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824A -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 - Google Patents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824A
KR20040066824A KR10-2004-7007546A KR20047007546A KR20040066824A KR 20040066824 A KR20040066824 A KR 20040066824A KR 20047007546 A KR20047007546 A KR 20047007546A KR 20040066824 A KR20040066824 A KR 2004006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gas
flint
ignition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람 웅
Original Assignee
치 람 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01254775.1U external-priority patent/CN2519140Y/zh
Priority claimed from CNB02110656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0398909C/zh
Priority claimed from CNB021375275A external-priority patent/CN1308622C/zh
Application filed by 치 람 웅 filed Critical 치 람 웅
Publication of KR2004006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23Q2/50Protecting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1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with frictio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5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with more than one fl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으로 저장된 가연성 가스와 연관된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일종의 방풍 라이타를 사용한다.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는, 지지 프레임을 갖는 하우징, 배출구 밸브를 갖는 연료 콘테이너, 상기 연료 콘테이너의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 작용하는 배출구 조절 레버,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서 가스 전환 통로에 연결되고, 필터, 적어도 하나의 신속 유동 노즐, 가스 혼합실, 단일 전환 노즐, 연소실로 구성된 방풍 어셈블리, 상기 연소실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를 포함하는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상기 연소실의 측면에 위치된 부싯돌 점화 구조물, 상기 연소실과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 사이 또는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의 일측에 제공된 촛불 불꽃 배출구, 상기 배출구 밸브와 상기 신속 유동 노즐 사이에 제공된 제 2 가스 전환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스 전환 통로는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강한 방풍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연소실의 상기 신속 유동 노즐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는 불꽃을 만들어 내도록 상기 촛불 불꽃 노즐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며,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점화 휠, 상기 점화 휠과의 마찰후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싯돌, 상기 점화 휠에 대하여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낮고, 상기 신속 유동 노즐의 중앙 최소 공극의 직경은0.05㎜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Windproof Lighter with Flint Igniter}
현재, 액상으로 저장된 가연성 가스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방풍 라이타들은 다음의 구성부품: a) 하우징, b) 가스 배출밸브를 갖는 연료 콘테이너, c) 연료 콘테이너의 배출밸브에 작용하기 위한 가스배출 조절레버, d) 노즐, 가스 혼합실, 전환 노즐 및 연소실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 배출밸브에 연결된 방풍 어셈블리, e) 점화 외이어들을 갖는 전기 점화기로 이루어진다.
방풍 라이타들은 주로 강력한 방풍성, 높은 연소온도와 신속한 점화와 같은 장점들을 갖는데, 이것은 복잡한 구조와 구성부품들의 높은 정밀도로부터 얻어지며, 그 작동과정에 따르면 배출밸브로부터 나온 연료가스가 노즐의 최소 공극을 통과하여 가스 혼합실 내에서 강한 원자화 유동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유동은 높은 온도의 강력한 방풍 토치 불꽃을 형성하도록 전환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이때,원자화 유동의 점화는 충격 또는 유도 타입의 와이어를 이용한 전자 점화 방식이다. 그러나, 그러한 전기 점화기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전기 점화의 횟수가 극단적으로 제한된다. 