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1Y1 -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1Y1
KR200400491Y1 KR20-2005-0024120U KR20050024120U KR200400491Y1 KR 200400491 Y1 KR200400491 Y1 KR 200400491Y1 KR 20050024120 U KR20050024120 U KR 20050024120U KR 200400491 Y1 KR200400491 Y1 KR 200400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box
banknote storage
bill storage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환
이경태
허성창
황진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4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25Secure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폐보관박스를 박스프레임에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시키되 지폐보관박스의 장착시에는 별도의 키조작없이도 자동잠금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폐보관박스가 삽입장착되는 박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보관박스를 상기 박스프레임에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우징브라켓,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보관박스측으로 이동 또는 후퇴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보관박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돌출삽입 또는 후퇴되고 돌출삽입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와 결합되며 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출몰돌기,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 또는 후퇴시키는 키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복수개의 지폐보관박스가 일제잠금 또는 일제해제되면서도 각 지폐보관박스가 박스프레임에 삽입장착시에는 키조작없이도 자동으로 후퇴 후 잠금고정되어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고안임.

Description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bill stacking box}
본 고안은 지폐보관박스가 복수개 장착되는 박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프레임에 장착된 지폐보관박스가 임의탈착되지 않도록 박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지폐보관박스를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시키되 지폐보관박스의 장착시에는 별도의 키조작없이도 자동잠금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웬만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출금기와 지폐입출금기 등이 있는데, 지폐출금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관된 지폐를 자동으로 출금만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입출금기는 출금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입금 또는 출금될 지폐가 적재 또는 보관되는 지폐보관박스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지폐보관박스는 출금기능만이 구현되면 카세트(cassette)라 칭하고, 상기한 카세트의 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까지 구현되는 환류식 보관함을 리싸이클박스(recyclebox)라 칭한다.
한편, 금융자동화기기는 한 종류의 지폐만을 취급하는 것에 부가하여 다권종의 지폐를 취급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지폐보관박스가 복수개 설치되고 각 지폐보관박스에 각 종류의 지폐가 내장됨으로써 다권종이 취급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금융자동화기기는 복수개의 지폐보관박스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각 지폐보관박스에 지폐회수 및 지폐보충 동작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지폐보관박스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메인프레임에 슬라이딩장탈착되는 박스프레임에 삽입장착된다.
이와같이 지폐보관박스는 박스프레임에 장착될 시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잠금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지폐회수시나 지폐보충시에는 용이하게 잠금해제되어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조작편의성이 향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박스프레임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지폐보관박스를 용이하게 잠금고정고정 또는 잠금해제하되, 지폐보관박스가 삽입장착될 때에는 자동으로 후퇴 후 잠금고정되어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금 또는 출금될 지폐가 보관적재되는 지폐보관박스가 삽입장착되는 박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보관박스를 상기 박스프레임에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브라켓;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고 키조작에 의하여 상기 지폐보관박스측으로 이동 또는 후퇴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 또는 후퇴에 의해 상기 지폐보관박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돌출삽입 또는 후퇴되고, 돌출삽입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지폐보관박스의 저단과 접촉되는 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출몰돌기;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 또는 후퇴시키는 키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메인프레임 및 박스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100)는 지폐보관박스가 복수개 장착되는 박스프레임(200)에 설치된다.
박스프레임(200)은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다권종의 지폐가 취급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는 격벽(202) 등으로 구획되어져 지폐보관박스(300)가 복수개 내장되고, 금융자동화기기 메인프레임(900)에 슬라이딩 장착 또는 탈착된다.
지폐보관박스(300)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입금 또는 출금될 지폐가 보관적재되는 것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박스프레임(200)에 삽입장착되는 한편, 박스프레임(200)의 일측판(201)을 따라 설치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100)에 의하여 박스프레임(200)에 잠금고정되거나 잠금해제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100)의 주요한 구성부품으로는 박스프레임(20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브라켓(10), 상기 하우징브라켓(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키조작에 의하여 지폐보관박스(300)측으로 이동 또는 후퇴되는 데드볼트(20), 상기 데드볼트(20)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20)의 이동 또는 후퇴에 의해 지폐보관박스(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01)으로 돌출삽입 또는 후퇴되고 돌출삽입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32)와 결합되며 지폐보관박스(300)의 저단과 접촉되는 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출몰돌기(31), 하우징브라켓(10)에 설치되어 데드볼트(20)를 이동 또는 후퇴시키는 키뭉치(4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브라켓(10)은 박스프레임(200)의 일측판(201) 