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562A -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562A
KR20040049562A KR1020020077388A KR20020077388A KR20040049562A KR 20040049562 A KR20040049562 A KR 20040049562A KR 1020020077388 A KR1020020077388 A KR 1020020077388A KR 20020077388 A KR20020077388 A KR 20020077388A KR 20040049562 A KR20040049562 A KR 20040049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fixing
rail
cross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347B1 (ko
Inventor
조봉종
최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원레일테크
Priority to KR10-2002-007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3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2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lengths of assembled track, assembled switches, or assembled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4Way of locomotion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은, 화차 상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포인트부의 고정부를 고정침목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침목 후방으로 다수의 슬라이딩 침목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며, 그 슬라이딩 침목의 양단에는 멈춤목을 각각 설치한 후 침목고정판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포인트부의 전후단에는 레일의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각각 설치한 후, 포인트부 레일을 좌,우를 분리하여 2층으로 적재한 후, 레일의 수개소에 찬넬로 고정하며; 리드 레일 및 주 레일에 있어서는 화차의 상면에 받침목을 설치하고, 그 위에 특수제작된 상판을 이용하여 레일을 적재 및 팬드롤 크립을 이용하여 적재된 레일을 고정하며; 크로싱부에 있어서는 화차의 상면에 적재되는 고정부 침목밑에 침목받침목과 철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적재하며 침목 위에 크로싱을 적재한 후, 크로싱 위에는 특수제작된 크로싱 운반용 덮개를 덮어 크로싱의 유동을 방지하며; 침목 및 기타 부속품들에 있어서는 화차 전후좌우에 앵글 및 볼트로 연결된 철판을 감싸서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클립을 이용하여 화차 둘레의 철판과 기둥부재를 체결하며, 보조 체결수단으로 패스닝 벨트(자동바)를 이용하여 침목을 결속한다.

Description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Method for transferring of the turnout in a railway}
본 발명은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의 분기기를 현장에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는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선로는 토목공사를 통해 닦인 도상과, 도상위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침목과, 상기 침목 위에 시공되는 레일과, 상기 침목과 레일을 고정하거나 연결하는데 필요한 체결구를 비롯한 각종 부속품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상은 쇄석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어 선로 위에서 운행하는 열차의 탄성을 지지하고 하중을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침목은 목재, 콘크리트, 철재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레일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레일은 그 위에서 운행되는 열차의 진행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철도 선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누어 진행시키고자 할 때에는 분기기(分岐器)를 설치하여 진행 방향을 나누어 주게 되는데, 운행하는 열차가 레일을 바꾸게 되는 분기기는 고속으로 운행하는 열차의 중량과 속도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매우 정교하고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분기기의 시공은 신설공사 작업외에도 돌발사태 발생시 긴급보수를 요하는 작업인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런데, 분기기 1조(set)는 침목, 레일, 체결구를 비롯한 각종 부속품 등 많은 자재로 이루어지므로, 분기기의 시공시에는 절단장비와 정밀시공을 위한 측정장비를 비롯하여 상기 자재들을 운반하기 위한 모터카, 트럭, 화차 등의 운반장비가 많이 투입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소요인력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한편, 최근에 고속철도 건설과 기존선의 고속화와 관련하여, 분기기에 설치되는 레일 또한 기존보다 상당 부분 길어졌는데 그에 따라 그것을 운송하는 방법 또한 결코 수월하지가 않다. 종래의 일반적인 레일의 경우 그 단위 길이가 짧아 선로의 곡선부를 지나게 되더라도 별로 문제될 것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의 분기기에 설치되는 레일(특히 포인트부의 레일)은 종래의 일반 레일에 비해 그 길이가 거의 2배에 가까워 여러 대의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게 된다. 따라서, 선로의 곡선부를 지나게 될 경우, 실려 있는 분기부품들에 의해 그것을 싣고 있는 화차가 곡선부의 곡률에 따라 제대로 회전운행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화차의 차량 한계를 벗어나거나 분기기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철도 분기기의 시공과 관련하여 철도의 분기기를 운송함에 있어서 화차의 차량 한계를 벗어나지 않고 열차의 탈선이나 분기기의 변형이나 파손됨 없이 분기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운송할 수 있는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에 따라 분기기의 포인트부의 레일을 화차에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B-B 및 C-C 선에 따른 각각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에 따라 분기기의 리드 레일 및 주 레일을 화차에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에 따라 분기기의 크로싱부를 화차에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E-E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에 따라 침목 및 기타 악세사리를 화차에 적재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F-F 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화차 102...고정부 침목
