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786A - 낮은 용융점을 갖는 브레이징 생성물 - Google Patents

낮은 용융점을 갖는 브레이징 생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786A
KR20040063786A KR10-2003-7006065A KR20037006065A KR20040063786A KR 20040063786 A KR20040063786 A KR 20040063786A KR 20037006065 A KR20037006065 A KR 20037006065A KR 20040063786 A KR20040063786 A KR 2004006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layer
brazing
nicke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205B1 (ko
Inventor
비테브로드아드리아누스자코부스
비젠베르그자크퀴스후베르트올가죠셉
Original Assignee
코루스 알루미늄 발쯔프로두크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루스 알루미늄 발쯔프로두크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루스 알루미늄 발쯔프로두크테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1/012574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38326A2/en
Publication of KR2004006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4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soldering seams
    • B23K1/1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soldering seams circumferential seams, e.g. of sh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3Thermo-compres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with interposition of special material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parts, e.g. material for absorbing or produc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23K35/0238Sheets, foi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23K35/286Al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56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iron or nickel or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25D5/605Surface topography of the layers, e.g. rough, dendritic or nodular layers
    • C25D5/611Smooth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01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 B23K35/002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at least one of the workpieces being of ligh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27Rod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905Materials of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3Physical dimension
    • Y10S428/924Composite
    • Y10S428/926Thickness of individual layer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335Product by special process
    • Y10S428/934Electrical process
    • Y10S428/935Electrop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335Product by special process
    • Y10S428/936Chemical deposition, e.g. electroless p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08Sn-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08Sn-base component
    • Y10T428/12722Next to Group VIII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5Next to 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64Next to 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Next to Co-, Cu-, or Ni-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44Ni-bas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가령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은 2 내지 18중량% 범위의 양으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알루미늄 합금 베이스 기재(1)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2)를 포함하며, 별개로 부착된 층(3)은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의 한쪽면에 도포되고, 상기 층(3)은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1)와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490 내지 570℃의 범위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금속 충전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을 포함하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과, 상기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브레이즈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낮은 용융점을 갖는 브레이징 생성물{BRAZING PRODUCT HAVING A LOW MELTING POINT}
브레이징(brazing)이라는 용어는 베이스 금속(base metal)의 450℃ 이상의 액상선(liquidus)과 그 미만의 고상선(solidus)을 갖는 충전재 금속(filler metal)을 사용하는 것이다. 브레이징은 충전재 금속의 용융점에 의해서 납땜질하는 것이 구분되며; 땜납(solder)은 450℃미만에서 용융된다.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열교환제 및 다른 유사한 장치에서 넓은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의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코어 시트 클래드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알루미늄 클래드 층을 갖는 코어 시트로, 전형적으로 Aluminium Association(AA) 3000-시리즈를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실리콘을 2 내지 18중량% 범위의 정량, 바람직하게 7 내지 14중량% 범위의 정량을 포함하는 AA4000-시리즈로 제조된다.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이 당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코어 합금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롤 결합(roll bonding), 클래딩 스프레이-성형(cladding spray forming), 또는 반연속 또는 연속주조방법이 있다.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577 내지 600℃의 범위에서 액상선 온도를 갖는다.
이상적으로, 금속이 완전히 용융되는 온도 또는 액상선 온도로서 언급되는 것 이상의 온도인 알루미늄 합금 클래드 층의 용융점은 코어 합금의 용융점보다 실질적으로 낮다. 반면에, 연속 브레이징 작업동안 온도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용융점보다 더 낮은 용융점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코어 층에 대해서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의 알루미늄 클래드 합금의 높은 용융점은 알루미늄 코어 합금을 가능한 더 저렴하고 및/또는 더 강하게 하기위해 선택이 제한되었다.
그러므로, 브레이즈될 수 있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과 같은 브레이징 생성물이 570℃미만의 온도에서 조립체로 제공하는 것이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제어된 대기 브레이징(Controlled Atmosphere Brazing, CAB) 및 진공 브레이징(Vacuum Brazing, VB)은 산업적 규모의 알루미늄 브레이징에 사용되는 2개의 주된 방법이다. 산업적 진공 브레이징은 1950대 이래로 사용되고 있으며, CAB는 노콜록(Nocolok, 상표명) 브레이징 용제(flux)의 도입후 1980대 초반에 인기가 있었다. 진공 브레이징이 필수적으로 비연속적 방법이고, 물질의 청결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존재하는 옥시드 층의 파열은 클래드 합금에서 마그네슘의 증발에 의해서 주로 일어난다. 필수적으로 노에는 더 많은 마그네슘이 항상 존재한다. 과량의 마그네슘이 노내 냉점에서 응축되고, 자주 제거되어야 한다. 적당한 장비를 위한 자본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높다.
CAB는 브레이징 용제가 브레이징 전에 사용되어야하기때문에 VB와 비교하여 브레이징 전에 추가적인 공정단계가 요구된다. CAB는 필수적으로 연속 공정이고, 적당한 브레이징 용제가 사용된다면, 큰 부피의 브레이즈된 조립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징 용제가 브레이징 온도에서 옥시드 층을 용해시켜서 상기 클래드 합금이 적당하게 흐르도록 한다. 상기 노콜록 용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표면이 용제를 사용하기 전에 철저히 세척될 필요가 있다. 우수한 브레이징 결과를 얻기위해서, 상기 브레이징 용제가 브레이즈된 조립체의 전체면에 도포되어야 한다. 상기는 이들의 디자인때문에 조립체가 특정의 형태를 가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들면 증발기형 열 교환기가 큰 내부면을 갖기때문에, 인테리어가 조악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우수한 브레이징 결과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브레이징 전에 알루미늄 표면에 접착되어야 한다. 불행하게도, 건조후에 브레이징 용제가 작은 기계적 진동에 의해서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레이징 사이클 동안, HF와 같은 부식성 연무가 발생된다. 이는 노에 도포되는 물질의 내식성이 크게 요구된다.
이상적으로, CAB에 사용될 수 있지만, 브레이징 용제 용도의 결점 및 요건을 갖지않는 물질이 이용되어야 한다. 상기 물질은 브레이즈된 조립체의 제조자에게 공급될 수 있고, 조립부품의 성형직후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브레이징 용제 작업은 실시되지 않는다. 현재 무용제 브레이징의 한가지 방법만이 산업적인 규모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법에 대한 물질은 예를들면 AA4000-시리즈의 클래딩으로 양면에 AA3000-시리즈 코어 합금 클래드에서 제조되는 표준 브레이징 시트일 수 있다. 브레이징 시트가 사용되기 전에, 브레이징 사이클동안 자연적으로 발생된 옥시드 층이 방해받지 않는 방법으로 표면이 변형되어야 한다. 우수한 브레이징을 이루기위한 방법은 클래드 합금의 표면상에 니켈의 특정 양을 부착시키는 것이다. 적당하게 도포되면, 상기 니켈은 아마도 발열적으로 기본의 알루미늄과 반응한다. 상기 니켈이 결합될 두개의 부품사이에 니켈의 심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전기도금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전기도금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니켈은 예를들면 열교환기 제조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성형작업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의 알카리 용액에서 니켈-도금 방법은 US-3,970,237, US-4,028,200, US-4,164,454, US-4,602,731과, B.E. Cheadle 및 K.F. Dockus에 의한 SAE-paper 제880446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니켈, 또는 코발트, 또는 그의 조합물이 납과의 결합에서 부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브레이징 사이클동안 클래드 합금의 습식성을 향상시키기위해서 납이 첨가된다. 상기 도금방법의 중요한 특성은 니켈이 클래드 합금의 실리콘 입자상에 부착되는 것이다. 표면에서 브레이징을 위한 충분한 니켈을 수득하기위해서, 상기 클래드 합금은 상대적으로 다량의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여, 니켈 부착의 핵으로 작용한다. 산세척하기 전에 충분한 핵형성 자리(nucleation site)를 수득하기위해서 실리콘 입자가 포함된 알루미늄의 일부가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전처리에 의해서 제거되어야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는 브레이징 또는 클래드 합금의 도금 작용에 있어서 핵으로 제공되기위해서 충분한 니켈의 커버를 수득하기위한 필수 조건으로 사료된다. 미시적인 규모에서, 브레이징 시트의 Si-함유 클래딩의 표면이 니켈 소립체로 커버된다.
