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386A -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386A
KR20040049386A KR1020020076782A KR20020076782A KR20040049386A KR 20040049386 A KR20040049386 A KR 20040049386A KR 1020020076782 A KR1020020076782 A KR 1020020076782A KR 20020076782 A KR20020076782 A KR 20020076782A KR 20040049386 A KR20040049386 A KR 20040049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cup
nut
holders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386A/ko
Publication of KR20040049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3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고정하는 링형 홀더 및 컵 받침과, 조작 레버의 록킹 해제시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는 스크류 축 부재와, 이 스크류 축 부재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상기 링형 홀더 및 컵 받침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사용시에는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상기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동시 선회 작동되어 접혀질 있게 구성됨으로써, 주변 공간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Cup holder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고정하는 링형 홀더 및 컵 받침과, 조작 레버의 록킹 해제시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는 스크류 축 부재와, 이 스크류 축 부재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상기 링형 홀더 및 컵 받침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사용시에는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상기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동시 선회 작동되어 접혀질 있게 구성됨으로써, 주변 공간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도로사정이 양호해지고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자동차를 이용하여 장거리 주행을 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장거리 주행시에는 음료수 등을 많이 섭취하게 되는 바, 자동차 실내에는 컵 홀더가 구비되어 마시다 남은 음료수가 담긴 컵이나 캔을 꽂아 두도록 하고 있다.
통상, 상기 컵 홀더는 자동차 실내 전방의 센터 패시아 또는 콘솔박스 등의 여유공간에 설치되는데, 커버 및 컵 받침 그리고 그 밖의 작동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설치되거나, 콘솔박스의 보디 표면에 포밍 가공된 컵 홀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시트 중앙에 설치된 박스형태의 암 레스트 내부에 컵 홀더가 내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홀더 장치는 컵을 고정하는 홀더 몸체나 컵 받침 등이 대개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효율적인 공간활용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였고, 특히 암 레스트와 같은 구조물 내부에 내장되는 고정식 컵 홀더의 경우에는 사용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여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컵을 고정하는 링형 홀더 및 컵 받침과, 조작 레버의 록킹 해제시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는 스크류 축 부재와, 이 스크류 축 부재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상기 링형 홀더 및 컵 받침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사용시에는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상기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동시 선회 작동되어 접혀질 있게 구성됨으로써, 주변 공간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도록 개선된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의 구성을 보인 장치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서 스크류 축 부재와 너트형 작동수단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서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서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11b : 링형 홀더12a,12b : 컵 받침
21 : 상측 스크류 축 부재24 : 하측 스크류 축 부재
23,26 : 가이드 핀27a,27b : 안내 튜브
28a,28b : 스프링30 : 조작 레버
31 : 상하 슬롯32 : 힌지축
40 : 너트형 작동수단41 : 너트 부재
43 : 외측 튜브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는, 너트형 작동수단(40)을 매개로 스크류 축 부재(21,24)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 작동되면서 접힘 가능하게 된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과;
상기 링형 홀더(11a,11b)의 구동을 위하여 장착부(1)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와, 상기 컵 받침(12a,12b)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와 나란한 상태로 장착부(1)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로 이루어져, 조작 레버(30)의 록킹 해제시 각각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도록 된 스크류 축 부재(21,24)와;
상기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작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을 해당 스크류 축 부재(21,24)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상측 및 하측의 두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전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30)에 연결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장착부(1) 안쪽의 상측 및 하측에 나란히 고정 설치된 해당 안내 튜브(27a,27b)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각 안내 튜브(27a,27b) 내에 설치된 스프링(28a,28b)에 의해 각각 탄성 지지되면서 탄력적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외주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좌우로 나란한 두 축(22a,22b,25a,25b)이 상기 안내 튜브(27a,27b) 내에 삽입되는 부분의 전방에서 일체로 연결되고 전단부 끝에 형성시킨 가이드 핀(23,26)에서 다시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전단부 끝의 상기 가이드 핀(23,26)이 상기 조작 레버(30)의 양 측면에 형성시킨 상하 슬롯(31) 내에서 삽입 안내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하나의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상기 나란한 두 축(22a와 22b,25a와 25b)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측 