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934A - 마이크 이펙트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 이펙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934A
KR20040052934A KR1020040035184A KR20040035184A KR20040052934A KR 20040052934 A KR20040052934 A KR 20040052934A KR 1020040035184 A KR1020040035184 A KR 1020040035184A KR 20040035184 A KR20040035184 A KR 20040035184A KR 20040052934 A KR20040052934 A KR 2004005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microphone
output
control signa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333B1 (ko
Inventor
서진효
Original Assignee
서진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효 filed Critical 서진효
Priority to KR102004003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3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6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tools mounted on a drum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의 출력에 에코, 리버브 등의 음향 이펙트를 제공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음향 이펙트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외부입력수단과; 상기 외부입력수단의 제어신호를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받아, 입력된 마이크의 출력에 음향 이펙트 효과를 가하여 음향출력부로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입력수단에 병설된 편집스위치의 편집신호를 조건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의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시키는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프로세스로 출력시켜, 미리 설정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의 음향 이펙트를 반복 재현시키는 출력 선택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는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외장형 제어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하여, 사용자가 개성에 따라 상기 마이크 이펙트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편집한 이펙트 설정값을 저장하여 언제든지 반복 재현 가능하며 출력선택스위치를 외장형 콘트롤박스에 형성시킨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 이펙트 장치{microphone effect apparatus}
본 발명은 마이크의 출력에 에코, 리버브 등의 음향 이펙트를 제공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음향 이펙트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외부입력수단과; 상기 외부입력수단의 제어신호를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받아, 입력된 마이크의 출력에 음향 이펙트 효과를 가하여 음향출력부로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입력수단에 병설된 편집스위치의 편집신호를 조건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의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시키는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프로세스로 출력시켜, 미리 설정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의 음향 이펙트를 반복 재현시키는 출력 선택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는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외장형 제어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 이펙트 장치는 노래방 등에서 마이크의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처리하여 여러 가지로 변화시켜 원음에는 없었던 다양한 효과를 연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마이크 이펙트의 종류에는 딜레이(delay), 코러스(chorus), 에코(echo), 리버브(reverb)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 회로 기술의 발달과 소형화에 따라 1대의 이펙터로 동시에 복수의 효과를 줄 수 있는 멀티 이펙터(multi effector)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종래의 마이크 이펙트 장치는 상기 각 이펙트를 조합한 몇가지 종류의 마이크 이펙트를 미리 설정한 디폴트값으로 저장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는 메모리의 여러주소에 설정된 디폴트값을 불러들여 자신이 사용하는 마이크에 이펙트를 부여한다.
따라서 종래의 마이크 이펙트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이 소망하는 마이크의 이펙트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의 특성이나 개성에 따라 상기 마이크 이펙트는 그 설정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화된 디폴트값으로만 마이크 이펙트가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보컬믹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리버브 처리이며, 일반적으로 보컬용 리버브는 플레이트로 불리는 타입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다소 넓은 울림이나 콘서트장과 같은 효과를 원할 때에는 룸계통의 리버브가 효과적일 것이므로 리버브타임이나 이큐를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리버브타임은 곡의 템포나 멜로디의 세밀도에 따라서도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의 예와 같이 상황이나 상태에 따라 소망하는 마이크 이펙트가 있을 것이며, 상기 마이크 이펙트를 언제나 반복 재현하고자 하는 소망이 있을 것이나, 종래의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는 그러한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있어서도 미리 설정한 디폴트값으로 마이크 이펙트가 선택되므로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노래방에 설치될 때,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디폴트값이라 하더라도 여러개의 메모리 주소에 복수의 이펙트 제어값이 저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개의 이펙트 제어값을 선택할 수 있는수단을 제공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체가 장소의 협소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노래방 받침대 등의 내부로 장입되더라도, 사용자가 언제든지 소망하는 마이크 이펙트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이 소망하는 마이크의 이펙트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사용자의 특성이나 개성에 따라 상기 마이크 이펙트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편집한 이펙트 설정값을 저장하여 언제든지 반복 재현 가능한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디폴트값 또는 편집한 이펙트 설정값을 선택하는 접근 가능성을 높여주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본체가 장소의 협소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노래방 받침대 등의 내부로 장입되더라도, 사용자가 언제든지 소망하는 마이크 이펙트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외관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실시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회로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로세서부 11 : 마이크
