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391A -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391A
KR20040066391A KR1020030003432A KR20030003432A KR20040066391A KR 20040066391 A KR20040066391 A KR 20040066391A KR 1020030003432 A KR1020030003432 A KR 1020030003432A KR 20030003432 A KR20030003432 A KR 20030003432A KR 20040066391 A KR20040066391 A KR 2004006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purchase
item
stor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현
고무성
Original Assignee
서영현
고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현, 고무성 filed Critical 서영현
Priority to KR102003000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391A/ko
Publication of KR2004006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391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매장에서 회원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서비스 매장과,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 및 상기 서비스 매장의 회원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매장으로부터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하여 해당 물품 판매치를 누적하고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구매물품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고 당첨된 회원고객에서 혜택을 제공하는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TTERY OF PURCHASE GOODS IN STORE}
본 발명은 유통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장에서의 구매물품에 대한 추첨을 하기 위한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 및 네트워크 시대로 일컬어지는 요즈음은 예전에 비해 유통에서의 소비자 권리가 점점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각 온라인 및 오프라인 유통점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대고객 서비스와 함께 제품을 유통시키고 있다. 또한 요즈음은 온라인 상에서의 물품 구매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상에서의 물품 구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후 온라인 상에서의 물품 구매가 점차 확대된다 하더라도 오프라인상의 물품 구매는 다양한 형태로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 유통점에서의 대고객 서비스의 대표적인 일 예가 회원 점수제로서 회원이 구매한 물건에 대해서 소정의 점수를 부여해주고 그 점수가 정해진 기준치에 다다르면 그에 상응하는 경품이나 사이버 캐쉬 등 다양한 혜택을 회원 고객에게 되돌려주는 제도이다.
한편 백화점, 할인매장 및 일반 상점, 서점 등의 매장에서는 회원 고객도 있지만 비회원인 일반 고객도 많이 있어 경품 및 디스카운트(일정금액 환불 등등) 추첨을 통한 서비스를 주로 제공한다. 추첨을 통한 서비스 방법은, 해당물품(경품이 있는 물품) 및 특정 금액 이상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추첨권 등을 주고, 당일 또는 지정한 특정 날짜에 추첨을 해서 당첨번호와 같은 추첨권을 가지고 있는 고객에게 해당 사은품을 증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추첨자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고, 고객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추첨권이 분실되어, 또한 추첨자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설사 추첨이 되더라도 고객이 부주의하여 당첨이 무효화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추첨권을 받을 때에는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의 고객정보를 해당 용지에 일일이 기입하는 경우도 허다하게 발생되는 불편함도 따른다. 또한 우리가 일반적으로 저가로 구입하는 일일 생활용품 등의 물품에 대해서는 추첨권 등을 부여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통상 바겐세일 기간을 정하여 그 기간에는 가격을 할인하여 일시적으로 판매하는 방법을 택하든지, 부가 물품을 끼워서 판매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리고 만일 구매자가 한 명밖에 없다면 사실상 추첨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 그 구매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물품을 많이 사고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품이나 당첨금 등이 있는 물품의 경우 실제로 사용자가 물건을 충동구매하도록 자극할 수 있다. 그 예로 물품에 대한 판매 갯수를 정해놓고 그 물품을 구매하는 사람에게 그 물품에 대한 경품이나 금액이 당첨될 수 있는 확률을 미리 제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소비자는 표면적으로 제시된 확률(물품 2개중에 1개 당첨, 물품 10개중에 1개 당첨 등등)에 현혹되어 자신이 현재 필요하지않는 물건을 충동 구매할 수 있다. 즉 당첨이 되면 공짜로 물품을 얻거나 금액을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권의 경우 수십만분의 일, 수백만분의 일,등 당첨 확률이 낮지만, 물품을 구입함에 있어서 물품을 2개 구입하면 반드시 1개가 당첨되는 50% 확률이라면 자신에게 당장 필요없는 물건이라도 쉽게 충동구매가 일어 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매장에서의 구매자와 판매자간을 좀더 친근하게 연결시켜 판매 및 구매를 좀 더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매장에서의 회원고객의 구매물품에 대한 추첨 관리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을 구매하는 일반 구매자들에게, 물품의 종류, 가격, 수량, 날짜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경품 및 디스카운트(일정금액 환불 등)를 위한 추첨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원의 필요에 의해서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매장에서 구매한 각각의 물품에 대해서 기존과 같이 미리 당첨확률을 알고 높은 당첨확률등에 현혹되어 자신에게 당장 필요하지도 않은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건전하지 못한 구매패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신이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고 구매한 물품이 자연스럽게 추첨에 참여되어지게 할 수 있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장 계산대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4a,b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도 4의 206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의 사이트에 의해서 운영되는 회원 고객 홈페이지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7는 도 1의 개별 서비스 매장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8은 도 1의 가맹 서비스 매장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9는 회원고객 물품 구매 정보 포맷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별 서비스 매장 또는 가맹 서비스 매장에 의해서 운영되는 매장 사이트 전용 홈페이지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 8: 개별 서비스 매장
10: 가맹 서비스 매장 20: 제어 관리부
