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350A -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350A
KR20040060350A KR1020020087131A KR20020087131A KR20040060350A KR 20040060350 A KR20040060350 A KR 20040060350A KR 1020020087131 A KR1020020087131 A KR 1020020087131A KR 20020087131 A KR20020087131 A KR 20020087131A KR 20040060350 A KR20040060350 A KR 20040060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ng
bus
flash memory
control board
devi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0350A/ko
Publication of KR20040060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Landscapes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시스템의 내부보드들을 연결하는 DA-BUS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와 플래쉬 메모리를 구비한 디바이스 제어보드와, 상기 DA-BUS를 경유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DA-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내장된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를 직접 퓨징제어하는 프로세서 보드로 이루어진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보드에서 DA-BUS를 이용하여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실장되어 있는 플래쉬메모리를 직접제어하여 퓨징하므로써,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불필용한 메모리공간과 별도의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라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메모리공간의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를 위한 퓨징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다른 기능을 추가로 처리할 수가 있으므로 그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flash memory fusing device using a DA-BUS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위 프로세서보드에서 DA-BUS를 이용하여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실장되어 있는 플래쉬메모리를 직접제어하여 퓨징하는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일정지점에서 원하는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를 보다 적절히 그리고 신속히 전송시키기 위한 정보통신시스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통신시스템들은 통상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동종간 또는 이기종간 통신기기나 정보기기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자원의 공유와 통신을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 특히, 이동통신교환시스템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위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이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내부 테이블에 라우팅 목적지가 셋팅된 각종 IP들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네트워크 시스템의 양단에는 예컨대, PSTN망과 같은 호신호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시켜주는 게이트웨이형태의 전송시스템이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게이트웨이형태의 전송시스템을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전송시스템(70)의 내부에서 특정기능 예컨대, 디바이스보드(71)들의 호처리관리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보드(72)와, 상기 프로세서 보드(72)에 DA-BUS(73;Device access BUS)로 연결되어 다양한 디바이스 보드들(71)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7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보드(72)에는 DA-BUS(73)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75)와, 상기 DA-BUS 인터페이스부(75)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72)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76)와, 상기 제어부(76)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기능의 업데이트데이터 예컨대, 퓨징 데이터(FUSING DATA)를 저장하는 RAM(7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74)에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72)와 연결된 DA-BUS(73)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78)와, 상기 DA-BUS 인터페이스부(78)를 통해 입력된 퓨징 데이터 및 기타 호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DPRAM(79;Dual port RAM)과, 상기 DPRAM(79)를 통해 입력된 퓨징 데이터의 입출력기능을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처리하고 기타 호처리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80)와, 상기 CPU(80)의 일단에 연결되어 퓨징데이터를 리드/라이트하는 플래쉬 메모리(8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74)에는 디바이스보드들(71)을 기능을 업데이트하기위해 해당 디바이스 제어보드(74)에는 상기와 같은 플래쉬 메모리가 항상 필요한데, 이때, 이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제어보드(74)내에 퓨징데이터를 일시저장할 수 있는 DPRAM(79)과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된 CPU(80)를 구비해야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게이트웨이형태의 전송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외부의 가입자 장치(82) 예컨대, PSTN망이나 기타 ADSL과 같은 장비로부터호신호가 전송시스템(70)의 디바이스보드(71) 즉, 가입자보드로 입력될 경우 이 디바이스보드(71)는 디바이스 제어보드(74)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된 호신호를 일정신호처리하여 디바이스 제어보드(74)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74)는 입력된 호신호를 프로세서 보드(72)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72)는 수신된 호신호를 분석하여 IPC통신방식을 통해 해당 프로세서 보드(83)로 전송하여 통상의 호처리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과정중에 만약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74)의 플래쉬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기능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72)의 제어부(76)는 업데이터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RAM(77)으로부터 퓨징 데이터를 읽어들여 DA-BUS 인터페이스부(75)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프로세서 보드(72)의 DA-BUS 인터페이스부(75)는 입력된 퓨징 데이터를 