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3715A -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3715A
KR20040053715A KR1020020081492A KR20020081492A KR20040053715A KR 20040053715 A KR20040053715 A KR 20040053715A KR 1020020081492 A KR1020020081492 A KR 1020020081492A KR 20020081492 A KR20020081492 A KR 20020081492A KR 20040053715 A KR20040053715 A KR 2004005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lucoamylase
maltase
yulmu
sucr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윤승원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랩 filed Critical (주)바이오랩
Priority to KR102002008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3715A/ko
Publication of KR2004005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무추출물의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 확인과 이의 분리 및 생산방법과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돼지 소장 유래의 탄수화물 분해 효소인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수크라아제와 말타차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의 추출물에서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 추출물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체 내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당뇨환자의 혈당증가를 억제하는 혈당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율무 추출물은 소장 내에서 탄수화물의 분해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므로 음식물 섭취의 제한 없이 혈당조절에 의한 당뇨병의 예방 빛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 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INHIBITION ACTIVITY OF JOB'S TEARS EXTRACT AGAINST SUCRASE, MALTASE AND GLUCOAMYLAS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JOB'S TEARS EXTRACT FOR REGULATION OF BLOOD SUGAR}
본 발명은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추출물의 생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돼지 소장 유래의 탄수화물 분해 효소인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의 열수 추출물에서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 추출물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체 내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당뇨환자의 혈당증가를 억제하는 혈당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섭취한 음식물의 생체 내 소화는 구강 내에서 탄수화물의 초기 분해를 비롯하여 위장에서 일부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난다. 그러나, 본격적인 탄수화물 및 지방의 소화, 흡수는 십이지장에서부터 회장부에 이르는 부위에서 주로 일어나며 일반적으로 대장에서는 주로 수분과 염류 등의 재흡수와 유리지방산의 흡수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화 흡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소장에서 일어나는데 이때 췌장에서 분비되는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 카르복시 펩티다아제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 췌장 리파이제, 스팁신 등의 지질 분해 효소, 췌장 아밀라아제, 아밀롭신, 말타아제 등의 탄수화물 분해 효소 및 소장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펩티다아제, 핵산 분해효소, 알기나아제, 포스파타제, 각종 당질 분해효소인 유당 분해 효소 등 여러 가지 소화 효소에 의해서 식괴가 분해되고 소장 표면에 있는 융모세포에서 흡수되어 암죽관과 혈관을 통해서 흡수된 영양분이 체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융모세포에서의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융모세포 막수송체이다. 융모세포 막수송체는 소장 융모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막수송체 (membrane vesicle)이며 상기 수송체는 SGLT1 (sodium dependent glucose cotransporter 1)이라고 하는 Na 양이온에 의한 단당류의 수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막수송체는 탄화물의 분해에 의해서 생긴 단당류 중 가장 대표적인 단당류의 체내 능동 수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이러한 단당류의 수송에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이당류 분해효소인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활성이 융모세포 막수송체에서 매우높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효소에 의해서 단당류의 체내 흡수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관내의 이당류 분해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회장 상부에 이르는 동안에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것은 이른바 융모세포 막수송체가 가지는 탄수화물 분해효소가 작용하는 막소화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활성이 많이 발견되는 회장부에 이르기 전까지는 단당류의 흡수가 전체 단당류 흡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당뇨는 아직까지 완치가 어려운 만성질환으로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거나 약을 복용함으로써 꾸준히 관리를 해야 하는 질병이다. 이러한 당뇨병은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의 하나로서 단일질환으로는 유일하게 포함되어 있다.
최근 당뇨는 급증하는 추세에 있어 정부에서는 특별 관리질환으로 당뇨병을 정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당뇨병 관리를 추진해 나가고 있으나 당뇨 환자를 위한 기능성 식품은 저 칼로리 식품이 대부분이며 직접 혈당 조절을 도와주는 기능성 원료는 국내에 부재하다.
