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599A -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599A
KR20040055599A KR1020030091123A KR20030091123A KR20040055599A KR 20040055599 A KR20040055599 A KR 20040055599A KR 1020030091123 A KR1020030091123 A KR 1020030091123A KR 20030091123 A KR20030091123 A KR 20030091123A KR 20040055599 A KR20040055599 A KR 2004005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abel
erasing
ligh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853B1 (ko
Inventor
츠키다타쯔야
우타가와테쯔유키
카와다사토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46Laser be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거 후의 잔존화상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소거할 수 있고, 반복리라이트가 가능한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을 이용하는 기록 및 소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에 이용하는 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이상이며,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의 파장이 700∼1500nm이고, 조사에너지량이 5.0∼15.0mJ/mm2이며, 또한 기록 시의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3.0∼14.0mJ/mm2이고, 소거 시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에너지량과 해당 레이저광의 광흡수율과의 곱이,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1.1∼3.0배인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METHOD FOR RECORDING AND ERASURE OF IMAGES USING A REWRITABLE THERMAL LABEL OF A NON­CONTACT TYPE}
본 발명은,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접촉방식에 의하여 반복해서 정보의 리라이트를 실시할 수 있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물품의 관리에 사용되고 있는 라벨, 예를 들면, 식품을 수송하는 플라스틱컨테이너에 붙이는 라벨, 전자부품의 관리에 이용하는 라벨, 골판지 등에 붙이는 물류관리라벨 등은, 감열기록재료가 주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감열기록재료는,지지체 상에 전자공여성이 통상 무색 내지 엷은 색의 염료전구체와 전자수용성의 현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기록층이 형성되어 있고, 열헤드, 열펜 등으로 가열함으로써, 염료전구체와 현색제가 순식간에 반응하여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열기록재료는, 일반적으로 한번 화상을 형성하면, 그 부분을 소거하여 재차 화상형성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최근 감열기록재료가, 기록을 소거하여 재차 기록할 수 있는 리라이트방식 라벨의 보급이 널리 알려졌다. 이 경우 피착체에 붙인 라벨을 그대로 리라이트하기 위해서는, 피착체에 라벨이 붙여진 채로 한번 기록한 정보를 소거한 후에, 재차 기록할 시에 통상 프린터에 라벨부착피착체를 통하게 할 수는 없다. 이것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비접촉으로 화상정보의 소거와 기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최근 라벨을 반복해서 사용하기 위한 화상의 형성 및 소거가 가능한 가역성감열기록재료, 예를 들면 1) 지지체 상에 온도에 의존해서 투명도가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유기저분자물질과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열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진 가역성감열기록재료, 2) 지지체 상에 염료전구체와 가역성현색제를 함유하는 감열발색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가역성감열기록재료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은, 반복사용에 의해 기록을 소거할 시에 화상이 조금 남는다. 이 잔존화상의 축적에 의해, 기록부분과 비기록부분의 대조가 저하하여, 문자의 시인성이나 바코드의 독해성의 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 제3295746호
본 발명은, 소거 후의 잔존화상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소거할 수 있고, 반복해서 리라이트가 가능한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한 형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재 2: 감열발색층
3: 광흡수열변환층 4: 점착제층
5: 박리시트 10: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에 선명하게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잔존화상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소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록 시에는, 특정의 에너지량 및 파장의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또한, 소거 시에는, 기록 시의 조사에너지량과 관련하여 결정되는 특정의 에너지량의 광선을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기재의 한쪽 면에, 기재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로 이루어진 감열발색층, 광흡수열변환층이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을 이용하는 기록 및 소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에 이용하는 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이상이며,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의 파장이 700∼1500nm이고, 조사에너지량이 5.0∼15.0mJ/mm2이며, 또한 기록 시의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3.0∼14.0mJ/mm2이고, 소거 시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에너지량과 해당 레이저광의 광흡수율과의 곱이,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1.1∼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2) 소거방법에 있어서, 기록을 소거할 시의 레이저광선 조사의 개시 후 4초이내에,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기재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3)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90%이고, 광학반사판독기호를 기록하는 라벨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또는 2항 기재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4) 기재의 한쪽 면에, 기재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로 이루어진 감열발색층, 광흡수열변환층이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을 이용하는 기록 및 소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에 이용하는 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이상이며,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의 파장이 700∼1500nm이고, 조사에너지량이 5.0∼15.0mJ/mm2이며, 또한 기록 시의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3.0∼14.0mJ/mm2이고,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이 자외선광, 또는 근적외선광이며,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의 조사에너지량과 해당 자외선 또는 근적외선광조사 시의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과의 곱이,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1.1∼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5)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에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이, 파장 200∼400nm의 자외선광, 또는 파장 700∼1500nm의 근적외선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항 기재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6) 소거방법에 있어서, 기록을 소거할 시의 광선조사의 개시 후 4초이내에,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항 또는 제 5항 기재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및
(7)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90%이고, 광학반사판독기호를 기록하는 라벨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항, 제 5항 또는 제 6항 기재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은, 기록 및 소거의 어느 경우에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 1형태와, 기록에는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소거에는 자외선광 또는 근적외선광을 조사하는 제 2형태로 이루어진다.
