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384A -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384A
KR20040052384A KR1020020080563A KR20020080563A KR20040052384A KR 20040052384 A KR20040052384 A KR 20040052384A KR 1020020080563 A KR1020020080563 A KR 1020020080563A KR 20020080563 A KR20020080563 A KR 20020080563A KR 20040052384 A KR20040052384 A KR 20040052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flip
latch body
glass
b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796B1 (ko
Inventor
손호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7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45/08Electric alarm locks with contact making inside the lock or in the striking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의 경고등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래치의 로킹 해제 순간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가이드(2) 사이의 일측에 걸림홈(4)을 형성한 래치본체(3)를 지지핀(5)으로 양단을 베이스 가이드(2)와 래치본체(3)에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과 함께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가이드(2) 사이의 상기 래치본체(3) 타측에, 일단에 걸림돌기(8)와 제어돌기(9)를 설치하고 내면을 호상부(8')로 형성한 폴(7)을 지지핀(10)으로 양단을 베이스 가이드(2)와 폴(7)에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1)과 함께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가이드(2)의 베이스 플레이트(1)의 반대편에 지지판(12)을 상기 지지핀(5)(10)으로 고정하여 레버(13)를 로킹 해제시 상기 제어돌기(9)에 접촉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레버(13)와 지지판(12) 사이에 코일 스프링(14)을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폴(7)은 도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가이드(2)의 상기 제어돌기(9)의 측면에 터미널(20)을 설치하고, 상기 터미널(20)에는 절연체(22)로 피복한 와이어링(21)을 연결하여 절연체(22)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지지하여서 제어돌기(9)가 터미널(20)에 접촉될 때 운전석 근처에 설치한 경고등(미도시)이 점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TAILGATE FLIP-UP GLASS LA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의 경고등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를 구비한 자동차는 루프 패널에 테일게이트의 상방을 힌지 결합하여 테일게이트를 상하로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임으로 화물실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화물을 하역할 때 테일게이트를 상하로 개폐하고 있는 바, 상기 테일게이트는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예를 들어 레크리에이션 자동차(RV)에 스키, 스노보드 등과 같이 길이가 길고 무게가 가벼운 스포츠 용품 등과 소물품을 적재 또는 하역할 때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테일게이트에 설치한 리어 글래스의 상방을 테일게이트의 상방에 힌지 결합하여서 리어 글래스만을 개폐함으로써 여행용 물품 등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소위 플립 업 글래스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플립 업 글래스는 그 하방에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테일게이트 패널에 래치를 설치하여 로킹하고 있다.
상기 래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가이드(2) 사이의 일측에 걸림홈(4)을 형성한 래치본체(3)를 지지핀(5)으로 양단을 베이스 가이드(2)와 래치본체(3)에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과 함께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가이드(2) 사이의 상기 래치본체(3) 타측에 일단에 걸림돌기(8)와 제어돌기(9)를 설치하고 내면을 호상부(8')로 형성한 폴(7)을 지지핀(10)으로 양단을 베이스 가이드(2)와 폴(7)에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1)과 함께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가이드(2)의 베이스 플레이트 반대편에 지지판(12)을 상기 지지핀(5)(10)으로 고정하여 레버(13)를 로킹 해제시 상기 제어돌기(9)에 접촉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레버(13)와 지지판(12) 사이에 코일 스프링(14)을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본체(3)는 부도체로 형성하여 도체인 지지핀(5)과 도체편(15')으로 연결한 가동 접점돌기(15)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 가이드(2)에 터미널(16)을 설치함과 동시에 터미널(16)을 운전석 근처에 설치한 경고등(미도시)에 연결하여서 래치의 로킹 해제시에 가동 접점돌기(15)가 터미널(16)에 접촉(ON)되어 경고등이 점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체이고, 베이스 가이드(2)는 부도체이다.
미설명부호 17은 스트라이커이다.