따라서, 혈당관리가 필요한 당뇨환자를 위해 영양소의 섭취에 제한 없이 기존의 당뇨에 사용되는 식이요법이 아닌 다른 필수적인 무기이온 및 단백질 등의 흡수저해 없이 탄수화물의 흡수만을 저해할 수 있는 당뇨환자에게 적합한 차별화 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돼지 소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를저해하는 율무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비만 및 당뇨 질환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탄수화물의 최종 체내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혈당의 조절과 당뇨 환자의 식이요법 시 발생하는 음식물 섭취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원료로서 비만 및 당뇨인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수화물 분해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는 율무의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음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돼지 소장의 막 단백질로부터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아제를 분리한 결과이고,
도 2도 1에서 분리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의 온도에 따른 반응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3도 1에서 분리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의 pH의 따른 반응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에서 분리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온도와 pH에 따른 반응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율무 추출물의 분리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추출물이 돼지 소장 유래 말타아제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추출물이 돼지 소장 유래 수크라아제의활성이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추출물이 돼지 소장 유래 글루코아밀라아제 활성이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동물모델인 랫트를 이용한 수크로스 과부하 실험 시에 본 발명의 율무추출물에 의한 체내 당 농도 증가의 억제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10은동물모델인 랫트를 이용한 말토스 과부하 실험 시에 본 발명의 율무추출물에 의한 체내 당 농도 증가의 억제를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저해하는 율무의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저해하는 율무의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리방법은
1)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단백질을 표적 효소로 사용하여 이를 저해하는 율무의 열수 추출물을 생산하는 단계;
2) 상기 율무의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용액과 섞어 교반 하여 저해 활성물질이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전용되는 단계 ; 및
3) 상기 저해물질을 함유하는 클로로포름 용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단계 1)에서는 돼지 소장으로부터 막단백질을 분리하고 음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정제한다 (도 1 참조). 정제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효소활성의 최적 반응온도와 pH를 조사한 결과, 수크라아제는 40℃와 약산성 pH (pH 5 내지 6) 부근에서, 말타아제는 50℃와 중성 pH (pH 6 내지 7) 부근에서, 글루코아밀레이즈는 50℃와 약산성 pH (pH 5 내지 6) 부근에서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 도 3도 4참조).
본 발명에서 표적 단백질로 사용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는 돼지 소장뿐만 아니라 랫트, 마우스, 기니아피그, 토끼 또는 사람 및 사람 유래 세포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들 효소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에 발현된 것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분리된 수크라아제,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레이즈를 저해하는 저해물질을 디 니트로살리실릭 산(3,5-dinitrosalieylic acid)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천연물을 대상으로 탐색하여 율무추출물이 상기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계 2)는 율무를 2시간 냉침 후에 95-110℃의 열수를 이용하여 2-8시간 추출하여 저해 물질을 추출하고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율무의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용액과 함께 교반하여 저해활성 물질이 클로로포름 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 클로로포름 층에서 저해활성이 확인되었고 일부는 수층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글로로포름 층으로 이동된 저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였으며 활성 분획을 확인하였다.
혈당조절용 기능성 원료로서 율무의 추출물을 이용하기 해서는 율무의 열수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나 저해물질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클로로포름 추출물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 ·정제된 율무 추출물은 말타아제와 수크라아제 및 글루코아밀레이즈의 효소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도 6,도 7도 8참조), 생체 내 적용 시 상기 효소활성 억제를 통해 탄수화물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혈당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9도 10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탄수화물 흡수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 추출물은 생체 내에서 탄수화물의 분해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혈당량을 감소시키므로 상기 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음식물 섭취의 제한 없이 과도한 탄수화물의 흡수에 기인한 질환들, 예를 들어, 비만, 당뇨병, 고혈압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 엘릭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포장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당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스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검, 알긴산염,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실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내 또는 근육내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정제된 율무 추출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5 내지 30 mg/kg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g/kg 체중의 범위일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할 질환, 선택된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증상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및 음료 조성물은 체내에서 탄수화물의 분해를 억제하므로 혈당량 조절, 비만 억제 등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율무 추출물은 또한 당뇨병 등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목적으로, 또는 비만 개선을 위한 다이어트 원료로서 과도한 탄수화물의 흡수에 기인한 질환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재 또는 식품 보조제로서 혼입될 수 있다. 상기 식품 또는 음료로는, 육류; 야채 쥬스 (예를 들어, 당근 쥬스 및 토마토 쥬스) 및 과일 쥬스 (예를 들어, 오렌지 쥬스, 포도 쥬스, 파인애플 쥬스, 사과 쥬스 및 바나나 쥬스); 초콜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빵, 케익, 크래커, 쿠키, 비스킷, 누들 등과 같이 곡물 분말로 만들어진 식품류; 껌류; 우유, 치즈, 요구르트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유제품; 스프; 육즙; 페이스트, 케찹 및 쏘스; 차; 알콜성 음료류; 탄산 음료류; 비타민 복합체; 및 다양한 건강식품류 등이 있다. 이 경우, 식품 또는 음료 중 율무 추출물의 함량은 0.5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저해제의 제조
(단계 1) 돼지 소장으로부터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분리
소화 효소에 관여하는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분리를 위하여 신선한 돼지의 소장을 생리식염이 포함된 인삼염 완충액 (sodium phosphate saline buffer, 이하 'PBS'로 약칭함)으로 세척하고 점막층을 긁어낸 후, 200 mM 만니톨을 포함하는 20 mM Tris-HCl 완충액 (pH 6)에 1:10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균질화하고 50 mM의 염화칼슘을 첨가하여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층액을 35,000× g로 초원심분리하여 침전된 막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막단백질을 50 mM Tris-HCl 완충액 (pH 8)으로 평형화시킨 DEAE-세파로오스 (DEAE-Sepharose) 컬럼 (아머샴파마시아바이오텍사)에 단백질을 흡착시키고 0 내지 1.0 M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동일 완충액으로 선택적으로 단백질들을 분획하여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분리하였다 (도 1).
