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807A -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 Google Patents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807A
KR20040051807A KR1020020079478A KR20020079478A KR20040051807A KR 20040051807 A KR20040051807 A KR 20040051807A KR 1020020079478 A KR1020020079478 A KR 1020020079478A KR 20020079478 A KR20020079478 A KR 20020079478A KR 20040051807 A KR20040051807 A KR 2004005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propelled vehicle
camera head
narrow spac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047B1 (ko
Inventor
고영균
Original Assignee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0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obo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발광다이오우드)를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헤드부의 최전방에 설치하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 사용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탐사부위에 정확한 광량을 조사하여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탐사부위에 조명을 최대한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카메라 헤드부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구경은 물론 구경이 작은 관내의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상, 하,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카메라 헤드부가 장착된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에 있어서, 카메라 헤드부의 지지구 전방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LED가 반사판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1과, 자주차 본체 전방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LED가 반사판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2로 이루어진 조명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Self-pro·pelled motorcar for investigate closely}
본 발명은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발광다이오우드)를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헤드부의 최전방에 설치하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 사용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탐사부위에 정확한 광량을 조사하여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탐사부위에 조명을 최대한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카메라 헤드부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구경은 물론 구경이 작은 관내의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는 카메라를 통해 사람이 직접 들어가기 곤란한 곳의 이상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일종의 이동 가능한 로봇장치이다.
특히 하수도관 같이 땅속에 매립된 협소공간의 균열, 파열 및 막힘 등을 카메라를 통해 정밀 조사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1)는 카메라를 통해 전송되는 탐사 공간 내부의 영상신호를 외부에서 목시하여야 하므로, 대부분 어두운 탐사공간을 감안하여 첨부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2)가 카메라 헤드부(3)의 양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조명장치(2)는 대부분 할로겐(2')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할로겐등(2')은 그 소비전력이 매우 높고,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협소 공간(소구경)을 탐사하는데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할로겐등(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비되는 전력이 높고, 자체에서 방출되는 열이 높기 때문에 수명이 짧고 협소공간에서 방출되지 못하는 열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카메라 헤드부(3)의 외곽(외주연)에 별도 브라켓(4)을 통해 설치되므로, 카메라 헤드부(3)의 직경 및 부피가 커져 협소공간 탐사에 제약을 받게 되는 등 사용성에서 개선될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카메라가 탐사부위에 근접한 경우나 떨어진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광량으로 빛이 조사되므로 탐사부위의 식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개선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LED(발광다이오우드)를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헤드부의 최전방에 설치하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 사용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탐사부위에 정확한 광량을 조사하여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탐사부위에 조명을 최대한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카메라 헤드부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구경은 물론 구경이 작은 관내의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상, 하,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카메라 헤드부가 장착된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에 있어서, 카메라 헤드부의 지지구 전방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LED가 반사판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1과, 자주차 본체 전방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LED가 반사판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2로 이루어진 조명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주차의 조명장치 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주차의 전체 구조를 보인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조명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이 소구경 파이프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대구경 파이프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자주차 110 : 자주차 본체
112 : 승강회전암 113 : 고정브라켓
120 : 카메라 헤드부 121 : 카메라 헤드부 본체
122 : 지지부 123 : 카메라 블럭
124 : 카메라 200 : 조명부
210 : 조명장치1 220 : 조명장치2
223 : 조명장치3 211,221,231 : LED1,2,3
212,222,232 : 반사판 300 : 제어부
310,320,330 : 조광조절부1,2,3 S : 경사센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 자주차의 조명장치 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보인 구성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조명부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소구경 파이프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대구경 파이프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의 a),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주차이며, 200은 본 발명인 조명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에 상, 하,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카메라 헤드부가 장착된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100)에 있어서, 카메라 헤드부(120)의 지지구(122) 전방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LED1(211)이 반사판(212)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1(210)과, 자주차 본체(110) 전방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LED2(221)가 반사판(222)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2(220)로 이루어진 조명부(2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장치1(210)과 조명장치2(220)는 제어부(300)에 설치된 각각의 조광 조절부(310),(320)를 통해 조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조명장치1(210)이 설치된 카메라 헤드부 (120)는 자주차 본체의 승강 회전암(112)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3)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으로, 카메라 헤드부 본체(121) 후방의 연결구(124)를 통해 타 장치와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그밖에도 카메라 블럭(123)에 설치된 조명장치3(230) 또한 조명장치1(210) 및 조명장치2(22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1(210)와 조명장치2(220) 및 조명장치3(230)으로 구분된 조명부(200)가 제어부(300)에 탑제된 각각의 조광조절부1(310)과 조광조절부2(320) 및 조광조절부3(330)에 연결되어 스위칭 조작에 의해 조도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조광조절부1,2,3(310),(320),(330)은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LED1,2,3(211),(221),(231)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칭 소자이면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명부(200)의 조도가 조절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구경 또는 대구경의 하수도관(협소공간) 어느 곳에든지 투입 가능한 것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은 소구경에서는 조명장치1(210)을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정지하여 탐사 부위를 검사할 경우에도 조명장치1(210)이작동되어 탐사부위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게 된다.
