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190A -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190A
KR20040050190A KR1020020077842A KR20020077842A KR20040050190A KR 20040050190 A KR20040050190 A KR 20040050190A KR 1020020077842 A KR1020020077842 A KR 1020020077842A KR 20020077842 A KR20020077842 A KR 20020077842A KR 20040050190 A KR20040050190 A KR 2004005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work display
combination
control button
web3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922B1 (ko
Inventor
최효준
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시스템
Priority to KR10-2002-007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9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Web3D 구현에서 VRML 뷰어 또는 이와 유사한 3차원 브라우저에서 물체를 표현하고 이동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실에서 시야의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Web3D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배치 등을 흥미롭게 구현하도록하여 가상현실에서 각종 인테리어 설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 및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기는데 이용되도록 하는 Web3D 가상현실의 활발한 응용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S01)와; 상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Web3D 컨텐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Web3D 컨텐츠 서비스의 초기화면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재료들을 선택하는 단계(S20)와;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을 각종 제어를 통하여 실행하는 단계(S30)와; 상기와 같은 작업실행에 따른 재료선택에 사용된 대금을 결제하는 단계(S40)와; 상기 작업 실행에 따른 결과물을 이용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The contents service method with respect to combination of material description process and use of outputs which were made in 3 dimention at a web 3D cyberspace}
본 발명은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Web3D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배치 등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에서 각종 인테리어 설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 및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 가상현실 모델링 언어) 코드는 인터넷 기반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3차원 영상 구현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HTML 코드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표현하는 언어이다.
즉, VRML 코드는 사용자(클라이언트)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3차원 이미지 장면 등을 묘사하기 위한 언어로서, 이를 이용하면 3차원 화면에서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보고, 움직이고, 돌리고,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시각적 이미지들을 만들어 웹(Web)에 올릴 수 있다.
상기한 VRML은 사운드, 동영상, 에니매이션효과, 상호작용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주므로 컨텐츠의 개발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N-VR의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서, 1994년도에 초기버전(1.0)이 처음국제규약에 맞추어 만들어졌으나 자바와 연동되는 부분이 없어서 단순히 오브젝트를 돌려보고 이동하는 수준이었으며, 1997년도에 2.0버전이 발표되면서 자바와 연동하여 자바가 가진 기능을 VRML에 적용할 수 있어 그 표현방법이 보다 다양해질 수 있었다.
한편, 상기 VRML은 VRML전용 뷰어를 설치해야 볼 수 있는데, 현재 주로 사용되는 뷰어들로서는 카메라의 위치변화나 복수 오브젝트에서 각각의 개체 오브젝트의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판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각 오브젝트의 섬세한 제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복수 개체의 제어나 배치가 필요한 VRML컨텐츠 제작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Web3D 구현에서 VRML 뷰어 또는 이와 유사한 3차원 브라우저에서 물체를 표현하고 이동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실에서 시야의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Web3D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배치 등을 흥미롭게 구현하도록하여 가상현실에서 각종 인테리어 설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 및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기는데 이용되도록 하는 Web3D 가상현실의 활발한 응용을 위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소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적 요소와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관한 서비스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에 관한 컨텐츠 서비스의 화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의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서 재료를 다듬기 위한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도 5의 꽃꽂이 작업 단계에서 작업표시화면에 추가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배치하는 단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선택된 재료의 제어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제어버튼부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 ~ 도 21은 제어버튼부의 조작에 따라 꽃꽂이 작업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2는 작업 결과물을 생화로 맞추어 배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0 : 재료목록 화면C20 : 선택된 재료의 미리보기 화면
C30 : 작업표시화면C40 : 제어버튼부
C50 : 사용된 재료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
S20 : 재료 선택 단계S30 : 작업 단계
S40 : 대금결제 단계S50 : 작업결과물 이용 단계
C41 :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2 : 재료 배치제어 버튼
