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725A -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725A
KR20040050725A KR1020020077859A KR20020077859A KR20040050725A KR 20040050725 A KR20040050725 A KR 20040050725A KR 1020020077859 A KR1020020077859 A KR 1020020077859A KR 20020077859 A KR20020077859 A KR 20020077859A KR 20040050725 A KR20040050725 A KR 2004005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tactor
upper frame
termina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712B1 (ko
Inventor
김견묵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7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선의 연결을 상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도선의 연결작업시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복수개의 고정접촉자(10)가 스크류(9)로서 고정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10)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9)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10)와 함께 상부 프레임(1)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직립하는 상태로 절곡 형성된 상태의 연결편(16)을 갖는 단자(15)와, 도선의 단자부가 상부외측에서 상기 단자의 연결편(16)을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도록 상기 단자(15)의 연결편(16)이 상부외측으로 노출되게 수직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통공(14)을 갖는 커버(2)로 구성되어 전원측 도선 및 부하측 도선의 단자부가 상부 바깥쪽에서 상기 각 단자(15)의 연결편(16)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conducting wire of magnec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원 및 부하측 선로의 접속을 위해 고정접촉자에 도선(conducting wire)을 연결할 때 별도의 공구 없이 도선의 단자부를 직접 단자에 접속하도록 하여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기회로를 기계적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기기로서, 통상 모터 등의 과부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과부하 계전기(Thermal Rrlay)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에 많이 채용되는 구성품이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함에 따라 상기 전기회로를 개로 또는 폐로 상태로 전환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접점부와 전자석부 등의 구성요소가 설치되도록 하면서 외형을 유지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부에 코일을 여자(礪磁)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고, 소자(消磁)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폐로하여 부하의 개폐를 행하게 된다.
그럼 여기서 전자접촉기의 전체적인 구조와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참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접촉기는 도 2와 같이 외형을 이루도록 상부에 커버(2)가 결합되어진 절연재질의 상부 프레임(1)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외형을 이루도록 상부 프레임(1)의 하부에 결합되어진 절연재질의 하부 프레임(3)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1)(3) 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빈코일(4)과, 상기 보빈코일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빈코일(4)로 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아(5)와, 상기 보빈코일(4)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코아(5)가 자화됨에 따라 발생된 자력에 의해 하방인 고정코아 쪽으로 이동되는 가동코아(6)와, 상기 보빈코일(4)과 가동코어(6)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코아(5) 쪽으로 이동된 가동코아(6)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7)과, 상기 가동코아(6)의 상부에 고정되어 가동코아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크로스바(8)와, 상기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스크류(9)로서 각각 고정되어 전기회로의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접촉자(10)와, 상기 크로스바(8)에 탄력설치되어 각 고정접촉자(1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개의 가동접촉자(11)로 구성되는데, 상기한 구성의 전자접촉기는 사용시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도선 연결장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중 일측에 구비된 고정접촉자에 전원측 도선을 도선 연결장치를 이용해 연결시킴과 함께 타측에 구비된 고정접촉자에는 부하측 도선을 도선 연결장치를 이용해 연결시킨 상태에서 가동코아(6)가 스프링(7)이 복원력에 의해 고정코아(5)와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되어 있다면 상기 가동코아(6)와 함께 크로스바(8)도 고정코아(5)와 멀어지는 쪽인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8)에 탄력설치된 각 가동접촉자(11)와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스크류(9)로서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의 분리에 의해 전기회로가 끊어진 폐회로 상태가 되고, 이 경우에는 전류의 통전이 중단된 상태에 있다.
