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402A -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402A
KR20040057402A KR1020020084136A KR20020084136A KR20040057402A KR 20040057402 A KR20040057402 A KR 20040057402A KR 1020020084136 A KR1020020084136 A KR 1020020084136A KR 20020084136 A KR20020084136 A KR 20020084136A KR 20040057402 A KR20040057402 A KR 2004005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cylindrical member
indoor
decorative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736B1 (ko
Inventor
유원식
Original Assignee
유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식 filed Critical 유원식
Priority to KR10-2002-0084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7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이나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학생이나 주부등의 스트레칭이나 마찰, 경미한 부딪침을 통해 잘 움직여 주지 않는 근육이나 관절, 피부등을 자극하여 이완시켜주므로서 혈액 순환 향상과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게 한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완충재를 부착하면서 일정 넓이로 중량감을 가지게 금속의 중량체를 구비하고 여기에 원목판부를 표면에 조립시키면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게 관통시킨 체결공을 형성한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상의 체결공에 볼트로 체결되어 일정 높이로 조립 설치되면서 일측 일정 면적에 걸쳐 마찰돌기부를 원목에 형성하면서 타측에 벽면과 충격을 방지하는 고무재의 완충부재를 구비한 자연질감의 향발산 원기둥부재와,
상기 향발산 원기둥부재의 상부에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소품과 기능성장치등을 설치한 장식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SPORTS OUTFITS HAVING THE COMBINED USE AS INTERIOR DECORATION}
본 발명은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이나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학생이나 주부등의 스트레칭이나 마찰, 경미한 부딪침을 통해 잘 움직여 주지 않는 근육이나 관절, 피부등을 자극하여 이완시켜주므로서 혈액 순환 향상과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게 한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 운동방법은 통상 매트가 깔려진 마루바닥위에서 수행하거나 또는 철봉등에서 매달려 수행하거나 별도의 런닝기구를 사용하여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어서 예를 들면 사람이 몸체 앞으로 두 다리를 벌린 상태로 뻗혀 앉은 다음 상체를 적당히 구부리면서 다리와 등 근육을 스트레칭하는 것이고, 또한 팔을 스트레칭하기 위하여는 자신의 팔을 머리위로 곧게 뻗거나 또는 등 뒤로 적당히 움직이면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다.
또, 등산로 주변의 나무나 공원에서 시설물의 고정된 원기둥에 상체의 등을 가볍게 부딪치거나 하면서 하는 가벼운 스트레칭도 알려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된 스트레칭 운동은 혈액순환 및 노폐물 배출의 촉진으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건강 증진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전자는 주로 실내에서 하는 운동이고, 후자는 실외에서 그것도 집 주변의 공원이나 야산의 산책로에서 행하여 지고 있지만 실내에서 스트레칭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행하여지는 스트레칭 운동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현재 의료기관에서 물리치료 요법으로 시행하여 오고 있음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주지되어 있는 사실이다.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레칭 운동을 물리적으로 보조하는 각종 운동기구가 개발된 바 있으며, 이러한 대개의 운동기구들은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만 운동의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시간과 장소가 부족한 현대인들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바뿐 현대의 일상에서 앞으로만 치닫는 생활들로 인해, 몸의 균형이 흐트러져 있음으로 자주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데도 손쉽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순환 장애나 만성적인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스트레치등 가벼운 유산소운동은 척추건강과 척추질환 예방에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또, 적어도 일주일에 3회, 매회 20-30분간의 유산소운동을 하게 되는데,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이면 다 좋으나, 특히 걷기, 헬스, 수영 등 무리가 가지 않는 종목이 좋은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들의 재질은 주로 철재등을 이용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합성수지류로 이루어지고 있어 자연질감을 주지 못하는 등 금속성의 차거움을 발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많은 시간을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 수험생들은 가끔 일어나 팔, 다리나 목을 회전시켜 주므로서 정신을 환기시켜 주어야 하는데, 아파트 주거환경이 대부분인 도심에서는 가변 운동을 하더라도 놀이터나 주변 공원을 찾아 산책하거나몸을 풀어주여야 하는 등 번거로움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집안에서 쉽게 잠깐이라도 팔과 목등을 회전시켜 몸을 풀어 줄수 있지만 상체의 허리나 척추 부분의 신경을 마찰시켜 운동시켜 주는 기구가 없어 이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온동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실이나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학생이나 주부등의 스트레칭이나 마찰, 경미한 부딪침을 통해 잘 움직여 주지 않는 근육이나 관절, 피부등을 자극하여 이완시켜주므로서 혈액 순환 향상과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게 한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충재를 부착하면서 일정 넓이로 중량감을 가지게 금속의 중량체를 구비하고 여기에 원목판부를 표면에 조립시키면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게 관통시킨 체결공을 형성한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상의 체결공에 볼트로 체결되어 일정 높이로 조립 설치되고 일측 일정 면적에 걸쳐 마찰돌기부를 원목에 형성하면서 타측에 벽면과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자연질감의 향발산 원기둥부재와,