C43 : 재료 크기제어 버튼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S01)와;상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Web3D 컨텐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Web3D 컨텐츠 서비스의 초기화면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재료들을 선택하는 단계(S20)와;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을 각종 제어를 통하여 실행하는 단계(S30)와; 상기와 같은 작업실행에 따른 재료선택에 사용된 대금을 결제하는 단계(S40)와; 상기 작업 실행에 따른 결과물을 이용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Web3D 컨텐츠 서비스의 초기화면에는 각종 개체물의 목록을 표기하는 화면(C1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선택된 재료에 대한 미리보기화면(C2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사용된 재료의 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5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상황이 표시되는 작업표시화면(C3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각의 재료들의 위치,크기,방향,각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C40)가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버튼부(C40)에는, 상기 작업표시화면(C30) 전체의 줌 확대/줌 축소와, X,Y,Z축상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위치를 X,Y,Z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이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은,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버튼(C41)과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하고자 하는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0)는, 작업에 사용할 재료의 목록을 확인하는 단계(S21)와; 작업에 사용할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2)와; 상기 재료의 목록에서 선택된 재료를 미리보는 단계(S23)와; 상기 재료의 목록에서 선택된 재료의 일부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S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재료의 목록에서 선택된 재료의 일부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S24)는, 선택된 재료를 미리보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1)와; 상기 미리보기화면에 표시된 재료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를 클릭하는 단계(S24-2)와; 상기와 같이 클릭된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S24-3)와; 선택된 재료에 새로운 옵션을 추가하는 단계(S2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을 각종 제어를 통하여 실행하는 단계(S30)는, 선택된 재료를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하는 단계(S31)와;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재료의 목록 및 단가를 계산하여 사용된 재료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50)에 단가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S32)와; 상기 작업표시화면(30)에 표시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는,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재료를 추가하는 단계(S33-1)와; 선택된 재료를 배치하기에 적절한 위치,크기 각도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 전체를 제어하는 단계(S33-2)와;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S33-3)와;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S33-4)와;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S3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작업표시화면(C30) 전체의 줌 확대/줌 축소와 X,Y,Z축상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3-2)는,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줌 확대 클릭부(C41-1)의 클릭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 전체가 줌 확대되도록 하고, 카메라 줌 축소 클릭부(C41-2)의 클릭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 전체가 줌 축소되도록 하며, 카메라 줌 원구(C41-3)를 드래그하여 회전함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 전체가 X,Y,Z축상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위치를 X,Y,Z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3-3,S33-5)는,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의 X축 지시 클릭부(C42-1,C42-2)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를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Y축 지시 클릭부(C42-3,C42-4)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를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Z축 지시 클릭부(C42-5,C42-6)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회전 원구(C42-7)의 드래그에 따라 선택된 재료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단계(S33-4)는, 상기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재료 크기제어 버튼(C43)의 크기 확대 클릭부(C43-1)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확대하도록 하고, 크기 축소 클릭부(C43-2)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축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소를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적 요소와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이 적용된 인터넷 사이트는 상기한 컨텐츠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1)와, 인터넷상에서 이러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업자(9)와, 이 서비스사업자(9)가 인터넷 서버(5)를 이용하여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3) 및 서버(5)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개체물들을 보관해 놓은 DB(7)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VRML과 Java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플랫폼의 특성에 좌우되지 않고 JVM(Java Virtual Machine)과 VRML뷰어가 설치된 모든 플랫폼에서 구동이 되므로, 사용자는 큰 용량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VRML을 볼 수 있는 뷰어만 사용자의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면(용량 약 1MB) 웹서버(5)의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해당 서비스사업자(9)의 홈페이지(3)에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텐츠 서비스의 구성을 프로그램적인 차원에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VRML(15)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인 EAI(13)원리에 Java(11)를 사용하여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여기에 DB(7)를 연동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Java(11)가 하는 역할은 작업표시화면과 제어버튼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DB(7), 작업표시화면, 그리고 제어버튼부에 상호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핵심적인 부분은, 3차원의 작업표시화면을 통하여 섬세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배치 등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버튼부의 제어기술부분이다.