22: 홈페이지 26: 데이터베이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매장에서 회원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서비스 매장과,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 및 상기 서비스 매장의 회원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매장으로부터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하여 해당 물품 판매치를 누적하고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구매물품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고 당첨된 회원고객에서 혜택을 제공하는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판매를 위한 매장들과, 상기 매장들과 인터넷을 통해통신하며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위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서의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들중 구매물품 추첨 관리를 요구한 매장을 서비스 매장으로서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 및 상기 서비스 매장의 회원고객 정보를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매장으로부터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한 물품별 판매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판매를 위한 매장들과, 상기 매장들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며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위한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상기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업데이트된 회원고객 정보 및 당첨자 명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추첨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구매자의 구매물품 계산시 상기 회원고객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회원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자가 회원고객이면 회원고객의 해당 구매물품,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를 매장정보 및 회원고객정보와 함께 상기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가 추첨서비스 관리를 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추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고객에 관련된 추첨 정보를 상기 회원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판매를 위한 서비스 매장들과, 상기 서비스 매장들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며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관리하기 위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서의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들 및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등록 요구에 대응된 회원고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매장들 각각에서 회원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해당 구매물품,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 매장정보 및 회원고객정보를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각 서비스 매장에 의해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한 물품별 판매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고 추첨결과를 상기 서비스 매장들 각각 및 상기 홈페이지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매장들 각각에서 상기 수신된 추첨 결과를 해당 물품을 구매한 회원고객에게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부분의 할인매장 및 일반 상점, 서점 등의 오프라인상의 매장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물품들을 계산대에서 계산시 물품 봉지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거나 계산대 점원이 물품에 상응하는 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물품 및 그에 상응하는 금액을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를 좀더 개선 및 발전시켜서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 한하여 그 회원 고객이 구매한 물품을 계산대에서 계산을 하게 되면 인터넷상에 구현된 구매물품 관리 서버의 해당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각각의 물품정보를 저장한 다음, 차후 각각의 물품에 한해서 해당 물품의 일정 판매액 이상 또는 일정수량 이상 판매가 이루어지면, 그때까지 해당 물품을 구입한 회원고객들만을 대상으로 추첨을 하여 경품 및 일정한 금액을 디스카운트(일정금액 환불 등등)하는 추첨 시스템 및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서 일 예를 들어 상세히 후술될 것이지만 인터넷상의 온라인 매장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상에서의 매장들에는 생활 필수품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상기 매장에서의 물품 판매 관리는 나름대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구매자가 구매한 물품에 대해서 구매자에게 추첨을 통해 경품이나 구매물품 할인과 같은 혜택을 돌려주는 별도의 관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오프라인상의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가 원활히 서비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구매물품 추첨 관리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매장들중에서 어떤 매장이 대고객 서비스를 위해 구매물품 추첨 관리를 요청하게 되면,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6)의 관리자는 그 매장을 구매물품 추첨관리 위탁 서비스를 위한 매장(이하 "서비스 매장"이라 칭함)으로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다.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개별 서비스 매장(8)과 가맹 서비스 매장(10)으로 구분되어 서비스 매장이 등록된다. 상기 개별 서비스 매장(8)으로서 등록되는 서비스 매장은 자신 매장만 별도의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원함에 따라 등록되는 서비스 매장이고, 가맹 서비스 매장(10)으로서 등록되는 매장은 도 1에 도시된 복수개의 매장들(12,14,16)과 같이 여러 서비스 매장들이 가맹되어 구매물품 추첨 서비스하는 매장이다. 개별 서비스 매장(8)으로의 서비스 등록은 백화점이나 할인점, 대형 마트, 큰 규모의 인터넷 쇼핑몰과 같이 규모가 다소 큰 매장에서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맹 서비스 매장(10)으로의 서비스 등록은 체인점이나 소비자가 여러 매장들에서 해당 물품 구매를 해도 추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해주고자 하는 오프라인 및/또는 온라인 매장인 경우에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매장들(8,10)로서 등록할 경우 각 매장주는 각 매장에서의 물품별 추첨 기준을 정해 주어야 한다. 상기 물품별 추첨 기준에서 '물품'이라 함은 상품(일반생활용품, 가전제품, 서적 등등)의 브랜드명이나 종류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xx라면", "xx우유", "xx초코파이" 등등이 브랜드명으로서 물품이 될 수 있으며, 쌀, 파, 의류, 빵 등등이 종류로서 물품이 될 수 있다. 