우선 제 1형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은, 광학적 자극에 의해 광흡수열변환층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가역성감열발색층을 발색 또는 탈색시키고, 비접촉에 의해 기록(기록ㆍ인자) 및 소거를 반복하고, 리라이트(재기록)가 가능한 라벨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이용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을 도면에 의해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도면은 본 발명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한 형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 도면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한 형태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10)은, 기재(1)의 한쪽 측면에, 감열발색층(2) 및 광흡수열변환층(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동시에, 기재(1)의 반대 측면에 형성된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박리시트(5)를 임시 부착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기재(1)는, 통상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재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필름, 합성지, 부직포,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재(1)로서는, 피착체와 함께 리사이클이 가능한 점에서, 피착체와 동일한 재질계의 것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1)의 두께는, 통상 10∼500㎛, 바람직하게는 20∼200㎛으로 할 수 있다.
또, 기재(1)로서 플라스틱필름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소망에 의해 산화법이나 화법 등에 의하여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처리, 크롬산처리(습식), 화염처리, 열풍처리, 오존ㆍ자외선조사처리 등을 들 수 있고, 또, 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법, 용제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표면처리법은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 코로나방전처리법이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레이저광에 의한 정보의 기록을 실시할 시의 변환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단열효과가 높은 발포필름을 기재(1)로서 이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기재로서는, 플라스틱필름이 바람직하지만, 종이기재도 반복 사용회수가 적을 시에 사용할 수 있다.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로 이루어진 감열발색층(2)은, 기재(1)의 위에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라이트서멀라벨에 이용하는 감열발색층은, 무색 내지 엷은 색의 염료전구체 및 가역성현색제로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소색촉진제, 바인더, 무기안료, 각종 첨가제 등을 함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로 이루어진 감열발색층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종래 감열기록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루코염료 및 긴사슬알킬계현색제화합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루코염료에는, 예를 들면 트리아릴메탄화합물 단독, 또는, 크산텐계화합물, 디페닐메탄계화합, 스피로계화합물, 티아진계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류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3-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6-디메틸아미노프탈리드, 3-(4-디메틸아미노페닐)-3-(1,2-디메틸인돌-3-일)프탈리드,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리드 등의 트리아릴메탄계화합물, 로다민B아닐리노락탐, 3-(N-에틸-N-트릴)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 등의 크산텐계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페닐)벤즈하이드릴벤질에테르, N-클로로페닐로이코오라민 등의 디페닐메탄계화합물, 3-메틸스피로디나프트피란, 3-에틸스피로디나프트피란 등의 스피로계화합물, 벤조일로이코메틸렌블루, p-니트로벤조일로이코메틸렌블루 등의 티아진계화합물 등 중에서 1종류를 선택하여 이용해도 되고, 2종류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트리아릴메탄계화합물인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리드가 특히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감열발색층의 긴사슬알킬계현색제는, 긴사슬알킬기를 곁사슬로 가지는 페놀유도체, 하이드라진화합물, 아닐리드화합물, 요소화합물 등으로서, 가열 후의 냉각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로이코염료에 가역적인 색조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결정성, 발색농도, 소색성, 반복의 내구성 등의 점에서, 긴사슬알킬기를 가지는 페놀유도체로 이루어진 전자수용성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놀유도체는, 분자 중에 산소, 유황 등의 원자나 아미드결합을 갖고 있어도 된다. 알킬기의 길이나 수는, 소색성과 발색성의 밸런스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곁사슬의 긴사슬알킬기로서는, 탄소수 8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24의 것이 특히 좋다.
이와 같은 긴사슬알킬기를 가지는 페놀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4-(N-메틸-N-옥타데실술포닐아미노)페놀, N-(4-하이드록시페닐)-N'-n-옥타데실티오요소, N-(4-하이드록시페닐)-N'-n-옥타데실요소, N-(4-하이드록시페닐)-N'-n-옥타데실티오아미드, N-[3-(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노]-N'-옥타데카노히드라지드, 4'-하이드록시-4-옥타데실벤즈아닐리드 등을 들 수 있다.
감열발색층을 형성하는 성분인 상기 가역성현색제로서의 긴사슬알킬기를 가지는 페놀유도체에는, 4-(N-메틸-N-옥타데실술포닐아미노)페놀이 특히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감열발색층(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 용도에 적합한 유기용제 중에, 상기의 루코염료, 긴사슬알킬계현색제 및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각종 첨가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도공액을 조제할 수 있다. 이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콜계, 에테르계, 에스테르계, 지방족탄화수소계, 방향족탄화수소계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테트라하이드로프란(THF)이 분산성 등에 우수하여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의 비율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루코염료 100중량부에 대해서, 긴사슬알킬계현색제가 50∼7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50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감열발색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유지, 균일분산성을 유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알콜 등의 중합체나 그것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바인더는 분산성보조의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소색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늄염 등을, 무기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탈크, 카오린, 실리카,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첨가할 수 있다. 그 이외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레벨링제나 분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조제된 도공액을, 기재의 위에, 종래 공지의 수단으로 도공하여 건조처리함으로써, 상기 감열발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처리온도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기 염료전구체가 발색하지 않도록 저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감열발색층(2)의 두께를, 1∼10㎛, 바람직하게는 2∼7㎛로 할 수 있다.
광흡수열변환층(3)은, 근적외의 레이저광 또는 자외선광 또는 근적외선광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것으로서, 가시광 영역의 광은 그다지 흡수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시광을 흡수하면 시인성이나 바코드독해성이 저하한다. 이와 같은 요구성능을 충족하는 광흡수열변환층은, 공지의 리라이트서멀라벨용의 광흡수열변환층형성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흡수열변환층은, 광흡수제, 바인더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무기안료, 윤활제, 대전방지제, 그 이외 각종 첨가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광흡수제로서는, 유기염료 및/또는 유기금속계색소, 구체적으로는, 시아닌계색소, 프탈로시아닌계색소, 안트라퀴논계색소, 아즈렌계색소, 수크와리륨계색소, 금속착체계색소, 트리페닐메탄계색소, 인돌레닌계색소 등의 광흡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높은 광열교환성을 가지기 때문에, 금속착체계색소, 인돌레닌계색소가 특히 매우 적합하다.