즉, 마치 현실적으로 꽃꽂이 작업자가 시야를 이동하며 작업하는 것과 같은 카메라 이동제어 방법과, 시야의 변동에 따라 작업대상의 위치가 변동하는 상태에서의 작업을 작업표시화면과 재료배치제어버튼의 위치를 연동하여 변경해 줌으로써 현실감을 극대화 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한 각종 개체물들을 꽃꽂이에 사용되는 바구니와 각종 꽃들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꽃꽃이 재료)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페이지에 접속(S01)한 상태에서, 상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Web3D 꽃꽂이 작업 서비스를 선택(S10)한다.
그러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꽂이 컨텐츠 서비스 초기화면이 뜨게 되며, 이 초기화면에서 꽃꽂이재료를 선택(S20)하고, 선택되는 재료들에 의해 사용자가 꽃꽂이 작업(S30)을 한 후, 상기와 같은 꽃꽂이 작업(S30)에 사용된 대금을 결제하는 단계(S40)와, 꽃꽂이 결과물을 이용하는 단계(S50)를 거쳐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꽃꽃이 재료)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기와 같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Web3D 꽃꽂이 작업 서비스를 선택(S10)하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면창을 이용하여 꽃꽂이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0)를 수행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즉, 꽃꽂이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0)는, 꽃꽂이 작업에 사용할 재료의 목록을 확인하는 단계(S21)와, 꽃꽂이 작업에 사용할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2)와, 재료목록에서 선택된 재료를 미리보는 단계(S23)와, 재료목록에서 선택된 재료를 다듬는 단계(S24)로 구분된다.
이를 도 4a를 참조로 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a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꽃꽃이 재료)의 조합 및 표현과정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의 초기화면으로서, 우측 중간단에는 각종 개체물(꽃꽃이 재료)의 목록을 표기하는 화면(C10)이 배치되고, 우측 상단에는 선택된 재료에 대한 미리보기 및 재료 다듬기 화면(C20)이 배치되며, 후측 하단에는 사용된 재료의 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상단으로부터 중간단에 이르기까지에는 꽃꽂이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표시화면(C30)이 배치되고, 이 작업표시화면(C30)의 하단측에는 작업표시화면에 추가된 각각의 재료들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C4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꽃꽂이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0)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초기화면상에서 재료목록 표기화면(C10)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목록을 확인(S21)한다.
이때, 상기 재료목록 표기화면(C10)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꽃꽂이 작업에 사용할 재료를 선택(S22)한다.
이와 같이 재료를 선택(S22)하게 되면, 선택된 재료에 대한 미리보기 및 재료다듬기 화면(C20)에 사용자가 선택한 재료가 뜨게 되며, 이 재료의 선택에 따른비용이 사용된 재료 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50)에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재료의 선택(S22)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병이 아닌 꽃일 경우에는 그 잎사귀를 떼어내는 등의 다듬기 과정이 가능하므로(도 4b 참조), 선택된 재료를 다듬기 하는 단계(S24)를 거치게 된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재료를 다듬기 하는 단계(S24)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재료를 다듬기 하는 단계(S24)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재료를 미리보기화면(C20)에 표시하는 단계(S24-1)와, 미리보기화면에 표시된 재료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잎을 클릭하는 단계(S24-2)와, 클릭된 잎을 제거하는 단계(S24-3)와, 선택된 재료에 옵션을 추가하는 단계(S2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꽃꽂이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0)가 완료되면, 다음 단계인 꽃꽂이 작업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꽃꽂이 작업 단계(S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듬어진 재료를 작업표시화면(C30)에 추가하는 단계(S31)와, 이와 같이 작업표시화면(C30)에 추가되는 재료의 목록 및 단가를 계산하여 사용된 재료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50)에 단가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S32)와, 후술되는 각 제어버튼부(C40)를 이용하여 작업표시화면(C30)에 추가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단계가 마무리 되면, 꽃꽂이 작업 단계(S30)가 완료되는 것이고, 이때 새로운 재료가 필요하면, 상기 꽃꽂이 재료 선택 단계(S20)에서 꽃꽂이 작업에 사용할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2)로 되돌아가서 상기한 단계를 재 수행하면 된다.