그러나, 브레이징 시트상에 적당한 니켈 및/또는 코발트층의 제조에 납을 사용하면 몇가지의 단점이 있다. 전기도금을 위한 도금조(plating bath)는 복잡하고, 납을 포함하는 성분으로 가령 그의 염의 존재에 의해서 상기 도금조는 니켈 성분 또는 코발트 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도금조보다 환경적으로 더 친화적이지 못하다. 자동차 제품과 같이 생성물의 제조에 납이 사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가까운 시일내에 납 또는 납에 근거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처리 단계를 통해서 제조된 생성물과, 납을 포함하는 생성물의 사용이 금지될 것으로 사료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재 금속이 570℃미만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브레이징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재 금속이 570℃미만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코어 시트 클래드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알루미늄 클래드 층(2)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코어 시트(1)와,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3)을 구비한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실리콘을 2 내지 18중량%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며, 충전재 금속은 570℃미만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코어 시트 클래드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알루미늄 클래드 층(2)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코어 시트(1)와,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3)을 구비한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과 같은 브레이징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실리콘을 2 내지 18중량%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며,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니켈층에 납을 강제적으로 첨가하는 것 없이 양호한 브레이즈성(brazeability)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브레이징 생성물로, 가령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브레이징 용제의 부재하에서 제어된 대기 방법에서 뿐만아니라 진공 브레이징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2 내지 18중량%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베이스 기재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는 니켈을 포함하는 층의 한쪽면에서 층에 단독으로 부착되고, 상기 층은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와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490 내지 570℃, 바람직하게 510 내지 550℃ 범위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금속 충전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통적인 브레이징 온도에 비해서 매우 낮은 온도에서 브레이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우수한 필릿 형성 및 매우 강한 결합을 형성하는 브레이징 생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이 조절된 대기 조건하에서 진공 브레이징 및 무용제 브레이징에 사용될 수 있지만, 무용제 CAB의 사용에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의 구체예에서,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는 알루미늄 합금 시트 또는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 또는 로드이다.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는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3㎜ 미만, 바람직하게 0.04 내지 2㎜의 범위로 게이지를 갖는 상기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 시트 또는 스트립이 브레이징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또는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니켈을 포함하는 층과 추가적인 금속층으로 양면이 도금되고, 브레이징 작업동안에, 전체 브레이징 생성물이 용융되어 금속 충전재를 형성한다. 유사한 접근방법이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 또는 로드상에 다수의 금속층을 도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도금된 와이어 또는 로드는 브레이징 작업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레이저 용접작업과 같은 용접작업에서 충전재 금속으로 사용된다.
구체예에서,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코어 시트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형성하고, 브레이징 작업동안, 용융되지 않아서, 충전재 금속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알루미늄 합금 코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에 예를들면 클래딩에 의해서 결합되는 코어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며,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의 경우에, 알루미늄 클래드 층으로 언급되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2 내지 18중량%의 범위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며, 전형적으로 AA4000-시리즈 합금이며, 상기 층은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외부면에서 니켈을 포함하며, 상기 층의 한쪽면에 별개로 부착된 니켈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고, 상기 층은 상기알루미늄 클래드 층과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490 내지 570℃의 범위, 바람직하게 510 내지 550℃의 범위에서 액상선 온도 또는 용융온도를 갖는 금속 충전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 있어서, 종래의 브레이징 온도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브레이즈하는데 사용되어, 매우 강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브레이징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이 조절된 대기 조건하에서 진공 브레이징 및 무용제 브레이징 양쪽에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무용제 CAB의 사용에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이 금속시트를 얇게 압연시키지 않고 산업적 규모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 있어서, 더 많은 다른 금속이 서로 브레이즈될 수 있고, 예를들면 6% 미만의 범위로 Mg를 갖는 AA5000-시리즈 합금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압출 코어 합금이 무용제 CAB 작업에서 현재 사용될 수 있다. AA3000 및 AA6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에서 적어도 알루미늄 합금이 코어 합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의 구체예에서, 별개로 부착된 층은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과,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490 내지 570℃, 바람직하게 510 내지 550℃, 가장 바람직하게 510 내지 540℃의 범위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금속 충전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을 포함하고, 별개로 부착된 층은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은 적어도 60중량%의 구리를 포함한다. 적당한 구리계 합금은 예를들면 황동 또는 청동이다.
바람직하게,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도포된 층은 10 미크론 미만, 더 바람직하게 7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최상의 결과로서, 약 4미크론의 두께가 사용되어진다.
특히, 구리는 금속 충전재의 액상선 온도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예를들면 아연 또는 주석 또는 그의 조합물의 추가의 금속층이 또한 여기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의 구체예에서,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선택적으로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2 내지 18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4중량% 범위의 Si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8중량%미만, 바람직하게는 5중량% 미만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중량% 범위의 Mg를 적어도 포함한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하기를 중량%로 포함한다:
Si 2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4
Mg 8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
Zn 5.0미만
Cu 5.0미만
Mn 0.5미만
In 0.3미만
Fe 0.8미만
Sr 0.2미만
선택적으로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
Bi 0.01 내지 1.0
Pb 0.01 내지 1.0
Li 0.01 내지 1.0
Sb 0.01 내지 1.0
불순물은 각각 0.05미만, 전체 0.20미만
나머지 알루미늄.
