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720A -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720A
KR20040052720A KR1020040030164A KR20040030164A KR20040052720A KR 20040052720 A KR20040052720 A KR 20040052720A KR 1020040030164 A KR1020040030164 A KR 1020040030164A KR 20040030164 A KR20040030164 A KR 20040030164A KR 20040052720 A KR20040052720 A KR 2004005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m milk
lactic acid
edible pigment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록
한규범
최형배
남승헌
이도훈
윤지용
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핸슨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핸슨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핸슨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4003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2720A/ko
Publication of KR2004005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720A/ko
Priority to CNA2005800138218A priority patent/CN1950497A/zh
Priority to PCT/KR2005/001254 priority patent/WO2005105980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된 유산균을 용수에 희석하여 동물에 투여 할 때 균의 활성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고안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은 물에 희석 시 노출될 수 있는 햇빛이나 희석 용수의 조건과 같은 외부환경 영향을 적게 받고 균의 활성을 액상 상태에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농도의 식용색소와 탈지분유(Skim Milk)를 함유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Composition of lactobacillus probiotics containing edible pigment and skim milk.}
본 발명은 사용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일어나는 유산균 사멸을 억제하기 위하여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첨가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 작용하는 미생물들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조된 생균이 동물에 투여 후 장에 정착하여 유해균 억제, 장관운동 활성화 등의 생리활성 작용을 하기까지 가급적 미생물의 사멸을 억제하고 그 활성을 유지시켜야 한다. 미생물은 배양 이후부터 노출된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급격히 사멸하게 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를 크게 나누어 보면 제조 후 보관과정에서의 사멸을 억제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나 분무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 특0137154, 대한민국 특허 등록 특0148340, 대한민국 특허 공개 특2002-0097237), 섭취 후 위장에서의 사멸을 억제하거나 사료가공 과정에서의 사멸을 억제하기 위해 캡슐화 하거나 다양한 첨가제로 코팅하는 방법 (대한민국 특허 공개 특2002-0069863, 대한민국 특허 공개 특2003-0032834, 대한민국 특허 공개 특2003-0009268)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안정화 방법들 중에서 일반 동결건조나 분무건조 방법은 제조과정에서의 균의 사멸을 줄이기 위한 방법 고안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현장에서 사용 시 외부 환경 조건에 따른 균의 사멸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며, 캡슐이나 코팅 방법들은 장기 보존성이 좋고 사료에 섞어 사용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현장에서 동물에 투여하기 위해 물에 풀어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생균제가 잘 용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생균제를 닭 등 조류에게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 배합사료에 섞어서 급이하는 방법보다 음수에 섞어 투여하는 것이 더 편리하며, 양식어류에 투여하는 것도 액상 생균제가 훨씬 바람직한데 기존의 코팅된 분말이나 과립형태로 안정화시킨 생균제는 잘 용해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사용하기가 어렵고, 일반 건조 생균제는 용수에 용해 후 외부 환경이 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 사용 시 노출된 햇빛이나 사용하는 용수의 조건에 따라 균의 활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균제를 액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 상온에서 장기보존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품성이 없다.
건조 유산균 생균제를 현장에서 희석하여 액상으로 동물에게 급이 시 이러한 용해도 문제 및 외부환경 조건에 따른 균의 사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기존 건조방법으로 유산균 생균제를 제조함으로써 균의 장기보존성은 유지하면서 유산균이 물에 용해 시 건조 내용물이 빠르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하며, 희석 용수의 종류나 용존산소량, 자외선 빛의 강도 등 외부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유산균의 활성을 액상 상태에서 보다 오랫동안 유지시키기 위한 안정화 첨가제를 유산균 생균제 제조 시에 사용하는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배양된 유용한 유산균을 상온에서도 활성 상태로 장기간 보존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동물에 투여하기 위해 희석 후에도 균의 활성이 외부 환경 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고안된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조된 유산균 건조분말이 물에 용해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적당한 농도의 식용색소와 탈지분유(Skim Milk)를 함유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축산이나 양식현장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용수로는 수돗물, 지하수, 지표수, 해수 등이 있는데 이들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정제된 물과는 상당히 다른 조건의 수질이다. 이러한 용수의 수질이 혐기성 미생물인 유산균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로는 염소이온, 용존산소 등이 있다. 상기 인자들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고 값싼 안정화제로 사용해 볼 수 있는 물질들로는 환원효과가 있는 소디움설파이트 (Sodium Sulfite), 아미노산 시스테인 (L-Cysteine), 탈지분유 등이 있는데,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특히 염소이온이 함유된 수돗물에 의한 유산균 감소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탈지분유는 소디움설파이트 (Sodium Sulfite)나 아미노산 시스테인 (L-Cysteine)보다 매우 효과적이었다 (표 1). 따라서, 탈지분유를 유산균 생균을 건조하기 전에 첨가하여 유산균 생균 제품을 제조하게 되면 사용자가 현장에서 염소이온이 다소 포함된 용수를 사용하더라도 동물에게 투여 전까지 유산균의 활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시킬 수 있겠다.