한편, 도 7은 꽃꽃이 작업 단계(S30)에서, 제어버튼부(C40)를 이용하여 작업표시화면(C30)에 추가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추가된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S33)는, 선택된 재료를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하는 단계(S33-1)와, 선택된 재료를 배치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카메라 위치제어버튼(C41)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S33-2)와, 재료배치제어버튼(C42)을 이용하여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S33-3)와, 재료크기제어버튼(C43)을 이용하여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S33-4)와, 재료배치제어버튼(C42)을 이용하여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S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한 제어단계(S33-2,S33-3,S33-4,S33-5)를 거쳐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으로서 적절하게 표현되면, 꽃꽂이 작업 단계(S30)를 완료하든가 또는 꽃꽂이 재료 선택 단계(S20)에서 새로운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1)로 돌아가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제어단계(S33-2,S33-3,S33-4,S33-5)를 거친 재료들의 배치장면의 표현이 적절하지 않으면, 선택된 재료를 삭제하여 새로운 재료를 선택(S21)하는 단계를 거친다.
도 8은 상기한 선택된 재료의 제어단계(S33-2,S33-3,S33-4,S33-5)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상기한 제어단계에 사용되는 제어버튼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4a 및 도 8, 도 9를 참조로 하여 선택된 재료를 작업표시화면(C30)상에서 제어버튼부(C40)를 이용하여 배치장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표시화면(C30)의 하부측에는 제어버튼부(C40)가 표시되는데, 상기 제어버튼부(C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표시화면(C30) 전체를 3D 상으로 각도를 변위시키고 작업표시화면(C30) 전체를 줌 확대/줌 축소시켜 사용자가 바라보게 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각 재료들을 X축, Y축, Z축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배치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각 재료들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은, 작업표시화면(C30)을 X,Y,Z(0,0,0)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줌 원구(C41-3)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 카메라 줌 원구(C41-3)는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한 후 드래그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X,Y,Z(0,0,0)축을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줌 원구(C41-3)의 일측에는 카메라가 위치되는 카메라 위치부(C41-4)가 설정되어, 이 카메라 위치부(C41-4)가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의 방향이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표시화면(C30) 전체를 줌 확대하기 위한 카메라 줌 확대 클릭부(C41-1)와, 작업표시화면(C30) 전체를 줌 축소하기 위한 카메라 줌 축소 클릭부(C41-2)가 각각 카메라 줌 원구(C41-3)의 상하측에 대칭으로 위치되어 있는데, 이 카메라 줌 확대 클릭부(C41-1)와, 카메라 줌 축소 클릭부(C41-2)는 상기 카메라 줌 원구(C41-3)의 드래그에 상관없이 항상 이 카메라 줌 원구(C41-3)의 상,하측에 고정된 위치상태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은, 작업표시화면(C30)에서 선택된 재료의 이동 및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원구의 좌우측에 각각 X축 지시 클릭부(C42-1,C42-2)가 위치되고, 상하측에 각각 Y축 지시 클릭부(C42-3,C42-4)가 위치되며, 전후측에 각각 Z축 지시 클릭부(C42-5,C42-6)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들 중, 사용자가 배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재료를 작업화면(C30)에서 클릭하여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한 각각의 지시 클릭부(C42-1,C42-2,C42-3,C42-4,C42-5,C42-6)들을 클릭함으로써, X,Y,Z축의 어느방향으로도 임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은,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의 X,Y,Z축 방향전환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작업표시화면(C30)이 회전한 각도와 방향만큼 연동하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각도와 방향이 전환된 작업표시화면(C30)의 X,Y,Z축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시 클릭부(C42-1,C42-2,C42-3,C42-4,C42-5,C42-6)들의 중심에는 회전 원구(C42-7)가 위치되며, 이 회전 원구(C42-7)의 드래그 및 회전에 연동하여 선택된 재료가 재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은, 원구의 상하측에 각각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한 크기확대 클릭부(C43-1)와, 반대로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크기축소 클릭부(C43-2)가 대칭으로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들 중, 사용자가 크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재료를 작업화면(C30)에서 클릭하여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한 각각의 크기 확대 및 축소 클릭부(C43-1,C43-2)들을 클릭함으로써, 재료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바구니, 꽃 등)들을 이용한 꽃꽂이 작업 단계(S30) 중,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버튼부(C40)의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과,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과,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의 조작에 따른 제어로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 실시 예를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은 