본 발명의 상기 측면은 알루미늄 클래드 층이 각각 0.01 내지 1.0% 범위로 비스무트, 납, 리튬 및 안티몬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둘 또는 그 이상의 원소의 조합물은 2.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켈층은 그 자체로 강제의 합금 첨가로서 특정 납을 포함하도록 할 필요가 없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놀랍게도 Bi, Pb, Li 및 Sb 그룹에서 하나 이상의 원소가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 주어진 범위로 첨가되면 동일하거나 또는 심지어 더 좋은 결과가 수득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 납의 첨가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환경적 관점에서 보면 납의 첨가는 피해야 한다. 추가의 합금 원소가 알루미늄 합금 클래드 층의 특정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마그네슘은 베이스 기재 또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강도를 다른 것 중에서도 증가시키기 위한 합금 원소로서 8% 미만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의 범위로 베이스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클래드 층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0.2 내지 2% 범위의 마그네슘은 비스무트, 납, 리튬 및 안티몬의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원소와 유사한 방법으로 또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 납이 없는 니켈층과 조합되어 알루미늄의 습윤 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만 필수적으로 존재할 때, 마그네슘의 양은 2.0%를 초과하지 않는다. 클래드 층에 2% 이상의 마그네슘이 존재하는 경우에, 주어진 범위의 비스무트, 납, 리튬 및 안티몬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와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그룹의 두개 이상의 원소의 조합은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징 생성물의 사용에서, 베이스 기재 또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서 마그네슘이 존재하면 브레이징 작업동안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밝혀졌다. 상기는 공지되어 있는 브레이징 생성물에 대해서 주된 개선점이다. Mg-함유 브레이징 생성물이 VB 및 무용제 CAB 둘다에 적용될 수 있다. 후자의 가능성은 많은 경제적 및 기술적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의 구체예에서, 니켈을 포함하는 상기 층은 5중량% 미만의 비스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니켈층은 양호한 브레이즈성을 얻기위해서 강제적인 합금 첨가물로서 납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놀랍게도, 비스무트가 니켈층에 첨가되면 동일하거나 또는 더 좋은 결과가 얻어질 수 있고, 상기 니켈층은 필수적으로 납을 포함하지 않고, 도금조에서 Ni-Bi 합금층의 부착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레이징 생성물에서, 니켈 및 비스무트를 포함하는 층은 2㎛미만, 바람직하게는 1㎛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2㎛보다 큰 코팅재 두께는 도금에 있어서 처리 시간이 연장될 것이 요구되며, 연속되는 브레이징동안 용융된 충전재 금속에 주름이 생길 수 있다. 상기의 Ni-Bi-함유 층의 바람직한 최소한의 두께는 약 0.25㎛이다. 또한, 열 분사, 화학 증착(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및 물리 증착(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과 같은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 특히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외부면 또는 선택적으로 알루미늄 클래드 층과, 니켈을 포함하는 층 사이에 결합층으로서 아연 또는 주석을 포함하는 층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특징화될 수 있다. 결합층을 포함하는 아연 또는 주석에 의해서, 알루미늄 합금 클래드 층과 니켈을 포함하는 층사이의 매우 효과적인 결합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은 굽힘(bending)에 의한 브레이징 시트의 연속적인 변형동안 유효하게 유지된다. 상기 니켈층의 피복은 노출된 클래드 층의 표면 특성에 의존하지 않는다. 수득된 브레이징 생성물은 조절된 대기 조건하에서 무용제 브레이징에 적당하다. 본 발명은 브레이징 생성물의 Si-함유 알루미늄 층에서 잘-결합된 니켈층을 수득하기위해서 상기 결합이 크게 변형된 조건하에서 유효하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전처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 기초한다. 종래의 방법은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표면에서 실리콘 입자에 대해 분배된 형태로 니켈을 도포하여, 균일한 층을 이루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Si-함유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은 니켈 커버가 그의 표면에서 실리콘 입자와 무관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니켈 도금은 실리콘 입자상에 놓을 수 없지만, 아연 또는 주석을 포함하는 도포된 결합층을 놓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니켈이 베이스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전체 표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브레이징 전의 필수적인 반응이 종래의 방법에 비해서 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된 아연 또는 주석은 브레이징 방법동안에 전혀 방해하지 않으며, 브레이징을 돕기위해서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니켈이 표면에 매끄럽고, 균일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브레이징하는 동안 습식성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 납이 감소되거나 또는 피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성분으로 비스무트가 상기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표면에 매끄럽고, 균일하게 니켈이 부착됨에 의한추가적인 중요한 잇점은 양호한 무용제 브레이징을 이루기위해서 사용되는 니켈의 전체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잇점은 클래드 층의 표면에서 알루미늄 옥시드에 의한 특정의 어려운 점이 완전한 표면 커버에 의해서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연 또는 주석을 포함하는 도포된 층은 0.5㎛미만, 더 바람직하게 0.3㎛미만(300㎚), 가장 바람직하게 0.01 내지 0.15㎛(10-150㎚)의 두께를 갖는다. 최상의 결과는 약 30㎚의 두께가 사용되었을 때 얻어진다. 0.5㎛이상의 코팅재 두께는 변위 도금(displacement plating)에 있어서 처리시간을 연장해야하며, 접착성을 향상시키는데 추가적인 잇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구체예에서, 알루미늄 합금 클래드 층은 전체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 두께의 전체 두께의 약 2 내지 20%의 두께를 갖는다. 전형적인 알루미늄 클래드 층 두께는 40 내지 80 미크론의 범위이다. 상기 코어 시트는 5㎜미만, 바람직하게 0.1 내지 2㎜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서, 상기 코어 시트는 중간층을 통해서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 결합될 수 있으며, 코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양성인 물질일 수도 있는 양극층으로서 아연 또는 아연-함유 알루미늄 합금이 가능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코어 시트는 8% 미만의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마그네슘은 0.5 내지 5%이다. 추가적인 합금 원소가 적당한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클래드 층에서 마그네슘이 존재하면 브레이징동안에유해한 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발견되었다. 공지된 브레이징 시트에 대해서 주된 개선점으로 고려된다.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제조 동안 및 연속된 브레이징 방법에서 그의 사용동안 코어에서 클래딩까지 Mg의 확산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브레이징성에 있어서 유해한 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요한 강화성분으로서 주어진 범위로 마그네슘을 갖는 알루미늄 코어 시트를 갖는 강한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디자인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진공 브레이징(Vacuum Brazing, VB) 및 무용제 조절된 대기 브레이징(fluxless Controlled Atmosphere Brazing, CAB)에 사용될 수 있으며, 양쪽은 산업적 규모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의 구체예는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과,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하기를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i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Cu 1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Bi 0.25%미만,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5%
Ni 0.05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Zn 0.25%미만, 바람직하게는 0.15%미만
나머지 알루미늄 및 불순물.
전형적인 불순물 원소는 철, 특히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서 발생된 철이며, 0.8% 미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합금원소가 존재할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 선택적으로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서 발생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각 불순물 원소가 0.05%미만으로 존재하며, 상기 불순물 원소의 전체 양은 0.3%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구체예에서, 금속 충전재는 510 내지 550℃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것이 수득되며, 종래의 산업적 규모의 브레이징 온도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브레이즈된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은 알루미늄 클래드 층 및 그 외부의 모든 층은 하기의 성분을 중량%로 적어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i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Cu 1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Bi 0.25%미만,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5%
Ni 0.05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Zn 20%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
Sn 5%미만
Mg 5%미만
나머지 알루미늄 및 불순물.
상기 불순물에 대한 한계는 상기 다른 구체예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에 기술된 브레이징 생성물, 가령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이 전형적으로 알카리 용액내 전기도금에 의해서 니켈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니켈 부착에 대한 전기도금방법이 하기의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는 경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a)20 내지 70℃, 바람직하게 20 내지 30℃의 도금조 온도;
(b)7 내지 12의 pH, 바람직하게 10 내지 12의 pH, 더 바람직하게 약 10.5의 pH ;
(c)0.1 내지 10A/dm2, 바람직하게 0.5 내지 4A/dm2의 전류밀도;
(d)1 내지 300초, 바람직하게 30 내지 100s의 도금시간;
(e)3 내지 200g/ℓ의 황산니켈, 바람직하게 50g/ℓ의 황산니켈, 10 내지 100g/ℓ의 염화니켈, 바람직하게 50g/ℓ의 염화니켈, 60 내지 300g/ℓ의 시트르산나트륨, 바람직하게 100g/ℓ의 시트르산나트륨, 5 내지 150㎖/ℓ의 수산화암모늄(30중량%), 바람직하게 75㎖/ℓ의 수산화암모늄을 포함하는 도금조 조성물. 시트르산 나트륨에 대한 대체예로서, 60 내지 300g/ℓ의 글루콘산 나트륨, 바람직하게 150g/ℓ의 글루콘산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g/ℓ의 시트르산납 또는 락트산 비스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층과 조합되는 상기 변수를 사용하여, 필수적으로 니켈을 포함하는 잘-결합된 층이 브레이징 시트에 사용될 수 있고, 니켈-도금된 브레이징 시트의 큰 변형하에 유효하게 유지되는 결합 및 상기 도금층의 부착은 클래드 층의 표면에서 실리콘 입자와 무관하다. 추가적인 잇점은 연속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이 산성용액에서 전기도금에 의해서 니켈로 도금될 수 있다. 니켈을 부착시키기위한 전기도금방법에서, 상기 변수는 하기의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함에 의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a)20 내지 70℃, 바람직하게 40 내지 60℃의 도금조 온도;
(b)3 내지 5의 pH , 바람직하게 4 내지 5의 pH;
(c)0.1 내지 10A/dm2, 바람직하게 0.5 내지 5A/dm2의 전류밀도;
(d)1 내지 300초, 바람직하게 20 내지 100s의 도금시간;
(e)5 내지 400g/ℓ의 황산니켈, 바람직하게 240 내지 300g/ℓ의 황산니켈, 10 내지 100g/ℓ의 염화니켈, 바람직하게 40 내지 60g/ℓ의 염화니켈, 5 내지 100g/ℓ의 붕산, 바람직하게 25 내지 40g/ℓ의 붕산을 포함하는 도금조 조성물.