12 : 스피커 13 : AD컨버터
14 : DA컨버터 100 : 제어부
110 : 외부입력수단 120 : 편집스위치
130 : 메모리 140 : 출력 선택스위치
200 : 외장형 제어박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의 출력에 에코, 리버브 등의 음향 이펙트를 제공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음향 이펙트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외부입력수단과; 상기 외부입력수단의 제어신호를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받아, 입력된 마이크의 출력에 음향 이펙트 효과를 가하여 음향출력부로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입력수단에 병설된 편집스위치의 편집신호를 조건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의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시키는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프로세스로 출력시켜, 미리 설정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의 음향 이펙트를 반복 재현시키는 출력 선택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는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외장형 제어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외관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실시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회로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외부입력수단(110)과 제어부(100)와 프로세서부(10)와 저장수단과 출력 선택스위치(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140)는 외장형 제어박스(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은 마이크(11)의 출력에 에코, 리버브 등의 음향 이펙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제공되는 입력수단이다.
즉,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제어부(100)로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스위치, 볼륨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의 제어신호를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로 발생시킨다.
상기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는 예를들어 에코를 출력시키는 불륨, 타이밍, 피드백량 등의 신호조합이거나, 리보브를 출력시키는 볼륨, 타이밍, 소리밀도, 톤 등의 신호조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세서부(10)는 상기 제어부(100)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받아, 입력된 마이크(11)의 출력에 음향 이펙트 효과를 가하여 음향출력부(스피커)(14)로 출력시킨다.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에 병설된 편집스위치(120)의 편집신호를 조건으로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메모리(130)의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시키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저장수단은 제어부(100)에 저장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편집스위치(120)와 메모리(130)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으로 조정된 이펙트 출력을 반복 재현 가능하도록 해당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지정된 어드레스에 저장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140)는 하나 또는 이상의 복수개의 스위치와 표시장치(예를들어 메모리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부(10)로 출력시키는 출력명령을 지시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14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의 저장 어드레스(편집메모리의 주소)를 선택함에 따라 마이크(11)의 음향 이펙트를 반복 재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140)가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외장형 제어박스(200)로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체에서 마이크 음향 이펙트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선택적으로설정되어 저장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의 외장형으로 구성된 제어박스에서 출력 선택스위치(140)를 누름으로써, 저장된 제어환경의 마이크 음향 이펙트를 재현시킨다.
이하 도 2와 도 3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는 미리 편집된 디폴트 메모리 값에 의한 마이크 음향 이펙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디폴트 메모리값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복수이며, 사용자는 도 3의 출력선택스위치(140)의 선택에 따라 디폴트 메모리의 특정 주소를 선택하여 여러형태의 마이크 음향을 출력시킨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디폴트 메모리값과 다른 마이크 음향으로 출력을 조절하고자 한다면, 도 2에서와 같이 스위치와 볼륨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을 조절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어신호를 입력시킨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어신호를 프로세서부(10)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로 전달시키며,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는 상기 이펙트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 출력에 음향 이펙트 효과를 가한 출력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사용자는 스피커(12)를 통하여 자신이 조절한 마이크 음향 이펙트 출력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마이크 음향 이펙트 출력이 선택되면 이를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
상기 메모리 저장은 편집스위치(120)의 편집신호를 조건으로 상기제어부(100)에 연결된 메모리의 특정주소에 실행된다.