즉, 2,000 내지 3,000번의 점화후에는 효과적인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한 라이타들중 몇몇에 있어서, 점화횟수가 5,000회 이상 되기도 하지만, 제조비용이 높고 한번 사용하게 되면 폐기하여야만 한다. 2) 연소실은 전자 점화수단의 스파크 생성지점이 일정한 거리와 높이로 전환 노즐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점화성공율이 낮거나 또는 라이타가 점화되지않는 경우에 점화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격된 거리와 높이에 대한 미묘한 요구조건으로 인하여, 제품 조립공정중의 허용율이 낮아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3) 전자 점화기는 고무나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피복된 도전체 와이어를 구비하여야하며, 라이타를 장시간 동안 켜는 경우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피복된 도전체 와이어의 일부분이 연소실 내에서 용융될 수 있는 고온이 방풍 연소실 내에 조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아서 점화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4) 도전체 와이어의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는 조립 공정동안에 절단되거나 당겨져서 열릴 수 있는데, 이것은 전기적 누설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싯돌 점화를 이용하는 촛불(불꽃) 라이타들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이들의 배출구 밸브는 연소 헤드로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불꽃을 점화시키는데 있어서 요구조건이 적고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작동과정에 있어서, 부싯돌과 점화휠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분말은 스파크를 생성하여 연소 헤드에 불을 붙이며, 배출구 밸브들이 큰 포트들과 간단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포트들 내로 떨어지는 분말은 그 내부에 블록을 형성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에 의해서 발생된 불꽃이 약화됨에 따라서, 개방된 공기중에서 물품에 불을 붙이기가 어렵고, 특히 단단하거나 두꺼운 담배에 불을 붙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어렵다. 그러나, 만일 불꽃 라이타의 부싯돌 점화구조가 연소 헤드로서 사용될 상기 방풍 어셈블리에 적용되면, 부싯돌과 점화휠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분말로 인하여 분산성 스파크가 발생하므로, 사용중에 있어서 분말은 전환 노즐 내로 떨어져서 노즐의 통로를 좁히거나 노즐의 작은 공극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각각의 점화시 강한 방풍 토치 불꽃의 형성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안정한 양질의 방풍 라이타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점화기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싯돌 점화기를 가지며 액상으로 저장된 가연성 가스를 연료로서 사용하는 일종의 방풍 라이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풍 라이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버튼과 활주 블록이 분리 배열된 차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풍 라이타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가스 배출구 조절레버가 하우징 내에 있는 헤드 커버를 거쳐서 작동하는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하우징, 11은 지지 프레임, 110은 지지 프레임의 상부, 2는 연료 콘테이너, 21은 가스 박스, 22는 유입구 가스 밸브, 23은 배출구 밸브, 23'은 제 2 배출구 가스 밸브, 230은 가스 배출구 조정 기구, 230'은 제 2 가스 배출구 조정 기구, 231은 가스 전환 통로, 232은 제 2 가스 전환 통로, 3은 배출구 가스 조절 레버, 3'는 제 2 배출구 가스 조절 레버, 31은 배출구 가스 버튼, 4는 방풍 어셈블리, 41은 필터, 42는 신속 유동 노즐, 43은 가스 혼합실, 44는 전환 노즐, 45는 연소실, 451은 연소실의 배출 포트, 46은 방풍 와이어, 5는 점화기, 51은 부싯돌 점화 구조물, 52는 촛불 불꽃 배출구, 520은 촛불 불꽃 배출구의 포트, 521은 가스 제한 구조물, 522는 덮개편, 523은 밀봉편, 524는 구멍, 525는 밀봉 링, 526은 촛불 배출구의 유입 포트, 511은 점화 휠, 5112는 보조 휠, 512는 부싯돌, 5121은 부싯돌의 점화단부, 53은 스프링 수단, 6은 활주 블록, 7은 버튼, 71,72는 리셋 스프링, 8은 분리 구조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들중 하나는 부싯돌 점화 구조물 및 촛불 불꽃 배출구로 이루어진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부싯돌 점화기 구조물은 촛불 불꽃 배출구로부터 연료가스에 불을 당기는 스파크를 생성하고 이를 불꽃으로 전환시키는데, 이 불꽃은 고온의 강한 방풍 토치 불꽃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방풍 어셈블리의 연소실에서 연료 가스를 점화시키게 된다. 상기 부싯돌 점화기 구조물의 부싯돌의 점화단부가 연소실의 배출구나 다른 지지 프레임 보다 낮기 때문에, 스파크 발생시 부싯돌에 의해서 발생된 분말에 의해 전환노즐들이나 신속 유동 노즐들의 막힘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방풍 라이타의 사용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촛불 불꽃과 방풍 불꽃을 적합한 상태로 제공하도록 단일 가스 배출구 밸브 구조물을 갖는 촛불 불꽃 배출구 내에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이 설치된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스 유동을 방풍 어셈블리와 촛불 불꽃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작동 버튼과 활주 블록을 포함하는 부싯돌 점화기를 방풍 라이타에 구비함으로써, 방풍 어셈블리로부터 나오는 방풍 토치 불꽃과 촛불 불꽃 배출구로부터 나오는 불꽃을 따로따로 또는 동시에 발생시키는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 2 가스 전환 통로와 촛불 불꽃 배출구 내에 밀봉가능하고 개봉 가능한 덮개를 갖는 부싯돌 점화기를 방풍 라이타에 구비함으로써, 방풍 어셈블리로부터 나오는 방풍 토치 불꽃과 촛불 불꽃 배출구로부터 나오는 불꽃을 따로따로 또는 동시에 발생시키는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싯돌 파편이 가스 혼합 실내로 떨어지는 것을 보다 양호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방풍 조립체의 가스 