DA-BUS(73)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74)의 DA-BUS 인터페이스부(78)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74)의 DA-BUS 인터페이스부(78)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72)로부터 수신한 퓨징데이터를 DPRAM(79)에 기록한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74)의 CPU(80)는 내부에 내장된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DPRAM(79)에 저장된 퓨징데이터를 읽어들여 플래쉬 메모리(81)에 내장된 데이터를 퓨징 즉, 업데이트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게이트웨이형태의 전송시스템은 반드시 디바이스 제어보드내에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어야 하므로 최소한 CPU를 구동할 수 있는 bug program이 미리 퓨징장비를 통해 퓨징된 상태로 실장되어있어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설계공간 활용성에 상당한 제약이 따랐음은 물론 퓨징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DPRAM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본래 기능에 비해 플래쉬메모리의 퓨징을 위한 불필요한 메모리공간이 할당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불필용한 메모리공간과 별도의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라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메모리공간의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를 위한 퓨징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다른 기능을 추가로 처리할 수가 있으므로 그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송시스템의 내부보드들을 연결하는 DA-BUS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와 플래쉬 메모리를 구비한 디바이스 제어보드와, 상기 DA-BUS를 경유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DA-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내장된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를 직접 퓨징제어하는 프로세서 보드로 이루어진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송시스템에서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시키는 퓨징 프로그램 로딩단계와, 상기 퓨징 프로그램 로딩단계후에 프로세서 보드가 로딩된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BUS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실장된 플래쉬 메모리에 퓨징데이터를 직접 퓨징시키는 데이터 퓨징처리단계로 이루어진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송시스템의 플래쉬 퓨징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모드신호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전송시스템 2 : 디바이스 보드
3 : DA-BUS 4 : 디바이스 제어보드
5 : 플래쉬 메모리 6 : 프로세서 보드
7 : DA-BUS 인터페이스부 8 : 제어부
9 : RAM 10 : DA-BUS 인터페이스부
11: DPRAM 12: CPU
13: 가입자 장치 14: 호처리 프로세서 보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송시스템(1)의 내부에서 특정기능 예컨대, 디바이스 보드(2)들의 호처리 관리기능을 제어하고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DA-BUS(3)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4)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5)를 직접 퓨징제어하는 프로세서 보드(6)와, 상기 프로세서 보드(6)에 DA-BUS(Device access BUS)로 연결되어 이 프로세서 보드(6)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 보드들(2)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보드(6)에는 DA-BUS(3)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7)와, 상기 DA-BUS 인터페이스부(7)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기능을 제어함과 더불어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DA-BUS(3)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4)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5)를 직접 퓨징제어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기능의 업데이트데이터 예컨대, 퓨징 데이터(FUSING DATA)를 저장하는 RAM(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4)에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6)와 연결된 DA-BUS(3)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10)와, 상기 DA-BUS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입출력되는 호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DPRAM(11;Dual port RAM)과, 상기 DPRAM(11)를 통해 입출력되는 디바이스 보드(2)의 호처리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12)와, 상기 DA-BUS 인터페이스부(10)에 연결되어 프로세서 보드(6)로부터 직접제어되는 퓨징데이터에 따라 리드/라이트하는 플래쉬 메모리(5)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일반 호처리기능 실행단계(S2)로 진행하여 전송시스템의 일반호처리기능을 실행시킨다.
즉, 외부의 가입자 장치(13) 예컨대, PSTN망이나 기타 ADSL과 같은 장비로부터 호신호가 전송시스템(1)의 디바이스 보드(2) 즉, 가입자보드로 입력될 경우 이 디바이스 보드(2)는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된 호신호를 일정신호처리하여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DPRAM(11)으로 입력시켜 일시 저장시킨다. 그러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CPU(12)는 DPRAM(11)에 저장된 호신호를 DA-BUS 인터페이스부(10)와 DA-BUS(3)를 통해 프로세서 보드(6)의 DA-BUS 인터페이스부(7)로 출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 보드(6)의 제어부(8)는 수신된 호신호를 분석하여 IPC통신방식을 통해 해당 프로세서 보드(14)로 전송하여 통상의 호처리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상기 일반 호처리기능 실행단계(S2)후에 플래쉬 퓨징기능 설정판단단계(S3)로 진행하여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기능이 설정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플래쉬 퓨징기능 설정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기능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전단계(S2)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플래쉬 퓨징기능 설정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퓨징 프로그램 로딩단계(S4)로 진행하여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시킨다. 그리고, 상기 퓨징 프로그램 로딩단계(S4)후에 데이터 퓨징처리단계(S5)로 진행하여 프로세서 보드가 로딩된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BUS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실장된 플래쉬 메모리에 퓨징데이터를 직접 퓨징시킨다.