작업표시화면(C30)의 초기화면에서 바구니만 선택된 화면이며, 도 11은 도 10화면에 꽃 한송이가 추가되어진 상태의 화면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버튼부(C40)의 카메라 줌 제어 버튼(C41)의 카메라 줌 원구(C41-3)를 드래그하여 카메라 위치부(C41-4)가 약간 우방향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표시화면(C30)에 배치된 각 재료들의 각도 및 방향이 바뀌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의 제어에 따라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 또한 카메라 줌원구(C41-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작업화면(C30)과 연동하여 각 좌표축을 맞추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치상태를 제어하고자 하는 꽃을 클릭하고,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에서 X축 지시버튼 중, 좌방향 X축 지시버튼(C42-2)를 클릭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이 바구니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Y축 지시버튼 중, 하방향 Y축 지시버튼 (C42-4)를 클릭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이 바구니의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의 원구(C42-7)를 드래그 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을 X,Y,Z축상에서 360°자유회동 시켜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은 선택된 재료(꽃)의 크기를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 중, 재료 크기확대 클릭부(C43-1)를 클릭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재료(꽃)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카메라 위치 제어 버튼(C41)의 카메라 줌 원구(C41-3)를 드래그하여 도 17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개체물들의 각도 및 방향을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위치 제어 버튼(C41)에서 카메라 줌 확대 클릭부(C41-1)를 클릭함으로써,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각 개체물들을 전체적으로 확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카메라 줌 축소 클릭부(C41-2)를 클릭함으로써,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각 개체물들을 전체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에서 카메라 줌 확대 클릭부(C41-1) 및 카메라 줌 축소 클릭부(C41-2)는 작업표시화면(C30) 전체의 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고,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에서 재료의 크기확대 클릭부(C43-1) 및 크기축소 클릭부(C43-2)는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여러 재료들 중 선택된 하나의 재료만 확대 및 축소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차이를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꽃꽂이 작업 단계(S30)에서 재료의 배치 단계(S33)는 상기한 제어버튼부(C40)의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과,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의 조작에 따른 제어에 의해 얼마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꽃꽂이를 3차원상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꽃꽂이 작업 단계(S30)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꽃꽂이에 사용된 재료의 대금을 결제하는 단계(S40)로 넘어가게 된다.
상기 꽃꽂이 작업에 사용된 대금 결제 단계(S40)는, 사용자가 대금 결제를 승인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단계(S41)에서 가부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대금결제를 승인하게 되면, 대금을 결제하는 단계(S42)를 거쳐 꽃꽂이 작업 결과물을 저장하는 단계(S43)를 실행할 수 있게 되나, 대금 결제를 승인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한편, 대금 결제를 승인하여 꽃꽂이 작업 결과물을 저장하는 단계(S43)를 실행하게 되면, 사용자는 꽃꽂이 작업 결과물을 이용하는 단계(S50)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꽃꽂이 작업 결과물을 이용하는 단계(S50)는, 타인에게 자신의 꽃꽂이 작업 결과물을 E-card의 배경으로 하여 타인에게 전송(S60)할 수 있고, 웹서버내에 앨범으로 보관(S70)할 수 있으며, 자신이 꽃꽂이 한 결과물 그대로 생화를 맞추어 타인에게 배달(S80)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꽃꽂이 결과물 그대로를 생화로 맞추어 배달하도록 하는 단계(S8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결과물을 꽃배달업체에 Web3D자료로 전송하는 단계(S81)와, 완성된 결과물을 생화로 맞춤과 배달하는데 따른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S82)와, 맞춤된 생화를 제작 및 배달하는 단계(S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꽃꽂이로서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컨텐츠 및 제어방법에 의하여 실내의 인테리어 설계나 각종 공작품들의 조립 등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바, 굳이 취미 및 여가활동으로서만 그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전문적인 업무에 있어서도 충분한 활용가치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각종 형상의 블록들을 가상현실에서 조합할 수 있도록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한 바, 어린이들의 지능개발에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 또한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어버튼부의 간단한 조작에 따라 Web 3D상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을 실제와 동일하게 조합/배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용 및 기타 여건으로 실제 작업이 어려울 경우 본 발명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및 교육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꽃꽂이나 각종 공작물들의 조립 및 실내 인테리어 설계 등 다양한 조합/배치 등을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은 다양한 취미생활을 영유할 수 있고, 디자이너와 같은 전문직업인들은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에게는 지능개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S01)와;