혼합실와 촛불 불꽃 배출구 사이에 분리 구조물이 설치된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소실의 고온이 라이타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방풍 라이타 하우징의 지지 프레임과 연소실이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판중인 라이타의 원래 디자인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부싯돌 점화기를 구비한 방풍 라이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는, 지지 프레임을 갖는 하우징, 가스 배출구를 갖는 연료가스 콘테이너, 상기 연료가스 콘테이너의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 작용하는 배출구 조절레버,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서 가스 전환 통로에 연결되고, 필터, 적어도 하나의 신속 유동 노즐, 가스 혼합실, 단일 전환 노즐, 연소실로 구성된 방풍 어셈블리, 상기 연소실에서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를 포함하는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상기 연소실의 측면에 위치된 부싯돌 점화 구조물, 상기 연소실과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 사이 또는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의 일측면에 제공된 촛불 불꽃 배출구, 상기 배출구 밸브와 상기 신속 유동 노즐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촛불 가스 배출구에 연결된 제 2 가스 전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점화 휠, 상기 점화 휠과의 마찰에 의해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싯돌 및 상시 부싯돌의 일단부를 상기 점화 휠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한다. 부싯돌 분말이 상기 연소실 내로 떨어지고 상기 전환 노즐 통로를 봉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낮다. 상기신속 유동 노즐의 중앙 최소 공극의 직경은 0.05㎜ 내지 0.15㎜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배출구 밸브로부터 나온 가스 유동은 상기 신속 유동 노즐을 통과한 후에 강한 흩뿌림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스 혼합실 내의 가스와 혼합된다. 또한, 전환 노즐로 하여금 강한 가스 유동을 발생시키게 하고 고온의 강한 방풍 토치 불꽃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풍 라이타에서는, 제 2 가스 배출구 밸브에 제 2 가스 배출구 조절레버가 구비되고,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상기 연소실의 측면에 위치된 부싯돌 점화 구조물, 상기 연소실과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 사이 또는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의 일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스 배출구 밸브에 연결된 촛불 불꽃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점화 휠, 상기 점화 휠과의 마찰에 의해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싯돌 및 상시 부싯돌의 일단부를 상기 점화 휠에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한다. 부싯돌 분말이 상기 연소실 내로 떨어지고 상기 전환 노즐 통로를 봉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낮다. 상기 신속 유동 노즐의 중앙 최소 공극의 직경은 0.05㎜ 내지 0.15㎜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배출구 밸브로부터 나온 가스 유동은 상기 신속 유동 노즐을 통과한 후에 강한 흩뿌림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스 혼합실 내의 가스와 혼합된다. 또한, 전환 노즐로 하여금 강한 가스 유동을 발생시키게 하고 고온의 강한 방풍 토치 불꽃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지지 프레임(11)을 갖는 하우징(1), 배출구 밸브(23)를 갖는 가스 콘테이너(2), 액체 연료를 재충전하기 위한 유입구 밸브(22)(포함될 것이다), 가스 콘테이너(2)의 배출구 밸브(23)에 작동하는 배출구 조절 레버(3), 배출구 밸브(23)의 가스 전환 통로(231)에 연결되고, 필터(41), 신속 유동 노즐(42), 가스 혼합실(43), 전환 노즐(44) 및 연소실(45)로 구성된 방풍 어셈블리(4), 연소실(45)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5), 연소실(45)의 상부에 설치된 방풍금속 와이어(46)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기(5)는 연소실(45)의 측면에 위치된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을 포함하고, 연소실(45)과 부싯돌 점화 구조물(51) 사이에 제공된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포함한다.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는 배출구 밸브(23)와 방풍 어셈블리(4) 사이에 제공되어 촛불 불꽃 배출구(52)에 연결되며,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521), 즉 빽빽한 다중 공극(521)을 갖는 스폰지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다중 가스 통로에 대하여, 연료 가스는 항상 큰 직경을 갖는 통로 쪽으로 유동하도록 선택되며, 방풍 조립체(4)에 있는 신속 유동 노즐의 최소 공극들의 직경이 0.05㎜ 내지 0.15㎜이므로, 배출구 밸브(23)로부터 나온 연료가스의 유동이 방풍 구조물(4)과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향하도록 전환되는 경우, 가스의 대부분은 촛불 불꽃 배출구(52)로 들어가서 불꽃으로 점화된다. 이때, 방풍 어셈블리(4)는 단지 불충분한 가스를 가지며, 이것은 방풍 토치 불꽃을 만들어내지 못하게 된다. 