상기 전기도금방법은 와트의 방법(Watt's process)으로 불린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층과 조합되는 상기 변수를 사용하여, 필수적으로 니켈을 포함하는 잘-결합된 층이 브레이징 생성물에 사용될 수 있고, 니켈-도금된 브레이징 시트와 같은 브레이징 생성물의 큰 변형하에서 유효하게 유지되는 결합과 상기 도금층의 부착은 클래드 층의 표면에서 실리콘 입자와 무관하다. 추가적인 잇점은 연속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체예에서, 니켈을 포함하는 상기 층은 10 내지 100g/ℓ의 니켈-이온 농도 및 0.01 내지 10g/ℓ의 비스무트-이온 농도를 포함하는수조를 사용하여 니켈 및 비스무트를 둘다 전착시킴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놀랍게도 니켈층은 양호한 브레이즈성을 얻기위해서 강제적 합금 첨가물로서 납을 포함하도록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놀랍게도, 비스무트가 니켈층에 첨가된다면 동일하거나 또는 심지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니켈층은 필수적으로 납을 포함하지 않으며, 동시에 상기 Ni-Bi 층의 부착에 사용되는 도금조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상기 수조를 사용함에 의해서 납의 첨가에 대한 필요성이 극복되었으며, 환경적인 관점에서 크게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브레이징 생성물로, 가령 브레이징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니켈을 포함하는 층이 20 내지 70g/ℓ의 니켈-이온 농도 및 0.02 내지 5g/ℓ의 비스무트-이온 농도를 포함하는 수조를 사용하여 니켈 및 비스무트를 둘다 전기도금시킴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에 대한 니켈-이온 농도는 염화니켈, 붕불화수소산니켈, 설팜산니켈, 아세트산니켈 또는 황산니켈의 첨가에 의해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황산니켈(NiSO4)의 첨가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내 니켈염의 수준이 너무 높으면, 용액내 염이 결정화되는 위험이 있어서, 연속공정에 손해를 입힌다. 너무 수준이 낮으면, 생성된 도금조가 도금시간이 너무 길고, 전류밀도가 낮아져서 비경제적이다.
상기에 기술된 농도로 Bi-이온이 다양한 방법으로 수조에 첨가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많은 비스무트 화합물이 상기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비스무트 화합물이 시도되었지만, 신뢰성과 재현성을 갖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예를들면 아세트산 비스무트를 첨가하면, 상기 화합물은 사용된 도금조에서 용해되지 않으며, 반면에 아세트산납을 첨가되면 생성물이 용해되지 않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들면 니켈-이온 및 비스무트-이온의 조합물 및 8이상의 범위의 pH에서 주석산염은 바람직하지 않은 Ni-함유 슬러지를 형성한다. 상기 Ni-함유 슬러지는 가열하여도 용해되지 않으며, 이는 다른 것 중에서 Ni는 언급된 pH 범위내 주석산염의 존재하에서 안정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Bi-이온이 탄산비스무트(Bi2(CO3)3), 산화비스무트(Bi2O3), 시트르산비스무트(BiC6H5O7) 및 염화비스무트(BiCl3)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첨가함에 의해서 첨가되는 경우 매우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어진다. 선택적으로 몇가지 수산화나트륨이 수조의 pH를 조절하기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니켈의 존재하에서 탄산비스무트 또는 산화비스무트를 사용함에 의해서, 적당한 도금조가 매우 넓은 pH 범위내에서 안정하게 수득될 수 있다. 수조내 Bi-이온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생성된 부착물이 바람직하지 않게 매우 높은 Bi-농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 생성된 Ni-Bi 층내 Bi-농도는 5중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3중량% 미만이다. 너무 수준이 낮으면, 생성된 도금조는 너무 긴 도금시간과 낮은 전류밀도에 의해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구체예에서, 니켈을 포함하는 층은 하기의 조건을 갖는 수조를 사용하여 니켈 및 비스무트 양쪽으로 도금시킴에 의해서 부착되어진다:
-2.5 내지 10 범위의 pH, 및
-10 내지 100g/ℓ, 바람직하게 20 내지 70g/ℓ범위의 니켈-이온 농도를 포함하며,
-0.01 내지 10g/ℓ, 바람직하게 0.02 내지 5g/ℓ범위의 비스무트-이온 농도를 포함하며,
-40 내지 150g/ℓ, 바람직하게 80 내지 110g/ℓ범위의 시트레이트-이온 농도를 포함하며,
-2 내지 80g/ℓ, 바람직하게 4 내지 50g/ℓ범위의 글루코네이트-이온 농도를 포함하며,
-1 내지 50g/ℓ, 바람직하게 1 내지 30g/ℓ범위의 염소- 또는 불소-이온 농도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는 매우 넓은 범위내에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높은 전류밀도를 사용하여 산업적 규모의 코일 도금 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고, 높은 라인 속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금조의 추가적인 잇점은 암모니아 연무를 발생하지 않으며, 표준 및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비스무트가 비스무트 농도 또는 그외의 것으로부터 도금조로 용이하게 재공급될 수 있다.
하기의 염을 사용하는 도금조는 하기를 리터당 그람으로 사용하면 특히 유효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45 내지 450g/ℓ, 바람직하게 90 내지 315g/ℓ범위의 황산니켈,
-1 내지 50g/ℓ, 바람직하게 1 내지 30g/ℓ범위의 염소-이온 농도,
-55 내지 180g/ℓ, 바람직하게 110 내지 150g/ℓ범위의 시트르산나트륨,
-2 내지 90g/ℓ, 바람직하게 5 내지 55g/ℓ범위의 글루콘산나트륨,
-270g/ℓ미만의 황산암모늄,
-0.02 내지 22g/ℓ, 바람직하게 0.05 내지 11g/ℓ범위의 산화비스무트, 또는 0.03 내지 29g/ℓ, 바람직하게 0.06 내지 14g/ℓ범위의 탄산비스무트.