이들 소장 유래 막 단백질들은 당과 결합된 당단백질로 수크라아제 활성과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활성을 가지는 소단위 (subunit)로 구성되어 있으며14 내지 15만 정도의 분자랑을 가진다. 또한, 장내 부위에 따라 분자량 26만 정도의 하나의 긴 폴리펩티드 사슬로도 나타난다 (Siostrom, H.et al., J. Biolog. Chem.255(23), 1980). 상기에서 분리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단백질 분획을 SDS-PAGE 전기영동으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20만 이상과 15만정도의 위치에서 단백질 밴드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단계 2) 분리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효소활성 측정
상기 단계 1에서 분리된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질로 수크로스와 말토스, 수용성 전분 각각을 첨가하여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액은 기질 1%, 50 mM (인산염완충액), 효소 (0.2 unit), 증류수를 포함하며 반응용량은 0.1㎖로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효소의 최적 반응 온도와 pH의 조사를 위하여 온도는 30℃ 내지 70℃까지의 온도범위에서 반응시켰으며 pH는 3 내지 9까지의 pH 범위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100℃에서 효소활성을 정지시켰으며 생성된 포도당 농도는 포도당 산화효소를 이요한 GOD-POD 비색방법인 지엘자임키트 (신양화학약품사)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수크라아제는 40℃와 약산성 (pH 5 내지 6) 부근에서 최고의 효소활성을 보였으며 말타아제는 50℃와 중성 (pH 6 내지 7)에서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글루코아밀라아제는 50℃와 pH 5에서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도 3,도4).
(단계 3) 효소저해제의 검색
돼지 소장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를 표적 효소로 이용하여 상기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능력이 있는 천연물 추출액을 검색하였다. 천연물들은 식품공전에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등재된 천연한약재를 이용하였으며 율무 등의 곡류와 콩과식물들을 추가하였다. 천연물 원료 각 500g을 1 liter의 냉수로 2시간 냉침 후에 가열하여 2-4시간 정도 95-110℃의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 후 추출액의 상층액 100ml를 취하여 저해시료로 이용하였다.
저해시료의 저해활성 확인은 3,5-디니트로살리실릭 산(3,5-dinitrosalicylic acid, 이하 DNS)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였다(이하 DNS법), DNS 발색 시약의 제조는 1g의 DNS 시약을 20ml의 2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녹이고 30g의 소디움 포타시움 타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를(sodium potassium tartrate tetrahydrate) 천천히 가하여 녹인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최종 볼륨이 100ml이 되도록 맞춘다. 효소의 기질로서 수크로스, 말토스와 수용성전분을 50mM 생리식염이 포함된 pH 6.9의 0.02M 인산염 완충액에 1%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검량선 작성을 위해서는 글루코오스 용액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효소 저해제의 활성을 정량하기 위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기질 1%, 50 mM (인삼염완충액), 효소 (0.2 unit), 증류수를 포함하며 반응용량은 2 ㎖로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효소 저해제의 검사는 기질 1%, 50 mM (인산염완충액), 효소 (0.2 unit), 천연물 추출액, 증류수를 포함하며 반응용량은 2 ㎖로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에는 100℃에서 반응을 종료하였다. 발색 반응을 위하여 상기에 제조된 DNS 시약 1ml를 가한 후에 100℃ 5분간 반응 후 식힌 후에 10ml의 증류수를 가하고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은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ELISA 판독기로 각 웰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계 4) 율무 추출물의 분리
상기에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확인된 천연물 추출액 중에서 높은 저해활성이 확인된 추출액에서 저해물질을 분리하였다. 저해제의 분리는 율무 1kg을 10 리터의 증류수를 가하여 2시간 냉침 시킨 후에 95-110℃의 온도에서 2-8시간 정도 열수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액에서 저해 물질의 활성을 확인 후에 율무의 열수 추출물을 추출액 1/4 분량의 클로로포름 용액과 함께 마그네틱 교반기를 이용하여 8시간 교반하여 저해활성 물질이 클로로포름 층으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저해활성이 클로로포름층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하였고 일부는 수층에 남아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클로로포름 층으로 이동된 저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저해제 성분이 함유된 클로로포름용액을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수층과 분리하였고 분리된 클로로포름 용액을 56℃에서 감압농축한 후에 소량의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다시 용해하였다. 클로로포름 용액에 포함된 성분들의 분리를 위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였다. 실리카겔 1kg을 클로로포름에 현탁시킨 후 감안하여 기체를 제거하고 glass column에 충진하였다. 