각 상품의 구별은 동종의 상품이라도 용량, 크기등에 따라 다른 상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세제 500g 짜리와 1Kg짜리는 다른 상품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념으로 모든 상품들에 적용 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이란 전자제품, 생필품, 보석, 서적, 자동차, 선박, 비행기등의 상품과 같이 기업이 팔수 있는 모든 제품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서비스 매장에서의 해당 판매물품별 추첨 기준은,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금액,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개수와,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기간이 있다. 예컨대, 서비스 매장의 매장주는 해당 판매물품의 추첨 기준을 판매금액으로 선택하고 그 추첨기준 판매금액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매장의 매장주는 해당 판매물품의 추첨 기준을 물품 판매 개수로 선택하고 그 추첨기준 물품 판매 개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매장의 매장주는 해당 판매물품의 추첨 기준을 판매기간으로 선택하고 그 추첨기준 판매기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해당 판매물품의 추첨 기준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들면, 개별 서비스 매장(8)의 매장주는 판매물품 "xxx 초코파이"라는 브랜드에 대해서 추첨기준을 판매금액으로 하고 추첨기준 판매 금액을 20만원으로 정할 수 있다. 서비스 매장들(8,10)중 가맹 서비스 매장(10)에서의 해당 판매물품별 추첨 기준은 각 가맹 매장들(12,14,16) 각각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가맹 서비스를 관장하는 가맹 서비스 관리자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매장들(8,10)은 패킷기반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일 예인 인터넷(4)을 통해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와 연결되며, 서비스 매장들(8,10)로 등록할 때에 정해진 각 매장에서의 물품별 추첨 기준은 인터넷(4)을 통해서 전송되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관리자에 의해서 직접 입력되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서비스 매장들(8,10)은 자신의 매장에서 회원고객이 물품을 구매하여 계산하면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인터넷(4)을 통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로 전송한다.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에는 도 9에 도시된 일예 포맷과 같이, 회원고객의 해당 구매물품, 해당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 매장정보, 회원고객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개별 서비스 매장(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4)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개별 서비스 관리서버(9)를 통해서 인터넷(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가맹 서비스 매장(10)의 매장들(12,14,16)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4)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가맹매장 관리서버(11)를 통해서 인터넷(4)에 연결될 수 있다. 개별 매장 관리서버(9)는 매장관리를 위해 자체적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으며 구매물품 추첨관리서버(6)와 연계하여 구매물품 추첨에 대한 서비스를 자신의 홈페이지나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6)에 의해서 제공되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맹 매장 관리서버(11)는가맹 매장 관리를 위해 가맹 매장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으며 구매물품 추첨관리서버(6)와 연계하여 구매물품 추첨에 대한 서비스를 가맹 매장 홈페이지나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6)에 의해서 제공되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서비스 매장(8,10)은 오프라인의 매장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의 쇼핑몰과 같은 온 라인상의 매장이 될 수도 있다. 온라인상의 매장에서도 개별 서비스 매장과 가맹 서비스 매장으로 구분되어 서비스 매장 등록될 수 있다. 특히 온라인상에 매장에서는 회원고객의 물품구매에 대한 추첨 서비스를 별도로 운영하지 못하는 인터넷 쇼핑몰들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매장으로서 가입하면 편리할 것이다.
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인터넷(4)에 연결되어 있으며, 온라인 및/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회원고객 구매물품에 대한 추첨관리를 위탁받아 전문적으로 추첨 관리 서비스하는 서버이다. 상기 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서비스매장(8,10)의 서비스 등록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 및 서비스 매장(8,10)에서 제공해준 회원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터넷(4)을 통해 서비스 매장(8,10)으로부터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하여 해당 물품 판매치를 누적하고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구매물품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고 추첨결과를 홈페이지 및 소속 서비스 매장으로 통보를 해준다.
클라이언트 단말(2)은 인터넷(4)에 연결되며, 회원 고객이나 비회원 고객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다. 회원고객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해서 인터넷(4)을 통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에 의해 제공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며, 개별 서비스 매장(8)내 개별 매장 관리서버(9)에 의해서 운영되는 개별 매장 홈페이지나 가맹 서비스 매장(10)내 가맹 매장 관리서버(11)에 의해서 운영되는 가맹매장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의 홈페이지를 로그인 시에는 ID(identifier),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해도 되고, 그 외의 방법으로는 매장이름(매장코드, 매장ID)을 넣거나 화면상에 보이는 매장 이름을 체크하는 등으로 로그 인을 할 수 있다. 매장 이름을 넣거나 화면상에 보이는 매장 이름을 체크하는 등으로 로그 인을 할 경우, 구매정보 및 기타정보를 열람하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해당 매장으로 로그온 인증 요청을 선행한다.
회원등록 구분의 기준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각 개별 서비스 매장별로 등록 및 관리되는 경우이며, 둘째는 가맹서비스 매장별로 등록 및 관리되는 경우이고, 셋째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사이트 자체에서 등록 및 관리 되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을 하면, 첫째 각 매장별로 등록 및 관리 되는 회원의 인증은 로그온 입력란에 매장의 이름(ID)를 적고, 매장에 등록된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해당 개별서비스매장(8)으로 회원인증 요청을 하고, 해당 개별서비스 매장(8)으로부터 인증이 되면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에서 운영되는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구매정보 및 진행과정을 열람할 수 있다. 둘째, 가맹매장별로 등록 관리 되는 회원을 경우인데, 이 경우 회원의 인증은 로그온 입력란에 가맹서비스 매장의 이름(ID)를 적고, 가맹 서비스 매장에 등록된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해당 가맹서비스 매장(10)으로 회원인증 요청을 하고, 인증이 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의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구매정보 및 진행과정을 열람할 수 있다.