[표 1] 소디움설파이트 (Sodium Sulfite), 시스테인 (L-Cysteine), 탈지분유의 효과
샘플링 시간 유산균 활성 (%)
PBS 완충용액 (pH 7.5) 수돗물 수돗물
소디움설파이트 L-시스테인 탈지분유
0.1ppm 1ppm 10ppm 10ppm 100ppm 0.1중량%
0시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시간 82 97 88 85 88 84 95 96
3시간 86 97 72 63 71 58 75 75
5시간 61 68 68 53 65 66 68 70
10시간 71 43 34 45 41 55 50 68
24시간 37 9 0 5 4 6 10 36
또한, 축산이나 양식현장에서의 환경은 통제된 환경이 아니며 유산균 생균제가 동물에투여 되기 전까지 자외선이 강한 햇빛에 노출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자외선 노출에 의한 유산균 감소를 최소화하는 데 색소 첨가가 매우 효과적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색소들 중 생체에 유해하지 않은 식용색소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는데, 황색 식용색소, 초록색 식용색소, 적색 식용색소 순으로 자외선 보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2).
[표 2] 색소별 자외선 보호작용 효과
샘플링 시간 유산균 활성 (%)
자외선 비조사 실험군 자외선 조사 실험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적색 식용색소 1중량% 첨가 초록색 식용색소 1중량% 첨가 황색 식용색소 1중량% 첨가
0분 100 100 100 100 100
30분 100 0 31 29 44
1시간 100 0 5 13 36
3시간 84 0 0.6 7 18
5시간 66 0 0.5 2.5 15
10시간 53 0 0.5 1.3 8
상기 식용색소는 유산균 생균을 동결 건조하기 전에 첨가해주며, 이러한 색소의 첨가는 동결 건조 시나 제품 보관 시 생균의 활성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으나 자외선 빛에 노출되었을 때는 상당한 보호 작용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희석액 종류에 따른 유산균 활성 변화 및 탈지분유의 생균 활성 보호효과
0.9% 등장액 (증류수에 염화나트륨을 0.9중량% 용해하여 제조) 또는 산도 7.5의 PBS 완충용액과 수돗물, 해수, 지하수 등 여러 용수에 희석된 유산균의 활성 변화를 비교 관찰해 보면, 유산균 활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유산균 생균제를 희석할 때 용수를 신중히 선택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표 3). 본 발명자들은 0.05중량% 이상의 농도로 탈지분유(Skim Milk)를 첨가하여 수돗물에서의 유산균 활성 감소 억제 효과를 관찰해 본 결과, 탈지분유 첨가가 유산균 활성을 유지시키는데 상당히 효과적 임을 알 수 있었다 (표 4).
