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201Y1 -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201Y1
KR0119201Y1 KR2019950030688U KR19950030688U KR0119201Y1 KR 0119201 Y1 KR0119201 Y1 KR 0119201Y1 KR 2019950030688 U KR2019950030688 U KR 2019950030688U KR 19950030688 U KR19950030688 U KR 19950030688U KR 0119201 Y1 KR0119201 Y1 KR 0119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ehicle
trunk lid
locking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268U (ko
Inventor
최윤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0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201Y1/ko
Publication of KR970018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리드를 차체에 대해 록크시켜주는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잠금장치의 본체 (4)에 상기 후크(1)를 물어 잡는 록크레버(3)와 이 록크레버(3)를 록크상태와 해제상태로 걸어 주는 걸림레버(5)가 각각 축선회 할 수 있게 스프링(6)을 매개로 하여 탄력설치되고, 상기 본체(4)의 하단에 차량의 시동키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기구(7)가 핀(8)을 매개하여 축선회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걸림레버(5)의 한쪽 측면에 이 레버(5)에 의해 작동되면서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리드 개방 시그날 램프와 트렁크실내등에 각각 병력연결된 전기 스위치(9)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면서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해 줄 수가 있고, 특히 트렁크리드에 부착된 후크(1)가 잠금장치에서 부터 록크해제되면 운전석의 시그날램프와 트렁크실내등이 동시에 점등되어져 야간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A trunk lid locking device in vehicle)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가 록킹상태로 되었을 때의 내부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리드고리가 잠금장치에서 빠져 나간 상태의 정면도
제 3도는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가 개폐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 4도는 제 3도에 도시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측면도
제 5도는 제 3도에 도시한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후크 2:잠금장치
3:록크레버 4:본체
5:걸림레버 6:스프링
7:레버기구 8:핀
9:전기스위치 10:키이홀
11:키이레버 12:링크
13:회동레버 14:작동레버
15:걸림턱 16:케이블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룸을 덮어주는 리드를 차체에 대해 록크 및 해제시켜 주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트렁크 리드를 개폐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렁크 리드의 개폐 시그날 램프와 트렁크룸의 실내등이 하나의 스위치에의해 작동되어질 수있게 한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뒷쪽에 노치백 또는 해치백 형태의 트렁크를 구비하고 이 트렁크에는 리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에 보관할 수 없는 물건이나 부피가 큰 물건 또는 중요한 물건인 경우에는 트렁크에 보관하고서, 트렁크 리드를 닫은 다음 이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대해 록크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 상기 트렁크 리드는 트렁크에 보관하고 있는 물건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중에 열리게 되면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 이 트렁크 리드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열리지않도록 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를 차체에 록크시켜 주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잠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며, 설치가 간단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
즉, 제 3도 내지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는 주몸체(101)와 차량의 후방에서 자동차 키를 사용하여 직접 열수 있게 하기 위해 키에 의해 작동되는 해제기구(102)가 상기 몸체(101)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키이홀(103)에 삽입된 키를 돌리면 그 회전토오크가 키이링크(104)를통해서 상기 몸체(101)에 돌출설치된 레버(105)를 작동시켜서 몸체(101)의 록크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는 상기 주몸체(101)와 해제기구(102)를 차량에 각각 설치해 주어야 하고, 또한 상기 해제기구(102)가 주몸체(101)에 대해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에 설치해 주어야 한다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를 운전석에서 원격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전기스위치(106)가 상기 잠금장치의 몸체(101)에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전기 스위치(10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운전석에서 트렁크리드가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트렁크내부를 밝혀 주기 위한 실내등이 상기 전기스위치(106)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실내등을 스위치는 트렁크리드가 접촉하는 차체에 설치되어 트렁크리드가 닫혀지거나 열려지면서 접촉작동하여 실내등을 온오프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트렁크 리드가 차체에서 부터 완전히 들어 올려져야만 트렁크 내부를 밝혀 주기 위한 전등이 점등되고, 트렁크리드가 닫혀지면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체에 설치된 스위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트렁크 리드를 들어 올려도 트렁크실내등이 점등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특히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이면서 차체에서 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트렁크실내등이 점등되지 않게 되므로써, 야간에 트렁크에서 물건을 찾거나 꺼내기 위해 트렁크를 들어 올리기 전에 어두운 환경속에서 잠시 불편을 겪은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렁크리드의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 간단하고 또한 이 잠금장치를 차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렁크리드가 운전석에서 원격적으로 개방작동되면 트렁크리드내부에 실내등이 점등되어짐과 더불어, 운전석에 개폐시그날등이 동시에 점등되어질 수 있도록 한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렁크리드에 부착된 후크를 물어 잡아 록크시키거나 이 후크를 개방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 잠금장치의 몸체에, 상기 록킹수단을 차량의 시동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록크해제시키는 록크해제기구가 일체로 설치되고,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를 운전석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해 주는 시그날등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트렁크실내등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연동작동하도록 잠금장치의 몸체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후크를 물어 잡는 록킹수단을 차량의 시동키로써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기구가 상기 록킹수단이 구비된 잠금장치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차량에 부착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차량의 시동키를 사용하여 직접트렁크리드를 개방시키거나 이 시동키를 사용하지 않고 운전석에서 원격적으로 상기 록킹수단을 해제시키는 경우에 이 록킹수단에 의해 연동작동되는 스위치가 온되면,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리드 개방시그날등과 트렁크실내등이 동시에 점등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다른 트렁크리드 잠금장치는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후크를 록크하는 록킹수단이 해제작동되면 그 즉시 운전석에 설치된 개방시그날등과 트렁크실내등이 점등되어지기 때문에, 트렁크리드가 차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려지지 않아도 트렁크실내등이 점등작동되게 되어, 야간에 트렁크에 