염소 및 불소로 구성된 그룹에서 이온의 첨가는 양극 부식을 유도하기위해서 요구된다. 염소-이온 농도의 적당한 공급원은 415g/ℓ미만, 바람직하게 250g/ℓ미만의 범위로 염화니켈(NiCl2·6H2O)의 첨가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H+) 또는 (OH-)가 2.5 내지 10 범위의 pH로 조절하기 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면 암모니아 연무의 발생을 피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Ni 및 Bi를 포함하는 부착층에서 응력을 감소시키기위해서, 40g/ℓ미만, 바람직하게 1 내지 25g/ℓ범위의 암모늄-이온 농도 또는 40g/ℓ미만의 트리에탄올아민-이온 농도, 또는 그의 조합물, 또는 그의 동등 성분들이 수조로 첨가될 수 있다. 특정 가용성 암모늄염이 NH4 +의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된 도금조는 도금조의 성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경우에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또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을 용해시키지 않고 2.5 내지 10의 범위, 바람직하게 4 내지 8의 pH의 범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 또는 클래드 층이 아연층으로, 예를들면 직접 또는 침지 도금을 통해서 Ni-Bi 층의 도금전에 아연산 처리에 의해서 제공된다면, 바람직하게 5 내지 8 범위의 pH, 더 바람직하게 5.4 내지 7.5 범위의 pH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30 내지 70℃, 더 바람직하게 40 내지 65℃의 온도를 갖는 도금조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이온-이동성이 증가되고, 도금하는 동안 열발생을 보충하기위해서 도금조를 냉각시킬 필요가 없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아연 또는 주석을 포함하는 결합층이 직접 아연도금처리에 의해서 또는 아연산염 처리 또는 주석산염처리에 의해서 도포될 수 있다. 침지 아연산염 처리 또는 침지 주석산염 처리에 의해서 매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고, 이는 치환 도금조라 불린다. 추가적인 잇점은 상기 처리가 연속공정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연산염 처리가 알루미늄에 층을 도포하는 것에 대해서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아연산염 피클에 대한 간단한 기본 조성물은 40-50g/ℓ의 ZnO 및 400-500g/ℓ의 NaOH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아연산염 도금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ChemTec(상표명) 024202로 본달 방법(Bondal process)으로 알려져 있으며, ChemTec(상표명) 024195로 시안화물이 없는 본달방법(Cyanide-free Bondal Process)으로 알려져 있다.
주석산염 처리는 땜납을 용이하게하고, 전기 전도성을 개선하고, 작업기간동안 내부연소엔진에 대한 알루미늄 합금 피스톤에 윤활표면을 제공하기위해서 알루미늄상에 층을 부착시키는 것이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알카리 주석산염 용액은 5 내지 300g/ℓ의 주석산 나트륨 또는 주석산 칼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아연 또는 주석 결합층은 필수적으로 순수한 아연 또는 주석층일 수 있고, 또는 주로 아연 또는 주석일 수 있다(예를들면 적어도 50중량%). 소량의 불순물 원소 또는 임의로 첨가된 원소가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같이 존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불순물 원소는 아연 또는 주석층에서 10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 5중량% 미만으로 존재한다. 상기 아연 또는 주석층은 1% 미만의 다른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별개로 부착된 층이 전기도금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별개로 부착된 층이 수성 알카리 구리-시안화물계 도금조를 사용하여 구리 또는 구리-합금을 도금시킴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별개로 부착된 층이 수성 구리-인산염계 도금조를 사용하여 구리 또는 구리-합금을 도금시킴에 의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는 넓은 pH범위에서 작업될 수 있으며, 높은 전류밀도를 사용하여 산업적 규모의 도금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은 라인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표준 및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구리가 도금조로 용이하게 재보충될 수 있다.
하기의 염을 사용하는 도금조는 리터당 그람으로 사용되며, 특히 유효한 것이 입증되었다:
-7 내지 11 범위의 pH;
-5 내지 200g/ℓ, 바람직하게 20 내지 150g/ℓ의 구리-인산염, 특히 구리-피로포스페이트가 적당한 염인 것이 입증되었음,
-50 내지 700g/ℓ, 바람직하게 150 내지 400g/ℓ범위의 칼륨-피로포스페이트,
-선택적으로 2 내지 50g/ℓ, 바람직하게 4 내지 25g/ℓ의 시트르산,
-선택적으로 (OH-)가 7 내지 11범위의 pH를 조절하기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30 내지 70℃, 더 바람직하게 40 내지 65℃ 범위의 온도를 갖는 도금조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이온-이동성이 증가되고, 도금하는 동안 열발생을 보정하기위해서 도금조를 냉각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사용하여 브레이즈된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거나, 또는 하기의 연속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수득될 수 있다:
(a)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서 제조되는 부품의 성형단계;
(b)상기 부품을 조립체로 조립하는 단계;
(c)브레이징 용제가 존재하지 않고, 490 내지 570℃, 더 바람직하게 510 내지 550℃의 높은 온도에서, 용융된 충전재의 용융 및 발산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비활성 대기 또는 진공하에서 조립체를 브레이징하는 단계;
(d)상기 브레이즈된 조립체를 냉각하는 단계.
코어 시트의 알루미늄 합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생성된 조립체의 기계적 및/또는 부식성질을 최적화하기위해서 브레이즈되고, 냉각된 조립체의 노화처리단계(e)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사용하여 상당히 낮은 브레이징 온도에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감소된 브레이징 온도는 전체 브레이징 사이클동안 산업적 규모의 처리시간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전형적으로 25%이상의 시간이 감소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단계(a)에서 브레이즈된 조립체의 제조방법의 구체예에서, 브레이징에 의해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상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로 제조된 성분이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성분은 티탄, 도금된 티탄, 코팅된 티탄, 청동, 황동, 스테인레스 스틸, 도금된 스테인레스 스틸,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 니켈-합금, 저탄소 스틸, 도금된 저탄소 스틸, 코팅된 저탄소 스틸, 고강도 스틸, 도금된 고강도 스틸 및 코팅된 고강도 스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상기에 기술된 발명에 따라 제조된 브레이즈된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브레이즈된 조립체는 열-교환기이고, 전형적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이거나, 또는 연료-전지, 전형적으로 전기화학 연료전지이다.
본 발명은 2 내지 18중량%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베이스 기재(base substrate)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을 갖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 시트 클래드(core sheet clad)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알루미늄 클래드 층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코어 시트와,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을 갖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은 실리콘을 2 내지 18중량%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과, 상기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브레이즈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몇가지의 비-제한적 실시예로 여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당분야의 기술상태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식 종단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식 종단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식 종단면이다.
도 1은 예를 들어 US-3,970,237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은 Al-Si 합금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1)과 클래드의 한면 또는 양면상에 코어 시트(4)로 구성된다. 클래드 층 위쪽에 얇은 니켈층(2), 바람직하게 니켈-납 층이전기도금에 의해서 도포되었다.
도 2는 알루미늄 코어(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며, 알루미늄 코어(4)가 알루미늄 클래드 층(1)으로 양쪽면에 피복되고, 하나의 알루미늄 클래드 층(1)과 니켈층(2) 사이에 선택적으로 추가의 아연 또는 주석의 얇은 결합층(5)이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래드 층(1)과 그 외부의 모든 층(5,2,3)에 의해서 형성된 금속 충전재의 액상선 온도를 감소시키기위해서 추가적으로 부착된 금속층(3)이 제공된다. 상기 부착된 금속층(3)이 니켈층(2)의 상부 또는 상기 니켈층(2)의 아래쪽에 도포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층(5,2,3)은 브레이징 시트의 한쪽 면에서만 볼 수 있으며,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양쪽면에 가해질 수 있다는 것도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하다. 다양한 층의 조성물과 이들의 잇점이 상기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코어층(4)을 갖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을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에서, Al-Si 합금의 베이스 기재(1)가 니켈층(2)으로 양쪽면에 제공되고, 상기 니켈층(2)에서, 추가적인 금속층(3)으로, 바람직하게 구리를 갖는 금속층(3)이 도포되어 베이스 기재 및 그 외부의 모든 층에 의해서 형성된 금속 충전재의 액상선 온도를 감소시킨다. 도 3에서 개시된 브레이징 생성물은 베이스 기재(1)와 니켈층(2)사이에 배열된 아연 또는 주석의 결합층(5)(도 2)이 제공되지 않지만, 그러나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상기 결합층이 여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는 막대 물질의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층의 조성물및 이들의 잇점이 상기에 기술되었다.