소량의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율무 추출물의 저해성분을 glass columnd에 충진된 실리카겔 상단에 가하여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해하였다. 크로마토그라피 용출조건은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단계별 혼합액으로 용출하였다. 클로로포름 100%, 클로로포름 99 : MeOH 1,클로로포름 95 : MeOH 5, 클로로포름 90 : MeOH 10, 클로로포름 80 : MeOH 20, 클로로포름 50 : MeOH 50, MeOH 100% 의 용매 조건으로 용출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용출된 분획으로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 MeOH 1-50% 함유된 용매조건에서 저해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하여 율무 추출물 저해성분 활성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율무 추출물의 효소활성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로부터 분리 정제된 율무 추출물이 실제로 융모세포 막수송체의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의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반응 시에 율무 추출물을 1 mg/㎖의 농도로 첨가하여 효소의 활성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스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 추출물의 활성저해를 비교하기 위해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저해제 미첨가군, 율무 추출물 첨가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도 6,도 7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 추출물에 의해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는 약 60% 정도 글루코아밀라아제는 약 40%정도의 효소활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생체 내 탄수화물의 흡수 억제 활성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 추출물이 생체 내 탄수화물의 흡수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SD 렛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체중 400 g의 10 주령 SD 랫트(대한실험동물)를 각 군당 10마리씩 4군으로 분리하여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만 투여하였고, 실험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 추출물을 체중 1 kg당 1 mg 또는 5 mg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시 율무 추출물을 생리식염이 함유된 인산염 완충액에 분산시킨 주사액을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하였다. 율무 추출물 투여 후 10분 경과한 뒤 200 mg/kg의 수크로오스 및 말토스를 각각 경구 투여하였고 시간별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량을 정량하였다. 혈액 내 포도당 농도는 포도당 산화효소를 이용한 GOD-POD 비색방법인 지엘자임키트 (신양화학약품)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수크로스의 경우 율무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혈당
그 결과, 수크로스의 경우 율무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혈당량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30분째에 12 mg/㎗, 4시간째에 30 mg/㎗가 증가하였다. 체중 1 kg당 1 mg 또는 5 mg의 율무 추출물이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혈당량이 30분째에 각각 5 mg/㎗와 3 mg/㎗의 증가량을 보여 대조군에 대하여 각각 58% 및 75%의 혈당 흡수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4시간째에는 20 mg/㎗ 및 15 mg/㎗의 혈당 증가량을 보여 대조군에 대비하여 33% 및 50%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도 9) .
말토스의 경우에는, 대조군에서는 혈당량이 30분째에 10.5 mg/㎗, 4시간째에 24 mg/㎗로 증가한 반면, 율무 추출물이 각각 체중 1 kg당 1 mg 또는 5 mg 농도로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혈당량이 각각 30분째에 9.5 mg/㎗ 및 7.5 mg/㎗의 증가량을 보여 대조군에 대비하여 10% 및 29%의 혈당량 증가 억제 효과를 보였다. 4시간째에 도 혈당 증가량은 19.5 mg/㎗ 및 11.5 mg/㎗로 대조군 대비 19%와 52%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도 10).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율무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 양상으로 생체내 당 흡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다음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진함으로써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양 (㎎/캅셀)
활성 성분 (실시예 1의 율무 추출물) 20
건조 전분 16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총 200 ㎎
〈제제예 2〉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들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 유제품 (dairy products)의 제조
율무 추출물을 우유에 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이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율무 추출물을 치즈 제조시에는 응고된 우유 단백질에 첨가하고, 요구르트 제조시에는 발효 후에 수득된 응고된 우유 단백질에 첨가하였다.