상기 향발산 원기둥부재의 상부에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소품과 기능성장치등을 설치한 장식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발판부재는 일정 넓이로 바닦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개재되는 완충판과, 이 완충판을 저면에 부착하면서 중량감을 유지하게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일측에 볼트와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조립중공축을 형성한 중량체와, 이 중량체의 외부에 조립중공축이 노출되게 부착 형성되는 원목판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원기둥부재는 발판부재의 조립중공축에 조립되게 하단에 박혀 형성된 너트플레이트부와, 이 너트플레이트부를 하단에 형성하면서 일정 높이를 갖는 길이로 형성한 주기둥부와, 이 주기둥부의 외주면에 발판부재측으로 일정 면적에 걸쳐 운동자가 부딪치면서 스트레칭하게 돌출 형성한 돌기부와, 상기 주기둥부의 상부에 실내의 인테리어나 공기청정기 등의 장식부재를 장착하게 마련된 장착부와, 상기 주기둥부의 돌기부 타측에 고무재등으로 스트레칭 운동시 완충시키게 부착된 완충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장식부재는 원기둥부재의 장착부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마련된 숯, 조각상, 공기청정기를 설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B-B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운동기구 4:발판부재
6:향발산 원기둥부재 8:장식부재
12:중량체 14:원목판부
16:볼트 18:체결공
20:완충판 22:돌기부
24:너트플레이트부 26:주기둥부
28:장착부 30L:취침등
30:완충부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2)는 크게 발판부재(4), 향발산 원기둥부재(6), 장식부재(8)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발판부재(4)는 완충재를 부착하면서 일정 넓이로 중량감을 가지게 금속의 중량체(12)를 구비하고 여기에 원목판부(14)를 표면에 조립시키면서 볼트(16) 체결이 이루어지게 관통시킨 체결공(18)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발판부재(4)는 일정 넓이로 바닦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개재되는 완충판(20)과, 이 완충판(20)을 저면에 부착하면서 중량감을 유지하게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일측에 볼트(16)를 삽입하게 체결공(18)을 뚫어 형성한 중량체(12)와, 이 중량체(12)의 외부에 원목의 질감을 느기게 부착 형성되는 원목판부(1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향발산 원기둥부재(6)는 발판부재(4)상의 체결공(18)에 볼트(16)로 체결되어 일정 높이로 조립 설치되면서 일측 일정 면적에 걸쳐 돌기부(22)를 원목에 형성하므로서 자연질감을 느끼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향발산 원기둥부재(6)는 통상의 기술에 의해 선택된 다양한 향으로 발생하게 제작되고 있다.
상기한 돌기부(22)는 도면에 도시한 바 외에도 구슬형과 나무의 괭이형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어떤 한가지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돌기부(22)의 범위는 주기둥부(26)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일부나 형성되건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어떤 범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향발산 원기둥부재(6)는 발판부재(4)의 체결공(18)에 조립되게 하단에박혀 형성된 너트플레이트부(24)와, 이 너트플레이트부(24)를 하단에 형성하면서 일정 높이를 갖는 길이로 주기둥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주기둥부(26)의 외주면에 발판부재(4)측으로 일정 면적에 걸쳐 운동자가 부딪치면서 스트레칭하게 돌출 형성한 돌기부(22)와, 상기 주기둥부(26)의 상부에 실내의 인테리어나 공기청정기, 취침등(30L) 등의 장식부재(8)를 장착하게 마련된 장착부(28)와, 상기 주기둥부(26)의 돌기부(22) 타측에 고무재등으로 스트레칭 운동시 벽면과 부딪칠때 완충시키게 완충부재(30)를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향발산 원기둥부재(6)는 한방재료의 향기나 꽃향기등을 발산하게 제작함도 가능하며, 특별한 어느 향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장식부재(8)는 원목의 향발산 원기둥부재(6) 상부에 취침등(30) 장착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소품과 기능성 장치등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향발산 원기둥부재(6)의 장착부(28)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마련된 숯, 조각상, 공기청정기, 방향장치등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거실이나 부엌 주변의 벽면에 완충부재(30)를 이용 발판부재(4)와 향발산 원기둥부재(6)를 밀착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발판부재(14)에 올라서서 상체를 향발산 원기둥부재(6)의 주기둥부(26) 전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22)에 부딪치는 운동을 하므로서 혈액순환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향발산 원기둥부재(6)의 주기둥부(26) 전면에 형성된 돌기부(22)에 상체를 부딪칠 때 향발산 원기둥부재(6)의 장식부재(8)가 통상의 기술에 의해 진동 감지시 작동하게 할 수 있으며, 방향장치의 작동이나 공기청정기 등의 장착과 이의 작동 또한 동일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상쾌한 기분으로 운동을 하게 한다.
상기한 실내 장식겸용 상체 운동기구의 다른예를 도3에 도시하고 있으며, 도4는 도3의 B-B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향발산 원기둥부재(6)의 주기둥부(26)에 형성된 돌기부(22)를 교환할 수 있게 형성한 조립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돌기부(22)에는 조립면(32)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조립돌기(3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돌기부(22)가 조립되는 향발산 원기둥부재(6)의 주기둥부(26)에는 용이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키홀 형태의 조립홈(3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향발산 원기둥부재(6)에 조립형 돌기부(22)를 구비하더라도 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수험생의 휴식시 거실이나 부엌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한 운동기구를 외부로 나가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운동자가 가사일을 많이 하는 주부일 경우 쉽게 운동기구와 접할 수 있는 거실 또는 부엌 주변에 설치할 수 있어 운동으로 혈액순환등의 효과를 볼 수 있는효과가 있다.
