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029A -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029A
KR20040054029A KR1020020080501A KR20020080501A KR20040054029A KR 20040054029 A KR20040054029 A KR 20040054029A KR 1020020080501 A KR1020020080501 A KR 1020020080501A KR 20020080501 A KR20020080501 A KR 20020080501A KR 20040054029 A KR20040054029 A KR 2004005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alve
compressed air
vehic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486B1 (ko
Inventor
박상복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4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60T13/36Compressed-air systems direct, i.e. brakes applied directly by compres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탱크, 파킹밸브, 릴레이밸브 및 휠 파킹챔버를 포함하는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어탱크, 파킹밸브 및 릴레이밸브와 유로로 연결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차량의 엔진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되, 그 결과가 차량이 정지속도 이하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반면, 차량이 공회전속도 이상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지 않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arking break for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는 풀 에어 브레이크(Full air brake)를 이용한 차량의 휠 파킹챔버를 점진적으로 제동하여 화물차의 정차 및 주차 중에 정지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해 사용하거나 풋브레이크(Foot brake)가 고장났을시 비상용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탱크(1), 파킹밸브(2), 릴레이밸브(6) 및 휠 파킹챔버(5)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파킹밸브(2)는 운전석의 측면에 구비된 노브(미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이 노브의 동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릴레이밸브(6) 및 에어탱크(1)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릴레이밸브(6)는 파킹밸브(2)로부터 전달되는 온 또는 오프신호에 따라에어탱크(1) 내의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휠 파킹챔버(5)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휠 파킹챔버(5)는 릴레이 밸브(6)를 통해 내부로 압축공기가 인입되면,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동작하여 구동축 바퀴의 제동을 해제하고, 릴레이 밸브(6)를 통해 그 내부로 압축공기가 인출되면 내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이 동작하여 구동축 바퀴를 제동한다.
여기서 휠 파킹챔버(5)는 라이트 파킹챔버(3) 및 레프트 파킹챔버(4)로 이루어지며, 라이트 파킹챔버(3)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구동축 바퀴를 제어하고, 레프트 파킹챔버(4)는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구동축 바퀴를 제어한다.
한편, 종래기술의 브레이크 오프동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미도시)에 의해 파킹밸브(2)를 온시키면 에어탱크(1) 내의 압축공기가 릴레이밸브(6)에 전달되고, 릴레이밸브(6)는 에어탱크(1)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휠 파킹챔버(5) 즉, 라이트 파킹챔버(3) 및 레프트 파킹챔버(4)로 인입한다.
상기 압축공기가 인입된 라이트 파킹챔버(3) 및 레프트 파킹챔버(4)는 그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을 전진시켜 구동축 바퀴의 제동을 해제하므로서, 파킹브레이크의 동작을 해제한다.
종래기술의 브레이크 온동작은, 노브(미도시)에 의해 파킹밸브(2)를 오프시키면 에어탱크(1)에서 공급되던 압축공기를 릴레이밸브(6)가 차단한다. 상기 릴레이밸브(6)의 압축공기 차단으로 라이트 파킹챔버(3) 및 레프트 파킹챔버(4) 내의코일스프링은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면서 구동축 바퀴를 제동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운전자가 부주의로 노브에 의해 파킹밸브를 온시키지 않고 차량을 정차 및 주차시킨다면, 경사로 등에서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운전자가 파킹밸브를 오프시키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킨다면,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부품에 손상을 주거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부주의로 파킹밸브를 온시키지 않고 차량을 주차 및 정차시키거나 파킹밸브를 오프시키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킬 시 안전성을 유지하거나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는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동작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탱크 20; 파킹밸브
30; 라이트 파킹챔버 40; 레프트 파킹챔버
50; 휠 파킹챔버 60; 릴레이밸브
70; 유로 80; 연결유로
90; 제 1솔레노이드밸브 91; 제 1솔레노이드밸브 흡기포트
92; 제 1솔레노이드밸브 배기포트 100; 제 2솔레노이드밸브
101; 제 2솔레노이드밸브 흡기포트 102; 제 2솔레노이드밸브 배기포트
110; 전자제어유닛 120; 변속레버위치 감지센서
130; 엔진속도 감지센서 140; 램프
150; 휠 파킹챔버 감지센서 160; 파킹밸브 감지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엔진의 구동력으로 동작하는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탱크; 차체에 구비된 노브의 조작에 따라 온 상태가 되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소통시키고, 오프상태가 되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파킹밸브; 상기 파킹밸브가 온 상태일 때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소통시키고, 파킹밸브가 오프 상태일 때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차단시키도록 파킹밸브 및 에어탱크와 유로로 연결된 릴레이밸브; 상기 릴레이밸브가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면 내부의 피스톤에 의해 구동축 바퀴를 해제하고, 릴레이밸브가 압축공기를 차단시키면 내부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동축 바퀴를 구속하도록 릴레이밸브와 유로로 연결되어 다수개로 구비된 휠 파킹챔버; 상기 에어탱크, 파킹밸브 및 릴레이밸브와 유로로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흡입 또는 배기하는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차량의 엔진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되, 그 결과가 차량이 정지속도 이하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반면, 차량이 공회전속도 이상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지 않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휠 파킹챔버로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시 점등되고, 휠 파킹챔버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있을 시 소등되는 램프와, 상기 파킹밸브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도록 파킹밸브에 인접한 유로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파킹밸브 감지센서와, 상기 휠 파킹챔버에 의해 구동축 바퀴가 해제되거나 구속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휠 파킹챔버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휠 파킹챔버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두 개로 구성되며, 각각 흡입포트 및 배기포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동작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탱크(10), 파킹밸브(20), 릴레이밸브(60), 휠 파킹챔버(50), 솔레노이드밸브(90,100), 센서(120,130,150,160), 전자제어유닛(110) 및 램프(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에어탱크(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엔진의 구동력으로 동작하는 에어컴프레셔(미도시)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고 내부에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한다.