    상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Web3D 컨텐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S10)와;
    상기 Web3D 컨텐츠 서비스의 초기화면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재료들을 선택하는 단계(S20)와;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을 각종 제어를 통하여 실행하는 단계(S30)와;
    상기와 같은 작업실행에 따른 재료선택에 사용된 대금을 결제하는 단계(S40)와;
    상기 작업 실행에 따른 결과물을 이용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Web3D 컨텐츠 서비스의 초기화면에는 각종 개체물의 목록을 표기하는 화면(C1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선택된 재료에 대한 미리보기화면(C2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사용된 재료의 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5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상황이 표시되는 작업표시화면(C30)이 배치되도록 한 것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각의 재료들의 위치,크기,방향,각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C40)가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버튼부(C40)에는,
    상기 작업표시화면(C30) 전체의 줌 확대/줌 축소와, X,Y,Z축상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위치를 X,Y,Z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과;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이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은,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의 카메라줌 원구(C41-3)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작업표시화면(C30)과 연동하여 각 좌표축을 맞추게 되며 이로 인해 선택된 재료의 조합/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하고자 하는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0)는,
    작업에 사용할 재료의 목록을 확인하는 단계(S21)와;
    작업에 사용할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S22)와;
    상기 재료의 목록에서 선택된 재료를 미리보는 단계(S23)와;
    상기 재료의 목록에서 선택된 재료의 일부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S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목록에서 선택된 재료의 일부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S24)는,
    선택된 재료를 미리보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4-1)와;
    상기 미리보기화면에 표시된 재료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부위를 클릭하는 단계(S24-2)와;
    상기와 같이 클릭된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S24-3)와;
    선택된 재료에 새로운 옵션을 추가하는 단계(S2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조합/배치 등의 작업을 각종 제어를 통하여 실행하는 단계(S30)는,
    선택된 재료를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하는 단계(S31)와;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되는 재료의 목록 및 단가를 계산하여 사용된 재료목록 및 비용을 표시하는 화면(C50)에 단가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S32)와;
    상기 작업표시화면(30)에 표시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배치하는 단계(S33)는,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S33-1)와;
    선택된 재료를 배치하기에 적절한 위치,크기 각도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 전체를 제어하는 단계(S33-2)와;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S33-3)와;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S33-4)와;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선택된 재료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S3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9. 제 2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 전체의 줌 확대/줌 축소와 X,Y,Z축상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3-2)는,
    상기 카메라 위치제어 버튼(C41)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줌 확대 클릭부(C41-1)의 클릭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 전체가 줌 확대되도록 하고, 카메라 줌 축소 클릭부(C41-2)의 클릭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 전체가 줌 축소되도록 하며, 카메라 줌 원구(C41-3)의 드래그 및 회전에 따라 작업표시화면(C30) 전체가 X,Y,Z축상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10.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위치를 X,Y,Z축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3-3,S33-5)는,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재료의 배치제어 버튼(C42)의 X축 지시 클릭부(C42-1,C42-2)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를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Y축 지시 클릭부(C42-3,C42-4)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를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Z축 지시 클릭부(C42-5,C42-6)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회전 원구(C42-7)의 드래그 및 회전에 따라 선택된 재료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11.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표시화면(C30)에 표시된 각 재료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S33-4)는,
