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249A -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 Google Patents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249A
KR20040066249A KR1020030003248A KR20030003248A KR20040066249A KR 20040066249 A KR20040066249 A KR 20040066249A KR 1020030003248 A KR1020030003248 A KR 1020030003248A KR 20030003248 A KR20030003248 A KR 20030003248A KR 20040066249 A KR20040066249 A KR 20040066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efining
cotton
refiner
gl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선
김현구
다쿠오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박봉선
김현구
다쿠오 사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선, 김현구, 다쿠오 사카이 filed Critical 박봉선
Priority to KR102003000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249A/ko
Publication of KR2004006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3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토펙티나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직물 정련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직물 정련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인산 제1칼륨 및 인산 제2칼륨 중에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련제를 정련기에 충진시키고, 직물을 투입한 후, 정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 방법 및 상기 정련방법에 의해 정련된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로토펙티나아제를 함유한 정련제에 의한 정련방법은 기존의 화학정련에 비하여 작업환경 안정성이 높고, 배수량자체도 적으며 배수의 중화처리가 불필요하고, 소비에너지가 작아 에너지 절감에도 유리하다. 또한, 효소정련된 제품은 화학정련된 제품에 비하여 촉감이 좋고, 섬유의 강도가 거의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Glossing agent containing enzyme, glossing method by using it and glossing treated textile}
본 발명은 효소를 함유한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물의 정련을 수행함에 있어서, 정련 처리용 효소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정련제를 사용함으로써, 화학정련에 비하여, 촉감이 부드럽고, 부피감이 있으며, 흡수성, 감량율 및 강도등의 점에서 우수한 정련처리된 제품을 제공한다.
면 섬유는 속내의, 양말, 의복 등의 일상품, 탈지면 등의 의료용품, 주택자재품 등 다양하게 이용되는 천연섬유이다. 면섬유는 면화의 종류나 산지에 따라서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천연불순물이 원면에 존재하여 원면의 4 ~ 5%를 점한다. 원면섬유는 식물조직의 일종으로서, 원형질의 일부를 포함하고, 셀룰로오스(cellulose)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원면섬유는 1차 세포벽과 이를 덮고 있는 2차 세포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원면섬유의 불순물이 주로 존재하는 1차벽은 펙틴(pectin), 면왁스(cotton wax), 단백질등을 포함하는 큐티클층(cuticle layer)과 망상층으로 구성된 층상구조를 하고 있다.
식물조직중의 펙틴은 거대분자로서, Ca2+나 Mg2+등의 2가 금속이온과 킬레이트결합으로 다층구조를 형성하고, 최외층의 펙틴사슬은 카르복실기에 의하여 다른 다당류(셀룰로오스 또는 헤미셀룰로오스)의 수산기와 에스테르 결합을 하거나, 인산기를 매개하는 결합을 통해 세포벽과 결합되어 불용성이다. 이렇게 불용화된 펙틴을 프로토펙틴이라고 부른다. 원면섬유의 1차벽에 있어서의 프로토펙틴은 구조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불순물질상의 형성에 직접관여하고 있다. 원면 섬유의 뻣뻣한 촉감은 프로토펙틴의 성질이 반영되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세포벽에서 프로토펙틴의 화학적 구조에 관한 모델은 도 1과 같이 제안되어지고 있으며, 중성당 측쇄의 유리를 통해 펙틴이 유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원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사용되는 화학정련법은 수산화나트륨(0.1N)의 용액중에 면섬유를 침적하여 90 ~ 100℃의 고온에서 가열처리하는 소다정련법이다. 상기, 화학정련법에서는 열알칼리가 면섬유의 1차막을 분해하는데 주목하여 개발되었으나, 산성처리조건이어서 셀룰로오스 섬유가 손상되기 쉽고, 반응 pH나 온도가 과격하여 작업환경의 안전성이 낮고, 폐수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뿐아니라 배수량도 많다. 또한, 에너지 비용이 높은 문제점 등이 지적되어 왔다.