적당한 방풍 토치와 방풍 토치를 발생시키기 위한 불꽃을 얻기 위하여, 유동 분배를 위한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521)이 촛불 불꽃 배출구(52)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촛불 불꽃 배출구(52)의 중간 구간이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521)(도 7 참조)을 형성하도록 좁혀지거나, 또는 촛불 불꽃 배출구(52)로부터 나오는 가스 유동을 제한하고 방풍 어셈블리(4)를 향하는 가스 유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신속 유동 노즐(42)(도 8참조)과 유사하게, 촛불 불꽃 배출구(52)가 0.05㎜ 내지 0.2㎜ 범위의 바람직한 직경을 갖는 소형 공극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점화 휠(511), 점화 휠(511)과의 마찰후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싯돌(512), 점화 휠(511)의 거친 면에 대하여 부싯돌(512)의 점화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53)을 포함한다. 스프링(53)으로 인하여, 부싯돌(512)의 점화 단부는 점화 휠(511)의 거친 면과 접촉하도록 아래로 눌려지고, 부싯돌(512)과 점화 휠(511)의 거친 면 사이의 접촉지점은 점화 단부로서 언급된다. 하우징(1)의 커버(12)가 개방되는 경우, 배출 조절 레버(3)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배출 밸브(23)를 개방시킨다.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521)의 작용으로 인하여, 일부 가스가 가스 전환 통로(231)를 유동하여 가스 내의 불순물과 그리스를 제거하도록 치밀한 메쉬의 필터(41) 내로 들어간다. 그리하여, 불순물이나 그리스가 신속 유동 노즐(42) 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신속 유동 노즐(42)의 최소 공극들이 차단된다. 그러면, 여과된 가스는 0.05㎜ 내지 0.15㎜ 범위의 직경을 갖는 소형 공극들의 신속 유동 노즐(42) 내로 들어간다. 노즐로부터 점화된 가스는 혼합된 강력한 연료 가스를 발생시키도록 가스 혼합실 내에서 가스와 혼합된다. 혼합된 연료가스는 강력하고 안정된 방풍 가스를 형성하도록 연소실(45)의 전환 노즐(44)로부터 나온다. 반면에, 다른 일부 가스들은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를 통과하여 촛불 불꽃 배출구(52)의 배출구로부터 나온다. 점화 휠(511)이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 점화 휠(511)의 거친 면과 부싯돌(512) 사이의 마찰은 분산성 스파크를 발생시키며, 촛불 불꽃 배출구(520)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켜서 불꽃을 생성한다(그러므로, 방풍 토치 불꽃의 점화기(5)가 형성된다). 이때, 이 불꽃은 고온의 강한 방풍 불꽃을 생성하도록 방풍 어셈블리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킨다. 본 발명의 키 구조물들(key structures)중 하나는 부싯돌(512)의 점화 단부(5121)가 연소실(45)의 배출구나 지지 프레임(11)의 단부(110) 보다 낮다는 것이다. 이것은 부싯돌(512)로부터 나온 분말이 방풍 어셈블리(4)의 연소실(45) 내로 떨어져서 전환 노즐(44)이나 신속 유동 노즐(42)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프레임(11)의 상부(110)는 부싯돌(512)(도 9 참조)의 점화 방향에 대응하는 지지 프레임(11)의 상부 지점을 의미한다. 양호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싯돌(512)의 점화 단부(5121)는 연소실(45)의 배출구(451)이나 지지 프레임(11)의 상부(110) 보다 적어도 3㎜ 낮게 만들어진다.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이 스파크를 촛불 불꽃 배출구의 포트(520)로 보내고 부싯돌(512)로부터 나온 분말이 방풍 어셈블리(4)의 연소실(45) 내로 떨어져서 전환 노즐(44)이나 신속 유동 노즐(42)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구조물(8)이 방풍 어셈블리(4)의 가스 혼합실(43)과 촛불 불꽃 배출구(52) 사이에 제공된다. 촛불 불꽃 배출구(52)는 연소실(45)의 배출구 포트(451) 보다 낮다. 그리하여, 촛불 불꽃 배출구의 포트(52)로부터 나온 불꽃은 측면에서 방풍 토치를 쉽게 점화시킨다. 커버(12)가 폐쇄되는 경우, 배출구 조절 레버(3)는 방풍 토치와 불꽃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가스 밸브(23)를 폐쇄시키도록 릴리스 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가스 유동을 위해서 촛불 불꽃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활주 블록(6)이 촛불 불꽃 배출구(52)의 측면에 제공된다. 일부 촛불 불꽃 배출구(52)는 활주 블록(6)의 용이한 가압을 위해서 가요성 튜브로 제조된다. 버튼(7)이 하우징(1)의 측면에 제공된다. 활주 블록(6)과 버튼(7)은 일체화된다. 리셋 스프링(71)이 활주 블록(6)과 하우징(1) 사잉 배열된다. 배출구 조절 레버(3)의 일단부는 버튼(7) 아래에 위치한다. 사람이 손가락으로 점화 휠(511)을 빠르게 회전시키는 경우, 점화 휠(511)의 거친 표면과 점화 단부(5121) 사이의 빠른 마찰에 의해서 분산성 스파크가 발생한다. 한편, 버튼(7)은 배출구 조절 레버(3)를 더한층 아래로 가압하기 위해서 아래로 눌려진다. 그러면, 배출구 조절 레버(3)는 배출구 밸브(23)로 하여금 가스를 방출하게 만든다. 가스는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를 통해서 이동하여 촛불 불꽃 배출구(52) 내로 들어가서 배출구(520)로부터 나온다. 그런 다음, 분산성 스파크에 의해서 점화된다. 그러므로, 방풍 토치의 점화기(5)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푸쉬 버튼(7)은 내부를 향하게 되고, 활주 블록(6)은 촛불 불꽃 배출구(52)으로부터 나오는 가스를 밀봉하도록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순잔적으로 가압하며, 가스 유동으로 하여금 가스 전환 통로(231)로 유동하게 한다. 그러면, 가스는 연소실(45)의 전환 노즐(44)로 강력하고 안정된 혼합 가스를 제공하도록 방풍 어셈블리(4)로 제공되며, 측면에서 불꽃에 의해 고온의 강한 방풍 불꽃으로 점화된다. 사람이 손가락을 빼면, 리셋 스프링(71)은 촛불 불꽃 배출구(52)로부터 활주 블록(6)이 멀어지도록 당기며, 버튼(7)이 촛불 불꽃 배출구의 작용으로 원위치하게 한다. 