및 하측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좌우 같은쪽 방향 상/하측에 위치된 두 축(22a와 25a, 22b와 25b)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작 레버(30)는, 상기 장착부(1)에 결합된 하측의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장착부(1)의 록킹장치(2)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된 록킹부(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형 작동수단(40)은, 전후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1)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4)에 의해 지지되고,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전방의 나사결합부(42a)를 통해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해당 축(22a,22b,25a,25b)의 나사선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작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된 너트 부재(41)와;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해당 축(22a,22b,25a,25b)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전방의 상기 너트 부재(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전단부 끝이 상기 너트 부재(41)와 연결되어 있고, 그 외주면상에는 상기 링형 홀더(11a,11b) 또는 컵 받침(12a,12b)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외측 튜브(4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의 구성을 보인 장치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서 스크류 축 부재와 너트형 작동수단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특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의 컵 고정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서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절개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서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미사용시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링형 홀더(11a,11b)와 컵 받침(12a,12b)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동시 선회 작동되어 접혀질 있게 구성됨으로써, 주변 공간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는 컵을 고정하는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과, 조작 레버(30)의 록킹 해제시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는 스크류 축 부재(21,24)와, 이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상기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각 구성요소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컵 홀더 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1)의 안쪽 상측 및 하측에 나란히 설치된 안내 튜브(27a,27b) 내에는 해당 스크류 축 부재(21,24)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전/후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축 부재(21,24)는 링형 홀더(11a,11b)의 구동을 위한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와, 컵 받침(12a,12b)의 구동을 위한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로 이루어지고, 각 스크류 축 부재(21,24)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안내 튜브(27a,27b) 또한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외주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두 개의 좌우로 나란한 축(22a,22b,25a,25b)이 상기 안내 튜브(27a,27b) 내에 삽입되는 부분의 전방에서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나란한 두 축(22a,22b,25a,25b)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상기 후단부의 끝에는 걸림단(21a,24a)이 사각단면으로 형성되어 역시 사각단면으로 된 안내 튜브(27a,27b) 내에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안내 튜브(27a,27b) 내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상기 후단부 끝 걸림단(21a,24a)에 의해 안내 튜브(27a,27b) 내에서 전방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의 나란한 두 축(22a,22b,25a,25b)은 전단부 끝에 형성된 가이드 핀(23,26)에서 다시 일체로 연결되고, 이 가이드 핀(23,26)은 이후 설명될 조작 레버(30)의 상하 슬롯(31) 내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와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는 상측 및 하측에서 나란히 배치되어 역시 나란히 배치된 해당 안내 튜브(27a,27b) 내에서 전/후진 안내되며, 상기 안내 튜브(27a,27b)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28a,28b)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결국, 상기 두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스프링(28a,28b)의 힘에 의해 전단부쪽의 조작 레버(30)를 하측의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전방 회동시키면서 전진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작 레버(30)의 상측을 반대쪽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스프링(28a,28b)을 압축하면서 후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작동력은 이후 설명될 너트형 작동수단(40)을 매개로 결합된 링형 홀더(11a,11b)와 컵 받침(12a,12b)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힘이 된다.
물론, 상기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동작과 조작 레버(30)의 전후 회동 동작 동안에는 각 스크류 축 부재(21,24)의 가이드 핀(23,26)이 조작 레버(30)의 상하 슬롯 내에서 상/하로 안내되어진다.
한편, 상기 조작 레버(30)는 장착부(1)에 결합된 하측의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양 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가이드 핀(23,26)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슬롯(3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장착부(1)의 록킹장치(2)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된 록킹부(33)가 설치된다.
결국, 상기 조작 레버(30)는, 장착부(1)의 록킹장치(2)에 의해 상단 록킹부(33)의 록킹이 해제될 때, 각 안내 튜브(27a,27b) 내 스프링(28a,28b)의 힘에 의해 각 스크류 축 부재(21,24)가 전진하면서 미는 힘에 의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전방 회동되며, 이때 스크류 축 부재(21,24)의 가이드 핀(23,26)은 상하 슬롯(31)을 따라 상향 안내되는 형태가 된다.