최근, 생명공학의 발전에 힘입어 효소의 기능과 생산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되었고, 섬유처리분야에 효소의 이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프로토펙티나아제는 펙틴-방출 효소(pectin - releasing enzyme), 프로토펙틴용해효소(protopectin solubilizing enzyme), 프로토펙티나아제 (protopectinase;PPase) 등으로 불리우는 효소로서, 셀룰로오스와 결합된 펙틴의 중성당 곁사슬을 분해하거나 호모갈락트루난 부분을 분해하여 수용성 펙틴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토펙티나아제는 최근 식품산업과 의약산업에 이용되는 펙틴의 생산, 식물성 식품소재에 대한 단세포와 식물세포의 프로토플라스트 생산등에 응용성을 가진다고 보고된다. 프로토펙티나아제의 기원은 다양하며 특히 식물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 많은 프로토펙티나아제 생산 미생물이 분리, 개발되어 상용화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원면섬유중의 프로토펙틴을 가용화하여 제거하면 불순물도 제거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연구한 결과 프로토펙티나아제 효소를 함유하는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정련에 비하여, 정련공정이 환경오염이 적고, 작업환경이 안전하며, 에너지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정련된 제품이 부드러운 촉감과 부피감을 가지는 프로토펙티나아제 효소를 함유한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프로토펙틴(protopectin)의 구조와 A-타입, B-타입 프로토펙티나아제(protopectinase, PPase)의 작용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효소정련과 화학정련후의 면포의 감량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효소정련과 화학정련후의 면포의 흡수도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효소정련과 화학정련후의 면포의 강도비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물 염색전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정련제에 있어서, 프로토펙티나아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를 제공한다.
상기 직물 정련제에 함유되는 프로토펙티나아제의 함량은 직물에 대하여, 1.2 ~ 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 정련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인산 제1칼륨 및 인산 제2칼륨 중에서 어느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은 직물에 대하여, 0.01 ~ 0.2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산 제1칼륨의 양은 직물에 대하여, 0.18 ~ 0.38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산 제2칼륨의 양은 직물에 대하여, 1 ~ 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은 면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은 면 및 폴리에스텔의 혼방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은 면 및 데도롱의 혼방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물 정련제를 정련기에 충진시키고, 직물을 투입한후, 온도 50 ~ 55℃, pH 6 ~ 9, 욕비 1:50 ~ 1:20으로, 30 ~ 60분간 정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물 정련방법에 의해 정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정련된 직물은 면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련된 직물은 면 및 폴리에스텔의 혼방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련된 직물은 면 및 데도롱의 혼방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 정련제에 포함되는 프로토펙티나아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IFO 3134(Bacillus subtilis IFO 3134)의 생산성 개량균주의 배양으로부터 얻는다. 정련제에 포함되는 프로토펙티나아제의 양이 면 중량에 대하여 1.2 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실질적인 정련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1.5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소 초과량 만큼의 증가된 정련효과를 가질 수 없다.
또한, 정련공정에서의 최적조건은 직물의 종류나 형성에 따라 다르지만, 어느 경우에도 직물에 효소를 충분히 침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효소의 침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정련된 면포의 친수성이 불균일하여, 염색얼룩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프로토펙티나아제의 직물에의 침투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정련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함유시킨다. 상기 프로토펙티나아제가 직물에 충분히 침투하도록 하는데에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면에 대하여,0.01 ~ 0.2 중량% 이다. 0.01 중량% 미만일 경우 상기 효소의 직물로의 침투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0.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되는 양만큼의 증가된 침투효과를 볼 수 없다.
정련제는 정련동안 최적의 정련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중성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련제의 pH를 6 ~ 9로 조절하기 위하여, 인산 제1칼륨은 직물에 대하여, 0.18 중량% ~ 0.38 중량%, 인산 제2칼륨은 직물에 대하여, 2 ~ 4 중량% 각각 첨가한다.
상기 직물은 면 직물, 면 및 폴리에스텔의 혼방직물, 면 및 데도로롱의 혼방직물 및 그 밖의 면혼방직물을 포함한다.
상기 정련기는 배치타입(batch-type)의 액류염색기, 세미배치타입(semi batch type)의 정련기 및 연속정련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로토펙티나아제 함유 직물 정련제의 제조
면에 대하여, 프로토펙티나아제는 1.3 중량%, 인산 제1칼륨은 0.28 중량%, 인산 제2칼륨은 3 중량%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7.0으로 조정하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워민TE, 일본 凍海製油株式會社)을 면에 대하여, 0.1중량%을 첨가하여 정련제를 제조하였다.