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은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내에서의 인증으로 자신과 연관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사이트는 각 개별 서비스 매장이나 각 가맹 서비스매장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회원들에 대해서도 해당 매장 및 가맹서비스매장과 연계하여 추첨 관리 서비스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개별 매장 관리 서버(9)나 가맹매장 관리서버(11)의 홈페이지를 로그인하여 구매정보 및 기타정보를 열람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매장의 각 홈페이지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와 연계되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구체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관리부(20), 홈페이지(2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관리부(20)는 운영체제 및 마이크로 코드, 내부 메모리, 인터넷(4)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구매물품 추첨관리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홈페이지(22)는 회원고객이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인터넷(4)을 통해 접속을 하였을 경우 추첨결과보기, 현재 추첨중인 물품 및 추첨대상 물품 조회, 각 물품별 판매 진행율 조회, 구매물품 내역 조회 등과 같은 구매물품 추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contents)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홈페이지(22)에는 비회원 고객이 회원고객으로 등록할 수 있는 컨텐츠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는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모니터,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6)는 제어관리부(20)에 의해 제어되며, 구매물품 추첨 관리에 관련된 각종 저장부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6)는 등록매장 관리 저장부(28),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 물품별 추첨 기준 저장부(32),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 물품별 추첨 진행 상황 관리 저장부(36)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매장 관리 저장부(28)는 구매물품 관리 서비스 등록된 매장들을 개별 서비스 매장과 가맹서비스 매장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서비스 매장(8,10)에서 할인점은 개별서비스 매장(8)으로서 상기 등록매장 관리 저장부(28)에 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A상점(12), B상점(14), C상점(16)은 가맹 서비스 매장(10)으로서 상기 등록매장 관리 저장부(28)에 등록 저장되어 있다.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는 인터넷(4)을 통해 서비스 매장(8,10)으로부터 수신된 물품 구매한 회원 고객에 대한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고객의 해당 구매물품, 해당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 매장정보, 물품구매 회원고객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회원고객 등록은 서비스 매장(8,10)에서 주로 이루어지지만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가 운영하는 홈페이지(22)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가입도 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22)를 통해 입력된 회원고객 정보도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는 회원고객별 추첨정보도 저장되어 있고, 회원고객별 구매물품 내역 및 추첨결과 내역도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26)의 물품별 추첨 기준 저장부(32)에는 서비스 매장(8,10)에서의 서비스 등록시 정한 각 서비스 매장에서의 물품별 추첨기준 판매금액, 물품별 추첨 기준 판매수량, 물품별 추첨 기준 판매 기간 등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26)의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는 각 서비스 매장(8,10)에서의 물품별 판매치를 누적하는 저장부이고, 물품별 추첨진행 상황관리 저장부(36)는 각 서비스 매장(8,10)에서의 물품별 추첨 진행 상황을 업데이트시키면서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매장(8,10)의 계산대에서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4a,b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4의 206단계에서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의 사이트에 의해서 운영되는 회원 고객 홈페이지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매장(8,10)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비스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서비스 매장(8,10)에서는 물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서비스 카드를 발급해주면서 회원고객정보를 얻거나 신용카드회사와 연대를 해서 고객이 신용카드를 사용시 회원고객이 되기를 요청하면 연대한 신용카드회사로부터 회원고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회원고객정보는 인터넷(4)을 통해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데이터베이스(26)에 있는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 저장된다. 또한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에 의해서 운영되는 홈페이지(22)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가입한 회원고객 정보도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 저장된다.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4a의 214단계에서와 같이,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 업데이트된 회원고객정보를 인터넷(4)을 통해서 소속 서비스 매장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해준다. 예컨대 도 1의 가맹 서비스 매장(10)의 C상점(16)에서 회원고객 가입이 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회원고객 정보를 인터넷(4)을 통해서 가맹 서비스 매장(10)의 상점들(12,14,16) 각각으로 전송해준다.
먼저 서비스 매장(8,10)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서비스 매장(8,10)에서는 도 3의 100단계에서 구매물품 관리 서버(6)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회원고객정보 및 추첨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놓는다. 이는 회원고객이 구매한 물품을 계산할 때 서비스 매장(8,10)에서 즉시 회원인증을 하거나 추첨결과를 신속하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오프라인상에서 서비스 매장(8,10)을 찾은 고객이 구매물품을 계산대에 올려 놓게되면 바코드 리더기나 구매물품에 대응하는 제품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고객의 구매물품, 구매물품의 금액 및 수량정보를 얻게 되고 서비스 매장(8,10)의 계산대에서는 도 3의 102단계에서와 같이 구매물품을 계산을 한다. 오프라인 상의 서비스 매장(8,10)의 계산대에서는 도 3의 104단계에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회원고객정보와 고객이 제시하는 서비스 카드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회원고객인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온라인 상의 매장(8,10)에서는 쇼핑몰에서 ID나 패스워드와 같은 회원고객정보나 신용카드를 이용함으로써 도 3의 102단계 내지 도 104단계를 수행한다.