상기 폐회로상태에서 보빈코일(4)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보빈코일이 여자됨에 따라 고정코아(5)가 자화되면서 전자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가동코아(6)가 고정코아(5) 쪽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가동코아(6)의 상부에 고정된 스크류바(8)도 스프링(7)을 압축시키면서 고정코아(5) 쪽인 도면상 하방으로 함께 이동되므로 어느 순간부터 상기 스크류바(8)에 탄력설치된 각 가동접촉자(11)가 상부 프레임(1) 양측에 스크류(9)로서 고정되어 있는 각 고정접촉자(10)에 접촉되면서 전기회로가 이어진 개로상태가 되어 전류가 통전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전자접촉기의 사용시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기 위한 도선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에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는 스크류(9)의 나사축에 누름판(12)이 끼워져 상기 스크류(9)의 조임에 따라 누름판(12)이 고정접촉자(10) 쪽으로 이동하면서 누름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의 양측면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에 커버(2)가 결합되었을 때 양측면 바깥쪽에서 각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는 스크류(9)가 보여지도록 복수개의 수평통공(13)이 형성되어 상기 각 수평통공을 통해 연결하고자 하는 전원측 도선 및 부하측 도선의 단자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1)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2)에는 각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는데 이용된 스크류(9)의 머리부분이 상부 바깥쪽에서 보여지도록 복수개의 수직통공(14)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에 커버(2)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각 수직통공(14)을 통해 별도의 공구로서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9)를 조임 및 풀림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상기 종래 장치에 의해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자접촉기의 조립 과정에서 각 고정접촉자(10)를 스크류(9)로서 상부 프레임(1)에 고정할 때 상기 스크류(9)의 나사축으로 누름판(12)을 미리 끼워 놓아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 종래 장치에 의해 전원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타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하나의 전원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된 하나의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가 상부 프레임(1)에 결합된 커버(2)의 수평통공(13)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공구에 의해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9)를 풀림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에 의한 누름판(12)의 누름력이 일단 해제되므로 상기 스크류(9)의 나사축에 끼워져 있는 누름판(12)과 고정접촉자(10) 사이의 간격이 유동성을 갖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전원측 도선의 연결부분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면중 도면상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수평통공(13)을 통해 끼워 넣어 상기 전원측 도선의 연결부분인 단자부가 도 4와 같이 스크류(9)의 나사축을 감싼상태에서 누름판(12)과 고정접촉자(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통해 다시 풀려져 있는 스크류(9)를 조이면 상기 스크류의 나사축에 끼워져 있던 누름판(12)이 도면상 하방인 고정접촉자(10) 쪽으로 이동하면서 전원측 도선의 단자부를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측 도선이 이탈됨이 없는 상태로 연결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는 전원측 도선 및 부하측 도선의 연결시 상기 도선의 연결부분인 단자부를 상부 프레임(1)에 형성된 수평통공(13)을 통해 끼워 넣은 다음 스크류(9)를 조여야 하므로 상기 도선의 연결이 수평통공(13)의 깊은 안쪽에서 이루어 지고 상기 도선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고개를 옆으로 하여 수평통공(13)의 안쪽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감안할 때 작업성의 저하됨은 물론 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부 프레임(1)에 고정접촉자(10)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9)를 어느 정도 푼 다음 다시 조여야 하므로 상기 스크류의 조임 및 풀림을 위해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함에 따라 이 또한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국 전체적으로 볼 때 작업 시간이 길어지면서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선의 연결을 상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도선의 연결작업시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선 연결장치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선 연결장치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도선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도선 연결장치에 의해 도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선 연결장치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선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도선 연결장치에 의해 도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 프레임 2. 커버
9. 스크류 10. 고정접촉자
14. 수직통공 15. 단자
16. 연결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복수개의 고정접촉자가 스크류로서 고정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와 함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직립하는 상태로 절곡 형성된 상태의 연결편을 갖는 단자와, 도선의 단자부가 상부외측에서 상기 단자의 연결편을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도록 상기 단자의 연결편이 상부외측으로 노출되게 수직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통공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할 수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 도선 연결장치를 갖는 전자접촉기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도선 연결장치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도선 연결장치에 의해 도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는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복수개의 고정접촉자(10)가 스크류(9)로서 고정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10)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9)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10)와 함께 상부 프레임(1)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직립하는 상태로 절곡 형성된 상태의 연결편(16)을 갖는 단자(15)와, 도선의 단자부가 상부외측에서 상기 단자의 연결편(16)을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도록 상기 단자(15)의 연결편(16)이 상부외측으로 노출되게 수직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통공(14)을 갖는 