한편, 상기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를 구성하는 각각의 축(22a,22b)에는, 두 개의 링형 홀더(11a,11b)가 두 축(22a,22b)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나씩의 링형 홀더(11a,11b)가 너트형 작동수단(40)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축(25a,25b)에는, 역시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컵 받침(12a,12b)이 두 축(25a,25b)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나씩의 컵 받침(12a,12b)이 너트형 작동수단(40)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각 링형 홀더(11a,11b)와 컵 받침(12a,12b)은 결합부(13,14)에 의해 이후 설명될 너트형 작동수단(40)의 외측 튜브(41) 외주면상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너트형 작동수단(40)은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축(22a,22b,25a,25b)으로부터 전/후진 작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너트 부재(41)와, 이 너트 부재(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링형홀더(11a,11b) 또는 컵 받침(12a,12b)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외측 튜브(4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너트 부재(41)는, 내주면상에 나사선이 형성된 전방의 나사결합부(42a)와 내주면상에 치형이 형성된 후방의 기어결합부(42b)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의 나사결합부(42a)가 해당 축(22a,22b,25a,25b)의 나사선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너트 부재(41)는 조작 레버(30)의 록킹부(33)가 록킹되어지는 장착부(1)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4)에 의해 전후 위치는 고정된 채 회전만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한편, 상기 각 외측 튜브(43)는, 전단부 끝에 형성시킨 기어형상부(44)가 상기 너트 부재(41)의 기어결합부(42b)에 치합된 상태로 해당 축(22a,22b,25a,25b)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것이며, 내측의 축(22a,22b,25a,25b)이 전/후진 하는 것과는 달리 너트 부재(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 작동된다.
물론, 상기 너트 부재(41)와 외측 튜브(43)는 상측 및 하측의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각각의 축(22a,22b,25a,25b)에 설치되는 바, 총 4개가 필요하다.
결국, 상기 각 너트 부재(41)는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작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동작으로부터 외측 튜브(43)의 회전 동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각 외측 튜브(43)는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너트 부재(41)에 의해 함께 회전되면서 해당 링형 홀더(11a,11b) 또는 컵 받침(12a,12b)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컵 홀더 장치에서 컵의 고정이 가능한 상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의 상태에서 두 개의 링형 홀더(11a,11b)가 동시에 상측으로 선회 작동됨과 동시에 두 개의 컵 받침(12a,12b)이 동시에 하측으로 선회 작동된 상태이다.
이는 장착부 록킹장치(2)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 각 스크류 축 부재(21,24)가 스프링력에 의해 전진하는 동안 조작 레버(30)가 전방 회동되도록 한 상태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두 링형 홀더(11a,11b)가 상측으로 선회 작동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야 하고, 상기 컵 받침(12a,12b) 역시 하측으로 선회 작동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 작동되어야 하므로,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의 두 축(22a,22b)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 형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음이 마땅하고, 이는 너트 부재(41)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에 설치된 두 외측 튜브(4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 회전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의 두 축(25a,25b) 및 이에 결합된 너트 부재(41)의 나사산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에 설치된 두 외측 튜브(43) 또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 회전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 축 부재(21,24)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의 링형 홀더(11a)와 컵받침(12a)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 작동되어야 하고, 우측의 링형 홀더(11b)와 컵 받침(12b) 또한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 작동되어야 하므로, 이 또한 각 축(22a,22b,25a,25b)의 나사산과 이에 결합되는 너트 부재(41)의 나사산을 설계함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상측 및 하측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좌우 같은쪽 방향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된 두 축(22a와 25a, 22b와 25b)은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후, 도 1의 상태에서 다시 도 4의 상태와 같이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을 접어두기 위해서는 조작 레버(30)를 밀어 그 록킹부(33)를 장착부(1)의 록킹장치(2)에 록킹시켜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는 미사용시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상기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동시 선회 작동되어 접혀질 있게 구성됨으로써, 주변 공간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에 의하면, 컵을 고정하는 링형 홀더 및 컵 받침과, 조작 레버의 록킹 해제시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는 스크류 축 부재와, 이 스크류 축 부재의 전/후진 동작과 동시에 상기 링형 홀더 및 컵 받침을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미사용시에는 간단한 레버 조작만으로 상기 링형 홀더와 컵 받침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동시 선회 작동되어 접혀질 있게 구성됨으로써, 주변 공간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너트형 작동수단(40)을 매개로 스크류 축 부재(21,24)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 작동되면서 접힘 가능하게 된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과;
    상기 링형 홀더(11a,11b)의 구동을 위하여 장착부(1)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와, 상기 컵 받침(12a,12b)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상측 스크류 축 부재(21)와 나란한 상태로 장착부(1)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 스크류 축 부재(24)로 이루어져, 조작 레버(30)의 록킹 해제시 각각 스프링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전진 작동하도록 된 스크류 축 부재(21,24)와;