그러면, 방풍 토치와 불꽃이 없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촛불 불꽃 배출구(520)로부터 방풍 어셈블리(4)로의 가스전달원리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다. 가스의 전달은 촛불 불꽃 배출구의 개폐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4와 도 2 사이의 가스 전달 차이는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와 촛불 불꽃 배출구(52) 사이에 덮개편(covering piece)(522)이 제공된다는 점에 있다. 덮개편(522)와 촛불 불꽃 배출구(52)는 일체화된다. 밀봉편(523)이 제 2 가스 유동통로(232)의 배출구에 제공된다. 구멍(524)은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의 측벽에 형성된다. 구멍(524)의 아래에는 덮개편(522)으로 밀봉되는 밀봉 링(525)이 배치된다. 점화 휠(511)이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부싯돌의 점화 단부(5121)는 분산성 스파크를 생성하는 반면에, 배출구 가스 버튼(31)은 배출구 조절 레버(3)로 하여금 가스를 배출하도록 배출구 밸브(23)를 상승시키도록 아래로 이동한다. 그러면, 가스는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524)을 통과한후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와 덮개편(522) 사이의 간격을 지나서 촛불 불꽃 배출구 포트(520)로 이동한다. 가스는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에 의해서 불꽃으로 점화된다. 그러므로, 방풍 점화기(5)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계속해서 배출구 가스 버튼(31)을 아래로 누르면, 배출구 가스 밸브(23)는 윗쪽으로 더 이동된다. 제 2 가스 통로(232)에 있는 티(T)형상의 밀봉편(523)은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와 덮개편(522) 사이에서 촛불 배출구(526)의 입구와 밀봉 링(525)을 차단하고, 배출구 가스 밸브(23) 상에서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에 있는 가스를 제 1 가스 통로(231)쪽으로 유동하게 하도록 가스 유동을 차단하며, 이때 가스는 연소실(45)에서 강한 혼합 가스를 형성하도록 방풍 어셈블리(4) 내로 들어간다. 이때, 촛불 불꽃 배출구의 포트(520)에서 발생하는 불꽃은 고온의 강한 방풍 토치를 형성하도록 연소실(45)에서 방풍 가스를 점화시킨다.
도 5 및 6에 도시된 구조물은 도 2 및 3에 도시된 구조물과 유사하며, 단지 버튼(7)과 활주 블록(6)이 서로 분리된 것이 다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여기에서는 배출구 조절 레버(3)의 일단부가 하우징(1)의 커버(12)의 일단에 연결된다. 커버(12)가 개방되는 경우, 커버(12)에 일단부가 연결된 배출구 조절 레버(3)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배출구 밸브(23)를 개방시킨다. 버튼(7)이 하우징(1)의 측면에 제공된다. 활주 블록(6)과 버튼(7)은 일체로 형성된다. 리셋 스프링(72)은 작동후에 버튼(7)이 부드럽게 리셋되도록 하기 위하여 버튼(7)의 측면과 하우징(1) 내부에 제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방풍 어셈블리(4)와 배출구 가스 밸브(23)가 함께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1)의 지지 프레임(11)과 방풍 어셈블리(4)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점화 휠(511)이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점화 휠(511)의 거친 면과 부싯돌의 점화 단부(5121) 사이의 빠른 마찰로 인하여 분산성 스파크가 생성된다. 배출구 조절 레버(3)로 하여금 가스를 배출하도록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배출구 밸브(23)를 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520)은 배출구 가스 밸브(23)로부터 나온 가스가 방풍 어셈블리(4)와 촛불 불꽃 배출구(52)로 적절히 분산되게 한다. 그러면, 분산성 스파크는 촛불 불꽃 배출구의 포트(520)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점화시켜 불꽃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방풍 점화기(5)가 형성된다. 한편, 불꽃은 고온의 강한 방풍 토치를 형성하도록 방풍 어셈블리(4)에서 가스를 점화시킨다. 지지 프레임(11)과 방풍 어셈블리(4)가 분리가능하게 배열된 구조물이므로, 방풍 어셈블리(4)에서의 방풍 토치의 열은 하우징(1)의 지지 프레임(11)에 전달되기 어렵고, 그리하여 사용자는 방풍 프레임에 의해서 화상을 입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배출구 조절 레버(3)가 배출구 가스 밸브(23)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활주 블록(5)은 배출구 조절 레버(3) 상에 설치된다. 점화 휠(511)이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점화 휠(511)의 거친 면과 부싯돌의 점화 단부(5121)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분산성 스파크가 생성된다. 배출구 조절 레버(3)로 하여금 가스를 배출하도록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배출구 밸브(23)를 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대부분의 가스는 제 2 가스 전환 통로(232)와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통과한후 촛불 불꽃 배출구의 포트(520)로 배출되고,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에 의해서 불꽃으로 점화된다. 그러므로, 방풍 점화기(5)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배출구 조절 레버(3)를 안쪽으로 누르면, 배출구 조절 레버(3) 상에 고정된 활주 블록(6)이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폐쇄하도록 촛불 불꽃 배출구(52)의 연질 재료를 부분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배출구 가스 밸브(23)로부터 나온 가스는 방풍 어셈블리(4)에 혼합 가스(점화기(5)에 의해서 점화되는)를 제공하도록 가스 전환 통로(231)로 이동된다. 