실시예 1
실험실 규모로, AA4045 클래드 합금(표 1 참조)과 양쪽 면에서 압연결합에 의해서 AA3003 코어 합금 클래드로부터 제조되고, 0.5㎜의 전체 두께를 가지며, 각 클래드 층의 두께가 50미크론인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가 알카리 부식 및 탈얼룩에 의해서 전처리되고, 다양한 다른 금속층으로 도금된 양면을 연속적으로 중간 세척하며, 표 2를 참조한다.
- 실온에서 12초 동안 ChemTec(상표명) 024202를 사용하는 아연산염 침지처리를 사용하여 약 30㎚의 얇은 아연층이 도포되고,
-니켈-납 층이 50g/ℓ의 황산니켈, 50g/ℓ의 염화니켈, 30g/ℓ의 시트르산나트륨, 1g/ℓ의 아세트산납, 75㎖/ℓ의 수산화암모늄(30%)을 포함하는 기본 도금조를 사용하여 도포되었다. 26℃에서의 도금 조건은 50초의 도금시간으로 3A/d㎡의 전류밀도를 사용하여 0.5미크론 두께의 니켈-납 도금층이 생성된다.
-니켈-비스무트 층이 표 3의 조성을 가지며, 5.5의 pH를 갖는 도금조를 사용하여 도포되어진다. 상기 Bi-이온의 농도가 160g/ℓ의 수산화나트륨, 300g/ℓ의 글루콘산 나트륨 및 110g/ℓ의 산화 비스무트의 Bi-이온의 농도를 사용하여 도금조로 첨가되어진다. 상기 산화비스무트가 탄산비스무트로 대체되어진다. Ni-Bi 층의 전기도금이 57℃에서 실시된다.
-구리층이 110g/ℓ의 시안화구리(I), 140g/ℓ의 시안화나트륨, 90g/ℓ의 탄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알카리 시안화물 도금조를 사용하여 전기도금에 의해서 도포되고, 상기 도금 조건은 다른 도금시간이 사용되어, 50℃의 온도에서 3A/d㎡의 전류밀도에 의해서 층의 두께가 다르게 된다. 상기 구리 도금의 전류 효율은 약 70%이다.
대조물질로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브레이징 시트가 US-3,970,237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표 2에서 "REF"로 나타낸다.
예를들면 표 2의 시료 3은 코어 시트의 각 면에 하기의 연속된 금속층을 갖는다; AlSi 합금 클래드 층, 아연층, NiBi-층, 마지막으로 구리층.
양쪽면에 도포된 층의 조성 및 중량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에 의해서 측정된다. 코어 시트의 각 면에 대한 결과가 하기 표 2에 개시되어 있으며, "n.m."은 측정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도금된 시험편은 에리치센 돔 테스트(Erichsen dome test)(5mm) 및 T-굽힘 테스트(T-bend test)를 사용하여 부착성을 시험하였다. 그 후에 값의 평가는 (-)=불량, (±)=적당 및 (+)=양호로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가 표 2에 기술되었다. 또한, 브레이즈성이 평가되었다. 시험의 실험실 규모에서 브레이징 테스트를 작은 석영 노에서 실시하였다. 도금된 시험편 시트로 부터 25㎜×25mm의 작은 쿠폰을 절단하였다. AA3003 합금 30㎜×7㎜×1mm 크기의 작은 스트립 중앙을 45°각도로 구부리고 쿠폰에 놓았다. 쿠폰 시료위의 스트립을 질소가 흐르는 하에서 가열, 즉 실온에서 580℃로 가열하고, 580℃에서는 1분간 머무르고, 580℃에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브레이징 방법은 주름, 모세 침하 및 필릿 형성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평가는 (-)=불량한 브레이즈성, (-/±)=적당한 브레이즈성, (±)=양호한 브레이즈성 및 (+)=우수한 브레이즈성으로 나타내었다. 수득된 결과가 표 2에 요약되었다.
각 도금된 시험편에 있어서, 알루미늄 클래드 층과 그위의 모든 층에 의해서 형성된 도포된 금속 충전재의 용융범위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해서 측정되어진다. 상기 측정은 용융범위를 제공하며, 더 높은 온도는 액상선 온도를 나타내며, 이를 용융온도라고 한다.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아연산염 처리가 연속되어 얇은 층과 접촉하는 경우 Ni-도금된 양호한 부착력을 이룰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아연의 매우 얇은 결합층은 생성된 충전재 금속의 용융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발견되었다.
시료 3 및 시료 8을 비교하기위해서, 금속층의 서열은 충전재 금속의 브레이즈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리층은 니켈을 포함하는 층의 상부에 도포된다(시료 3).
Ni-Bi 층을 포함하는 시료로부터, 니켈을 포함하는 층에서 비스무트가 존재하는 경우 얻어지는 결과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양호한 결과로 우수한 무용제 CAB 브레이즈성을 얻기위해서 납의 추가는 필수원소는 아닌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스무트는 또한 예를들면 알루미늄 클래드 층으로 첨가될 수 있다.
시료 5, 시료 6 및 시료 7의 비교를 위해서, Ni를 포함하는 층의 존재는 무용제 CAB 브레이징 환경에서 양호한 브레이즈성을 수득하기위해서 요구되는 것을볼 수 있다.
시료 3의 최상의 실시예에서, Ni-Bi 층의 두께는 약 0.5미크론이고, 구리층의 두께는 약 4미크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도금 작업 또는 금속층의 다른 도포기술이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합금 시트 또는 스트립의 한쪽 또는 양쪽면에 도포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 시트는 코어 시트를 제공하지 않아서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형성한다. 상기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 시트 또는 스트립, 전형적으로 3㎜미만, 바람직하게 0.04 내지 2㎜미만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브레이징 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한 접근방법이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 또는 막대상에서 다수의 금속층을 도금하기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금된 와이어 또는 막대가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브레이징 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용접작업에서 충전재 물질로서, 예를들면 레이저 용접 작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원소 AA3003 AA4045
Si <0.6 9.0-11.0
Fe <0.7 <0.8
Cu 0.05-0.20 <0.3
Mn 1.0-1.5 <0.05
Mg - <0.05
Zn <0.10 <0.10
Ti - <0.20
기타 각각 <0.05전체 <0.15 각각 <0.05전체 <0.15
나머지 Al Al
시료 1 2 3 4 5 6 7 8 REF
아연침지 - -
세척 -
NiPb도금 - - - - - -
NiBi도금 - - - -
세척
Cu도금 - - 194 258 323 258 258 258
세척
도금순서 Zn NiPb Zn Zn Zn Zn Cu Zn
NiPb NiBi NiBi NiBi Cu Cu
Cu Cu Cu NiBi
원소 조성물 금속 충전재[중량%], 나머지는 알루미늄
Zn 0.1 - 0.1 0.1 0.1 0.1 - 0.1 -
Ni 3.2 3.2 2.6 2.5 2.3 - - 2.5 11.6
Pb 0.2 0.1 - - - - - - 0.3
Bi - - 0.1 0.1 0.1 - - 0.1 -
Cu - - 15.9 19.8 24.2 22.8 22.4 20.4 -
Si 9.7 9.7 8.1 7.8 7.3 7.7 7.8 7.6 9.4
접착성 + - + + + + - - ±
브레이즈성 + + + + + - - - +
용융범위(℃) 565 565 525 525 525 520 522 523 570
575 575 550 545 540 543 558 543 578
화합물 농도[g/l]
황산니켈 142
황산암모늄 34
염화니켈 30
시트르산나트륨 140
글루콘산나트륨 30
비스무트 이온 1
실시예 2
실시예 1의 시료 3이 반복되지만, AA4045 클래드 층대신에 중량%로 9.6%의 Si, 1.32%의 Mg, 나머지는 알루미늄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클래드 층이 사용된다. 상기 도금조에서, 상기 도포된 Ni-층이 전체적으로 니켈로 구성되도록 Bi-이온이 첨가되지 않았다. 연속적으로, 상기 같은 시리즈의 시험이 실시되어, 실시예 1에서 시료 3에 대해서 같은 결과를 제공한다.