    상기 재료의 크기제어 버튼(C43)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재료 크기제어 버튼(C43)의 크기 확대 클릭부(C43-1)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확대하고, 크기 축소 클릭부(C43-2)를 클릭하여 선택된 재료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eb3D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 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2002-0077842A 2002-12-09 2002-12-09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047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42A KR100470922B1 (ko) 2002-12-09 2002-12-09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42A KR100470922B1 (ko) 2002-12-09 2002-12-09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190A true KR20040050190A (ko) 2004-06-16
KR100470922B1 KR100470922B1 (ko) 2005-03-10

Family

ID=3734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842A KR100470922B1 (ko) 2002-12-09 2002-12-09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279A (ko) * 2011-05-11 2012-11-21 다솔 시스템므 3차원 장면에서 오브젝트들의 3차원 모델링된 어셈블리의 디자인
US9984178B2 (en) 2013-02-21 2018-05-29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Robot simulator, robot teaching apparatus and robot teach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07B1 (ko) 2015-04-24 2017-03-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웹 상에 3차원 정보를 갖는 html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28376B1 (ko) * 2016-05-13 2018-02-13 (주)칼리온 휴대용 3차원 문서 스캐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05A (ko) * 2000-03-14 2001-10-23 김태균 캐릭터의 컴포넌트화 방식 및 이러한 컴포넌트화된캐릭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에게다양한 캐릭터합성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1273418A (ja) * 2000-03-24 2001-10-05 Original Engineering Consultants Co Ltd 建設実際原価算出システム
KR20010007742A (ko) * 2000-07-25 2001-02-05 나기수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설계 및 인테리어 디자인 시스템 및그 방법
ITMI20010538A1 (it) * 2001-03-14 2002-09-14 Phoenix Tools S R L Sistema per la creazione la visualizzazione e la gestione di oggetti tridimensionali su pagine web e metodo relativo
KR20020059268A (ko) * 2002-06-03 2002-07-12 김준현 3d를 이용한 온라인상의 프라모델 활용방법 및 조립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7279A (ko) * 2011-05-11 2012-11-21 다솔 시스템므 3차원 장면에서 오브젝트들의 3차원 모델링된 어셈블리의 디자인
US9984178B2 (en) 2013-02-21 2018-05-29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Robot simulator, robot teaching apparatus and robot teach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922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2099B (zh) 关联用户界面的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和终端
US7739086B2 (en) Information delivering method
EP0753835B1 (en)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pace sharing method and system
US8972897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in virtual 3D
CN108762482B (zh) 一种大屏幕和增强现实眼镜间数据交互方法和系统
Fuhrmann et al. Collaborative visua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JP2004523036A (ja) 景観の画像ベースのデジタル表現
CN112711458B (zh) 虚拟场景中道具资源的展示方法及装置
WO20020933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3d gui) for computer systems and websites
CN114442872B (zh) 一种虚拟用户界面的布局、交互方法及三维显示设备
JP2007133776A (ja) アバター画像編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これらに用いられる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48325B2 (en) Generating photorealistic viewable image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Harper Mastering Autodesk 3ds Max 2013
JP2022537861A (ja) Arシーンコンテンツの生成方法、表示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CN113012280A (zh) 一种vr虚拟展厅构建方法和装置
CN112051956A (zh) 一种房源的交互方法和装置
JP200214073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
KR20090000729A (ko) 웹 기반 사이버 모델 하우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82903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园区展示系统及方法
WO2005086629A2 (en) Ingeeni flash interface
KR100470922B1 (ko) 웹 쓰리 디 가상현실에서 3차원으로 제작된 각종개체물들의 조합 및 표현과정과 결과물 이용에 따른컨텐츠 서비스 방법
JP7138375B1 (ja) 端末装置、仮想現実空間編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現実空間編集方法
van den Berg et al. Web-based interaction on feature models
KR20180104915A (ko) 3차원 가상공간 애니메이션 구현 시스템
Solina New media art projects, panoramic images and live video as interface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