[표 3] 여러 종류의 용수에서의 유산균 활성 변화
샘플링 시간 유산균 활성 (%)
PBS완충액 (pH 7.5) 증류수 + NaCl 0.9% 락스 10 ppm + NaCl 0.9% 락스 100 ppm + NaCl 0.9% 지하수 해수 수돗물
0시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시간 82 98 100 0 103 53 97
3시간 86 88 93 0 82 28 97
5시간 61 70 74 0 87 28 68
10시간 71 55 57 0 51 33 43
24시간 37 42 29 0 46 26 9
[표 4] 수돗물에 탈지분유 첨가 시 농도별 보호 효과
샘플링 시간 유산균 활성 (%)
PBS 완충액 (pH 7.5) 수돗물 수돗물 + 0.05중량% 탈지분유 수돗물 + 0.1중량% 탈지분유 수돗물 + 0.15중량% 탈지분유 수돗물 + 0.2중량% 탈지분유
0시간 100 100 100 100 100 100
1시간 82 97 94 96 96 100
3시간 86 97 83 75 100 88
5시간 61 68 77 70 90 88
10시간 71 43 38 68 80 88
24시간 37 9 18 36 60 57
실시예 2
식용색소에 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배양된 유산균을 염화나트륨이 0.9중량% 첨가된 5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7.5)에 1,000 배 희석하고 초록색 식용색소를 각각 0.001중량%, 0.005중량%, 0.01중량%, 0.04중량% 씩 첨가한 후 강한 자외선 하에 놓고 5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생존 생균수를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용색소 0.005중량% 농도 이상에서는 유산균의 생존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표 5] 자외선 하에서 식용색소 농도별 첨가에 의한 유산균 보호 효과
샘플링 시간 유산균 수 (10 5 cfu/g)
대조군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01중량%)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05중량%)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1중량%)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4중량%)
0분 3400 2600 3000 2300 2800
5분 1300 1100 1300 1300 1800
10분 330 360 520 480 800
15분 79 54 110 140 220
20분 8.6 14 31 36 110
25분 2.9 1.9 8.6 12 27
30분 0.88 0.23 1 2.4 6.6
35분 0.16 0.09 0.32 0.56 2.6
40분 0.026 0.02 0.08 0.14 1
45분 0 0 0.02 0.04 0.18
50분 0 0 0 0 0.04
또한,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식용색소의 첨가가 유산균 생존율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표 6).
[표 6] 자외선 조사가 없는 상태에서의 식용색소 농도별 효과
시간 유산균 수 (10 5 cfu/g)
대조군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01중량%)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05중량%) 초록색 식용색소 농도 (0.01중량%)
0시간 18 23 23 24
1시간 18 24 24 24
3시간 16 24 23 25
5시간 17.3 23 25 23
10시간 17 22 24 24
24시간 7 9 8.8 9
24시간생존율 39% 39% 38% 38%
실시예 3
비연속 투여 현장시험
초록색 식용색소 0.5중량%, 탈지분유 15중량%, 유산균 1 x 1010cfu가 함유된 바이알(vial) 을 수돗물에 희석하여 육계 10,000마리 당 하루 한 바이알(vial)을 기준으로 병아리 입식 후 5일에서 9일 사이와 16일에서 21일 사이 그리고 26일에서 28일 사이에 총 합계 14일 간 투여하였다. 육계는 입식 후 30일간 키워서 출하하였으며, 출하 시 평균 체중과 생존율을 기존 생균제를 30일간 매일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표 7과 같이 차이가 없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이 대상동물에 대하여 안전하고 유효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표 7] 비연속 투여 현장시험 결과 요약
구분 입식 병아리 수 (마리) 출하 육계 수 (마리) 생존율 (%) 출하 평균 체중 (kg) 비고
실험군 13,400 13,290 99.2 1.295 14일 급이
대조군 21,600 21,450 99.3 1.248 30일 급이
실시예 4
연속투여 현장시험
초록색 식용색소 0.5중량%, 탈지분유 15중량%, 유산균 1 x 1010cfu가 함유된 바이알(vial)을 수돗물에 희석하여 육계 10,000마리 당 하루 한 바이알(vial)을 기준으로 투여하였다. 육계는 입식 후 36일간 키워서 출하하였으며, 출하 시 평균 체중, 생존율, 사료요구율을 기존 생균제를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정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생존율은 약 3%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나 사료요구율은 실험군이 약 8% 정도로 우수하였다. 본 현장시험을 통해 본 발명의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이 대상동물에 대하여 안전하고 유효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표 8] 연속 투여 현장시험 결과 요약
구분 입식 병아리 수 (마리) 출하 육계 수 (마리) 생존율 (%) 출하 평균 체중 (kg) 총 사료 섭취량 (kg) 사료요구율
실험군 10,000 8,500 85 1.35 20250 1.76
대조군 21,000 18,500 88 1.37 48300 1.9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첨가된 건조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하기 위해 물에 희석 시 희석 용수의 영향을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이 강한 햇빛에 노출 시에도 유산균의 활성이 유지될 수 있어 현장에서 사용자가 큰 주의사항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은 현장 시험 결과 그 효과 면에서도 기존의 사료 첨가용 유산균 생균제에 비해 손색이 없기 때문에 액상 급이가 요구되는 시장에서 크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Claims (3)