알루미늄 클래드 층에서 Mg의 존재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의 브레이즈성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약 2.5%미만의 양으로, Mg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 및 또는 니켈을 포함하는 층으로 Bi의 첨가를 삭제하여, 양호한 브레이징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시료 4는 구리층에 추가적인 금속층을 도금하기위한 개시점으로 사용되어진다.
시료 9는 종래의 황산아연 도금조를 사용하여 구리층상에 추가의 아연층을 도금함에 의해서 제조되어진다.
그리고, 시료 10은 구리층에 주석층을 도금함에 의해서 제조되어진다. 상기 수성 주석 도금조의 조성은 하기와 같다:
주석 2+ 이온 26.1g/ℓ
Fe 전체 15.5g/ℓ
황산염 5.2g/ℓ
페놀 설폰산 210g/ℓ
금속 충전재의 용융범위 및 금속 충전재의 조성이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어지며, 상기 결과가 표 4에 요약되었다. 상기 조성물은 중량%로 나타내며, 나머지는 알루미늄 및 불순물이다. 상기 불순물은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불순물로서 Fe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클래드 층으로부터 주로 발생된다.
시료 9 및 시료 10의 도금된 시험편은 실시예 1의 시료 4와 유사한 접착성 및 브레이즈성을 갖는다. 시료 9 및 시료 10에서 도금된 아연 및 주석 층은 알루미늄 클래드 층 및 니켈층에 대한 결합층으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표 4의 결과로부터, 추가적으로 도포된 금속 층이 사용되어 생성된 충전재 금속의 더 낮은 용융범위와 액상선 온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양호한 CAB 브레이즈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료 금속 충전재의 조성[wt.%] 용융범위[℃]
Zn Ni Pb Bi Cu Si Sn
9 6.3 2.3 - 0.1 18.5 7.2 - 520-538
10 0.1 2.4 - 0.1 19.4 7.5 1.9 523-540

Claims (25)

  1. 2 내지 18중량% 범위의 양으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베이스 기재(1)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2)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의 한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별개로 부착된 층(3)이 있으며,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3)은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1)와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490 내지 570℃, 바람직하게 510 내지 550℃의 범위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금속 충전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1)가 알루미늄 합금 시트,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 및 알루미늄 합금 막대로 구성된 그룹의 부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가 AA4000-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 생성물이 결합된 코어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1)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코어 시트(4)와, 상기 알루미늄 기재는 2 내지 18중량%의 범위로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며, 상기 알루미늄 클래드 층의 외부면에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의 한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별개로 부착된 층(3)이 있으며,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3)은 상기 알루미늄 기재(1)와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490 내지 570℃, 바람직하게 510 내지 550℃범위의 액상선 온도를 갖는 금속 충전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3)은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3)은 구리를 적어도 6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3)은 10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1)는 추가적으로 마그네슘을 8중량% 미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은 추가적으로 비스무트를 5중량% 미만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은 필수적으로 납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은 2미크론 미만, 바람직하게 1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은 전기도금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1)의 외부면과 니켈을 포함하는 층(2) 사이의 결합층으로 아연 또는 주석을 포함하는 층(5)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5)은 0.5미크론 미만, 바람직하게 0.3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서,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및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적어도 하기의 성분을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Si 5 내지 10% 범위,
    Cu 12 내지 25% 범위,
    Bi 0.25%미만,
    Ni 0.05 내지 4% 범위,
    Zn 0.25%미만,
    나머지 알루미늄 및 불순물.
  16.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에서, 상기 알루미늄 베이스 기재 및 그 외부의 모든 층이 함께 취해져서 적어도 하기의 성분을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
    Si 5 내지 10% 범위,
    Cu 12 내지 25% 범위,
    Bi 0.25%미만,
    Ni 0.05 내지 4% 범위,
    Zn 20%미만,
    Sn 5%미만,
    Mg 5%미만,
    나머지 알루미늄 및 불순물.
  17.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이고, 브레이징, 바람직하게 무용제 CAB 브레이징 작업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의 조립체.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이 10 내지 100g/ℓ범위의 니켈-이온 농도 및 0.01 내지 10g/ℓ범위의 비스무트-이온 농도를 포함하는 수조를 사용하여 니켈과 비스무트 둘다를 전기도금에 의해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을 포함하는 층(2)이 2.5 내지 10 범위의 pH를 갖는 수조를 사용하여 니켈 및 비스무트 둘다를 도금에 의해서 부착하고, 상기 수조는 하기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
    -10 내지 100g/ℓ범위의 니켈-이온 농도,
    -0.01 내지 10g/ℓ범위의 비스무트-이온 농도,
    -40 내지 150g/ℓ범위의 시트레이트-이온 농도,
    -2 내지 80g/ℓ범위의 글루코네이트-이온 농도, 및
    -1 내지 50g/ℓ범위의 염소- 또는 불소-이온 농도.
  20.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5)이 아연 또는 주석을 포함하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이 바람직하게 아연산염 처리 또는 주석산염 처리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로 부착된 층(3)이 전기도금에 의해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별개로 부착된 층(3)이 알카리 시안화물 도금조를 사용하는 전기도금에 의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구리 또는 구리계 합금을 포함하는 별개로 부착된 층(3)이 구리-피로포스페이트 도금조를 사용하는 전기도금에 의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생성물의 제조방법.
  24. (a)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제 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 또는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되는 브레이징 시트 생성물로 제조된 부품의 성형단계;
    (b)상기 부품을 조립체로 조립하는 단계;
    (c)브레이징 용제가 존재하지 않고, 높은 온도에서 용융된 충전재의 용융 및 분산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비활성 대기 또는 진공하에서 조립체를 브레이징하는 단계;
    (d)상기 브레이즈된 조립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즈된 성분의 조립체의 제조방법.
  25. 용접 작업에서 충전재 금속으로 알루미늄 합금 와이어 또는 알루미늄 합금 막대의 형태로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 생성물의 용도.