(2) 혼합 음료와 제조
율무 추출물 1 g을 토마토, 당근, 사과 또는 포도 쥬스등의 과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3)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율무 추출물을 5 중량%의 농도로 첨가하여 천궁, 숙지황등을 포함하는 당뇨 환자용 건강 보조식품과 다이어트용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 추출물은 열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필수적인 무기이온 및 단백질 등의 흡수 저해 없이 탄수화물의 흡수만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혈당조절을 통한 당뇨 질환 및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저해 활성이 있는 율무 추출물을 생산하는 단계; 및
3) 상기 율무 추출물로부터 저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제를 생산하는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이제 단백질이 돼지 소장, 랫트, 마우스, 기니아픽, 토끼 또는 사람 및 사람 유래 세포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단백질이 재조합 미생물에 의해서 발현되거나 화학적을 합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율무로부터 직접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저해활성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율무 유래 저해활성물질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탄수화물 흡수 억제용 약학 조성물.
제 5항에 있어서, 비만 또는 당뇨병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및 음료 조성물.
제 7항에 있어서, 당뇨환자를 위한 혈당 조절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및 음료 조성물.
제 7항에 있어서, 비만 방지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및 음료 조성물.
KR1020020081492A 2002-12-13 2002-12-13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20040053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492A KR20040053715A (ko) 2002-12-13 2002-12-13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492A KR20040053715A (ko) 2002-12-13 2002-12-13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15A true KR20040053715A (ko) 2004-06-24

Family

ID=3734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492A KR20040053715A (ko) 2002-12-13 2002-12-13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3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202A1 (ko) * 2012-08-07 2014-02-13 씨제이제일제당(주) 작약, 건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5202A1 (ko) * 2012-08-07 2014-02-13 씨제이제일제당(주) 작약, 건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8872B2 (ja) 栗由来の糖質分解酵素阻害物質、及びその用途
TWI636739B (zh) 解澱粉芽孢桿菌、穀物醱酵物、其製備方法及其用途、食品組成物、血栓分解用組成物、消化改善用組成物、腸炎、腸膜弱化或腸損傷的預防、改善或治療用組成物及抗氧化用組成物
EP1602652A1 (en) Adiponectin expression promoter
US20070264368A1 (en) Carbohydrase inhibitors derived from fagaceous plants and use thereof
Fotschki et al. Dietary chicory inulin-rich meal exerts greater healing effects than fructooligosaccharide preparation in rats with trinitrobenzenesulfonic acid-induced necrotic colitis.
AU2005302921B2 (en) Protein hydrolysate with antidiabetic effect
WO2020027586A1 (ko) 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JP5044643B2 (ja) 血清尿酸値低下剤および血清尿酸値を低下させる旨の表示を付した飲食品
JP2000072687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20040053715A (ko)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율무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20040064572A (ko)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 육계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20040091505A (ko) 호박 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리파아제의 저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지방의 체내 흡수 억제용 조성물
KR20040100789A (ko) 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 추출물과리파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호박추출물의 분리 및이를 이용한 비만 및 당뇨에 효과적인 식이 조성물
JP2004359638A (ja) リパーゼ活性阻害剤
KR20050121250A (ko) 소화 효소에 대한 계란 항체를 사용한 항비만제
KR20040011804A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제의 생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이 탄수화물의 흡수 억제용 조성물
KR20040099071A (ko) 아밀라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율무 추출물의 분리및 이를 이용한 비만 및 당뇨에 효과적인 식이 조성물
KR20040110962A (ko) 수크라아제와 말타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에 대한검은콩 추출물의 저해활성 및 이를 이용한 혈당 조절용조성물
KR20030088528A (ko) 가지 추출물을 이용한 췌장 리파아제의 저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방의 체내 흡수 억제용 조성물
KR20040076185A (ko) 췌장 아밀라아제에 대한 난황분의 저해활성과 이를 이용한식이 탄수화물의 흡수 억제용 조성물
KR20170087794A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3361A (ko) 혈당치 상승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
WO2006101181A1 (ja) 肝機能障害予防もしくは改善組成物、及び肝機能障害予防もしくは改善法
JP2003095941A (ja) 糖質消化酵素阻害剤、血糖値上昇抑制剤、肥満治療予防剤、糖尿病治療予防剤、健康飲食物
JP2005082504A (ja) 免疫活性増強剤、並びにそれが含まれた食品および医薬部外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