상기 편집스위치(120)의 편집신호는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에 의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전에 메모리 준비신호(예를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집스위치 on)를 발생시키고, 제어신호 발생종료후 메모리 실행신호(편집스위치 off)를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메모리 시행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이펙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예를들어 상기 편집스위치(120)를 조건으로 상기 외부입력수단(110)에 편집상태임을 표시하여 주는 다이오드 등의 표시장치를 형성시켜, 현재의 장치의 상태를 인식하게 하는 것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가 실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는 노래방 기기의 받침대 내부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마이크 이펙트 장치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미리 설정된 마이크 이펙트 출력(디폴트 출력)을 마이크 출력에 연결시켜 사용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출력선택스위치(140)가 외장형 콘트롤박스()에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본체를 이용하여 디폴트 출력 또는 메모리 출력을 설정하여 두고, 외장형 콘트롤 박스를 노래방 기기의 받침대 외면으로 노출시키면, 사용자는 자기가 소망하는 마이크 이펙트 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의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소망하는 마이크의 이펙트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특성이나 개성에 따라 상기 마이크 이펙트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편집한 이펙트 설정값을 저장하여 언제든지 반복 재현 가능한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디폴트값 또는 편집한 이펙트 설정값을 선택할 때, 접근 가능성을 높여주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즉 마이크 이펙트 장치의 본체가 장소의 협소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노래방 받침대 등의 내부로 장입되더라도, 사용자가 언제든지 소망하는 마이크 이펙트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출력선택스위치를 외장형 콘트롤박스에 형성시킨 마이크 이펙트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마이크의 출력에 에코, 리버브 등의 음향 이펙트를 제공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음향 이펙트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로 입력시키는 외부입력수단과;
    상기 외부입력수단의 제어신호를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로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받아, 입력된 마이크의 출력에 음향 이펙트 효과를 가하여 음향출력부로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부와;
    상기 제어부의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입력수단에 병설된 편집스위치의 편집신호를 조건으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메모리의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시키는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를 상기 프로세스로 출력시켜, 미리 설정된 이펙트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의 음향 이펙트를 반복 재현시키는 출력 선택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선택스위치는
    본체와 독립적으로 구성된 외장형 제어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이펙트 장치.
KR1020040035184A 2004-05-18 2004-05-18 마이크 이펙트 장치 KR10055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184A KR100558333B1 (ko) 2004-05-18 2004-05-18 마이크 이펙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184A KR100558333B1 (ko) 2004-05-18 2004-05-18 마이크 이펙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934A true KR20040052934A (ko) 2004-06-23
KR100558333B1 KR100558333B1 (ko) 2006-03-07

Family

ID=3734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184A KR100558333B1 (ko) 2004-05-18 2004-05-18 마이크 이펙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00A1 (ko) * 2010-03-25 2011-09-29 Ahn Young-Jun 휴대형 무선 이펙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00A1 (ko) * 2010-03-25 2011-09-29 Ahn Young-Jun 휴대형 무선 이펙터
KR101137636B1 (ko) * 2010-03-25 2012-04-19 김재호 휴대형 무선 이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333B1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79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等化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4937875A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4349793A (ja) 音出力システム
KR100558333B1 (ko) 마이크 이펙트 장치
JP2956125B2 (ja) 音源情報制御装置
US7728217B2 (en) Sound generator for producing a sound from a new note
JP2018194683A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0135451B1 (ko) 디지탈 노래반주 시스템의 오디오 설정 방법
KR940002168B1 (ko) 음향효과장치
JP3316139B2 (ja) カラオケ装置
KR101535238B1 (ko) 스피치음향모드 전환이 가능한 노래반주시스템
JP2006184684A (ja) 音楽再生装置
JP2007295634A (ja) 音出力システム
JPH04341000A (ja) 音響装置
Pozzi Agostino Di Scipio and Dario Sanfilippo: Machine Milieu
JPH09297590A (ja) 楽音再生装置
KR100650938B1 (ko)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노래방 시스템 및 구동 방법
CN116741124A (zh) 音处理系统及该音处理系统的音处理方法
Settel The use of real-time interactive music systems in mus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KR920001869B1 (ko) 전자악기의 리듬 재생장치
JP5458501B2 (ja) 楽音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03923B1 (ko)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JP2000194358A (ja) オ―ディオ信号処理装置
JP2000047668A (ja) 電子楽器
JP2000214854A (ja) 電子楽器の低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