서비스 매장(8,10)에서는 만약 회원고객이 아니면 도 3의 106단계로 진행하여 계산, 영수증 발행 및 기타 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고객이 본인이 회원이라고 밝히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회원 고객이 아니라고 판단될지라도 서비스 매장에서의 별도 회원확인 요청작업에 의해서 개별 매장 관리서버(9)의 데이터베이스나 가맹매장 관리서버(11)의 데이터베이스 및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데이터베이스(26)에 접속하여 해당 회원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만약 회원고객이면 108단계에서 회원고객의 구매물품 금액, 수량정보 등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을 하고, 110단계에서 구매물품 계산과 아울러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추첨정보를 체크하여 회원고객에게 업데이트된 추첨관리정보 예컨대, 추첨결과나 추첨 진행상태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회원고객에게 업데이트된 추첨관리정보가 있으면 도 3의 112단계로 진행하여 회원고객의 추첨관리 정보를 표시해준다. 오프라인의 매장인 경우에는 매장 계산대 표시부에 회원고객의 추첨관리 정보를 표시해준다. 추첨관리 정보 표시의 구체 일예를 들면, 회원 고객이 추첨에 당첨되었다는 추첨결과나 며칠 후면 추첨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등의 추첨진행상황을 표시부에 표시해준다. 매장 계산대에 있는 매장직원은 계산대 표시부상에 추첨관리 정보가 표시되면 회원고객에 그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매장(8,10)의 계산대에서 구매물품 계산이 아닌 작업 선택을 하게 되면 이를 도 3의 114단계에서 판단하고 116단계로 진행하여 작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작업의 일 예로는, 회원고객의 문의에 응대하여 추첨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 작업이나 회원고객의 현재 추첨중인 물품 확인작업, 회원고객이 추첨에 당첨이 되었을 때 사은품 증정 및 디스카운트(일정금액 환불 등)와 같은 작업이 될 수 있다.
도 3의 112단계를 수행한 후 서비스 매장(8,10)은 도 3의 118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 118단계에서는 자신의 매장관리서버(즉 도 7의 관리서버(9), 도 8의 관리서버(11))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자신의 매장 관리서버가 존재하지 않으면 도 3의 120단계로 진행하여 매장정보, 회원고객정보, 및 대응 구매물품금액, 구매물품 수량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 정보를 인터넷(4)을 통해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로 전송한다. 한편 도 3의 118단계의 판단에서 자신의 매장 관리서버가 존재하게 되면, 도 3의 122단계에서 자신의 매장 관리서버(9,11)에서의 물품 구매정보 전송옵션을 체크한다. 물품구매 정보 전송옵션의 종류에는, 즉시전송, 설정주기별(분별,시간별,일별,주별 등등) 전송, 매장 관리서버 운영자 요구시 전송 등이 있다. 그 후 서비스 매장(8,10)에서는 도 3의 1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송옵션에 맞추어 매장정보, 회원고객정보, 및 대응 구매물품금액, 구매물품 수량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인터넷(4)을 통해 추첨 관리 서버(6)로 전송 및 매장 관리서버(9,11)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3의 124단계를 수행한 후 서비스 매장(8,10)에서는 도 3의 126단계에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로부터 정보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각 서비스 매장의 관리서버(9,11)가 존재하면 전송옵션에 맞추어 물품구매 정보를 전송하므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에 저장된 회원고객 물품구매 정보가 최신 업데이트되지 않은 것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로부터 정보 요구가 있으면 서비스매장(8,10)의 매장 관리서버(9,11)에서는 해당 정보를 인터넷(4)을 통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로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매장(8,10)으로부터 도 3의 120단계 또는 124단계, 128단계에서 인터넷(4)을 통해 전송한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에 수신되면 도 4a 및 도 4b의 과정을 수행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회원고객 물품구매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도 4a의 200단계에서 판단한다. 도 4a의 판단에서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4a의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 정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정보, 회원고객정보, 및 대응 구매물품금액, 구매물품 수량이 포함되어 있다. 도 4a의 202단계에서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내의 매장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서비스 매장이 개별 서비스 매장으로 등록되어 있는지 아니면 가맹 서비스 매장으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등록매장 관리 저장부(28)를 통해서 체크한다. 그 후 도 4a의 204단계로 진행한다. 도 4a의 204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26)의 물품별 추첨 기준저장부(32)에서 해당 서비스 매장에서의 물품별 추첨기준을 읽고 해당 서비스 매장에서의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한 물품별 판매치를 데이터베이스(26)의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에 누적을 한다. 예컨대 해당 구매물품들중 해당 물품의 추첨기준이 판매금액이면 회원고객의 해당 물품의 판매금액을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에 저장한다. 아울러 회원고객의 구매물품 관련 정보도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 저장한다.
그 후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4a의 206단계에서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에 저장된 해당 물품판매 누적치가 해당 판매물품 추첨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단을 한다. 도 4a의 206단계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은 도 5와 같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5의 250단계에서 해당 판매물품 추첨기준을 데이터베이스(26)의 물품별 추첨 기준 저장부(32)를 액세스해서 읽는다. 만약 해당 판매물품 추첨기준이 판매금액이면 도 5의 252단계에서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금액이 추첨기준금액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추첨기준금액 이상이면 도 4a의 210단계로 진행하여 추첨을 실시하고, 만약 해당 판매물품 추첨기준이 판매 개수이면 도 5의 254단계에서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 개수가 추첨기준개수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추첨기준개수 이상이면 도 4a의 210단계로 진행하여 추첨을 실시한다. 만약 해당 판매물품 추첨기준이 판매기간이면 도 5의 256단계에서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기간이 추첨기준기간을 경과했는가를 판단하여 추첨기준기간을 경과하면 도 4a의 210단계로 진행하여 추첨을 실시한다. 하지만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에 저장된 해당 물품판매 누적치가 해당 판매물품 추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도 5의 252,254,256단계에서의 판단) 도 4a의 208단계로 진행하여 새롭게 수신된 해당 물품 판매치가 반영되도록 물품별 추첨 진행상황을 새롭게 업데이트한다. 상기 물품별 추첨 진행상황은 데이터베이스(26)의 물품별 추첨 진행상황 관리 저장부(36)에 업데이트된다.