광흡수열변환층(3) 중의 바인더로서는, 상기 설명한 감열발색층(2)에 있어서의 바인더로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광흡수열변환층(3)은, 라벨의 최표층이 되는 것으로부터, 하층의 발색을 보이게 하기 위한 투명성과 표면의 하드코트성(내찰과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바인더로서는, 가교타입의 수지가 바람직하며, 특히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가 매우 적합하다. 이 광흡수열변환층(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의 광흡수제, 바인더 및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함유한 도공액을 조제한다. 이 때,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서는, 필요에 따라 적당한 유기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바인더와 광흡수제의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광흡수제를, 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는, 가시광 영역의 광도 흡수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광흡수제의 배합량이 많으면 표면이 착색될 우려가 있다. 표면이 착색하면, 라벨의 외관뿐만 아니라, 정보의 시인성, 바코드의 독해성 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발열에 의한 발색감도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광흡수제의 배합량을 필요 최소량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조제된 도공액을, 상기 감열발색층(2) 위에 종래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공하여, 건조처리 후, 가열이나 전리방사선의 조사 등에 의해 가교화함으로써, 광흡수열변환층(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광흡수열변환층(3)의 두께로서는, 통상 0.05∼10㎛, 바람직하게는 0.1∼3㎛의 범위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앵커코트층을, 상기 기재(1)의 한쪽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앵커코트층은, 다음 공정의 감열발색층(2)을 형성할 시에 이용되는 도공액 속의 용제로부터 기재(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이 앵커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용제성이 부족한 기재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기재로서, 내용제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앵커코트층의 형성에 수용액형이나 수분산형도공액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수용액형으로서는, 전분, 폴리비닐알콜(PVA)수지, 셀룰로오스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분산형으로서는,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수지 등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의 수지를 가교한 것이 내용제성의 면에서 매우 적합하다.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전리방사선으로 가교경화하는 무용매형수지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는, 조사선량을 바꿈으로써, 가교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데 더하여, 가교밀도가 높은 가교화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앵커코트층의 도포두께는 0.1∼30㎛의 범위이면 되고, 기재(1)로서 내용제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포두께가 큰 것이 배리어성이 높기 때문에, 내용제성이 향상하여 다음 공정의 용제계도포액으로부터 기재를 보호하는데에 효과적이다. 0.1㎛보다 얇으면, 기재를 용제로부터 보호하지 못하고, 30㎛보다 두껍게 해도 효과가 적다.
앵커코트층을 형성하는 가교화수지의 가교도는, 겔분율로 3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겔분율이 30%미만에서는 내용제성이 불충분하여, 다음 공정의 감열발색층(2)을 형성할 시에, 도공액 속의 용제로부터, 기재(1)를 충분히 보호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비접촉형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은, 기록에 사용하는 근적외레이저광에 대한 광흡수율이 50%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50%미만에서는 상기 라벨 표면에 있어서의 조사에너지가 부족하여, 기록 시에는 선명한 기록을 할 수 없고, 소거 시에는 화상을 완전히 소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방법을 바코드, 카르라코드, OCR 등의 정보를 선도면의 조합을 읽어내는 광학반사판독기호의 기록에 이용할 경우에는, 근적외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은 50∼90%일 필요가 있다. 상기 광흡수율이 90%이상이면 임계파장 영역에서의 상기 광학반사판독 시에 선도면부분과 비기록부분과의 반사광의 차이가 판별불능이 되어, 바코드기호 등의 기능이 소실한다.
상기 광흡수율은, 본 발명 방법에 사용하는 광흡수열변환층 내의 광흡수제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율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비접촉형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조사한 광선의 반사율을 분광광도계에 의해 측정하고, (100-반사율)%을 가지고 상기 광흡수율을 계산할 수 있다.