KR1020037006065A 2000-11-08 2001-10-30 브레이징된 구성요소의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778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6564 2000-11-08
NL1016564 2000-11-08
EP01202570 2001-07-03
EP01202570.6 2001-07-03
US30444701P 2001-07-12 2001-07-12
US60/304,447 2001-07-12
PCT/EP2001/012574 WO2002038326A2 (en) 2000-11-08 2001-10-30 Brazing product having a low melting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786A true KR20040063786A (ko) 2004-07-14
KR100778205B1 KR100778205B1 (ko) 2007-11-22

Family

ID=2722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065A KR100778205B1 (ko) 2000-11-08 2001-10-30 브레이징된 구성요소의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96413B2 (ko)
KR (1) KR100778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783A (ko) * 2008-11-10 2011-08-18 알레리스 알루미늄 코블렌쯔 게엠베하 알루미늄의 플럭스리스 브레이징 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브레이징 시트
KR101278981B1 (ko) * 2011-06-16 2013-07-02 주식회사 글로벌원 알루미늄 열교환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7315B1 (en) * 2000-07-26 2007-06-13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Nickel-plated brazing sheet product
US6815086B2 (en) * 2001-11-21 2004-11-09 Dana Canada Corporation Methods for fluxless brazing
US20060102696A1 (en) * 2001-11-21 2006-05-18 Graham Michael E Layered products for fluxless brazing of substrates
US20040035910A1 (en) * 2001-11-21 2004-02-26 Dockus Kostas F. Low temperature fluxless brazing
US20040035911A1 (en) * 2001-11-21 2004-02-26 Dockus Kostas F. Fluxless brazing
US20040038070A1 (en) * 2001-11-21 2004-02-26 Dockus Kostas F. Fluxless brazing
US7451906B2 (en) * 2001-11-21 2008-11-18 Dana Canada Corporation Products for use in low temperature fluxless brazing
US7294411B2 (en) 2002-01-31 2007-11-13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6994919B2 (en) 2002-01-31 2006-02-07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zing product
US6938711B2 (en) * 2002-11-06 2005-09-06 Mark Chandler Kime Freestanding self-propelled device for moving objects
US7056597B2 (en) 2002-12-13 2006-06-06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Brazing sheet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7078111B2 (en) 2002-12-13 2006-07-18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Brazing sheet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WO2004080640A1 (en) * 2003-03-14 2004-09-23 Hille & Müller GMBH Aluminium layered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7032808B2 (en) * 2003-10-06 2006-04-25 Outokumu Oyj Thermal spray application of brazing material for manufacture of heat transfer devices
US20050283967A1 (en) * 2004-06-09 2005-12-29 Mill Masters, Inc. Tube mill with in-line braze coating spray process
BRPI0518414B1 (pt) * 2004-12-13 2019-07-30 Behr Gmbh & Co. Kg Dispositivo para troca de calor para gases com teor de ácido
US20060157352A1 (en) * 2005-01-19 2006-07-20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Method of electroplating and pre-treating aluminium workpieces
FI20051173A0 (fi) * 2005-11-17 2005-11-17 Kari Aalto Menetelmä ja laitteisto laserin käytön yhteydessä
CN100486751C (zh) * 2007-04-05 2009-05-13 中国科学院广州电子技术研究所 镍丝与铜丝的焊接方法
JP5157864B2 (ja) * 2008-01-23 2013-03-06 日立電線株式会社 ろう付け用クラッド材及びろう付け製品
WO2011100249A1 (en) * 2010-02-10 2011-08-18 Hobart Brothers Company Aluminum alloy welding wire
US9770788B2 (en) * 2010-02-10 2017-09-26 Hobart Brothers Company Aluminum alloy welding wire
US10654135B2 (en) 2010-02-10 2020-05-19 Illinois Tool Works Inc. Aluminum alloy welding wire
JP6110072B2 (ja) 2012-02-28 2017-04-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ろう付方法
US11370068B2 (en) * 2015-02-25 2022-06-28 Hobart Brother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luminum metal-cored wire
US10850356B2 (en) * 2015-02-25 2020-12-01 Hobart Brothers Llc Aluminum metal-cored welding wire
JP7278052B2 (ja) * 2018-10-10 2023-05-19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DE102019135171A1 (de) * 2019-12-19 2021-06-24 Rogers Germany Gmbh Lotmateria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Lotmaterials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Lotmaterials zur Anbindung einer Metallschicht an eine Keramikschicht
CN112941514A (zh) * 2021-02-05 2021-06-11 南昌航空大学 一种铜/镍反应性纳米多层膜的制备方法
CN116926518A (zh) * 2023-08-09 2023-10-24 嘉铝(上海)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光伏焊带用镀锡铝合金导体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1014A (en) 1951-05-31 1958-01-28 Aluminum Co Of America Composite aluminous metal article
GB1176688A (en) 1966-03-14 1970-01-07 Borg Warner Method of Bonding Aluminium and/or Aluminium Alloy.
US3482305A (en) 1968-07-11 1969-12-09 Borg Warner Method of bonding aluminum
US3597658A (en) 1969-11-26 1971-08-03 Rca Corp High current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a zinc-coated aluminum substrate
US3970237A (en) 1972-11-07 1976-07-20 Borg-Warner Corporation Method of brazing aluminum parts
US3963454A (en) 1974-12-10 1976-06-15 Reynolds Metals Company Brazing materials
US4028200A (en) 1975-06-24 1977-06-07 Borg-Warner Corporation Plating baths for depositing cobalt-lead nickel-lead alloy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method of coating aluminum articles therewith
FR2354171A1 (fr) 1976-06-09 1978-01-06 Reynolds Metals Co Composition de brasure pour le brasage de l'aluminium
US4164454A (en) 1977-11-01 1979-08-14 Borg-Warner Corporation Continuous line for plating on metal strip material
US4157154A (en) 1977-11-21 1979-06-05 Hughes Aircraft Company Method for forming patterns of brazing alloy
US4388159A (en) 1981-05-18 1983-06-14 Borg-Warner Corporation Surface preparation of aluminum articles
US4602731A (en) 1984-12-24 1986-07-29 Borg-Warner Corporation Direct liquid phase bonding of ceramics to metals
JPS6272497A (ja) 1985-09-25 1987-04-03 Kobe Steel Ltd アルミニウム製ドロンカツプタイプ熱交換器用真空ブレ−ジングシ−ト
US4735867A (en) 1985-12-06 1988-04-05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aluminum core alloy
HU202936B (en) 1987-07-07 1991-04-29 Orion Radio Process for producing more-layer metal coating on surface of objects made of aluminium- or aluminium alloy
JPH0711047B2 (ja) 1990-02-08 1995-02-08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真空ろう付け用Al材料
GB2270086A (en) 1992-08-28 1994-03-02 Marconi Gec Ltd Aluminium base alloys
US5422191A (en) 1994-02-14 1995-06-06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Aluminum-lithium filler alloy for brazing
US5466360A (en) 1994-10-13 1995-11-14 Robert Z. Reath Method for preparing aluminum for subsequent electroplating
US5601695A (en) 1995-06-07 1997-02-11 Atotech U.S.A., Inc. Etchant for aluminum alloys
DE19531035C2 (de) 1995-08-23 1998-10-15 Alca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hlkörpern aus Aluminium oder Aluminiumlegierungen
US6129262A (en) 1997-02-24 2000-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luxless brazing of unclad aluminum using selective area plating
PT1198625E (pt) 1999-05-21 2003-11-28 Corus Aluminium Walzprod Gmbh Produto de folha de solda forte e processo para o seu fabrico
DE19938847C2 (de) 1999-08-17 2002-09-12 Alca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hlkörp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783A (ko) * 2008-11-10 2011-08-18 알레리스 알루미늄 코블렌쯔 게엠베하 알루미늄의 플럭스리스 브레이징 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브레이징 시트
KR101278981B1 (ko) * 2011-06-16 2013-07-02 주식회사 글로벌원 알루미늄 열교환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88717A1 (en) 2002-07-11
US6596413B2 (en) 2003-07-22
KR100778205B1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205B1 (ko) 브레이징된 구성요소의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EP1339523B1 (en) Brazing method with use of a brazing material having a low melting point
AU2002224816A1 (en) Brazing product having a low melting point
US2002010243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sembly of brazed dissimilar metal components
MXPA01011258A (es) Producto de hoja latonada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US6796484B2 (en) Nickel-plated brazing product having improved corrosion performance
JP4080330B2 (ja) ろう付けされた異なる金属構成要素の組立品を製造する方法
CA2436513C (en) Brazing product
AU2002229739A1 (en) Brazing product
US7056597B2 (en) Brazing sheet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6994919B2 (en)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zing product
EP1526943B1 (en)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razing product with use of a plating bath
CA2493038A1 (en)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KR20050085603A (ko) 클래드층 및 코팅된 철합금층을 구비하는 브레이징 시트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7294411B2 (en) Brazing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ZA200302871B (en) Brazing product having a low melting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