상기한 래치는 플립 업 글래스가 폐쇄되어 도 6과 같이 스트라이커(17)가 래치본체(3)에 구속되면 폴(7)의 걸림돌기(8)는 코일 스프링(1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래치본체(3)에 형성한 걸림홈(4)에 걸림되고, 가동 접점돌기(15)는 터미널(16)에 미접촉(OFF) 상태로 있음으로 경고등은 점등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플립 업 글래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운전석 근처에 설치한 핸들을 조작하여 레버(13)를 잡아 당겨서 폴(7)의 제어돌기(9)를 밀면 래치본체(3)에 형성한 걸림홈(4)에 걸림되어 있던 걸림돌기(8)가 걸림홈(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래치본체(3)는 코일 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폴(7)의 호상부(8')에 안내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7)는 래치본체(3)에서 구속이 해제되어 플립 업 글래스가 개방되고 가동 접점돌기(15)는 터미널(16)에 접촉되어 경고등이 점등됨으로써(도 7 참조) 운전자는 래치의 로킹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플립 업 글래스는 필요시에만 간헐적으로 개방하는 것임으로 플립 업 글래스의 주위가 플립 업 글래스와 테일게이트 패널 사이를 밀폐하기 위하여 테일게이트 패널에 설치한 웨더 스트립에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플립 업 글래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폴(7)에 형성한 걸림돌기(8)를 래치본체(3)에 형성한 걸림홈(4)에서 이탈시킨 경우에도 래치본체(3)는 지지핀(5)에 감은 코일 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이 큰 초기에만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되고 플립 업 글래스가 웨더 스트립에 고착된 고착력보다 작은 탄성 복원력 구간에서는 래치본체(3)가 스트라이커(17)에 간섭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래치본체(3)의 회전이 불완전하여 래치본체(3)에서 스트라이커(17)의 구속해제가 불완전하면 래치의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가동 접점돌기(15)는 터미널(16)에 비접촉상태를 유지하여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게 되며, 운전자는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았기 때문에 플립 업 글래스가 로킹상태로 판단하고 주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차시에는 도난의 발생 염려가 있고, 또한 주행중 진동 등에 의하여 플립 업 글래스의 고착이 해제되면 스트라이커(17)는 래치본체(3)에서 구속이 완전히 해제되면서 플립 업 글래스가 개방됨으로써 화물의 낙하 등으로 인하여 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지지핀(5)에 감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형성하여 그 탄성 복원력을 플립 업 글래스의 고착력보다 크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코일 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을 크게 하면 플립 업글래스의 폐쇄시 스트라이커가 로킹될 때 힘이 많이 드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래치의 로킹 해제 순간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여 도난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의 일측에 걸림홈을 형성한 래치본체를 코일 스프링과 함께 지지핀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래치본체의 타측에 일단에 걸림돌기와 제어돌기를 설치한 폴을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게 코일 스프링과 함께 지지핀으로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가이드에 고정된 지지편에 레버를 로킹 해제시 상기 제어돌기에 접촉되게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가이드의 상기 제어돌기의 측면에 터미널을 설치하여 제어돌기가 터미널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로킹 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로킹 해제 작용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것의 로킹 작용 상태도.
도 7은 종래의 것의 로킹 해제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 : 래치 4 : 걸림홈 7 : 폴
8 : 걸림돌기 9 : 제어돌기 20 : 터미널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가이드(2) 사이의 일측에 걸림홈(4)을 형성한 래치본체(3)를 지지핀(5)으로 양단을 베이스 가이드(2)와 래치본체(3)에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6)과 함께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베이스 가이드(2) 사이의 상기 래치본체(3) 타측에, 일단에 걸림돌기(8)와 제어돌기(9)를 설치하고 내면을 호상부(8')로 형성한 폴(7)을 지지핀(10)으로 양단이 베이스 가이드(2)와 폴(7)에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1)과 함께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가이드(2)의 베이스 플레이트 반대편에 지지판(12)을 상기 지지핀(5)(10)으로 고정하여 레버(13)를 로킹 해제시 상기 제어돌기(9)에 접촉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레버(13)와 지지판(12) 사이에 코일 스프링(14)을 연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폴(7)은 도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가이드(2)의 상기 폴(7)에 형성한 제어돌기(9)의 측면에 터미널(20)을 설치하고, 상기 터미널(20)에는 절연체(22)로 피복한 와이어링(21)을 연결하여 절연체(22)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지지하여서 제어돌기(9)가 터미널(20)에 접촉될 때 운전석 근처에 설치한 경고등(미도시)이 점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1) 및 지지핀(10)은 도체이고, 래치본체(3) 및 베이스 가이드(2)는 부도체이다.
미설명부호 17은 스트라이커이다.