외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출몰돌기(31)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출몰돌기 하우징(30)이 데드볼트(20)에 조립결합이 용이하도록 2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하우징브라켓(10)은 상부 하우징브라켓(11)과 하부 하우징브라켓(12)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편, 박스프레임(200)의 일측판(201)측으로 결합되는 면은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폐쇄하도록 각 단부가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데드볼트(20)는 하우징브라켓(10) 내에 설치되되, 하부 하우징브라켓(12)의 수평면에서 소정길이만큼 상향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12a)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장공(21)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키뭉치(40)에 키조작이 행해지면 지폐보관박스(200)측으로 이동 또는 대향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출몰돌기(31)는 박스프레임(200)에 삽입장착된 지폐보관박스(300)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홈(301)으로 돌출삽입 또는 대향측으로 후퇴하여 지폐보관박스(300)를 박스프레임(200)에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하는 구성부품으로, 걸림홈(301)에 돌출삽입 또는 대향측으로 후퇴시 이송가이드 되도록 데드볼트(20)의 상면에 조립결합되는 출몰돌기 하우징(30)에 조립설치되고, 박스프레임(200)에 삽입장착되는 지폐보관박스(300)의 저단과 접촉되는 상면 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탄성부재(32)는 출몰돌기(31)와 출몰돌기 하우징(3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출몰돌기(31)가 걸림홈(301)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키뭉치(40)는 키조작이 수행되는 키홀이 형성된 부위가 하우징브라켓(10)의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하우징브라켓(10) 내에 설치되는 한편, 키조작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선회캠(41)이 결합된다.
이러한 선회캠(41)은 키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는 한편, 데드볼트(20)의 일측에 형성된 캠접촉부(23)와 캠접촉하여 데드볼트(20)를 지폐보관박스(300)측으로 이동 또는 후퇴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의 잠금고정 및 잠금해제 동작을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상태도로써, 도 3의 (a)는 지폐보관박스가 박스프레임에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삽입되어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의 출몰돌기와 가압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지폐보관박스에 의해 가압접촉된 출몰돌기가 후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c)는 지폐보관박스가 박스프레임에 완전삽입되어 후퇴되어 있던 출몰돌기가 제1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어 자동잠금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d)는 키조작에 의하여 데드볼트 및 출몰돌기가 후퇴하여 지폐보관박스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a), (b), (c), (d)에서는 박스프레임(200) 및 일측판(201)이 도시되지 않은 상태이나,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100)는 박스프레임(200)의 일측판(201)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박스프레임(200)의 일측판(201)에는 각 출몰돌기(31)가 진입 및 후퇴될수 있는 관통공(도면에 표현되지 않음)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지폐보관박스(300)가 박스프레임(200)의 정위치에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삽입장착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박스프레임(2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있던 출몰돌기(31)는 지폐보관박스(300)의 저단과 가압접촉된다.
출몰돌기(31)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단부에 지폐보관박스(300) 자체의 자중 및 사용자가 삽입장착을 위하여 조작한 가압력이 작용되므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탄성부재(32)의 탄성을 극복하고 출몰돌기 하우징(30)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지폐보관박스(300)가 박스프레임(200)내에 완전 삽입장착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몰돌기(31)는 지폐보관박스(300)의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 걸림홈(301)측으로 제1탄성부재(32)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삽입된다.
이처럼, 지폐보관박스(300)는 별도의 키조작이 없이도 자동잠금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지폐보관박스가 사용자의 실수로 키조작여부를 확인하지 않은채 지폐보관박스를 박스프레임에 삽입장착할 시에 출몰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라면 출몰돌기와 지폐보관박스가 충돌하여 출몰돌기가 파손되는 것에 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는 출몰돌기가 지폐보관박스가 삽입장착시 후퇴됨으로 출몰돌기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박스프레임(200)에 잠금고정되어 있는 지폐보관박스(300)가 지폐보충 또는 지폐회수를 위하여 박스프레임(200)에서 탈착되어야 할 경우, 지폐보관박스(300) 먼저 잠금해제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키뭉치(40)에 키를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키조작하게 되면, 선회캠(41)도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이에 데드볼트(20)는 캠접촉부(23)가 선회캠(41)에 캠접촉되고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장공(21)이 가이드돌기(12a)에 가이드되므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퇴하되, 상면에 결합된 출몰돌기(31)의 전단이 걸림홈(301)과 완전 회피되는 위치까지 후퇴하게된다.
따라서, 지폐보관박스(300)는 잠금해제되었으므로 사용자에 의하여 박스프레임(300)에서 삽입장착방향의 역방향으로 탈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부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드볼트(20)는 지폐보관박스(300)측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22)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탄성부재(22)는 데드볼트(20)와 하우징브라켓(1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데드볼트(20)가 걸림홈(301)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키조작을 수행하게 되면, 데드볼트(20)는 제2탄성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가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지폐보관박스가 일회키조작에 의해 일제잠금 또는 일제해제되면서도, 각 지폐보관박스가 박스프레임에 삽입장착시에는 키조작없이도 자동으로 후퇴 후 잠금고정되어 조작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메인프레임 및 박스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브라켓 11 : 상부 하우징브라켓
12 : 하부 하우징브라켓 20 : 데드볼트
21 : 슬라이드장공 22 : 제2탄성부재
23 : 캠접촉부 30 : 출몰돌기 하우징
31 : 출몰돌기 32 : 제1탄성부재
40 : 키뭉치 41 : 선회캠
100 :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200 : 박스프레임
300 : 지폐보관박스 301 : 걸림홈