103...슬라이딩 침목 104a,104b...멈춤목
105a,105b...침목고정판 106a,106b...스토퍼
107...(포인트부)레일 108...찬넬
109...(레일)받침목 110...상판
111...리드레일 및 주레일 112...침목 받침목
113...철판 114...크로싱
115...크로싱 덮개 116...화차둘레철판
117...U클립 118...화차 기둥부재
119...자동바 120...(레일용)침목
130...상판 140...부품 박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은, 철도의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기기의 포인트부의 레일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기의 포인트부 레일의 적재를 위해 마련된 2∼4량의 화차 상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포인트부의 고정부를 고정침목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침목 후방으로 곡선부에서의 굽힘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라이딩 침목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며, 그 슬라이딩 침목의 양단에는 멈춤목을 각각 설치한 후 침목고정판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포인트부의 전후단에는 레일의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를 각각 설치한 후, 포인트부 레일을 좌,우를 분리하여 2∼4층으로 적재한 후, 레일의 수개소에 찬넬로 상자식으로 고정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분기기의 리드 레일 및 주 레일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화차의 상면에 받침목을 설치하고, 그 위에 특수제작된 상판을 이용하여 레일을 적재 및 팬드롤 크립을 이용하여 적재된 레일을 고정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박시 소요시수를 줄일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분기기의 크로싱부의 레일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화차의 상면에 적재되는 고정부 침목밑에 침목받침목과 철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적재하며 침목 위에 크로싱을 적재한 후, 크로싱 위에는 특수제작된 크로싱 운반용 덮개를 덮어 크로싱의 유동을 방지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분기기의 침목 및 기타 부속품들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화차 전후좌우에 앵글 및 볼트로 연결된 철판을 감싸서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클립을 이용하여 화차 둘레의 철판과 기둥부재를 체결하며, 보조 체결수단으로 패스닝 벨트(자동바)를 이용하여 침목을 결속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은,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인트부, 리드 레일 및 주 레일, 크로싱부, 침목 및 기타 부속품들을 각 부위별로 특정한 방법으로 적재 및 고정한다.
먼저 포인트부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기의 포인트부 레일의 적재를 위해 마련된 2∼4량의 화차(101) 상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포인트부의 고정부를 고정침목(102)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침목(102) 후방으로 곡선부에서의 굽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라이딩 침목(103)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며, 그 슬라이딩 침목(103)의 양단에는 멈춤목(104a)(104b)을 각각 설치한 후 침목고정판(105a)(105b)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포인트부의 전후단에는 레일의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stopper) (106a)(106b)를 각각 설치한 후, 포인트부 레일(107)을 좌,우를 분리하여 2층으로 적재한 후, 레일의 수개소에 찬넬(108)로 고정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30은 침목과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을 나타낸다.
리드 레일 및 주 레일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차의 상면에 받침목(109)을 설치하고, 그 위에 특수제작된 상판(110)을 이용하여 레일 (111)을 적재 및 팬드롤 크립을 이용하여 적재된 레일(111)을 고정한다.
크로싱부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차의 상면에 적재되는 고정부 침목 밑에 침목받침목(112)과 철판(113)을 설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적재하며 침목 위에 크로싱(114)을 적재한 후, 크로싱(114) 위에는 특수제작된 크로싱 운반용 덮개(115)를 덮어 크로싱(114)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40은 분기기의 부품 박스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리드 레일 및 주 레일 운송방법과 크로싱부 운송방법은 각각 팬드롤 체결 및 크로싱 덮개 사용으로 인하여 제품을 보다 견고히 함은 물론 상차 결박 작업시,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침목 및 기타 부속품들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차 전후좌우에 앵글 및 볼트로 연결된 철판(116)을 감싸서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클립(U클립)(117)을 이용하여 화차 둘레의 철판(116)과 기둥부재(118)를 체결하며, 보조 체결수단으로 패스닝 벨트(자동바)(119)를 이용하여 침목(120)을 결속한다.