2. 프로토펙티나아제 함유 정련제 이용한 직물의 정련
상기 직물 정련제를 정련기에 채우고, 호발이 완료된 면포를 투입하여 pH = 7.0, 55℃의 온도에서, 욕비 1:50으로, 60분간 정련 처리하였다. 정련이 끝난 후에 수세한 후, 다시 80℃에서 10분간 수세하였다.
3. 화학정련
호발이 완료된 면직물 1kg당 수산화나트륨 30g을 넣고, 강알칼리조건에서, 90℃에서 1시간 정련처리 하였다.
4. 효소정련 및 화학정련에 의한 면직물의 품질 비교
(1) 펙틴의 유리량 측정
정련의 완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펙틴의 유리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효소정련의 경우 면직물을 효소에 작용시킨 후, 반응 상청(上淸)중의 펙틴량을 사까이(坂井)방법(Sakai T. Method in enzymology W.A. Wood and S.T. Kellogged S. Vol. 161, pp. 335-350, Academic Press, 1988)에 의하여 정량하였다. 화학정련의 경우는 면직물을 0.1N NaOH 용액중에서 90℃에서 1시간 처리된 액중의 팩틴량을 측정하여 면포중의 전체 펙틴량으로 하였다.
(2) 습윤성 측정
면포를 5 ×5cm로 절단하고, 이를 수직으로 고정시켜 하단을 0.2% 에오신 수용액에 침적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2분간 상승하는 물의 상승거리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하기의 표 1은 효소정련 및 화학정련한 여러종류의 면포의 펙틴 유리량 및 습윤성 측정의 결과이다.
면포의 종류 펙틴의 유리량(mg/g 면포) 습윤성(cm/2분)
화학정련 효소정련 효소정련/화학정련(%) 화학정련 효소정련
면 100% : G169면 100% : G81면 35% + 데도롱65% : G200면 35% + 데도롱65% : G232면 100% : TM2710면 100% : SK87603면 50% + 폴리에스텔50% : TM3010면 50% + 폴리에스텔50% : SK92026 13.123.811.59.96.46.73.33.2 12.621.79.48.98.18.54.44.1 96.291.281.789.9126.6126.9133.3128.1 4.23.79.69.4 5.85.38.69.5
효소정련에 의한 펙틴의 유리량 및 습윤성이 화학정련에 의한 것과 거의 동일하거나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3) 감량율 측정
효소정련과 화학정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련으로 인한 면포의 감량율을 측정하였다.
10 ×10cm 의 면포를 110℃에서 5시간 건조하여 면포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면포를 각각 효소 및 화학 정련한 후, 물에 세척하여 같은 처리조건에서 중량을 측정하였다. 정련 전 후의 중량의 차를 처리전의 중량과의 비를 감량율로 하였다.
감량율 측정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효소정련 처리한 면포가 화학정련 처리한 면포에 비하여 정련으로 인한 감량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
(4) 흡수도 측정
효소정련과 화학정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련을 수행한 면포의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흡수도 측정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효소정련 처리한 면포가 화학정련처리한 면포에 비하여 흡수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5) 강도의 측정
정련이 완성된 후 효소정련 및 화학정련 처리한 면포의 강도를 시미즈 제작사의 강도측정기 S-2000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25 ×3 ㎝의 포편(布片)을 이용하여 각 3매의 강도의 평균 측정강도로 하였다. 측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로드셀 : 100 kg (렌즈배율 2:50 kg)
크로스베드스피드 : 100 mm/min
차트스피드 : 20 mm/min
양간격 : 15 ㎝ (하기의 그림 참조)
강도 측정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효소정련 처리한 면포가 화학정련 처리한 면포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하거나 동등하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프로토펙티나아제를 함유하는 정련제에 의한 정련법에 따르면, 종래의 화학정련법에 비하여 반응 pH나 온도가 온화하여 작업환경 안정성이 높고, 배수의 중화처리가 불필요하고, 배수량자체도 적고, 소비에너지가 작아 에너지 절감에도 유리하다. 또한, 효소정련된 제품은 화학정련된 제품에 비하여 촉감이 좋으며, 섬유의 강도가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직물의 염색전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직물 정련제에 있어서, 프로토펙티나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정련제에 함유되는 상기 프로토펙티나아제의 함량은, 직물에 대하여, 1.2 ~ 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정련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인산 제1칼륨 및 인산 제2칼륨 중에서 어느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은 직물에 대하여, 0.01 ~ 0.2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 제1칼륨의 양은 직물에 대하여, 0.18 ~ 0.38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 제2칼륨의 양은 직물에 대하여, 2 ~ 4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면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면과 폴리에스텔 또는 데도롱의 혼방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제.