Claims (2)

  1. 입금 또는 출금될 지폐가 보관적재되는 지폐보관박스가 삽입장착되는 박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보관박스를 상기 박스프레임에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브라켓;
    상기 하우징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고 키조작에 의하여 상기 지폐보관박스측으로 이동 또는 후퇴되는 데드볼트;
    상기 데드볼트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이동 또는 후퇴에 의해 상기 지폐보관박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돌출삽입 또는 후퇴되고, 돌출삽입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제1탄성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지폐보관박스의 저단과 접촉되는 단부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출몰돌기;
    상기 하우징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데드볼트를 이동 또는 후퇴시키는 키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는 상기 지폐보관박스측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제2탄성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KR20-2005-0024120U 2005-08-22 2005-08-22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KR200400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20U KR200400491Y1 (ko) 2005-08-22 2005-08-22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20U KR200400491Y1 (ko) 2005-08-22 2005-08-22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1Y1 true KR200400491Y1 (ko) 2005-11-08

Family

ID=4370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20U KR200400491Y1 (ko) 2005-08-22 2005-08-22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44720A (ja) 紙葉類収納装置
US5715923A (en) Currency acceptor with locking cash box
KR100568938B1 (ko) 금전수납장치
EP1934952B1 (en) Banknote cassette
KR102165828B1 (ko)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101170559B1 (ko)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JP5831010B2 (ja) ロック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400491Y1 (ko) 지폐보관박스 잠금장치
KR20060127478A (ko) 리싸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유동방지장치
JP5355427B2 (ja)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KR200399009Y1 (ko) 카세트프레임 도어 잠금장치
JP6606829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RU2332719C2 (ru) Залоговый замок
JP6891924B2 (ja) 媒体処理装置
KR20110127779A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KR10210686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KR101627918B1 (ko)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JPS6126117B2 (ko)
KR10109434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프레임
KR102621309B1 (ko) 매체 저장 카세트
KR200393046Y1 (ko) 지폐카세트 잠금장치
JP4150226B2 (ja) リジェクトカード回収庫のシャッタロック機構
KR101072163B1 (ko) 매체카세트박스의 해제장치
KR200302436Y1 (ko) 지폐류 저장박스
KR20060127483A (ko) 금융자동화기기용 리싸이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