상기한 래치는 플립 업 글래스가 폐쇄되어 도 3과 같이 스트라이커(17)가 래치본체(3)에 구속되면 폴(7)의 걸림돌기(8)는 코일 스프링(1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래치본체(3)에 형성한 걸림홈(4)에 걸림되고 제어돌기(9)는 터미널(20)에 비접촉(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 경고등은 점등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는 래치가 로킹되고 플립 업 글래스가 폐쇄된 것으로 인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플립 업 글래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운전석 근처에 설치한 핸들을 조작하여 레버(13)를 잡아당겨서 폴(7)의 제어돌기(9)를 밀면 도 4와 같이 래치본체(3)의 걸림홈(4)에 걸림되어 있던 걸림돌기(8)가 걸림홈(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제어돌기(9)가 터미널(20)에 접촉(ON)되어 경고등이 점등됨으로 운전자는 래치가 로킹해제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래치본체(3)는 코일 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폴(7)의 호상부(8')에 안내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트라이커(17)는 래치본체(3)에서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플립 업 글래스가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립 업 글래스가 개방될 때 플립 업 글래스의 주위가 웨더 스트립에 고착되어 스트라이커(17)의 구속 해제가 불완전할 경우에도 폴(7)의 걸림돌기(8)가 래치본체(3)의 걸림홈(4)에서 걸림 해제될 때 경고등은 점등되고 래치본체(3)는 회전되어 폴(7)의 호상부(8')에 지지되어 있음으로 코일 스프링(11)의 탄성 복원력은 억제되기 때문에 경고등의 점등상태는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립 업 글래스를 개방하기 위하여 래치의 로킹을 해제하는 순간에 로킹 해제 사실을 경고등의 점등에 의하여 인식함으로써 플립 업 글래스가 개방되지 않을 경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음으로 도난을 예방할 수 있고, 화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가이드의 폴의 측면에 터미널을 설치하여 래치의 로킹 해제 순간에 폴의 제어돌기가 터미널에 접촉되어 경고등을 점등할 수 있도록 하였음으로 래치의 로킹 해제 조작후 스트라이커의 구속해제가 불완전할 경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의 일측에 걸림홈을 형성한 래치본체를 코일 스프링과 함께 지지핀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래치본체의 타측에, 일단에 걸림돌기와 제어돌기를 설치한 폴을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림될 수 있게 코일 스프링과 함께 지지핀으로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가이드에 고정된 지지편에 레버를 로킹 해제시 상기 제어돌기에 접촉되게 지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가이드의 상기 제어돌기의 측면에 터미널을 설치하여 제어돌기가 터미널에 접촉하도록 한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KR10-2002-0080563A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KR10048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63A KR100483796B1 (ko)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563A KR100483796B1 (ko)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384A true KR20040052384A (ko) 2004-06-23
KR100483796B1 KR100483796B1 (ko) 2005-04-20

Family

ID=3734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563A KR100483796B1 (ko) 2002-12-17 2002-12-17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89B1 (ko) * 2007-02-23 2007-09-03 (주)케이엠앤아이 래치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89B1 (ko) * 2007-02-23 2007-09-03 (주)케이엠앤아이 래치 어셈블리
WO2008102979A1 (en) * 2007-02-23 2008-08-28 Km & I.Co., Ltd La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796B1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2714B2 (en) Vehicul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JPH01165889A (ja) 閉鎖くさびと止め金を有する自動車ドア錠
CN108625693B (zh) 具有防拍击闩锁机构的车辆关闭闩锁组件
KR100535081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구조
CN112776573A (zh) 用于车辆的滑动/转动复合门及车辆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KR100483796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 래치
KR200206949Y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레치 구조
JP3765253B2 (ja) トノカバー装置
US20020033609A1 (en) Automotive trunk with secondary opening device
KR200168620Y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글래스 록킹 해제장치
KR0119201Y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100765824B1 (ko) 테일 게이트형 차량의 테일 게이트 플립 업 글래스용전동래치
KR20050060607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글라스 잠금장치
JPH1129071A (ja) テールゲートの支持構造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0124904Y1 (ko) 스위치일체형 테일게이트 래치장치
JPH01136842A (ja) サイドドアの照明装置
KR900007245Y1 (ko) 자동차용 화물적재함도어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100203190B1 (ko) 승합차의 도브테일
KR0123041Y1 (ko) 자동차의 도어 록 상태 확인장치
KR100376471B1 (ko)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9980040658U (ko) 화물차 적재함의 게이트 잠금 구조
KR19990011119U (ko) 화물차용 리어 게이트 록킹장치
KR100507042B1 (ko) 자동차의 시트 서비스 패널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