그리고 파킹밸브(20)는 차체에서 운전석의 측면에 구비된 노브(미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이 노브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요소이다.
만일, 파킹밸브(20)가 온 상태이면 에어탱크(10)의 압축공기를 각 요소로 소통시키고, 오프상태이면 에어탱크(10)의 압축공기를 차단한다.
상기 릴레이밸브(60)는 파킹밸브(20)가 온 상태일 때 에어탱크(10)의 압축공기를 소통시키고, 파킹밸브(20)가 오프 상태일 때 에어탱크(10)의 압축공기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파킹밸브(20) 및 에어탱크(10)와 유로(70)로 연결된다.
그리고, 휠 파킹챔버(50)는 라이트 파킹챔버(30) 및 레프트 파킹챔버(40)로이루어지며, 라이트 파킹챔버(30)는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했을 때 그 운전자를 기준으로 차체 우측에 구비된 구동축 바퀴를 제어하고, 레프트 파킹챔버(40)는 그 운전자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구동축 바퀴를 제어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라이트 파킹챔버(30) 및 레프트 파킹챔버(40) 내에는 압축공기가 각 파킹챔버(30,40) 내로 유입 또는 유출되었을 때 그 압력에 따라 동작하는 피스톤(미도시)과 코일스프링(미도시) 등의 구성요소가 내장된다.
즉, 휠 파킹챔버(50)는 상기 릴레이밸브(60)가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면 내부의 피스톤에 의해 구동축 바퀴를 해제하고, 릴레이밸브(60)가 압축공기를 차단시키면 내부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동축 바퀴를 구속하도록 릴레이밸브(60)와 유로(70)로 연결되고, 다수개로 구비된다.
한편, 솔레노이드밸브(90,100)는 에어탱크(10), 파킹밸브(20) 및 릴레이밸브(60)와 유로(70)로 연결되며, 다수개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밸브(90,100)는 제 1솔레노이드밸브(90)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로 총 2개가 구비되며, 서로 연결유로(80)를 통해 압축공기가 이동하도록 흡입포트(91,101) 및 배기포트(92,102)를 갖는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의 배기포트(10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 또는 차량의 배기라인과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각 솔레노이드밸브(90,100)는 전자제어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120,130,150,160)는 엔진속도 감지센서(130), 변속레버위치 감지센서(120), 파킹밸브 감지센서(160) 및 휠 파킹챔버 감지센서(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엔진속도 감지센서(130)는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체크하여 차량의 현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고, 변속레버위치 감지센서(120)는 변속레버(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이 정지상태인지 아니면 주행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파킹밸브 감지센서(160)는 파킹밸브(2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도록 파킹밸브(20)에 인접한 유로(70) 상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것이고, 파킹챔버 감지센서(150)는 휠 파킹챔버(50) 즉, 라이트 파킹챔버(30) 및 레프트 파킹챔버(40)에 의해 구동축 바퀴(미도시)가 해제되거나 구속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각 파킹챔버(30,40)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파킹챔버 감지센서(150)는 휠 파킹챔버(50) 중 레프트 파킹챔버(40)의 측면에 하나가 구비된다. 상기한 각 센서들(120,130,150,160)은 전자제어유닛(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제어유닛(110)은 엔진속도 감지센서(130) 및 변속레버위치 감지센서(120)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되, 그 결과가 차량이 정지속도 이하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시 제 1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90,100)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6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반면, 차량이 공회전속도 이상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지 않을 시 제 1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90,100)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6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자제어유닛(110)은 파킹밸브 감지센서(16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파킹밸브(20)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파악하고, 파킹챔버 감지센서(150)로부터 제공된 정보로 브레이크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전자제어유닛(110)은 차실 내부에 구비된 램프(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 램프(140)는 상기 휠 파킹챔버(50)로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시 점등되고, 휠 파킹챔버(50)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있을 시 소등된다.