커버(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각 단자(15)에 절곡 형성된 연결편(16)은 한쌍으로 하여 작업자가 상기 한쌍의 연결편을 동시에 이용하여 도선을 연결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연결편만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도선을 연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연결편(16)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의 단자부(부호는 생략함)도 단부가 양갈래로 갈라진 도체로 구성되며, 한쌍의 연결편(16)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는 경우 도선의 단자부는 단부가 통채로된 도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상기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전원측 도선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자접촉기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각 고정접촉자를 스크류(9)로서 상부 프레임(1)에 고정할 때 상방으로 수직되게연결편(16)이 절곡 형성되어 있는 단자(15)을 상기 고정접촉자(10)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함께 고정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전원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과 부하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타측에 고정된 각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하나의 전원측 도선을 상부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된 하나의 고정접촉자(10)에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가 상부 프레임(1)에 결합된 커버(2)의 수직통공(17)을 통해 상부 바깥쪽으로 노출된 단자(15)의 연결편(16)으로 전원측 도선의 연결부분인 단자부를 도 7과 같이 수직으로 삽입하면 상기 전원측 도선이 연결 완료되는데, 상기 단자(15)의 연결편(16)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바깥쪽에서 작업자에게 자연스럽게 보여지므로 전원측 도선의 단자부의 요홈에 상기 연결편(16)이 삽입됨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 도선의 단자부가 삽입되어 지는 단자(15)의 연결편(16)은 한쌍으로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도선의 연결을 수행할 때 상기 한쌍의 연결편을 동시에 이용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연결편만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면 되는데, 한쌍의 연결편(16)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 하나의 연결편만을 이용하는 것 보다 연결상태가 더욱 안정적일 것이므로 바람직 하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도선의 연결부분인 단자부의 형상이 종래와 달라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는 전원측 도선 및 부하측 도선의 연결시 상기 도선의 연결부분인 단자부를 상부 프레임(1)에 형성된 수직통공(17)을 통해 상부 바깥쪽으로 노출된 단자(15)의 연결편(16)으로 간단하게 삽입시켜 주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거나 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작업 시간이 짧아지므로 인해 능률이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복수개의 고정접촉자가 스크류로서 고정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접촉자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접촉자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와 함께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직립하는 상태로 절곡 형성된 상태의 연결편을 갖는 단자와,
    도선의 단자부가 상부외측에서 상기 단자의 연결편을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도록 상기 단자의 연결편이 상부외측으로 노출되게 수직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통공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연결편은 한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0-2002-0077859A 2002-12-09 2002-12-09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0051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59A KR100510712B1 (ko) 2002-12-09 2002-12-09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59A KR100510712B1 (ko) 2002-12-09 2002-12-09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725A true KR20040050725A (ko) 2004-06-17
KR100510712B1 KR100510712B1 (ko) 2005-08-31

Family

ID=3734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859A KR100510712B1 (ko) 2002-12-09 2002-12-09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7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3952U (ko) * 1977-08-31 1979-03-26
JPH077628B2 (ja) * 1988-10-06 1995-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KR200229100Y1 (ko) * 1997-12-16 2001-07-19 이종수 전자접촉기의터미널스크류장착구조
JP2000123701A (ja) * 1998-10-09 2000-04-28 Fuji Electric Co Ltd 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0712B1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4182B2 (en) Contactor with connector module for control of the solenoid mechanism
KR20050021934A (ko) 소형 전자계전기
EP0210727A1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JP2019009389A (ja) 電気機器及び分電盤
US7436639B2 (en) Compac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module
KR100510712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00988718B1 (ko)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KR200441990Y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연결장치
KR100475070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20041735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KR1002779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0480837B1 (ko)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JP3296460B2 (ja) 回路遮断器
US4331375A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JP4117776B2 (ja) 回路遮断器の電圧切替装置
WO2023119895A1 (ja) 電磁引き外し装置、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KR200280183Y1 (ko) 전자접촉기 단자의 러그 유동방지구조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CN2394318Y (zh) 微型大功率磁锁继电器
KR100518256B1 (ko)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RU2232442C2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ыкатель
JP2001351500A (ja) 配線用遮断器
JP2000011836A (ja) 電気機器
JP3256303B2 (ja) リモコンリレー
KR970004890Y1 (ko) 전자 접촉기의 여자코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