그리고 거실이나 주변에 설치시 기존 운동기구의 금속질감에서 벗어나는 원목임에 따라 거부감 없이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롭게 어울리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운동기구를 이용하므로서 대퇴부, 관절 등에 스트레칭을 가함으로 다양한 운동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서, 경직된 근육의 완화, 관절의 탄력회복, 혈액순환의 촉진 등과 더블어 공부하거나 가사중 피로가 쌓일 때 돌기부에 가볍게 1~2분 정도마찰 부딪침을 반복하므로서 혈액순환이 이루어져 피로감이 사라지고 상쾌한 기분을 느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는 분, 노인이나 어린이 등 남녀노소 구분없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가 부족하여 운동을 제대로 못하는 현대인들이 작은 공간에 두고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원목으로 향을 발산하게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동기구를 원목으로 제작하므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고 언제나 어디서나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다.
또, 향발산 원기둥부재의 장착부에 취침등 뿐 만 아니라 방향장치 숯세트, 공기 청정기를 설치할 수 있어 다목적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완충재를 부착하면서 일정 넓이로 중량감을 가지게 금속의 중량체를 구비하고 여기에 원목판부를 표면에 조립시키면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게 관통시킨 체결공을 형성한 발판부재와,
    상기 발판부재상의 체결공에 볼트로 체결되어 일정 높이로 조립 설치되고 일측 일정 면적에 걸쳐 마찰돌기부를 원목에 형성하면서 타측에 벽면과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의 완충부재를 형성한 자연질감의 향발산 원기둥부재와,
    상기 향발산 원기둥부재의 상부에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 소품과 기능성장치등을 설치한 장식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는 일정 넓이로 바닦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개재되는 완충판과, 이 완충판을 저면에 부착하면서 중량감을 유지하게 금속재로 형성되면서 일측에 볼트와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조립중공축을 형성한 중량체와, 이 중량체의 외부에 조립중공축이 노출되게 부착 형성되는 원목판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부재는 발판부재의 조립중공축에 조립되게 하단에 박혀 형성된 너트플레이트부와, 이 너트플레이트부를 하단에 형성하면서 일정높이를 갖는 길이로 형성한 주기둥부와, 이 주기둥부의 외주면에 발판부재측으로 일정 면적에 걸쳐 운동자가 부딪치면서 스트레칭하게 돌출 형성한 돌기부와, 상기 주기둥부의 상부에 실내의 인테리어나 공기청정기 등의 장식부재를 장착하게 마련된 장착부와, 상기 주기둥부의 돌기부 타측에 고무재등으로 스트레칭 운동시 완충시키게 부착된 완충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원기둥부재의 장착부에 공기정화력을 갖는 숯세트, 장식성을 갖는 조각상, 공기청정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KR10-2002-0084136A 2002-12-26 2002-12-26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KR10047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36A KR100478736B1 (ko) 2002-12-26 2002-12-26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136A KR100478736B1 (ko) 2002-12-26 2002-12-26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505U Division KR200308284Y1 (ko) 2002-12-26 2002-12-26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02A true KR20040057402A (ko) 2004-07-02
KR100478736B1 KR100478736B1 (ko) 2005-03-28

Family

ID=3734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136A KR100478736B1 (ko) 2002-12-26 2002-12-26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7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736B1 (ko) 200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5971B2 (ja) 自重圧迫式の脚部マッサージ器
JP2010536466A (ja) 着座式下半身運動装置
US20160338901A1 (en) Massaging Board Assembly
CN206342678U (zh) 一种自助点穴按摩器
US5366430A (en) Twist disc
KR200308284Y1 (ko)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KR100478736B1 (ko) 실내 장식겸용 운동기구
KR100969346B1 (ko) 손 안마기
KR200393040Y1 (ko) 발바닥 지압패널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JP2007000210A (ja) 健康器具
KR200261409Y1 (ko) 지압 시트
KR20050022942A (ko) 맛사지기를 구비한 실내 장식겸용 건강기구
JP2006006890A (ja) 足裏とその足指の付け根に指圧効果をもたらし足の筋を伸ばす踏み板式健康器具
JP3073762U (ja) 自転車式運動装置
KR102509417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0195071Y1 (ko) 발 지압운동구
KR200292286Y1 (ko) 헬스 운동기구
JPH0736655Y2 (ja) 香料入り下肢用マッサージ棒
JP3166889U (ja) 足踏ボード
JP3003511U (ja) マッサージ装置を備えたトランポリン
KR100838528B1 (ko) 숯케이스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등받이
KR200332692Y1 (ko) 발 맛사지기
KR200362509Y1 (ko) 발마사지기가 구비된 소파 보조의자
KR200418180Y1 (ko) 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