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290A -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 Google Patents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290A
KR20040054290A KR1020020081311A KR20020081311A KR20040054290A KR 20040054290 A KR20040054290 A KR 20040054290A KR 1020020081311 A KR1020020081311 A KR 1020020081311A KR 20020081311 A KR20020081311 A KR 20020081311A KR 20040054290 A KR20040054290 A KR 2004005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polymer
adsorption
mesh
polymer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4290A/ko
Publication of KR2004005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2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458Vessel
    • H01J37/32477Vessel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tecting vessels or internal parts, e.g. coatings
    • H01J37/32504Means for preventing sputtering of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장치 중 건식 식각 공정(dry etching process)에 사용되는 폴리머 흡착용 돔(dome for polymer adsorption)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건식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디피에스 장치(DPS device; Decoupled Plasma Source device)의 폴리머 흡착용 돔에 있어서, 폴리머 흡착용 돔의 내측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망사형 라이너(mesh typed liner)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폴리머 흡착용 돔의 내측에 망사형 라이너가 구성됨으로써, 공정 진행 중 발생하는 폴리머의 흡착 면적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웨이퍼(wafer)로의 고주파 전력(RF power; Radio Frequency power) 전달이 균일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되어, 폴리머의 침착에 의한 웨이퍼의 불량 방지와 더불어 웨이퍼에의 균일한 식각 진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Dome for polymer adsorption including a mesh typed liner}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장치 중 건식 식각 공정(dry etching process)에 사용되는 폴리머 흡착용 돔(dome for polymer adsorption)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망사형 라이너(mesh typed liner)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에는 여러 공정들이 있는데, 그 중 플라즈마(plasma)를 이용하여 웨이퍼(wafer) 상에 미세 패턴(pattern)을 형성하는 공정을 건식 식각 공정이라 한다. 건식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 건식 식각 장치로는 이온 농도(ion density)와 이온 에너지(ion energy)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의 마진(margin)을 증가시키고 웨이퍼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디피에스 장치(DPS device; Decoupled Plasma Source device)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디피에스 장치에는 공정 진행 중 발생하는 폴리머의 제거를 위한 폴리머 흡착용 돔이 구성되어 있다. 폴리머 흡착용 돔은 챔버(chamber) 내의 상부에 구성되어 공정 진행 중 발생된 폴리머를 흡착함으로써, 웨이퍼 상에 폴리머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는 웨이퍼의 불량 발생을 억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머 흡착용 돔에 대해 계속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머 흡착용 돔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머 흡착용 돔(10)은 둥그런 반구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폴리머 흡착용 돔(10)은 디피에스 장치의 챔버 내 상부에 구성되어 식각 공정 진행 중 발생하는 폴리머(12)를 흡착한다. 하지만, 종래의 폴리머 흡착용 돔(10)은 폴리머 흡착면(K)이 한 면 밖에 없었으므로 폴리머(12)의 흡착량이 적을 수 밖에 없었고, 이는 흡착량의 한계를 넘어 흡착이 진행될 경우 폴리머(12)가 폴리머 흡착면(K)에 전부 흡착되지 못하고 일부가 웨이퍼 상으로 침착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머의 흡착량을 증가시켜 웨이퍼에의 폴리머 침착을 억제함으로써, 웨이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폴리머 흡착용 돔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폴리머 흡착용 돔(dome for polymer adsorption)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라이너(mesh typed liner)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폴리머 흡착용 돔
12 : 폴리머
23 : 망사형 라이너
24 : 구멍
K : 폴리머 흡착면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건식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디피에스 장치의 폴리머 흡착용 돔에 있어서, 폴리머 흡착용 돔의 내측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망사형 라이너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라이너(23)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20)은 둥그런 반구형의 돔(20) 내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만큼 이격되어 망사형 라이너(23)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폴리머흡착면(K)을 종래에 비해 증가시키게 되어 폴리머의 흡착량 또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폴리머 흡착면(K)이 돔(20)의 내측면과 더불어 망사형 라이너(23)의 양면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폴리머의 흡착 면적은 망사형 라이너(23)의 구멍(24) 직경의 영향을 받는데, 구멍(24) 직경을 3 mm로 형성하여 폴리머 흡착용 돔(20)의 내측에 구성하였을 경우가 그렇지 않은 종래의 구성에 비해 흡착 면적이 300% 정도 증가하게 된다. 구멍(24)의 직경은 3mm 미만이 되거나 초과할 경우 3mm일 때에 비하여 흡착 효율이 저하되므로 망사형 라이너(23)의 구멍(24) 직경은 3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사형 라이너(23)는 폴리머의 흡착 면적 증대 효과 이외에도 반응 가스(gas)의 활성화에 사용되는 고주파 전력(RF power; Radio Frequency power)을 웨이퍼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효과도 발생시키는데, 그러한 효과는 웨이퍼에 대한 식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소정의 예로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의도에 부합하는 구성의 예가 다수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일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의 구조에 의하면, 폴리머 흡착용 돔의 내측에 망사형 라이너가 구성됨으로써, 공정 진행 중 발생하는 폴리머의 흡착 면적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웨이퍼로의 고주파 전력 전달이 균일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되어, 폴리머의 침착에 의한 웨이퍼의 불량 방지와 더불어 웨이퍼에의 균일한 식각 진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반도체 제조 공정 중 건식 식각 공정(dry etching process)에 사용되는 디피에스 장치(DPS device;Decoupled Plasma Source device)의 폴리머 흡착용 돔(dome for polymer adsorption)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흡착용 돔의 내측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망사형 라이너(mesh typed liner)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라이너는 형성된 구멍들의 직경이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KR1020020081311A 2002-12-18 2002-12-18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KR20040054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11A KR20040054290A (ko) 2002-12-18 2002-12-18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11A KR20040054290A (ko) 2002-12-18 2002-12-18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290A true KR20040054290A (ko) 2004-06-25

Family

ID=3734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311A KR20040054290A (ko) 2002-12-18 2002-12-18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4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868A (ko) * 2004-09-30 2006-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용 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868A (ko) * 2004-09-30 2006-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용 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335B1 (ko) 할로우 캐소드 플라즈마 발생방법 및 할로우 캐소드플라즈마를 이용한 대면적 기판 처리방법
US88649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JP4970434B2 (ja) プラズマリアクタ及びプラズマリアクタの使用方法
JPH10321605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7043148A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
KR20040054290A (ko) 망사형 라이너를 구비한 폴리머 흡착용 돔
KR101517720B1 (ko) 정전척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
JP2013168489A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40261714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0725614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0697665B1 (ko) 상부 전극부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20040013170A (ko) 애싱 장치
TWI750502B (zh) 靜電夾具、真空處理裝置以及基板處理方法
KR100774979B1 (ko) 기판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32229B1 (ko) 원자층 식각장치
TWI414016B (zh) 進行電漿蝕刻製程的裝置
KR20070060305A (ko) 기판 지지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제조 장치
KR20080030713A (ko) 기판 가공 장치
KR20030088409A (ko) 리모트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배치형 애싱장치
KR19990023698U (ko) 반도체 웨이퍼 식각장치
JP2004146838A (ja) プラズマ処理方法およ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20050109725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가드링
KR200205805Y1 (ko) 플라즈마 공정 챔버의 상부 챔버 구조
KR20060098969A (ko) 건식식각장치의 포커스링
KR20060089886A (ko) 반도체 식각장치 및 그 정전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