점착제층(4)은, 기재(1)의 상기 각층과는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상기 점착제층(4)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피착체에 대해서 양호한 접착성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피착체와 라벨을 모두 리사이클할 경우, 이 리사이클을 저해하지 않는 수지조성의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수지성분으로서, 아크릴산에스테르계공중합체를 포함한 점착제는, 리사이클성이 뛰어나 매우 적합하다. 그 외, 고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점착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내열성이 뛰어난 실리콘계점착제도 사용 가능하지만, 리사이클공정에 있어서, 피착체와의 상용성(相溶性)이 나쁘기 때문에, 리사이클수지가 불균일해지기 쉬워서, 강도저하나 외관불량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이 점착제는 에멀젼형, 용제형, 무용제형의 어느 것이나 좋지만, 가교타입인 것이, 피착체를 반복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되는 세정공정에서의 내수성이 뛰어나고, 리라이트서멀라벨 유지의 내구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4)의 두께는, 통상 5∼60㎛, 바람직하게는 15∼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4)은, 점착제를 나이프코팅기, 리버스코팅기, 다이코팅기, 그라비야코팅기, 마이어 바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기재(1) 표면에 직접도포, 건조하여 형성해도 되고, 또는 박리시트(5)의 박리면에 점착제를 상기 방법으로 도포, 건조해서 점착제층(4)을 형성한 후, 이것을 기재(1)에 접착하여, 상기 점착제층(4)을 전사해도 된다. 후자의 전사방법은, 기재에 형성되어 있는 감열발색층(2)을 발색시키는 일없이, 점착제의 건조효율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박리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표면기재와 접합해서 감아 꺼내, 비접촉형리라이트서멀라벨용 원반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박리시트(5)는, 상기 점착제층(4) 위에, 필요에 따라서 형성해 둘 수 있다. 이 박리시트(5)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발포PET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등의 플라스틱필름이나,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페이퍼, 글래신페이퍼,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글래신페이퍼, 클레이코트페이퍼 등에, 박리제를 도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제로서는, 실리콘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 불소계, 긴사슬알킬기함유 카바메이트계의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박리제의 도포두께는, 통상 0.1∼2.0㎛, 바람직하게는 0.5∼1.5㎛의 범위이다. 또, 박리시트(5)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150㎛정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하는 리라이트서멀라벨의 제작 및 가공방법은, 각층의 형성순서로서는, 기재(1)의 한쪽 면에, 감열발색층(2) 및 광흡수열변환층(3)의 순서로 형성한 후, 상기 기재의 반대쪽 면에, 점착제층(4)부착의 박리시트(5)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기재(1)의 한쪽 면에 앵커코트층을 형성한 후에, 감열발색층(2), 광흡수열변환층(3)을 차례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앵커코트층, 감열발색층 및 광흡수열변환층은, 각각의 도공액을, 다이렉트그라비야, 그라비야리버스, 마이크로그라비야, 마이어 바, 에어나이프, 블레이드, 다이, 롤나이프, 리버스, 카텐코트 등의 코트법이나, 플렉소, 레터프레스, 스크린 등의 인쇄방법으로 도공, 건조하여, 필요하면 다시 가열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감열발색층은, 발색하지 않도록 저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리방사선경화형의 경우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의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비접촉형리라이트서멀라벨(10)용 원반은, 라벨인쇄기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라벨치수로 다이커트하여 라벨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이용하는 기록(인자)방법은, 우선, 리라이트서멀라벨을 피착체에 첩부하기 전에, 상기 리라이트서멀라벨에 소망한 정보를 기록(인자)한다. 이 경우, 광흡수열변환층에 서멀헤드를 접촉시켜서 기록하는 접촉방식을 채용해도 되고,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비접촉방식을 채용해도 되지만, 비접촉방식이 특히 매우 적합하여, 비접촉방식으로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비접촉방식에 있어서는,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에 비접촉의 상태에서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그 레이저광을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의 광흡수열변환층(3) 내의 광흡수제가 흡수하여, 열로 변환함으로써, 하층의 감열발색층(2) 내의 염료전구체와 가역성현색제가 반응하여, 상기 염료전구체가 유색화함으로써, 기록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 방법에 이용하는 기록 시의 레이저광은, 파장이 700∼1500㎚의 범위에 있는 근적외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장이 700nm보다 짧은 것은 시인성 및 광학반사판독기호의 독해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파장이 1500nm보다 긴 것은 펄스단위 당의 에너지가 높아서, 열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광흡수열변환층이 서서히 파괴되어, 반복해서 기록, 소거를 실시하는 내구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실용적으로는 반도체레이저광(830nm) 또는 YAG레이저광(1064nm)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이용하는 기록을 실시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단위면적당의 에너지량은, 5.0∼15.0mJ/mm2바람직하게는 6.O∼~14.0mJ/mm2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방법에 이용하는 상기 조사에너지량은, 본 발명 방법의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에 이용하는 근적외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과 관련해서 결정할 필요가 있다. 기록 시의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3.0∼14.0mJ/mm2바람직하게는, 3.5∼12.0mJ/mm2이 되도록 선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광흡수율과의 곱이 3.0mJ/mm2보다 작으면 기록용 에너지량으로서 너무 약해서, 충분한 발색농도를 얻을 수 없다. 또, 14.0mJ/mm2을 초과하는 높은 에너지량이면, 발색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초과하여, 과잉인 에너지량이 되고, 한번 융합해서 발색한 상태의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가 결정화 온도부근에 있어서 서서히 냉각되는 상황이 되어, 따로 따로 결정화하는 것에 의한 발색농도의 저하 또는 표면층의 파괴가 발생한다.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과 레이저광원의 거리는, 조사출력에 따라서 다르지만, 30㎝이하가 바람직하다. 거리는 짧은 쪽이, 레이저광의 출력면이나 주사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레이저광의 빔직경은,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에서 1∼300㎛정도로 집광시키는 것이, 화상형성면에서 바람직하다. 주사속도는 빠를수록 기록시간이 짧아서 유리하지만, 특히 3m/초이상이 바람직하다. 레이저의 출력으로서는, 50㎽이상이면 되지만, 기록속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300∼1O,OOO㎽가 실용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기록용 레이저광을 조사한 후에, 냉각풍 등에 의해 급냉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냉각작업은, 레이저광의 주사와 냉각풍에 의해서 급냉하는 것을 번갈아 실시해도 되고,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 제 1형태에 사용하는 소거방법은, 리라이트서멀라벨의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고쳐 쓰기 위해 실시한다. 이 경우, 우선, 기록된 라벨 표면에 700∼1500nm의 근적외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상기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층의 광흡수열변환층(3)이 광을 흡수해서 발열함으로써, 소거에 필요한 열에너지량을 부여할 수 있다. 기록을 소거할 시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기록 시에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10) 표면에 조사되는 레이저광 에너지량의 1.1∼3.0배에 상당하는 단위면적 당의 에너지량의 범위에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1.12∼2.5배의 범위로 할 수 있다. 1.1배보다 작으면 소거용 에너지량으로서 너무 약해서 실질적으로 전부의 잔존화상을 소거할 수 없어서, 조금 잔존화상이 남아, 반복해서 사용해 나감에 따라서, 시인성의 저하, 바코드독해성 저하로 연결되는 결과가 된다. 또, 3.0배를 초과하는 높은 에너지량이면, 소거에 필요한 에너지량을 초과해서 과잉인 에너지량이 되어, 라벨 표면의 광흡수열변환층(3)이 레이저광에 의해 파괴되고, 광학특성이 변화하여 시인성 저하 및 반복기록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결과가 된다. 소정의 에너지량에 의한 레이저광의 조사에 부가해서, 열롤 등을 접촉시키는 방법, 열풍을 분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냉각속도를 더욱 더 늦춤으로써 화상잔존율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열롤 또는 열풍의 온도는 100∼140℃가 바람직하여, 소거를 위한 광선조사 개시 시에서 개시 후 4초이내에, 가열을 개시함으로써 화상잔존율을 더 저감할 수 있다.