환언하면, 상기 과정중에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플래쉬 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기능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 보드(6)의 제어부(8)는 먼저 자체 내에 내장된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보드(6)의 제어부(8)는 프로그램이 로딩될 경우 업데이터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RAM(9)으로부터 퓨징 데이터를 읽어들여 DA-BUS 인터페이스부(7)로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프로세서 보드(6)의 제어부(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테이블에 의거하여 퓨징기능을 실행시킨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 보드(6)의 제어부(8)는 퓨징데이터를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플래쉬 메모리(5)에 직접 쓰거나 읽을 경우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다른 장치 예컨대, DPRAM(11)이나 CPU(12)의 해당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해 모드신호(1000)를 인가한 다음 라이트일 경우 모드(1001)로, 리드일 경우는 모드(1010)로 신호를 인가하여 처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모드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 보드(6)의 DA-BUS 인터페이스부(7)는 입력된 퓨징 데이터를 DA-BUS(3)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DA-BUS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CPU(12)와 DPRAM(11)은 모드(1000)신호에 의해 디제이블된 상태이므로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4)의 DA-BUS 인터페이스부(10)는 상기 프로세서 보드(6)로부터 수신한 퓨징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5)에 직접 퓨징 예컨대, 리드하거나 라이트 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별도의 플래쉬 퓨징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저장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프로세서 보드에서 직접 플래쉬 메모리를 제어하게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보드에서 DA-BUS를 이용하여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실장되어 있는 플래쉬메모리를 직접제어하여 퓨징하므로써,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불필용한 메모리공간과 별도의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라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메모리공간의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위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내부에 플래쉬 메모리를 위한 퓨징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다른 기능을 추가로 처리할 수가 있으므로 그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전송시스템의 내부보드들을 연결하는 DA-BUS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DA-BUS 인터페이스부와 플래쉬 메모리를 구비한 디바이스 제어보드와, 상기 DA-BUS를 경유하는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DA-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내장된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상기 플래쉬 메모리를 직접 퓨징제어하는 프로세서 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
  2. 전송시스템에서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 프로세서 보드에 플래쉬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로딩시키는 퓨징 프로그램 로딩단계와, 상기 퓨징 프로그램 로딩단계후에 프로세서 보드가 로딩된 퓨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BUS를 통해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실장된 플래쉬 메모리에 퓨징데이터를 직접 퓨징시키는 데이터 퓨징처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 퓨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87131A 2002-12-30 2002-12-30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60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131A KR20040060350A (ko) 2002-12-30 2002-12-30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131A KR20040060350A (ko) 2002-12-30 2002-12-30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350A true KR20040060350A (ko) 2004-07-06

Family

ID=3735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131A KR20040060350A (ko) 2002-12-30 2002-12-30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0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9844B2 (ja) ステートマシンを用いたマイクロプロセッサシステム及びその起動方法
JPH03273352A (ja) オンライン情報処理装置
WO2024093542A1 (zh) Usb免驱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266021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장치및 방법
JP2001014018A (ja) ファクトリー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その中央処理装置。
KR20040060350A (ko) 전송시스템의 디에이 버스를 이용한 플래쉬메모리퓨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044307A (ja) 無線通信機と、そのブートプログラム書き換え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51269B2 (en) Coupling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KR100825816B1 (ko) 핸드쉐이크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신호프로세서 및 그 구동방법
JPWO2020122024A1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コンピュータ、回路情報の書き換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5300152A (ja) アドレス設定器
KR19990058819A (ko)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전이중화 구조의 라우터 및 메모리관리 방법
KR100285333B1 (ko) 전전자교환기의텔레포니프로세서데이터로딩방법
JP2596173B2 (ja) マルチリンク対応の通信制御装置
KR100493069B1 (ko) 스마트폰에서 부트 이미지를 복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04926B1 (ko) 시피유와시리얼인터페이스디바이스간의실시간접속방법
KR100367345B1 (ko) Imt-2000 시스템에서의 통신 보드내 프로세서 제어장치
KR200328928Y1 (ko) 이동통신용 기지국 제어기와 개인용 컴퓨터와의 정합장치
JP2021174610A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機器
JP2741771B2 (ja) 伝送制御装置
JPH1124935A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20040044247A (ko) 억세스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다기능 이원 인터페이스 카드
JP2004186782A (ja) データ書き込み制御方法
KR100703387B1 (ko) 메인프로세서를 이용한 td-버스와 p-버스 정합장치
KR19990039779A (ko) 프로세서간 통신에 의한 파일 로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