  9. 제 1 항에 기재된 직물 정련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정련제를 정련기에 충진시키고, 직물을 투입한 후, 온도 50 ~ 55℃, pH 6 ~ 9, 욕비 1:50 ~ 1:20으로, 30 ~ 60분간 정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정련방법.
  11. 제 10 항에 기재된 직물 정련방법에 의해 정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면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면과 폴리에스텔 또는 데도롱의 혼방직물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KR1020030003248A 2003-01-17 2003-01-17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KR20040066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248A KR20040066249A (ko) 2003-01-17 2003-01-17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248A KR20040066249A (ko) 2003-01-17 2003-01-17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249A true KR20040066249A (ko) 2004-07-27

Family

ID=3735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248A KR20040066249A (ko) 2003-01-17 2003-01-17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2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38B1 (ko) * 2004-12-27 2006-1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아스퍼질러스 자포니쿠스(A.japonicus)으로부터 생산된 펙티나제를 이용한 면 정련방법
CN106854762A (zh) * 2016-12-27 2017-06-16 深圳市新合富力科技有限公司 镁铝合金除胶剂
CN108745216A (zh) * 2018-01-14 2018-11-06 浙江工商大学 用于制作SF-Cd缓释微球的丝素蛋白粉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38B1 (ko) * 2004-12-27 2006-1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아스퍼질러스 자포니쿠스(A.japonicus)으로부터 생산된 펙티나제를 이용한 면 정련방법
CN106854762A (zh) * 2016-12-27 2017-06-16 深圳市新合富力科技有限公司 镁铝合金除胶剂
CN108745216A (zh) * 2018-01-14 2018-11-06 浙江工商大学 用于制作SF-Cd缓释微球的丝素蛋白粉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0024B2 (ja) 繊維から疎水性エステルの除去
Kabir et al. Sustainable textile processing by enzyme applications
CN1969084B (zh) 同步退浆与煮炼的方法
JP4064456B2 (ja) セルロース分解活性を有する酵素製剤
WO1998049387A1 (en) Enzymatic stone-wash of denim using xyloglucan/xyloglucanase
CN101713150A (zh) 一种纺织用复合酶制剂及其应用
Duran et al. Use of ultrasonic technology in enzymatic pretreatment processes of cotton fabrics
KR20040066249A (ko) 효소 정련제, 이를 이용한 정련방법 및 정련처리된 직물
CN107724091A (zh) 一种用于棉织物染整的前处理精练工艺的生物复合酶及其前处理精练工艺
CN1246525A (zh) 纤维素酶制剂、酶洗激活剂及其苎麻织物后整理的方法
KR20020071895A (ko) 천연 비코튼 셀룰로오즈 섬유의 효소 표백 방법
JPH108381A (ja) 澱粉によりのり付けされた生地をのり抜きするための酵素混合物および方法
CN100355974C (zh) 纤维素本色织物的处理方法、由此方法获得的产品及其用途
JP2002510756A (ja) ペクチン分解酵素によるデニム織物の処理
EP1242668B1 (en) Enzymatic bleaching of natural non-cotton cellulosic fibers
CN114808463B (zh) 一种环保人棉面料环保节能高效前处理工艺
WO2015015606A1 (ja) 繊維の精練方法
JP6690817B2 (ja) 糊抜きデニム製品の製造方法
US11898307B2 (en) Environmentally dyeing process for cellulosic products
CN108560268A (zh) 羊毛衫的缩绒工艺
RU2068901C1 (ru) Способ ферментативной расшлихтовки хлопкосодержащих тканей
JP2819130B2 (ja) 衣料用洗浄剤組成物
JP2002105854A (ja) 天然繊維の吸水性を向上させる方法
Li et al. Influence of Starch-Degrading Enzyme on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in In Situ Bleaching Process
Song et al. Effects of surfactants on pectinase treatment of cotton/chitosan bl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