즉, 전자제어유닛(110)으로 파킹챔버 감지센서(15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점등되고 소등된다.
본 발명에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온동작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만일, 운전자가 부주의로 정차 및 주차 중에 파킹밸브(20)와 연결된 노브를 온시키지 않고 차량에서 하차한다면, 전자제어유닛(110)은 엔진속도 감지센서(130) 및 변속레버 감지센서(12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입력된 정보와 비교하고 그 결과로, 엔진속도 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정지속도 이하이고 변속레버위치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이라면, 전자제어유닛(110)은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에 신호를 보내어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의 배기포트(91)와 연결유로(80)를 연결시켜 압축공기가 파킹밸브(20)에서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그 다음 전자제어유닛(110)은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에 신호를 보내어 연결유로(80)에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의 배기포트(102)가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릴레이밸브(60)에 공급되던 압축공기는 상쇄되어 릴레이밸브(60)는 차단상태가 되고, 에어탱크(10)로부터 휠 파킹챔버(50)로 공급되던 압축공기도 결국 상쇄되며, 휠 파킹챔버(50) 내에 구비된 코일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어 구동측 바퀴를 구속하므로서, 파킹브레이크가 동작한다.
또한, 휠 파킹챔버(50) 중 레프트 파킹챔버(40)에 장착된 파킹챔버 감지센서(150)는 전자제어유닛(110)에 레프트 파킹챔버(40)의 동작상태를 알리고, 전자제어유닛(110)은 레프트 파킹챔버(40)가 제대로 동작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램프(140)를 점등시킨다.
본 발명에서 운전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동작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운전자가 정차 및 주차시 파킹밸브(20)와 연결된 노브를 정상적으로 온시키고 하차했을 때, 파킹밸브 감지센서(160)는 파킹밸브(20)의 온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110)에 그 정보를 인가한다.
그렇게 되면, 전자제어유닛(110)은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의 흡기포트(91)가 유로(70)와 이어져 상기 연결유로(80)와 연결된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의 배기포트(102)와는 관계없이 제 1솔레노이드밸브(90)는 파킹밸브(20), 릴레이밸브(60) 및 에어탱크(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자제어유닛(110)은 레프트 파킹챔버(40)가 제대로 동작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램프(140)를 점등시킨다.
본 발명에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되는 동작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만일, 운전자가 정차 및 주차 후에 파킹밸브(20)와 연결된 노브를 오프시키지 않고 차량을 주행시켰을 때, 전자제어유닛(110)은 엔진속도 감지센서(130) 및 변속레버 감지센서(12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기입력된 정보와 비교하고 그 결과로, 엔진속도 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가 공회전속도 이상이고 변속레버위치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된 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이 아니라면, 전자제어유닛(110)은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에 신호를 보내어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의 배기포트(91)가 연결유로(80)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그 다음 전자제어유닛(110)은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에 신호를 보내어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의 흡기포트(101)가 연결유로(80) 및 유로(70)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릴레이밸브(60)에 압축공기가 소통되어 릴레이밸브(60)는 개방상태가 된다, 그리고 에어탱크(10)로부터 휠 파킹챔버(50)로 압축공기가 원활히 공급되고 휠 파킹챔버(50) 내에 구비된 피스톤이 동작하여 구동측 바퀴를 해제시키므로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또한, 휠 파킹챔버(50) 중 레프트 파킹챔버(40)에 장착된 파킹챔버 감지센서(150)는 전자제어유닛(110)에 레프트 파킹챔버(40)가 동작 않는 것을 신호로서 알리고, 전자제어유닛(110)은 다시 레프트 파킹챔버(40)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램프(140)를 소등시킨다.
본 발명에서 운전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되는 동작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운전자가 차량을 정차 및 주차시킨 후 다시 주행할 시, 파킹밸브(20)와 연결된 노브를 정상적으로 오프시켰을 때, 파킹밸브 감지센서(160)는 파킹밸브(20)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110)에 그 정보를 인가한다.