그후 도 4a의 208단계를 수행한 후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4a의 216단계로 진행하여 추첨 유효 기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추첨 유효 기간은 해당 물품 판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추첨이 오랫동안 실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 만약 추첨 유효 기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도 4a의 200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단계를 수행한다. 도 4a의 216단계의 판단에서 추첨 유효 기간이 경과하게되면 도 4a의 2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물품 판매 누적치가 최소물품 판매 누적치가 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물품 판매 누적치가 최소 물품 판매 누적치가 되었으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한다. 하지만 도 4a의 218단계의 판단에서 해당 물품 판매 누적치가 최소 물품 판매 누적치가 되지 않았으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구매물품 추첨을 무효화한다.
도 4a의 206단계에 대응된 도 5의 구체적인 제어 흐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단과정에 의해서 물품판매 누적치 저장부(34)에 저장된 해당 물품판매 누적치가 해당 판매물품 추첨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4a의210단계로 진행한다. 도 4a의 210단계에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한다. 그후 도 4a의 212단계에서 그 추첨 결과를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에 의해서 운영되는 홈페이지(22) 및 소속 서비스 매장으로 통보한다. 소속 서비스 매장이 자신의 운영하는 사이트의 홈페이지가 있으면 해당 서비스 매장의 홈페이지로도 통보된다.
구매물품 추첨 실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첨 실시 및 그 장점을 일 예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물품구매 회원고객이 동일 물품을 한 개 이상 예컨대 10개를 구입하였다면 그 회원고객은 추첨기준이 물품개수일 경우에 10개의 추첨 지분을 가지게 해준다. 그러므로 한 개를 구매한 구매자 보다 좀더 유리한 입장에서 경품 및 디스카운트(일정금액 환불 등) 추첨에 참여 할 수 있으며, 해당 구매물품의 추첨기준에 근거하여 구매한 금액 및 개수만큼 추첨지분이 돌아가므로 모든 물품구매 회원고객에게 공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설령 물품구매 회원고객이 한 명이더라도 판매자 입장에서는 이미 그 물품을 일정한 금액 및 일정수량 이상 판매가 될 경우에는 손해 보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물품구매 회원고객 입장에서는 많이 구매하였으므로 추첨에 좀더 유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저가의 생활필수품의 경우에도 추첨 자체가 추첨 기준에 근거하여 일정금액 이상 및 일정수량 이상이 판매되면 이루어지고, 한번 추첨이 끝난 다음 다시 해당 물품을 구매하면 또다시 추첨에 참여하므로 실질적으로 모든 구매자가 물품을 구입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추첨에 참여할 수 있어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가게 된다. 또한 도 4a의 206단계의 판단에서 해당 판매물품추첨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의 추첨 실시에 따른 추첨지분과, 상기 해당 판매물품 추첨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218단계의 판단에서 추첨유효 기간 경과에 따른 최소 물품 누적치 이상에 의한 추첨 실시에 따른 추첨 지분은 당연히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추첨실시에 의해 추첨지분을 배당해 줄때에는 물품 판매시와 추첨시 환율 변동분 및 가격변동분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매장을 몇 개의 소그룹 또는 전체로 묶은 가맹 서비스 매장으로서 등록을 한 경우에는, 비록 다른 매장에서 해당 물품을 구매하였지만 추첨은 구매물품이 통합되어서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추첨기간이 빨리 이루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구매자가 경품이 있는 물건을 보고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구입한 물품에 의해서 자동으로 경품 추첨에 참여하게 된다. 이렇게함으로써 당첨금을 노린 충동 구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추첨에 참여할 수 있다. 즉 회원이 해당 물품을 구매하기 전에 구매하려는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을 알수가 없으므로 필요한 물품만을 구매하게 되고, 다양한 구매 물품에 대해서 추첨 참여뿐만 아니라 추첨정보도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현명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준다. 또한 판매자 입장에서도 다양한 판매물품들 각각에 대해서 추첨 기준을 자발적으로 제시할 수 있고, 회원고객들의 소비패턴에 따른 능동적이고 신속한 의견 반영을 할 수 있어 이로움을 제공한다.
한편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4a의 214단계에서와 같이, 주기적으로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30)에 업데이트된 회원고객정보이나 추점결과나 추첨진행상황에 관련된 추첨정보를 인터넷(4)을 통해서 소속 서비스 매장으로 전송해준다. 그래서 소속 서비스 매장(8,10)의 회원고객이 자신의 매장에서 물품을 구매하여 계산할 때 인터넷(4)을 통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와의 접속 없이도 즉각적으로 회원인증을 하거나 당첨과 같은 추첨결과를 제공케해준다.
한편 도 4a의 200단계의 판단에서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 4b의 216단계로 진행한다. 도 4b의 216단계의 판단에서 물품구매 추첨 관리서버(6)는 회원등록 요구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회원등록 요구는 서비스 매장(8,10)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지지만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6)가 운영하는 홈페이지(22)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등록 가입 요구할 수도 있다. 회원등록 요구가 있으면 등록 요구한 회원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의 회원고객 물품구매 정보 관리 저장부(30)에 등록한다.