만약, 도 6에서와 같은 대구경에서는 조명장치2(220)를 통해 전방시야를 확보하면서 전진(물론 조명장치1(210)을 통해서도 가능)하게 되며, 정지하여 탐사 부위를 검사할 경우에는 조명장치1(210)이 작동되어 탐사부위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1(210)이 구비된 카메라 헤드부(120)는 첨부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주차 본체(110)의 고정브라켓(113)과 착탈 가능하므로, 자주차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서치탭(400)의 조사봉(410) 단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자주차(100) 뿐 아니라, 서치탭(400)의 카메라 헤드부(120)로 이용 가능한 것이다.
물론, 카메라 헤드부(120)는 와이어만으로 연결되어 길게 늘어뜨려 수중 조사에도 이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주차 본체(110) 내에 경사센서(S)를 탑제시키고 외부의 제어부(300)에 구비된 표시부(301)를 통해 수치로 나타내도록 하여 하수도관 자체의 경사 또는 퇴적물에 의한 경사 등 하수도관 내부의 경사에 따른 자주차(100)의 평탄성을 측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1"은 자주차가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하는 바퀴이고, "C"는 제어부(300)로부터 카메라(124) 및 조명장치1(210)로 공급되는 전원과 동작 신호의 전선 및 카메라(124)로부터 미도시된 모니터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전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이며, "J"는 케이블(C)을 외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과 연결하는 접속구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LED(발광다이오우드)를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헤드부 최전방에 설치하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 사용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탐사부위에 정확한 광량을 조사하여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탐사부위에 조명을 최대한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카메라 헤드부의 직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대구경은 물론 구경이 작은 관내의 탐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유지비의 절감과 사용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전방에 상, 하, 좌, 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카메라 헤드부가 장착된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100)에 있어서, 카메라 헤드부(120)의 지지구(122) 전방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LED1(211)이 반사판(212)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1(210)과, 자주차 본체(110) 전방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LED2(221)가 반사판(222) 중앙에 구비된 조명장치2(220)로 이루어진 조명부(2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2. 제 1항에 있어서, 조명장치1(210),2(220)는 제어부(300)에 설치된 각각의 조광 조절부(310),(320)를 통해 조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3. 제 1항에 있어서, 조명장치1(210)이 설치된 카메라 헤드부(120)는 자주차 본체의 승강 회전암(112)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13)에 착탈 가능한 것으로, 후방의 연결구(124)를 통해 타 장치와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4. 제 3항에 있어서, 착탈되는 카메라 헤드부(120)를 서치탭(400)의 조사봉(410) 단부에 나사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5. 제 1항에 있어서,
    자주차 본체(110) 내에 경사센서(S)를 탑제시키고 외부의 제어부(300)에 구비된 표시부(301)를 통해 수치로 표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KR10-2002-0079478A 2002-12-13 2002-12-13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KR10053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478A KR100537047B1 (ko) 2002-12-13 2002-12-13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478A KR100537047B1 (ko) 2002-12-13 2002-12-13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807A true KR20040051807A (ko) 2004-06-19
KR100537047B1 KR100537047B1 (ko) 2005-12-16

Family

ID=3734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478A KR100537047B1 (ko) 2002-12-13 2002-12-13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0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23B1 (ko) * 2005-09-15 2007-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검사 및 청소 로봇
KR100980368B1 (ko) * 2008-07-24 2010-09-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탐사로봇용 암 어셈블리
WO2013115454A1 (ko) * 2012-02-03 2013-08-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레이저 프로파일러를 이용한 하수관의 내부 탐사장치
CN108247603A (zh) * 2018-03-12 2018-07-06 湖州慧斯顿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机器人探测装置