  1.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첨가된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식용색소가 0.005중량% 내지 5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탈지분유가 0.05중량% 내지 50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KR1020040030164A 2004-04-29 2004-04-29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KR2004005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64A KR20040052720A (ko) 2004-04-29 2004-04-29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CNA2005800138218A CN1950497A (zh) 2004-04-29 2005-04-29 一种益生菌制品
PCT/KR2005/001254 WO2005105980A1 (en) 2004-04-29 2005-04-29 Probio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64A KR20040052720A (ko) 2004-04-29 2004-04-29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720A true KR20040052720A (ko) 2004-06-23

Family

ID=3524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164A KR20040052720A (ko) 2004-04-29 2004-04-29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052720A (ko)
CN (1) CN1950497A (ko)
WO (1) WO20051059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6580A (en) * 1995-06-07 1999-11-02 Novus International, Inc. Nutrient formulation and process for enhancing the health, livability, cumulative weight gain or feed efficiency in poultry and other animals
JP3046303B1 (ja) * 1999-06-24 2000-05-29 明治乳業株式会社 Helicobacterpylori除菌性飲食品
KR100398665B1 (ko) * 2000-08-09 2003-09-19 비에이치피에이치 컴퍼니 리미티드 유산균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0497A (zh) 2007-04-18
WO2005105980A1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15455A1 (en) Vaccine stabilizer and method of use
CN102963985B (zh) 一种水产养殖用平衡水质的生物制剂
CA2909841C (en) Tall oil fatty acid for use in the prevention of microbial growth in an animal digestive tract and animal feed supplements and compositions
KR101468610B1 (ko) 갑각류 양식용 사료 조성물
RU2514670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CN110178973A (zh) 一种防治凡纳滨对虾肝肠胞虫的药饵添加剂
US20150164966A1 (en) Saponified tall oil fatty acid for use in treatment and animal feed supplements and compositions
JP2007267656A (ja) 仔稚魚の飼育方法
KR100811110B1 (ko)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KR20040052720A (ko) 식용색소와 탈지분유가 함유된 동물용 유산균 생균제 조성물
EP1853229B1 (en) Composition for adjusting water quality for administration of water sanitizer sensitive medicaments or vaccines
CN112369531A (zh) 一种降低鲜蛋散黄率的饲料添加剂
RU2292132C2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борьбы с плесневением сена
US20220295829A1 (en) Concentrate for preparing a drinkable solution (ii)
KR102051612B1 (ko) 비타민b₁라우릴황산염 및 중쇄지방산의 시너지 항균효과를 이용한 살균용 조성물
CN106376544B (zh) 一种用于卤虫无节幼体保存的保护液及保存方法
KR100978849B1 (ko)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산사료용 클로렐라 현탁액
JPS62123128A (ja) ヨウ素含有淡水クロレラおよびそれを主成分とする抗癌剤
RU2692925C1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и выживаемости птицы
CN113087781B (zh) 一种抗菌肽及其应用
RU2808519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ей рыб
RU279155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опос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сетровых
RU2361603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микотоксикозов у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птицы
RU2728447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шмелей от токс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митохондриально-направленных пестицидов
ITMI990842A1 (it) Microrganismi inattivati comprendenti sostanze solubili e o solubilizzabili ad attivita' farmacologica e o sostanze nutrizionali ad attivi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22

Effective date: 2006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