가열롤은, 상기 라벨 표면을, 기록을 소거할 시의 레이저광 조사 개시 시에서 개시 후 4초이내에 100∼140℃에서 가열할 수 있어서, 상기 라벨 표면을 손상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는 일없이 공지의 가열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롤, 스테인리스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열성이 뛰어나는 실리콘고무롤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무경도는 40도이상이 바람직하다. 40도이하의 부드러운 롤이 되면, 광흡수열변환층에의 부착력이 강해져서, 광흡수열변환층이 고무롤에 조정불능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 방법 제 1형태에 이용하는 개서방법은, 화상소거 후, 다시 화상기록을 실시할 경우, 최초의 기록과 동일하게 기록을 실시한다. 특히 이 경우, 피착체에 붙여진 채로의 리라이트서멀라벨로도, 비접촉의 상태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개서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제 2형태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 제 2형태의 실시의 형태는, 소거방법이 다른 것 이외는 본 발명 제 1형태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다. 본 발명 제 2형태에 있어서는, 소거 시에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광선이 자외선광, 또는 근적외선광이며, 소거 시에 조사되는 상기 광선은, 파장 200∼400nm의 자외선광, 또는 파장 700∼150Onm의 근적외선광을 사용할 수 있다.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의 에너지량과 상기 광선흡수율과의 곱이,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레이저광 에너지량과 상기 흡수율과의 곱의 1.1∼3.0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감열발색층 물약의 제작
염료전구체로서, 트리아릴메탄계화합물인 3-(4-디에틸아미노-2-에톡시페닐)-3-(1-에틸-2-메틸인돌-3-일)-4-아자프탈리드 10중량부, 가역성현색제로서 4-(N-메틸-N-옥타데실술포닐아미노)페놀 30중량부, 분산제의 폴리비닐아세탈 1.5중량부 및 희석용제 테트라하이드로프란 2500중량부를, 분쇄기 및 디스퍼에 의해 분쇄, 분산시켜, 감열발색층형성용 도공액(A액)를 제작했다.
B) 광흡수열변환층 물약의 제작
근적외광흡수열변환제(니켈착체계 색소)[(주) 토스코제, 상품명「SDA-5131」]을, 각 실시예, 각 비교예에 따라서 0.3, 0.8, 1, 3 또는 5중량부, 자외선경화형 바인더(우레탄아크릴레이트)[다이니치세이카공업(주) 제, 상품명「PU-5(NS)」] 100중량부 및 무기안료(실리카)[니폰아에로질공업(주) 제, 상품명「아에로질 R-972」] 3중량부를, 디스퍼에 의해 분산시켜, 광흡수열변환층형성용 도공액(B액)을 조제했다.
C) 박리시트부착 점착제층의 제작
두께 1OO㎛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토오레(주) 제, 상품명「루미라 T-60」] 위에, 촉매를 첨가한 실리콘수지[토오레ㆍ다우코닝(주) 제, 상품명「SRX-211」]를, 건조 후의 두께가 0.7㎛가 되도록 도포한 박리시트를 제작했다. 이 박리시트의 실리콘수지층 위에, 아크릴계점착제[토요잉키제조(주) 제, 상품명「오리바인 BPS-1109」] 100중량부에 가교제[니폰폴리우레탄공업(주) 제, 상품명「콜로네이트 L」]를 3중량부 첨가한 점착제도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롤나이프코팅기방식으로 도포했다. 이 점착제 도포필름을 온도 100℃의 오븐에서 2분간 건조하여 박리시트부착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D) 기록(인자)방법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마커로서, YAG레이저(파장 1064nm)[SUNX(주) 제, LP-F10]를 이용하여 기록을 실시했다. 조사거리 180mm, 스캔스피드 3000mm/초, 선폭 0.1mm, 듀티(펄스주기의 조정에 의해 실제로 출력되고 있는 비율) 70%, 스폿직경 10O㎛가 되도록 조절하여, 레이저출력을 변화시켜서 기록 시의 에너지량을 조정했다. 이들의 값을 단위면적 당의 에너지량(mJ/mm2)으로 환산하고, 이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기록에 이용하는 근적외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과의 곱을 기록에너지량으로 했다.
E) 소거방법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마커로서, YAG레이저(파장 1064nm)를 사용하고 있는 [SUNX(주) 제, LP-F10]를 이용해서 소거를 실시했다. 조사거리 100mm, 스캔스피드 3000mm/초, 선폭 0.1mm, 듀티 50%, 스폿직경 100㎛가 되도록 조절하고, 레이저출력을 변화시켜서 소거 시의 에너지량을 조정했다. 이들의 값을 단위면적 당의에너지량(mJ/mm2)으로 환산했다. 또, 소거 시에 자외선(UV)광을 이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단위면적 당의 에너지량(mJ/mm2)으로 환산했다. 이들의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소거에 이용하는 근적외레이저광이나 자외선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과의 곱을 소거에너지량으로 했다.