그러면, 방풍 빛은 강한 방풍 토치를 발생시키고, 촛불 불꽃 배출구(52)에서 가스가 전달된 후에 불꽃이 소멸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점화기(5)는 연소실(45)의 측면에 제공된 부싯돌 점화 구조물(51) 및 부싯돌 점화 구조물(51) 상에 제공된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포함한다.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은 점화 휠(511), 부싯돌(512), 스프링(53) 또는 점화 휠(511)의 중앙축에 연결된 보조 휠(511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라이타를 사용하는 경우, 점화휠(511)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으로 보조 휠(5112)을 작동시킨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라이타는, 지지 프레임(11)을 갖는 하우징(1), 배출구 밸브(23)를 갖는 가스 콘테이너(2), 배출구 밸브(23) 상에 위치된 가스 전환 통로(231), 배출구 밸브(23) 상에 있는 가스 전환 통로(231)와 연결되고 필터(41), 신속 유동 노즐(42), 가스 혼합실(43), 전환 노즐(44), 연소실(45)로 구성된 방풍 어셈블리(4), 연소실(45)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5)를 포함한다. 연소실(45)은 상부에 제공된 방풍 재료 와이어(46)를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가스 콘테이너(2)에 제공된 제 2 배출구 밸브(23')가 위치하고 제 2 배출구 조절 레버(3')가 그 위에 배치된다. 점화기(5)는 연소실(45)의 측면에서 부싯돌 점화 구조물을 포함하고, 연소실(45)과 부싯돌 점화 구조물(51) 사이에 제공된 촛불 불꽃 내출구(52)를 포함한다. 가스 전환 통로(232')는 제 2 배출구 밸브(23')와 촛불 불꽃 배출구(52) 사이에 배치된다. 촛불 불꽃 배출구(52)는 가스 전환 통로(232')를 통해서 제 2 배출구 밸브(23')와 연결되고, 촛불 불꽃 배출구(52)는 연소실(45)의 배출구보다 낮다. 그리하여, 촛불 불꽃 배출구(52)에 의해서 발생된 불꽃은 측면에서 방풍 토치를 쉽게 점화시킨다.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점화 휠(511), 점화 휠(511)과의 마찰후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싯돌(512), 점화 휠(511)의 거친 면에 대하여 부싯돌(512)의 점화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53)을 포함한다. 촛불 불꽃 배출구(52)의 측면상에서, 촛물 불꽃 배출구(52)의 가요성 부분을 개폐시키기 위한 활주 블록(6)이 위치되고, 버튼(7)이 하우징(1)의 측면에 제공된다. 활주 블록(6)과 버튼(7)은 일체로 또는 분리하여(도 5 참조) 형성되며, 리셋 스프링(72)은 버튼(7) 상에 제공된다. 커버(12)가 개방되는 경우, 커버(12)의 일단부는 배출 조절 레버(3)를 들어올리며, 배출 조절 레버(3)에 연결된 제 2 배출 조절 레버(3')는 배출 밸브(23) 및 제 2 배출 밸브(23')로 하여금 가스를 배출시키게 한다. 방풍 어셈블리(4)에서 신속 유동 노즐(42)의 최소 공극들의 직경은 0.05㎜ 내지 0.15㎜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가스 유동에 대하여 어느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촛불 불꽃 배출구(52)는 가스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큰 구멍을 갖는다. 그래서, 대부분의 가스는 배출구 밸브(23')로부터 나와서 촛불 불꽃 배출구(52)로 들어가며, 배출구(520)에서 가스 유동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점화 휠(511)을 빠르게 회전시키는 경우, 점화 휠(511)의 거친 면과 부싯돌(512) 사시의 마찰은 분산성 스파크를 발생시키며 촛불 불꽃 배출구(520)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켜서 불꽃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방풍 토치 불꽃의 점화기(5)가 형성된다. 그런후에, 버튼(7)이 촛불 불꽃 배출구(52)를 순간적으로 가압함에 따라서 촛불 불꽃 배출구(52) 내에서의 가스 유동이 차단되고, 가스는 배출구 밸브(23)쪽으로 유동하여 방풍 어셈블리(4)내로 들어가서 연소실(45)의 전환 노즐(44)에 강하고 안정적인 혼합 가연성 가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고온의 강한 방풍 토치를 형성하도록 측면에서 불꽃에 의해 점화된다. 이와 동시에, 불꽃은 꺼진다. 본 발명에 따른 키 구조물들중 하나는 부싯돌(512)의 점화 단부(5121)가 연소실(45)의 배출구(451) 보다 낮거나 또는 지지 프레임(11)의 상단부(110) 보다 낮다는 것이다. 그리하여,부싯돌(512)이 촛불 불꽃 배출구로 스파크를 보낼때 전환 노즐(44)이나 신속 유동 노즐(42)을 차단하게될 부싯돌(512')의 분말이 방풍 어셈블리(4)의 연소실(45) 내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 프레임(11)의 상단부(110)는 부싯돌(512)(도 9 참조)의 점화 방향에 대응하는 지지 프레임(11)의 최고점을 언급한다. 만일 부싯돌(512)의 점화단부(5121)가 연소실(45)의 배출구(451) 또는 지지물(11')의 상단부(110) 보다 3㎜ 또는 그이하로 낮게 만들어지면 양호한 결과가 달성된다. 분리 구조물(8)은 방풍 어셈블리(4)의 가스 혼합실(43)과 촛불 불꽃 배출구(52) 사이에 제공되며,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이 촛불 불꽃 배출구 포트(520)로 스파크를 보내고 가스 혼합실(43) 내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신속 유동 노즐(42)의 최소 공극들을 차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싯돌 점화 구조물(51)은 불꽃과 빛을 발생시키도록 촛불 불꽃 배출구(52)에서 가스를 점화시킨다. 작동과정에 있어서, 불꽃과 방풍 토치는 동시에 존재한다. 상기한 것들의 주된 이유는 가스 배출구 조정 기구(230)가 배출구 밸브(23)의 통로를 크게할 수 있고, 가스 배출구 조정 기구(230')는 제 2 배출구 밸브(23')의 통로를 좁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방풍 어셈블리(4)와 촛불 불꽃 배출구(52)에서의 가스 분배를 균등하게 만들며, 또한 불꽃과 방풍 토치가 동시에 일어나게 한다.