    상기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작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링형 홀더(11a,11b) 및 컵 받침(12a,12b)을 해당 스크류 축 부재(21,24)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 작동시키는 너트형 작동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의 두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전단부가 상기 조작 레버(30)에 연결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장착부(1) 안쪽의 상측 및 하측에 나란히 고정 설치된 해당 안내 튜브(27a,27b)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각 안내 튜브(27a,27b) 내에 설치된 스프링(28a,28b)에 의해 각각 탄성 지지되면서 탄력적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는,
    외주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좌우로 나란한 두 축(22a,22b,25a,25b)이 상기 안내 튜브(27a,27b) 내에 삽입되는 부분의 전방에서 일체로 연결되고 전단부 끝에 형성시킨 가이드 핀(23,26)에서 다시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전단부 끝의 상기 가이드 핀(23,26)이 상기 조작 레버(30)의 양 측면에 형성시킨 상하 슬롯(31) 내에서 삽입 안내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상기 나란한 두 축(22a와 22b,25a와 25b)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측 및 하측 두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좌우 같은쪽 방향 상/하측에 위치된 두 축(22a와 25a, 22b와 25b)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5.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30)는,
    상기 장착부(1)에 결합된 하측의 힌지축(32)을 중심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장착부(1)의 록킹장치(2)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된 록킹부(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6. 제 1 항에서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형 작동수단(40)은,
    전후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만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1)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4)에 의해 지지되고,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전방의 나사결합부(42a)를 통해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해당 축(22a,22b,25a,25b)의 나사선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축 부재(21,24)의 전/후진 작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된 너트 부재(41)와;
    상기 각 스크류 축 부재(21,24)를 구성하는 해당 축(22a,22b,25a,25b)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전방의 상기 너트 부재(4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전단부 끝이 상기 너트 부재(41)와 연결되어 있고, 그 외주면상에는 상기 링형 홀더(11a,11b) 또는 컵 받침(12a,12b)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외측 튜브(4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KR1020020076782A 2002-12-05 2002-12-05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KR20040049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782A KR20040049386A (ko) 2002-12-05 2002-12-05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782A KR20040049386A (ko) 2002-12-05 2002-12-05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386A true KR20040049386A (ko) 2004-06-12

Family

ID=3734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782A KR20040049386A (ko) 2002-12-05 2002-12-05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38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06U (ko) * 1994-08-29 1996-03-13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KR960017054U (ko) * 1994-11-30 1996-06-1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수직형 드링크용기 홀더
KR980001837U (ko) * 1996-06-28 1998-03-3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80028248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접이식 컵 홀더
US6349913B1 (en) * 2000-10-06 2002-02-26 Collins & Aikman Products Co.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06U (ko) * 1994-08-29 1996-03-13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KR960017054U (ko) * 1994-11-30 1996-06-1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수직형 드링크용기 홀더
KR980001837U (ko) * 1996-06-28 1998-03-30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80028248A (ko) * 1996-10-21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접이식 컵 홀더
US6349913B1 (en) * 2000-10-06 2002-02-26 Collins & Aikman Products Co. Cup holder having a vertically oriented dra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639B (zh) 玻璃刮水装置
US7441912B2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CN107662525B (zh) 用于车辆的座椅旋转装置
CN206201976U (zh) 换挡杆装置
JP4845911B2 (ja) ヒンジ機構およびその機構を有する乗物シート
US10669766B2 (en) Opening/closing body driving device
US20080084624A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CN102700465A (zh) 车辆用外侧镜装置
CN101329026B (zh) 车辆用前照灯
JP2008174027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8076944A (ja) 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の手動解除装置
KR20040049386A (ko) 자동차용 컵 홀더 장치
JP2005153738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CN102219002A (zh) 车辆用外侧镜装置
CN110397734A (zh) 马达单元
JP2005104173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CN101778735A (zh) 车辆用座椅装置
KR100930757B1 (ko) 콘솔박스의 콘솔커버 양방향 개폐장치
KR100428386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CN220220609U (zh) 用于车载显示屏的翻转装置及车载显示屏系统
CN111395888A (zh) 双拉发动机罩锁
JP2008149974A (ja) カップホルダ構造
CN219134022U (zh) 一种显示装置及汽车
JP2006307507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カー
KR0137683Y1 (ko) 차량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