그렇게 되면, 전자제어유닛(110)은 제 1솔레노이드밸브(90)의 흡기포트(91)가 유로(70)와 연결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연결유로(80)와 연결된 제 2솔레노이드밸브(100)의 흡기포트(101)와는 관계없이 제 1솔레노이드밸브(90)는 파킹밸브(20), 릴레이밸브(60) 및 에어탱크(10)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차량을 주차 및 정차시킬 때 운전자가 부주의로 파킹밸브를 오프시키고 하차하거나, 차량에 승차하여 파킹밸브를 온시키고 주행했을 시에도 파킹브레이크를 차량의 속도 및 변속레버위치 등의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제어하는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파킹브레이크의 자동조절로 항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브레이크를 구성하는 부품 및 기타 주변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엔진의 구동력으로 동작하는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탱크;
    차체에 구비된 노브의 조작에 따라 온 상태가 되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소통시키고, 오프상태가 되면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차단하는 파킹밸브;
    상기 파킹밸브가 온 상태일 때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소통시키고, 파킹밸브가 오프 상태일 때 에어탱크의 압축공기를 차단시키도록 파킹밸브 및 에어탱크와 유로로 연결된 릴레이밸브;
    상기 릴레이밸브가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면 내부의 피스톤에 의해 구동축 바퀴를 해제하고, 릴레이밸브가 압축공기를 차단시키면 내부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구동축 바퀴를 구속하도록 릴레이밸브와 유로로 연결되어 다수개로 구비된 휠 파킹챔버;
    상기 에어탱크, 파킹밸브 및 릴레이밸브와 유로로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흡입 또는 배기하는 다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차량의 엔진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변속레버의 위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되, 그 결과가 차량이 정지속도 이하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반면, 차량이 공회전속도 이상이고 그와 동시에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지 않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릴레이밸브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소통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휠 파킹챔버로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시 점등되고, 휠 파킹챔버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있을 시 소등되는 램프와,
    상기 파킹밸브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도록 파킹밸브에 인접한 유로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파킹밸브 감지센서와,
    상기 휠 파킹챔버에 의해 구동축 바퀴가 해제되거나 구속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휠 파킹챔버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휠 파킹챔버 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두 개로 구성되며, 각각 흡입포트 및 배기포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2002-0080501A 2002-12-16 2002-12-16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051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01A KR100513486B1 (ko) 2002-12-16 2002-12-16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01A KR100513486B1 (ko) 2002-12-16 2002-12-16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029A true KR20040054029A (ko) 2004-06-25
KR100513486B1 KR100513486B1 (ko) 2005-09-08

Family

ID=3734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501A KR100513486B1 (ko) 2002-12-16 2002-12-16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4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4302B1 (en) 2008-05-30 2009-10-20 Hyundai Motor Company Parking brake system
CN107512260A (zh) * 2017-07-06 2017-12-26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气压冗余的电子驻车系统
US20180111596A1 (en) * 2016-10-24 2018-04-26 Hyundai Motor Company Remote startup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consideration of operational state of parking brake
KR102077966B1 (ko) * 2019-08-27 2020-02-17 그린산업 주식회사 에어 브레이크 차량용 안전시스템
WO2022231073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미래브이씨 차량용 공기압 스프링 브레이크 챔버의 압력 감지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4302B1 (en) 2008-05-30 2009-10-20 Hyundai Motor Company Parking brake system
US20180111596A1 (en) * 2016-10-24 2018-04-26 Hyundai Motor Company Remote startup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consideration of operational state of parking brake
US10252708B2 (en) * 2016-10-24 2019-04-09 Hyundai Motor Company Remote startup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consideration of operational state of parking brake
CN107512260A (zh) * 2017-07-06 2017-12-26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气压冗余的电子驻车系统
KR102077966B1 (ko) * 2019-08-27 2020-02-17 그린산업 주식회사 에어 브레이크 차량용 안전시스템
WO2022231073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미래브이씨 차량용 공기압 스프링 브레이크 챔버의 압력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486B1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9859A1 (en) Fluid-pressure brake system for a vehicle
KR101007484B1 (ko)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JP2003054393A (ja) 駐車ブレーキの作動装置
US6234586B1 (en) Parking brake lock-in key switch system for vehicle air brake system
JP6060268B2 (ja) 車両用電子制御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及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EP0394065A2 (en) Back up braking system
US6041808A (en) Compressed air control device for a source of compressed air on motor vehicles
KR100513486B1 (ko) 화물차용 파킹브레이크 제어장치
US10927795B2 (en) Fuel evaporative gas emission suppressing device
JP2003276591A (ja) エアコンプレッサの制御装置
KR20170013477A (ko) Pto 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제어방법
JP2970364B2 (ja) 荷役車両における流体圧回路
US10829118B2 (en) Braking system of industrial vehicle
JP3581223B2 (ja) タンクローリ
KR100320376B1 (ko) 자동차의 안전 출발 방법 및 장치
JP2008222181A (ja) フォークリフト車の安全装置
JP2006117101A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装置
KR0170155B1 (ko)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
KR100384527B1 (ko) 대형 차량용 주차 보조 브레이크 장치
JPH0295959A (ja) 車輪制動液圧制御装置
JPH10244916A (ja) 制動力制御装置
JPH07251730A (ja) トラクショ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3581222B2 (ja) タンクローリ
US20080164104A1 (en) System for signaling potential unintended application of park air brake in a vehicle having a lift platform
JP3546893B2 (ja) 坂道発進補助装置を備えた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