도 12와 마찬가지로, 도 13을 참조하면, 이들의 차이는 배출 밸브(23)의 배출구 조정 기구가 커버(12)의 일단부에 단부를 통하여 연결된다는 것이다. 커버(120가 개방되는 경우, 배출구 밸브는 가스를 배출시킨다. 제 2 배출구밸브(23')의 제 2 배출구 조정 기구(3')가 하우징(1)의 측면에서 배출구 버튼(31)과 연결된다. 배출구 버튼(31)이 눌려지는 경우, 제 2 배출구 컨트롤러(3')는 제 2 배출구 밸브(23')를 들어올려서 가스를 배출시킨다.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동등한 기술적인 해법들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8)

  1. 지지 프레임을 갖는 하우징, 배출구 밸브를 갖는 연료 콘테이너, 상기 연료 콘테이너의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 작용하는 배출구 조절 레버,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서 가스 전환 통로에 연결되고, 필터, 적어도 하나의 신속 유동 노즐, 가스 혼합실, 단일 전환 노즐 및 연소실로 구성된 방풍 어셈블리, 상기 연소실에서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를 포함하는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상기 연소실의 측면에 위치된 부싯돌 점화 구조물, 상기 연소실과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 사이 또는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의 일측에 제공된 촛불 불꽃 배출구, 상기 배출구 밸브와 상기 신속 유동 노즐 사이에 제공된 제 2 가스 전환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스 전환 통로는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강한 방풍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연소실의 상기 신속 유동 노즐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는 불꽃을 만들어 내도록 상기 촛불 불꽃 노즐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며,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점화 휠, 상기 점화 휠과의 마찰후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부싯돌, 및 상기 점화 휠에 대하여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낮고, 상기 신속 유동 노즐의 중앙 최소 공극의 직경은 0.05㎜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적어도 3㎜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의 입구는 상기 연소실의 상기 배출구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에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은 0.05 내지 0.20㎜의 직경을 갖는 최소 공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동 제한 구조물은 다중의 빽빽한 공극들을 갖는 유동 방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 유동에 대하여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활주 블록이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의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활주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활주 블록과 별도로 구성되는 작동 버튼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8. 제 7 항에 있어서, 리셋 스프링이 상기 스키드(skid) 또는 상기 버튼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 유동에 대하여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활주 블록이 상기 배출구 조절 레버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전환 통로와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 사이에 커버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스 전환 통로의 상기 배출구에는 밀봉편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스 전환 통로의 상기 측벽 상에는 구멍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를 밀봉하도록 상기 구멍의 아래에는 밀봉 링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어셈블리의 공기 혼합실와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 사이에는 분리 구조물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연소실과 상기 지지 프레임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3. 지지 프레임을 갖는 하우징, 단일 배출구 밸브를 갖는 연료 콘테이너, 상기 연료 콘테이너의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 작용하는 배출구 조절 레버, 상기 배출구 밸브 상에 위치된 가스 전환 통로, 필터, 적어도 하나의 신속 유동 노즐, 가스 혼합실, 단일 전환 노즐 및 연소실로 구성된 방풍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연소실에서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를 포함하는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측면에 위치된 부싯돌 점화기 구조물, 상기 연소실과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 사이 또는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의 일측에 제공된 촛불 불꽃 배출구, 상기 연료 콘테이너 내에 제공되고 제 2 배출구 조절 레버와 작동하도록구성된 제 2 배출구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출구 밸브의 상기 가스 전환통로는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부싯돌 점화 구조물은, 강한 방풍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연소실의 상기 신속 유동 노즐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는 불꽃을 만들어 내도록 상기 촛불 불꽃 노즐로부터 나온 가스를 점화시키며, 상기 부식돌 점화 구조물은 거친 테두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점화 휠, 상기 점화 휠과의 마찰후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부싯돌, 및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를 상기 점화 휠에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상기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낮고, 상기 신속 유동 노즐의 중앙 최소 공극의 직경은 0.05㎜ 내지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싯돌의 점화 단부는 상기 연소실의 배출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보다 적어도 3㎜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의 입구는 상기 연소실의 상기 배출구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6. 제 13 항에 있어서, 가스 유동에 대하여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활주 블록이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의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횔주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활주 블록과 별도로 구성되는 작동 버튼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7. 제 16 항에 있어서, 리셋 스프링이 상기 스키드(skid) 또는 상기 버튼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어셈블리의 공기 혼합실와 상기 촛불 불꽃 배출구 사이에는 분리 구조물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라이타.