KR20180081789A (ko) * 2016-06-17 2018-07-17 우한 이지-사이트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파이프라인 로봇, 파이프라인 영상 신호 수집 전송장치 및 파이프라인 검출 시스템과 방법
KR102093665B1 (ko) * 2019-09-17 2020-03-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관로 방역로봇
CN111664807A (zh) * 2020-04-24 2020-09-15 河北津西钢铁集团股份有限公司 旋转结构光法管道检测系统
KR102261594B1 (ko) * 2020-12-23 2021-06-07 유한회사 장강 하수관 내부 주행 차량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 내부 촬영 방법
CN114360978A (zh) * 2021-12-24 2022-04-15 鞍钢集团矿业有限公司 高压开关柜分合闸操作机器人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227B1 (ko) * 2013-02-26 2013-08-22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관로 검사 장치
KR101272231B1 (ko) * 2013-02-26 2013-06-11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관로 검사 시스템
KR101460495B1 (ko) * 2014-01-21 2014-11-11 백종현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KR20200118978A (ko) 2019-04-09 2020-10-19 (주)키네틱스 관로탐사용 영상장비 이송을 위한 원격조종차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098Y1 (ko) * 1996-07-31 1999-10-15 한기택 준설기가 부착된 하수구촬영용 로보트 이송차
KR200150964Y1 (ko) * 1996-12-31 1999-07-15 이세원 덕트청소용 로봇 청소기
KR200157119Y1 (ko) * 1997-04-21 1999-09-15 차상근 덕트 청소용 로봇의 제어 시스템
KR100241143B1 (ko) * 1997-12-26 2000-04-01 김성년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이동 로보트
KR100370174B1 (ko) * 1999-02-20 2003-01-30 김석배 화면연동형 입체조명 시스템
KR100383535B1 (ko) * 2000-03-31 2003-05-16 여희주 설비 배관내의 탐사 및 도장을 위한 로봇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23B1 (ko) * 2005-09-15 2007-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검사 및 청소 로봇
KR100980368B1 (ko) * 2008-07-24 2010-09-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탐사로봇용 암 어셈블리
WO2013115454A1 (ko) * 2012-02-03 2013-08-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레이저 프로파일러를 이용한 하수관의 내부 탐사장치
KR20180081789A (ko) * 2016-06-17 2018-07-17 우한 이지-사이트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파이프라인 로봇, 파이프라인 영상 신호 수집 전송장치 및 파이프라인 검출 시스템과 방법
CN108247603A (zh) * 2018-03-12 2018-07-06 湖州慧斯顿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机器人探测装置
KR102093665B1 (ko) * 2019-09-17 2020-03-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관로 방역로봇
CN111664807A (zh) * 2020-04-24 2020-09-15 河北津西钢铁集团股份有限公司 旋转结构光法管道检测系统
CN111664807B (zh) * 2020-04-24 2022-08-12 河北津西钢铁集团股份有限公司 旋转结构光法管道检测系统
KR102261594B1 (ko) * 2020-12-23 2021-06-07 유한회사 장강 하수관 내부 주행 차량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 내부 촬영 방법
CN114360978A (zh) * 2021-12-24 2022-04-15 鞍钢集团矿业有限公司 高压开关柜分合闸操作机器人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047B1 (ko) 200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047B1 (ko)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US9332610B2 (en) Light fix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illuminance in an active smart manner
US93700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apting light output of a lighting unit
JP5743392B2 (ja) 手術用照明、カメラおよびモニタを備えた装置
JP2016522652A (ja) 管検査装置
US6142649A (en) Emergency lighting fixture, especially for industrial environments
US9420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reet lighting luminaires
US7934853B2 (en) Mobile imaging system with adjustable light source
US20150289337A1 (en) Lighting fixture
KR101206531B1 (ko)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KR100932917B1 (ko) 안개 조명등이 함께 부착된 복합 조명 가로등
JP2010146923A (ja) 照明システム
JP4626561B2 (ja) レーザ墨出し器
JP7406178B2 (ja) 照明器具
JP200419397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照明装置
CN2893683Y (zh) 一种管式分布光度计
KR100231236B1 (ko) 등명기 및 그 원격자동제어방법
KR20100002027A (ko) 조명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터
KR101205693B1 (ko) 내장형 조명장치를 갖는 사이트 글라스
CN220340063U (zh) 管道探视器
CN210744468U (zh) 一种自适应可调式智能照明配电柜装置
KR102053294B1 (ko) 무대 조명광 정렬기, 그가 구비된 무대 조명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10056017A (ko) 반사갓 가변형 도로용 조명기구
JPH0694627A (ja) 管内検査テレビカメラの照明装置
KR100989315B1 (ko) 비상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