F) 라벨 표면에서의 광흡수율측정방법
조사광선반사율측정계[시마즈제작소(주) 제,「MPC-3100」]를 사용하여, 리라이트라벨 표면에 조사한 근적외레이저광이나 자외선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100-반사율)%를, 상기 라벨 표면에서의 광흡수율로 했다.
G) 결과의 판정방법
식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바코드를 인자하여, 기록 및 소거의 결과를 시각관측 및 바코드리더로 다음의 4단계방식에 의해 판정했다.
기록(인자)결과
4: 매우 선명한 선도면로 되어 있으며, 시각관측, 바코드리더도, 선도면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3: 시각관측, 바코드리더 함께, 거의 선도면을 판별할 수 있다.
2: 시각관측판별이 곤란하며, 바코드리더가 자주 오작동한다.
1: 시각관측 및 바코드리더로 선도면의 판별을 전혀 할 수 없다.
소거결과
4: 선도면의 잔상은 전혀 없고, 시각관측, 바코드리더 함께, 선도면의 잔상을식별할 수 없다.
3: 시각관측, 바코드리더 함께, 선도면의 잔상을 거의 식별할 수 없다.
2: 선도면의 잔상이 시각관측판별할 수 있고, 바코드리더가 자주 오작동한다.
1: 시각관측 및 바코드리더로 선도면의 잔상을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1OO㎛의 발포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토요보오세키(주) 제, 상품명「크리스퍼 K2424」] 위에, A) 감열발색층 물약의 제작으로 얻은 A액을, 그라비야방식으로 건조두께가 4㎛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의 오븐에서 5분간 건조시켜, 감열발색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이 감열발색층 위에, B) 광흡수열변환층 물약의 제작으로 근적외광흡수변환제를 1중량부로 해서 얻은 B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1.2㎛가 되도록 플렉소방식으로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해서 광흡수열변환층을 제작하여, 리라이트서멀라벨용 기재로 했다.
C)의 제작으로 얻은 박리시트부착 점착제층을, 래미네이터로, 상기 리라이트서멀라벨용 기재의 이면과 접합, 감기를 실시하여, 리라이트서멀라벨의 롤원반을 얻었다. 다음에, 슬리터로 1OOmm폭의 롤에 슬릿을 실시하여, 1OOmm×1OOmm의 리라이트서멀라벨을 제작해서, 기록용 샘플로 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F) 라벨 표면에서의 광흡수율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52%였다.
기록실험은, D) 기록(인자)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출력을 조정하여, 1OmJ/mm2로 실시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52%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5.2mJ/mm2이다.
소거실험은, E) 소거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출력을 조정하여, 15mJ/mm2로 실시했다. 소거에너지량은, 7.8mJ/mm2이며, 기록 시 조사레이저광에너지량에 대한 소거 시 조사레이저광에너지량 배율은, 1.5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1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G) 판정방법에 의한 결과를 실시예 2, 3, 4, 5, 6, 7, 8, 9, 10, 11과 함께 제 1표에 표시한다.
표 중 에너지량단위:mJ/mm2
표 중 에너지량단위:mJ/mm2
실시예 2
소거 시의 100℃ 열풍분사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3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과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로 했다. 근적외광의 광흡수율은 52%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7.8mJ/mm2이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20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1O.4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33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3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실시예 4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제를 3중량부로 해서 광흡수열변환층을 제작한 것과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71%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71%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3.55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O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7.1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2.0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1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실시예 5
소거 시의 100℃ 열풍분사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실시예 6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OmJ/mm2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71%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7.1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1O.65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5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3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실시예 7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71%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1O.65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2O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14.2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33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3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실시예 8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제를 5중량부로 해서 광흡수열변환층을 제작한 것,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이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4.O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O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8.O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2.0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1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실시예 9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OmJ/mm2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8.0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12.O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5배이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1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실시예 10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제를 5중량부로 해서 광흡수열변환층을 제작한 것,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소거 시의 광선조사에 자외선(파장 250nm를 주로 하는 자외선)을 사용한 것 및 100℃의 열풍분사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였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자외선광의 광흡수율은 90%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이며,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O%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4.0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자외선광 퓨전H밸브를 사용한 자외선광의 에너지량은, 1OmJ/mm2으로 했다. 상기 자외선광의 광흡수율은 90%이므로, 소거에너지량은, 9.0mJ/mm2가 된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자외선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2.25배이다.
실시예 11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이며, 근적외광의 광흡수율은 80%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12.0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자외선광 퓨젼H밸브를 사용한 자외선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이므로, 소거에너지량은, 13.5mJ/mm2가 된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자외선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13배이다.
비교예 1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을 0.8중량부로 한 것,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45%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으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45%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2.25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으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2.25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0배가 된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5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G) 판정방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예 2, 3, 4, 5, 6, 7, 8과 함께 제 2표에 표시한다.