도 4b의 216단계의 판단에서 회원등록 요구가 수신되지 않으면 220단계에서 관리자 로그인인가를 판단하고 관리자에 의해서 로그인이 수행되면 222단계에서 관리자가 선택한 작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관리자가 선택한 작업의 일 예로는, 당첨된 회원고객에게 경품발송, 디스카운트(일정금액 환불 등) 작업, 각 회원의 구매 물품 내역조회 작업, 그 외 이벤트 알리기, 공지사항 발송 등과 같은 일반작업이 있을 수 있다. 그후 관리자가 로그오프를 하게 되면 도 4b의 224단계에서 이를 체크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회원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에 의해서 운영되는 홈페이지(22)에 접속하여 구매물품 추첨에 관련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원고객은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도 6의 300단계에서와 같이 홈페이지(22)에 접속을 하여 회원 로그인을 하여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300단계 내지 302단계). 그에 따라 홈페이지(22)에서는 회원고객이 선택된 작업 예컨대, 추첨결과보기(304단계), 현재 추첨중인 물품 및 추첨대상 물품 조회(306단계), 각 물품별 판매 진행율 조회(308단계), 자신의 구매물품에 대한 구매물품 내역 조회(310단계) 등과 같은 구매물품 추첨 서비스를 제공하고, 영수증 청구, 메일 보내기 등과 같은 기타작업 서비스도 제공한다(312단계). 상기 도 6의 308단계의 각 물품별 판매 진행율 조회 작업에서는 현재 회원고객이 구매한 물품이 앞으로, 얼마만큼의 금액 및 수량을 더 판매되어야 추첨이 가능한지 등의 개략 정보를 조회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회원 고객도 홈페이지(22)에 접속하여 회원고객으로 등록할 수 있다. 고객 회원이 로그오프를 하게 되면 홈 페이지(22)에서는 도 6의 314단계에서 이를 체크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각 매장에서 운영하는 전용 사이트에서의 회원이라도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에 의해서 운영되는 홈페이지(22)에 접속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홈페이지(22)상에서 서비스 등록 매장 전용 사이트 회원정보로도 로그 인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홈페이지(22)의 로그온 입력란에 매장의 이름(ID)를 적고, 매장에 등록된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는 도 6의 316단계에서 서비스 등록 매장 전용 사이트 회원정보로서 로그인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318단계로 진행하여 개별서비스매장(8)이나 가맹서비스 매장(10)의 전용 사이트로로 회원인증 요청을 하고, 해당 개별서비스 매장(8)이나 가맹서비스 매장(10)의 회원인증이 있게 되면 회원 인증으로 인식한다. 그후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의 홈페이지(22)에서도 도 6의 302단계 내지 도 6의 312단계에 따른 자신의 구매정보 및 진행과정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각 매장에서 운영하는 전용 사이트에서의 회원은 클라이언트 단말(2)을 이용하여 자신의 매장에 의해서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매 물품 추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의 400단계에서와 같이, 개별매장 관리서버(9) 또는 가맹매장 관리 서버(11) 등에 의해서 운영되는 매장 사이트 전용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여, 매장 홈페이지 회원 로그인을 하고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비스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400단계 내지 402단계). 그에 따라 매장 사이트 전용 홈페이지에서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6)로부터 해당 개별매장 관리서버(9) 또는 해당 가맹매장 관리 서버(11)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된 회원고객정보 또는/ 및 추첨정보를 이용하여 구매물품 추첨에 관련된 작업들 예컨대, 추첨결과보기(404단계), 현재 추첨중인 물품 및 추첨대상 물품 조회(406단계), 각 물품별 판매 진행율 조회(408단계), 자신의 구매물품에 대한 구매물품 내역 조회(410단계) 등과 같은 구매물품 추첨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영수증 청구, 메일 보내기 등과 같은 기타작업 서비스도 제공한다(412단계). 상기 도 10의 408단계의 각 물품별 판매 진행율 조회 작업에서는 현재 회원고객이 구매한 물품이 앞으로, 얼마만큼의 금액 및 수량을 더 판매되어야 추첨이 가능한지 등의 개략 정보를 조회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매가 이루어지는 모든 물품에 있어서 특정금액이상 또는 특정 개수 이상, 몇 일, 주, 달 등의 조건에 맞으면, 자동으로 해당 물품을 구매한 구매자들을 중심으로 경품 및 디스카운트를 추첨하여, 물품을 구매한 구매자들에게 좀더 많은 혜택을 줄 수가 있으며, 아울러 판매측 입장에서는 좀더 많은 물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전처럼 구매자가 추첨권을 배부 받고 고객정보를 기입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 없으며, 저가의 일일 생활용품이더라도 일정금액 이상 및 일정수량이상 판매가 이루어지면 그때까지 해당 물품을 구입한 고객에 한해서만 추첨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물품 판매를 위한 매장들과, 상기 매장들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며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위한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서의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장들중 구매물품 추첨 관리를 요구한 매장을 서비스 매장으로서 등록하고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 및 상기 서비스 매장의 회원고객 정보를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매장으로부터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한 물품별 판매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은,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금액과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 개수중 상기 서비스 매장에 의해서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은,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금액과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개수,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기간중 상기 서비스 매장에 의해서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된 추첨결과를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 의해서 운영되는 홈페이지 및 해당 서비스 매장으로 통보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은 매장 단독적으로 추첨 서비스하는 개별 서비스 매장과 여러 매장들이 가맹되어 추첨 서비스하는 가맹 서비스 매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은 온라인상의 매장들 및 오프라인 상의 매장들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7. 물품 판매를 위한 매장들과, 상기 매장들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며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위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상기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업데이트된 회원고객 정보 및 당첨자 명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추첨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구매자의 구매물품 계산시 상기 회원고객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회원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구매자가 회원고객이면 회원고객의 해당 구매물품,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를 매장정보 및 회원고객정보와 함께 상기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가 추첨서비스 관리를 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추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고객에 관련된 추첨 정보를 상기 회원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결과가 포함된 추첨정보를 매장계산대 표시부로표시해 주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9.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한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매장에서 회원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서비스 매장과,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 및 상기 서비스 매장의 회원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매장으로부터 회원고객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하여 해당 물품 판매치를 누적하고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구매물품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고 당첨된 회원고객에서 혜택을 제공하는 구매물품 추첨관리 서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는,