접근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 1도와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 제 1도는 잠금장치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후크(1)가 잠금장치(2)의 록크레버(3)에 물어 잡혀 록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 제 2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상기 후크(1)가 록크레버(3)에서 풀려져 나가 록크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는 본체 (4)에 상기 후크(1)를 물어 잡는 록크레버(3)와 이 록크레버(3)를 록크상태와 해제상태로 걸어 주는 걸림레버(5)가 각각 축선회 할 수 있게 스프링(6)을 매개로 하여 탄력설치되고, 상기 본체(4)의 하단에 차량의 시동키(도시안됨)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기구(7)가 핀(8)을 매개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레버(5)의 한쪽 측면에는 이 레버(5)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스위치(9)는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리드개방 시그날램프와 트렁크리드실내등에 각각 병렬연결되어, 상기 스위치(9)가 작동하면 운전석에 설치된 시그날램프와 트렁크리드실내등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레버기구(7)가 잠금장치(2)의 본체(4)에 핀(8)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4)와 레버기구(7)를 각각 별도로 차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상기 레버기구(7)를 본체(4)의 걸림레버(7)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여야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간단히 차체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기구(7)가 본체(4)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본체(4)에 설치된 걸림레버(5)의 구성이 간단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기구(7)는 통상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서, 키이홀(10)이 구비된 키이레버(11)에 링크(12)가 연결되고, 이 링크(12)에 회동레버(13)가 축선회 할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회동레버 (13)의 선단에 작동레버(14)가 돌출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트렁크리드를 록크 또는 록크해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트렁크리드를 차체에 밀어 부쳐 닫으면, 상기 트렁크리드에 설치된 후크(1)가 록크레버(3)를 누르면서 안쪽으로 록크레버(3)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계속하는 후크(1)의 하강동작에 의해 이 록크레버(3)가 아래쪽으로 내려 눌려져서 스프링(6)에 의해 탄력지지 되어 있는 걸림레버(5)의 걸림턱(15)에 상기 록크레버(3)의 선단이 걸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록크 상태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록크상태에서, 운전석에 설치된 원격제어기구(도시안됨)를 작동시켜 상기 걸림레버(5)에 연결된 케이블(16)을 당기면 이 걸림레버(5)가 제 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또는 차량의 시동키를 사용하여 상기 레버기구(7)를 회동작동시키면 이 레버기구(7)의 선단에 마련된 작동레버(14)가 걸림레버(5)의 하단을 눌러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레버(7)를 점선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걸림레버(7)가 점선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15)에 걸려져 있던 록크레버(3)가 스프링(6)의 복원력에의해 빠져 나가게 되고, 이때 상기 록크레버(3)에 걸려져 있던 트렁크리드의 후크(1)가 위쪽으로 빠져 나가면서 록크해제 상태가 되는 것이다 .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레버(5)가 점선방향으로 회동 하게 되면, 이 걸림레버(5)의 뒤쪽에 설치된 스위치(9)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9)에 연결된 운전석의 시그날램프와 트렁크실내등이 동시에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트렁크리드의 후크(1)가 록크상태에서 부터 해제상태로 되면,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인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그날램프와 트렁크실내등이 동시에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트렁크리드의 후크(1)를 록크 및 해제시키는 잠금장치의 본체(4)에 차량의 시동키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기구(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 그 구성이 간단하게 상기 레버기구(7)와 본체(4)를 차량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또한 록크해제상태를 알리기위한 스위치에 트렁크실내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트렁크 실내등 스위치를 별도로 차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 후크(1)의 록크상태가 해제되면 즉시 트렁크실내등이 점등되므로 야간에 트렁크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기가 편리해 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잠금장치의 본체(4)에 상기 후크(1)를 물어 잡는 록크레버(3)와 이록크레버(3)를 록크상태와 해제상태로 걸어주는 걸림레버(5)가 각각 축선회 할 수 있게 스프링(6)을 매개로 하여 탄력설치되고 ,상기 본체(4)의 하단에 차량의 시동키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기구(7)가 핀(8)을 매개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걸림레버(5)의 한쪽 측면에 이 레버(5)에 의해 작동되면서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트렁크리드개방 시그날 램프와 트렁크실내등에 각각 병렬연결된 전기스위치(9)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2019950030688U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KR0119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688U KR0119201Y1 (ko)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688U KR0119201Y1 (ko)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268U KR970018268U (ko) 1997-05-26
KR0119201Y1 true KR0119201Y1 (ko) 1998-08-01

Family

ID=1942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688U KR0119201Y1 (ko) 1995-10-27 1995-10-27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2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268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7291B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hood
US6394511B1 (en) Automotive vehicle decklid latch system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JPH02129568U (ko)
JP3854029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0119201Y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JPH10176451A (ja) 鎖錠装置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US20020033609A1 (en) Automotive trunk with secondary opening device
KR100288760B1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잠금장치
JPH0219335Y2 (ko)
KR200334428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래치장치
KR0145076B1 (ko) 자동차용 폴딩시트 실내측 잠김 해제장치
KR10023382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릴리즈 핸들의 도난 방지 장치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20180002253A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JPS6246730A (ja) 車両用シ−トロツク装置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JPS6233884Y2 (ko)
KR100812459B1 (ko) 자동차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구조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0119998Y1 (ko) 자동차용 내부핸들
KR100320870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래칫 어셈블리
KR20000002612U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JPH01136842A (ja) サイドドアの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