제 2표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기록 조사에너지량(e) 5 5 15 2 5 2 20 5
광흡수율%(f) 45 45 33 52 52 71 80 80
기록에너지량(e×f) 2.25 2.25 4.95 1.04 2.60 1.42 16.0 4.0
기록결과 2 2 1 2 2 2 1 2
소거 조사에너지량(g) 5 5 10 5 5 30 30 UV3
광흡수율%(h) 45 45 33 52 52 71 80 UV90
소거에너지량(g×h) 2.25 2.25 3.30 2.60 2.60 21.3 24 2.70
1.0 1.0 0.67 2.5 1.0 15.0 1.5 0.68
소거결과 - 1 - - - - - 2
열풍분사 소거광조사개시 후 분사시간(초) 5 - 5 5 5 3 3 -
소거결과 2 - 2 2 2 1 1 -
표 중 에너지량단위:mJ/mm2
비교예 2
소거 시의 100℃ 열풍분사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비교예 3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을 0.3중량부로 한 것,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33%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5mJ/mm2으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33%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4.95mJ/mm2가 된다.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1OmJ/mm2으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3.30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0.67배가 된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5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비교예 4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52%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2mJ/mm2으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52%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1.04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으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2.6O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2.5배가 된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5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비교예 5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52%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으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52%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2.60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2.6O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0배가 된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조사 5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비교예 6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을 3중량부로 한 것,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71%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2mJ/mm2으로 했다. 근적외광의 광흡수율은 71%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1.42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30mJ/mm2으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21.3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5.0배가 된다. 3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소거 시의 레이저광 과잉조사에 의해, 라벨의 표면은 파괴되었다.
비교예 7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을 5중량부로 한 것,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및 100℃ 열풍분사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20mJ/mm2으로 했다. 근적외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16.O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3OmJ/mm2으로 했다. 소거에너지량은, 24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1.5배가 된다. 3초 후에 100℃의 열풍을 2초간 라벨면에 분사했다. 기록 및 소거 시의 레이저광 과잉조사에 의해, 라벨의 표면은 파괴되었다.
비교예 8
B)의 근적외광흡수열변환을 5중량부로 한 것, 기록 및 소거의 에너지량을 변경한 것, 소거 시의 광선조사에 자외선(파장 250nm를 주로 하는 자외선)을 사용한 것 및 100℃ 열풍분사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했다. 이 리라이트서멀라벨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장 1064nm의 레이저광의 광흡수율은 80%였다.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은, 5mJ/mm2으로 했다.근적외광의 광흡수율은 80%이므로, 기록에너지량은, 4.0mJ/mm2가 된다.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자외선광의 에너지량은, 3mJ/mm2으로 했다. 라벨 표면에서의 자외선광의 광흡수율은 90%이므로, 소거에너지량은, 2.70mJ/mm2이며, 기록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에 대한 소거할 시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량 배율은, 0.68배가 된다.
본 발명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을 사용하면, 기록잔존화상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소거할 수 있어서, 사용한 피착체로부터 리라이트서멀라벨을 벗기는 일없이 반복해서 리라이트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라벨박리에 필요한 수고와 시간을 덜 수 있고, 사용 최종 시에도 피착체와 함께 리사이클 가능하여, 자원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은, 예를 들면 식품을 수송하는 플라스틱컨테이너에 붙이는 라벨, 전자부품의 관리에 이용하는 라벨, 골판지 등에 붙이는 물류관리라벨 등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7)

  1. 기재의 한쪽 면에, 기재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로 이루어진 감열발색층, 광흡수열변환층이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을 사용하는 기록 및 소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에 사용하는 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이상이며,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의 파장이 700∼1500nm이고, 조사에너지량이 5.0∼15.0mJ/mm2이며, 또한 기록 시의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3.0∼14.0mJ/mm2이고, 소거 시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에너지량과 해당 레이저광의 광흡수율과의 곱이,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1.1∼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소거방법에 있어서, 기록을 소거할 시의 레이저광선조사의 개시 후 4초이내에,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90%이고, 광학반사판독기호를 기록하는 라벨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4. 기재의 한쪽 면에, 기재쪽으로부터 순서적으로 루코염료와 긴사슬알킬계현색제로 이루어진 감열발색층, 광흡수열변환층이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을 사용하는 기록 및 소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에 사용하는 레이저광에 대한 상기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이상이며,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의 파장이 700∼1500nm이고, 조사에너지량이 5.0∼15.0mJ/mm2이며, 또한 기록 시의 상기 조사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3.0∼14.0mJ/mm2이고,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이 자외선광, 또는 근적외선광이며,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의 조사에너지량과 해당 자외선 또는 근적외선광조사 시의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과의 곱이, 기록 시에 상기 라벨 표면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광에너지량과 상기 광흡수율과의 곱이 1.1∼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에 소거 시에 조사되는 광선이, 파장 200∼400nm의 자외선광, 또는 파장 700∼1500nm의 근적외선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소거방법에 있어서, 기록을 소거할 시의 광선조사의 개시 후 4초이내에,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 표면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라벨 표면의 광흡수율이 50∼90%이고, 광학반사판독기호를 기록하는 라벨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KR1020030091123A 2002-12-17 2003-12-15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KR101060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5581 2002-12-17