이상과 같이 철도의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함에 있어서, 곡선부를 통과할 경우 포인트부의 레일(107)은 슬라이딩 침목(103) 상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적재되어 있어 어느 정도 좌우 유동이 있게 되며, 따라서 이 포인트부의 레일(107)을 싣고 있는 화차의 곡선부에서의 회전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화차의 차량 한계 내에서 분기기의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은 분기기 를 각 부위별로 특정한 적재방법으로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게 되므로, 열차분기기의 변형이나 파손됨 없이 분기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철도의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기기의 포인트부의 레일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기의 포인트부 레일의 적재를 위해 마련된 2∼4량의 화차 상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포인트부의 고정부를 고정침목으로 고정하고, 그 고정침목 후방으로 곡선부에서의 굽힘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라이딩 침목을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며, 그 슬라이딩 침목의 양단에는 멈춤목을 각각 설치한 후 침목고정판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포인트부의 전후단에는 레일의 전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를 각각 설치한 후, 포인트부 레일을 좌,우를 분리하여 적재한 후, 레일의 수개소에 찬넬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2. 철도의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기기의 리드 레일 및 주 레일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화차의 상면에 받침목을 설치하고, 그 위에 특수제작된 상판을 이용하여 레일을 적재 및 팬드롤 크립을 이용하여 적재된 레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3. 철도의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기기의 크로싱부의 레일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화차의 상면에 적재되는 고정부 침목밑에 침목받침목과 철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적재하며 침목 위에 크로싱을 적재한 후, 크로싱 위에는 특수제작된 크로싱 운반용 덮개를 덮어 크로싱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4. 철도의 분기기를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기기의 침목 및 기타 부속품들을 적재 및 고정함에 있어서는 화차 전후좌우에 앵글 및 볼트로 연결된 철판을 감싸서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클립을 이용하여 화차 둘레의 철판과 기둥부재를 체결하며, 보조 체결수단으로 패스닝 벨트(자동바)를 이용하여 침목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KR10-2002-0077388A 2002-12-06 2002-12-06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KR10047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88A KR100471347B1 (ko) 2002-12-06 2002-12-06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388A KR100471347B1 (ko) 2002-12-06 2002-12-06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121U Division KR200305741Y1 (ko) 2002-12-12 2002-12-12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의 분기기 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562A true KR20040049562A (ko) 2004-06-12
KR100471347B1 KR100471347B1 (ko) 2005-03-10

Family

ID=3734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388A KR100471347B1 (ko) 2002-12-06 2002-12-06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3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277A (zh) * 2012-02-28 2012-07-04 孙晓伟 铁路道岔整体移动装置
CN102535276A (zh) * 2011-12-01 2012-07-04 孙晓伟 铁路道岔整体移动装置
US10446802B2 (en) 2014-08-11 2019-10-15 Samsung Sdi Co., Ltd. Curve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03000B2 (en) 2013-09-09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276A (zh) * 2011-12-01 2012-07-04 孙晓伟 铁路道岔整体移动装置
CN102535276B (zh) * 2011-12-01 2013-11-20 孙晓伟 铁路道岔整体移动装置
CN102535277A (zh) * 2012-02-28 2012-07-04 孙晓伟 铁路道岔整体移动装置
US11303000B2 (en) 2013-09-09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446802B2 (en) 2014-08-11 2019-10-15 Samsung Sdi Co., Ltd. Curve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347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347B1 (ko) 철도의 분기기 운송방법
CN88101664A (zh) 轨道引导的铁轨车辆和磁力车辆共用的双转换系统
KR200305741Y1 (ko)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의 분기기 운송장치
EP1552063B1 (en) Turnout/crossover section for railway track
PT898016E (pt) Metodo e dispositivo para o transporte de um troco de via-ferrea
YU10604A (sh) Čvrsti kolosek
DE50007651D1 (de) Zweiwegefahrzeug zum Abladen von Schienen
JP3816011B2 (ja) 鉄道車両車輪復線装置、及び鉄道車両車輪の復線方法
CN1192975A (zh) 追车、甩车高速铁路运输系统
US20030192450A1 (en) Train management system
US50243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welded rail
FR2708244B1 (fr) Véhicules, installation et procédé pour le transbordement en marche de personnes ou de marchandises.
CN210031371U (zh) 钢轨伸缩调节器基本轨折断应急加固装置
CN110629597A (zh) 铁路道砟轨枕道床改造成内砟外板道床附设标准轨距钢轨
US3593918A (en) Apparatus for temporarily connecting a conventional bolted rail to a laid portion of a continuous welded rail of a railway track
US7293506B2 (en) Structural system comprising a track for a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 system powered by a linear electric motor
ATE279345T1 (de) Verladesystem für fahrzeuge auf und von eisenbahnwaggons
CN216040431U (zh) 轨道组件、轨道系统及轨道桥梁
JP7554242B2 (ja) 隣接線路間防護柵
JPH0725001U (ja) 鉄道レール用まくら木の構造
JP5260766B2 (ja) 鉄道列車搬入搬出方法
JP5043873B2 (ja) トラバーサ、異軌間軌道列車移動システム及び鉄道列車搬入搬出方法
EP0903260B1 (de) Spurgeführter selbstangetriebener Containertragwagen
GB1306501A (en) Handling of freight containers
Kish et al. Dynamic buckling test analyses of a high degree CWR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