    패킷기반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구매물품 추첨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관리부와,
    추첨결과보기, 현재 추첨중인 물품 및 추첨대상 물품 조회, 각 물품별 판매 진행율 조회, 구매물품 내역 조회를 포함하는 구매물품 추첨 서비스를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회원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와,
    상기 제어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구매물품 추첨 관리에 관련된 각종 저장부들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비스 등록된 매장들을 개별 서비스 매장과 가맹서비스 매장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기 위한 등록매장 관리 저장부와,
    상기 패킷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매장으로부터 수신되는 물품구매 회원 고객에 대한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고객 물품구매 관리 저장부와,
    상기 서비스 매장에서의 서비스 등록시 정한 각 서비스 매장에서의 물품별 추첨기준 판매금액, 물품별 추첨 기준 판매수량, 물품별 추첨 기준 판매 기간을 저장하기 위한 물품별 추첨 기준 저장부와,
    각 서비스 매장에서의 물품별 판매치를 누적하기 위한 물품 판매 누적치 저장부와,
    각 서비스 매장에서의 물품별 추첨 진행 상황을 업데이트시키면서 저장하기 위한 물품별 추첨 진행 상황 관리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는 회원고객의 해당 구매물품, 해당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 매장정보, 구매물품 회원고객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은 오프라인 상의 매장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은 온라인상의 매장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15. 물품 판매를 위한 서비스 매장들과, 상기 서비스 매장들과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며 소비자 구매물품 추첨을 관리하기 위한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를 구비한시스템에서의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들 및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등록 요구에 대응된 회원고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매장들 각각에서 회원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해당 구매물품, 구매물품 금액 및 수량 정보, 매장정보 및 회원고객정보를 포함하는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상기 각 서비스 매장에 의해서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회원고객 물품구매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구매물품 추첨 관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설정된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에 근거한 물품별 판매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물품의 판매 누적치가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을 만족하면 해당 판매물품에 대응된 회원고객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하고 추첨결과를 상기 서비스 매장들 각각 및 상기 홈페이지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매장들 각각에서 상기 수신된 추첨 결과를 해당 물품을 구매한 회원고객에게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별 해당 구매물품 추첨기준은,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금액과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개수, 해당 판매물품의 판매기간중 상기 서비스 매장에 의해서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매장은 온라인상의 매장들 및 오프라인 상의 매장들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물품 추첨 관리방법.
KR1020030003432A 2003-01-17 2003-01-17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66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32A KR20040066391A (ko) 2003-01-17 2003-01-17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32A KR20040066391A (ko) 2003-01-17 2003-01-17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91A true KR20040066391A (ko) 2004-07-27

Family

ID=3735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32A KR20040066391A (ko) 2003-01-17 2003-01-17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3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8451B2 (en) Methods for selling pre-printed online lottery tickets
US6443843B1 (en) System to provide game play for products
US6848995B1 (en) System to determine casino offers
KR20020074161A (ko) 로터리 상품 판촉 방법 및 시스템
KR100361324B1 (ko) 추첨식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EP1111562A2 (en) On-line purchasing system
AU2016228202A1 (en) Game entry
WO20010187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a lottery ticket transaction
US20020107074A1 (en) Method and system of selling merchandise through a virtual shop with an electronic lottery
KR101412991B1 (ko) 쇼핑몰서버,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매방법
KR2001009577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KR20000037444A (ko) 인터넷상에서 회원의 직접 추첨에 의해 물품대금 전액을되돌려주는 확률의 실시간 고지를 이용한 물품판매 시스템
KR20000059231A (ko) 환급 당첨으로 무료쇼핑 기회를 제공하는 쇼핑시스템과 그운영방법
KR20040066391A (ko) 매장에서의 구매물품 추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0440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누적판매금의 일부를 추첨을 통해서 소비자에게 현금으로 제공하는 판매 방식.
KR20020075134A (ko) 공동구매 방법 및 장치
KR20140065713A (ko) 광고 연동 구매권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GB2493806A (en) Store-based apparatus
KR100424041B1 (ko) 추첨방식을 이용한 상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763361B1 (ko) 캐시-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캐시-백 서비스 방법
KR20030021437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20076384A (ko)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와 동시에 복권을 발행하는 전자결제 방법
JP2002049818A (ja) 抽選付電子式商取引方法
KR20020026314A (ko) 추첨식 행운 구매 방법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첨식공동 구매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0158A (ko) 인터넷사이트의 경품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