JP2002365581A JP2004195751A (ja) 2002-12-17 2002-12-17 非接触型リライトサーマルラベルの記録及び消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599A true KR20040055599A (ko) 2004-06-26
KR101060853B1 KR101060853B1 (ko) 2011-08-31

Family

ID=3237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123A KR101060853B1 (ko) 2002-12-17 2003-12-15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018952B2 (ko)
EP (1) EP1431058B1 (ko)
JP (1) JP2004195751A (ko)
KR (1) KR101060853B1 (ko)
CN (1) CN1331687C (ko)
CA (1) CA2453064C (ko)
DE (1) DE60304981T2 (ko)
MY (1) MY137819A (ko)
SG (1) SG115599A1 (ko)
TW (1) TWI3018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9243B2 (ja) * 2001-10-16 2007-01-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非接触型リライトサーマルラベル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60022910A1 (en) * 2004-07-30 2006-02-02 Takuro Sekiya Multifunction display device
JP2006208871A (ja) * 2005-01-31 2006-08-10 Ricoh Co Ltd 複合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US7728860B2 (en) 2005-08-12 2010-06-01 Ricoh Company, Lt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1757483A1 (en) 2005-08-24 2007-02-28 Delta Kogyo Co., Ltd. Recliner adjuster having main and auxiliary lock gears
JP4933072B2 (ja) * 2005-09-12 2012-05-16 株式会社リコー 配送支援システム及び配送支援方法
JP2007152686A (ja) * 2005-12-02 2007-06-21 Fujifilm Corp 記録方法
JP5223211B2 (ja) * 2006-03-15 2013-06-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7955682B2 (en) * 2006-04-25 2011-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otochemical and photothermal rearrangements for optical data and image recording
JP5010878B2 (ja) * 2006-09-07 2012-08-2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非接触型書き換え可能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4866710B2 (ja) * 2006-11-16 2012-02-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内蔵構造体、記録媒体内蔵構造体積層物及びそれらを用いた非接触型記録方法
JP5332412B2 (ja) 2007-09-13 2013-11-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8101334B2 (en) 2008-02-13 2012-01-24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5515546B2 (ja) * 2008-09-17 2014-06-11 株式会社リコー 熱可逆記録媒体の画像消去方法
US20100266322A1 (en) * 2009-04-17 2010-10-21 Timothy Croskey Apparatus and method for destroying confidential medical information on labels for medicines
JP2015186917A (ja) * 2014-03-13 2015-10-29 株式会社リコー コンベアラインシステム及び搬送容器
CN105159156A (zh) * 2015-07-31 2015-12-16 苏州蓝王机床工具科技有限公司 一种硬件标定式打标控制器
JP2020023138A (ja) * 2018-08-08 2020-02-13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箔押し装置の出力の確認方法、箔押し装置の出力の調整方法、および箔押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5746A (ja) 1990-04-13 1991-12-26 Nabco Ltd 制動液圧制御装置
JPH05297627A (ja) * 1992-04-20 1993-11-12 Fujitsu Ltd 消去可能な記録材料
JPH06122273A (ja) * 1992-10-13 1994-05-06 Sliontec:Kk 可逆性感熱記録シート
JPH06219047A (ja) * 1993-01-29 1994-08-09 Sliontec:Kk 可逆性感熱記録シート
JPH06270541A (ja) * 1993-03-25 1994-09-27 New Oji Paper Co Ltd 可逆性感熱記録体
JP3295746B2 (ja) 1993-10-20 2002-06-24 株式会社リコー 可逆性感熱記録媒体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記録方法
JPH0995055A (ja) * 1995-09-28 1997-04-08 Toppan Printing Co Ltd 可逆性感熱記録媒体
JPH11151856A (ja) * 1997-11-25 1999-06-08 Mitsubishi Paper Mills Ltd 可逆性感熱記録材料及び画像記録・消去方法
JP2001071543A (ja) * 1999-07-06 2001-03-21 Kyodo Printing Co Ltd 可逆性感熱記録媒体の印字消去方法
JP2002234263A (ja) * 2000-12-06 2002-08-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可逆性記録媒体
JP2002307829A (ja) * 2001-04-13 2002-10-23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材料
JP2002321456A (ja) * 2001-04-25 2002-11-05 Mitsubishi Shindoh Co Ltd 感光記録媒体
CA2446827A1 (en) 2001-05-10 2002-11-21 Sanwa Newtec Co., Ltd. Rewritable printing method and its printer
JP2002331696A (ja) * 2001-05-10 2002-11-19 Sanwa Newtec Co Ltd 感熱紙用印刷処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16289A1 (en) 2004-06-17
MY137819A (en) 2009-03-31
EP1431058A2 (en) 2004-06-23
CA2453064A1 (en) 2004-06-17
JP2004195751A (ja) 2004-07-15
CA2453064C (en) 2010-05-25
TW200416633A (en) 2004-09-01
SG115599A1 (en) 2005-10-28
DE60304981D1 (de) 2006-06-08
CN1508020A (zh) 2004-06-30
EP1431058A3 (en) 2004-10-13
EP1431058B1 (en) 2006-05-03
KR101060853B1 (ko) 2011-08-31
CN1331687C (zh) 2007-08-15
US7018952B2 (en) 2006-03-28
DE60304981T2 (de) 2006-11-23
TWI301806B (en) 200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853B1 (ko) 비접촉형 리라이트서멀라벨의 기록 및 소거방법
US7381684B2 (en) Method for using a rewritable thermal label
US7972990B2 (en) Process for recording into rewritable recording medium of non-contact type
JP2018122449A (ja) 可逆性感熱記録材料
US20080113863A1 (en) Rewritable thermal label of non-contact type
JP2007182020A (ja) 感熱記録用ラベル
JP5145740B2 (ja) 電子情報記録素子付き可逆性感熱記録媒体
KR101435682B1 (ko) 기록매체 내장구조체, 기록매체 내장구조체 적층물 및그들을 이용한 비접촉형 기록방법
JP2007017997A (ja) 非接触型リライトサーマルラベルの使用方法
JP4960698B2 (ja) 可逆性感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48235A (ja) 非接触型リライトサーマルラベ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WO2008026749A1 (ja) 非接触型書き換え可能記録媒体、それを用いたicタグ
JP2011079236A (ja) 非接触型記録書き換え媒体及び該記録書き換え媒体の書き換え方法
JP2001232956A (ja) 転写可能な記録媒体
JPH09175021A (ja) 感熱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