KR10-2004-7007546A 2001-11-19 2002-11-18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 KR20040066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1254775.1U CN2519140Y (zh) 2001-11-19 2001-11-19 一种具有沙轮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CN01254775.1 2001-11-19
CNB021106568A CN100398909C (zh) 2002-01-22 2002-01-22 具有火石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CN02110656.8 2002-01-22
CN02137527.5 2002-10-18
CNB021375275A CN1308622C (zh) 2002-10-18 2002-10-18 具有火石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PCT/CN2002/000815 WO2003044432A1 (en) 2001-11-19 2002-11-18 Windproof lighter with flint igni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824A true KR20040066824A (ko) 2004-07-27

Family

ID=2717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546A KR20040066824A (ko) 2001-11-19 2002-11-18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46612A4 (ko)
JP (1) JP2005509838A (ko)
KR (1) KR20040066824A (ko)
AU (1) AU2002366054A1 (ko)
WO (1) WO2003044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3258B1 (en) * 2003-08-02 2004-08-10 Chi Lam Wong Windproof lighter
US6780006B1 (en) * 2003-08-02 2004-08-24 Chi Lam Wong Lighter
US7214055B2 (en) * 2003-11-10 2007-05-08 Zippo Manufacturing Company Colinear burner
DE202004001023U1 (de) * 2004-01-23 2004-04-15 Bleich, Jürgen Feuerzeugeinsatz zum Einsetzen in ein Feuerzeuggehäuse
IL160838A0 (en) * 2004-03-11 2004-08-31 Sagi Cochavi Dual head lighter
CN1304788C (zh) * 2005-04-26 2007-03-14 潘浩才 防风打火机
FR3068767B1 (fr) * 2017-07-07 2019-07-19 St Dupont Briquet apte a emettre deux flammes differentes en alternan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033A (en) * 1990-10-19 1991-10-08 Shan Lee Lighter device
GB2260602B (en) * 1991-10-14 1995-05-17 Kohga Press Kogyo Co Ltd Gas lighter having two burners
JPH07324747A (ja) * 1994-05-30 1995-12-12 Mikawa Shoji:Kk ガスライター
CN2386336Y (zh) * 1999-09-03 2000-07-05 欧海东 打火机
CN2519140Y (zh) * 2001-11-19 2002-10-30 王志林 一种具有沙轮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09838A (ja) 2005-04-14
EP1446612A1 (en) 2004-08-18
WO2003044432A1 (en) 2003-05-30
EP1446612A4 (en) 2007-11-21
AU2002366054A1 (en)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601A (en) Liquified gas kitchen lighter
US7335017B2 (en) Lighter with flint igniter
US5741128A (en) Hand gas torch
KR20040066824A (ko) 부싯돌 점화기를 갖는 방풍 라이타
US4920952A (en) Heat processing apparatus using liquified gas
US6589045B2 (en) Piezoelectric jet lighter for cigarette, cigar and pipe
US3255803A (en) Torch with igniter
US6699033B2 (en) Piezoelectric lighter for cigar, pipe, and cigarette
KR970001471B1 (ko) 2개의 버너를 가진 가스라이터
US5647738A (en) Jet type gas burner
JPH0350170B2 (ko)
US20020123017A1 (en) Piezoelectric lighter for cigar, pipe, and cigarette
GB2259755A (en) Double-flame cigarette lighter
KR100226322B1 (ko) 자동점화 가스절단기
KR200315509Y1 (ko) 점화장치가 구비된 가스절단기
CN1308622C (zh) 具有火石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JP7039405B2 (ja) 2つの異なる炎を交互に放出できるライタ
CN100398909C (zh) 具有火石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JP2545014B2 (ja) ガスライタ―用バ―ナ―ノズル
CN2573885Y (zh) 具有火石点火装置的防风打火机
JP2545016B2 (ja) ガスライタ―
CN2616816Y (zh) 一种多火焰打火机
JP2000186805A (ja) 炎形状切換手段を有するバーナー装置
JPH06109247A (ja) 2態様の燃焼形式を備えた喫煙用ライター
JP3670435B2 (ja) 予混合燃焼点火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