 오수 정화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지중에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그 굴착 공간에 설치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격벽과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부패조를 설치하고 그 부패조의 일측에는 여과조를 설치하여 부패되고 여과된 오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 시키는 오수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정화조는,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통체로 이루어지며, 수평 수직 토압에 대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 홈형강을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오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와,상기 부패조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다음 부패조로 넘겨주는 도류벽과, 상기 부패조로부터 처리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해 최종 부패조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예비여과조와, 상기 예비여과조로부터 여과되어 넘겨진 오수를 재여과하기 위해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해 오수를 배수 시키기 위해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구성된 받침대와 벽체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구성된 배수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조는 예비여과조에서 유입된 오수를 여과조의 쇄석층 표면에 넘쳐 흐르게 하여 밑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살수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조.
  5. 오수 정화조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지중에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그 굴착 공간에 설치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격벽과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부패조를 설치하고 그 부패조의 일측에는 여과조를 설치하여 부패되고 여과된 오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 시키는 오수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오수 정화조는, 합성수지로 사전 성형 제작된 통체로 이루어지며, 수평 수직 토압에 대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둘레를 따라 수직,수평 홈형강을 구비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오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격벽으로 분활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부패조와, 상기 부패조의 내부 공간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오수를 다음 부패조로 넘겨주는 도류벽과, 상기 부패조로부터 처리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해 최종 부패조에 이웃하는 위치에 구성되며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예비여과조와, 상기 예비여과조로부터 여과되어 넘겨진 오수를 재여과하기 위해 내부상에 다수의 쇄석을 받침대로 지지하여 구비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를 통해 오수를 배수 시키기 위해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구성된 받침대와 벽체 사이 공간을 이격시켜 구성된 배수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예비여과조 및 여과조에 충진되는 쇄석은 알갱이 입자 크기에 따라 큰 쇄석과 중간쇄석 그리고 작은쇄석으로 구분하여 충진하되, 상기 예비여과조에는 상부에 중간쇄석을 충진하고 그 하부에 큰쇄석을 충진하며, 상기 여과조에는 상부에 중간쇄석을 충진하고 하부에 작은쇄석을 충진하여 오수의 이동에 따라 오수속에 포함된 불순물 입자를 단계적으로 여과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정화조.
KR10-2003-0065052A 2003-09-19 2003-09-19 오수 정화조 KR100537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52A KR100537414B1 (ko) 2003-09-19 2003-09-19 오수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52A KR100537414B1 (ko) 2003-09-19 2003-09-19 오수 정화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581A KR20050028581A (ko) 2005-03-23
KR100537414B1 true KR100537414B1 (ko) 2005-12-19

Family

ID=3738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052A KR100537414B1 (ko) 2003-09-19 2003-09-19 오수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4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273B1 (ko) * 2009-11-10 2012-12-20 이동준 오수처리시스템
KR20160141601A (ko) 2015-06-01 2016-12-09 최범규 정화조 자동 방역장치
RU216588U1 (ru) * 2022-12-30 2023-02-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коСтройИнвест" Накопительный септик для сбора стоков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273B1 (ko) * 2009-11-10 2012-12-20 이동준 오수처리시스템
KR20160141601A (ko) 2015-06-01 2016-12-09 최범규 정화조 자동 방역장치
RU216588U1 (ru) * 2022-12-30 2023-02-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коСтройИнвест" Накопительный септик для сбора сток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581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4516B2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US10626580B2 (en) Honeycomb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US4824287A (en) Septic system
CN110805022B (zh) 一种电渗井点配合井点降水的泥浆固化处理装置及方法
US11220815B2 (en)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AU2010273166A1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KR100537414B1 (ko) 오수 정화조
KR102234349B1 (ko) 가변형 루프 드레인
CN104328836B (zh) 一种环保型预制双箱深孔式排水井及其施工方法
KR20060115938A (ko) 우수 저류조 시공 공법 및 그 우수 저류조 구조
US11952767B2 (en)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WO2007016721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CN111335442B (zh) 一种大型整体式检查井及其制备方法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KR100922624B1 (ko) 콘크리트정화조용 프리캐스터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정화조의 시공방법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70047925A (ko) 합성구조 우수토실 시공공법 및 그 구조물
KR20030026173A (ko) Frp 박스암거의 시공방법 및 구조
RU2801091C1 (ru) Дренажно-фильтрующее ще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воживания жидких шламов (варианты)
RU2789579C2 (ru) Дренажно-фильтрующее ще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воживания жидких шламов, образующихся на очистных сооружениях в процессах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варианты)
CN212689131U (zh) 一种模块组合式给排水系统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CN214739575U (zh) 一种网状排水结构及地面排水系统及地板结构
CN111270708B (zh) 一种集水坑渗漏封堵装置及集水坑渗漏封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