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129A -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129A
KR20040049129A KR1020020076975A KR20020076975A KR20040049129A KR 20040049129 A KR20040049129 A KR 20040049129A KR 1020020076975 A KR1020020076975 A KR 1020020076975A KR 20020076975 A KR20020076975 A KR 20020076975A KR 20040049129 A KR20040049129 A KR 20040049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asing
liquid sample
water tank
samp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충한
김성현
민선기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129A/ko
Publication of KR2004004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62Sampling under constant temperature, pressure,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액체시료를 자동적으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내에 물을 저장토록 형성되는 수조(20);와, 상기 수조(10)내에 배치되는 가열수단(30);과, 상기 수조(10)내에 배치되고 액체시료(L)가 충진되며, 내측에는 교반수단(40)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용기(50);와, 상기 시료용기(50)에서 수조 (20) 바닥을 통하여 연결되고, 시료의 체취량을 자동 조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피펫수단(60);및, 상기 시료용기(50)과 피펫수단(60)사이에 연결되는 밸브(82)와 연결되고 케이싱(10)의 외측에 돌출되는 시료 채취관(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시료의 시료채취시 시료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교반하는 동시에,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면서 액체시료 채취작업을 자동화하는 동시에, 여러 액체시료를 동시에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ICKING LIQUID SAMPLE}
본 발명은 액체시료를 자동적으로 채취할 수 있도록 한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로는 액체시료의 시료채취시 시료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교반하는 동시에,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가능하고, 액체시료 채취작업을 자동화하는 한편, 여러 액체시료를 동시에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검수나 공해공정시험 및. 공정상태 파악을 위하여는 시험분석작업을 하는데 대부분 시험을 시료채취에 의한 샘플링 검사에 의존하고, 샘플링 검사시 채취된 시료는 전체공정이나 전체물품을 대별하는 것으로 시료채취작업이 시험분석작업의 성패를 좌우하며, 시험오차 역시 잘못된 시료채취작업에서 상당부분 기인하고있다.
즉, 공정상태 파악을 위한 공정분석 데이터의 오차는 잘못된 시료채취작업에서 상당부분 기인하고 있는데, 특히 혼탁액 상태나 유분과 수분이 혼합된 유상액(emulsion)상태의 시료의 경우에는 채취시 교반속도나 채취온도에 따라 데이터는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시료 채취시 고려사항으로는 채취기구, 채취조건 즉, 온도,습도,바람 등의 채취조건 및 채취시간 등이 있으며, 그 데이터의 오차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는 위의 사항들을 표준화하여 항상 동일한 조건으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이고, 특히 액체시료 채취시 교반속도나 채취온도에 따라 데이터는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교반속도나 채취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시료 채취장치가 연구되어 왔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2000-12275호 에서는 종래의 액체시료 채취장치가 개시되고 있는데, 도 1에서는 상기 공보에서 개시된 종래의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체시료 채취장치(100)에 있어서는, 시료용기(110)내에 담겨진 시료를 그 내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122)로서 구동되는 교반날개(120)로서 교반 하면서, 주피펫(130)과 보조피펫(140)을 이용하여 채취관(150)으로 시료 일정량을 채취하는데, 수동조작에 의한 시료 채취 방법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체사료 채취장치(100)에 있어서는, 시료의 교반 및 채취시 시료의 온도가 변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설비가 없고, 또한 작업자가 주피펫(130)에서 시료관(150)을 통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작업자는 주피펫(130)에 설치된 눈금(132)을 보며 육안으로 채취량을 확인하면서 채취하기 때문에, 채취하는 작업자 개개인에 따른 오차발생이 손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러시료를 동시에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여러시료를 동시에 장착하고, 모든조작을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하는데, 상기 종래의 액체시료 채취장치(100)로서는 단일시료밖에 채취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결국 종래의 액체시료 채취장치 (100)에 있어서는, 채취작업의 정밀성 및 다양성이 떨어지고 그 채취작업도 상당히 지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체시료의 시료채취시 시료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교반하는 동시에, 시료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여 액체시료의 온도환경을 다양하게 하는 한편, 특히 액체시료의 채취작업을 자동화하는 한편, 여러 액체시료를 동시에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외관도
도 3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채취장치의 시료 피펫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0.... 케이싱
12.... 상부케이싱14.... 하부케이싱
16.... 조작판넬20.... 수조
22.... 물 공급구24.... 물 배출구
28,56.... 온도센서30.... 가열수단
40.... 교반수단42,66.... 구동모터
44.... 구동축46.... 교반날개
50.... 시료용기52.... 시료투입구
54.... 덮개60.... 피펫수단
62.... 연결관64.... 몸체
66a.... 구동기어66b.... 피동기어
68.... 스트류아암70.... 실린더부
72.... 피스톤74.... 이동블록
80.... 채취관82.... 전자작동식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물을 저장토록 형성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배치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조내에 배치되고 액체시료가 충진되며, 내측에는 교반수단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용기;와,
상기 시료용기에서 수조 바닥을 통하여 연결되고, 시료의 체취량을 자동 조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피펫수단; 및,
상기 시료용기과 피펫수단사이에 연결되는 밸브와 연결되고 케이싱의 외측에 돌출되는 시료 채취관;으로 구성된 액체 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채취장치의 시료피펫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의 전체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는, 크게 케이싱(10)과 수조(20)와 가열수단(30)과 시료용기(50)와 자동 피펫수단(60) 및 채취관(80)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들 구성요소(10)(20)(30)(50)(60)(8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의 상기 케이싱(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싱(10)은, 내부에 다음에 설명하는 상기 수조(20)가 형성되는 박스형태의 상부케이싱(12)과, 그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하부케이싱(1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14)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채취관(80)을 통하여 시료를 안정적으로 채취하도록 하는 채취용기(미도시)를 놓을 수 있는 안착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부케이싱 (14)의 전면에는 조작판넬(16)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작판넬(16)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온도센서(28)(56)들과, 가열수단(30)과, 교반수단(40)의 구동모터(42)와 피펫수단(60)의 구동모터 (66) 및, 전자작동식 밸브(8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조작판넬(16)의 키보드(16b)를 통하여 작업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작업조건 예를 들어, 시료온도, 교반조건, 채취량등을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16a)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채취장치(1)의 상기 수조(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조(20)는, 상기 케이싱(10)내에 물(26)을 저장토록 형성된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20)는, 상기 상부케이싱(12)내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물(26)이 충진되고, 이와 같은 물(26)은 다음에 설명하는 가열수단(30)으로서 가열되면서 시료용기(50)내의 시료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조정하도록 하는데, 상기 상부케이싱(12)에는 상기 수조(20)에 물을 공급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공급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수조(20)내의 물은 충진 및 드레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싱(12)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된 물(16)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온도센서(28)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온도센서 (28)는 상기 조작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채취장치(1)의 상기 가열수단 (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열수단(30)은, 상기 수조(20)의 바닥(20a)측에 설치되는 히터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수단(30)도 상기 조작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온도센서(28)로서 그 작동이 제어되면서 항상 물의 온도를 적정하게 가열하도록 하는데, 이는 물의 가열온도가 시료(L)의 온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채취장치(1)의 상기 시료용기 (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료용기(50)는, 상기 수조(20)내에 배치되고 액체시료(L)가 충진되며, 내측에는 교반수단(40)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즉, 상기 시료용기(50)는 필요시 여러 시료의 채취를 가능토록 상기 수조(20)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시료용기(50)는 상부에 형성된 시료투입구(52)가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케이싱(12)에서 돌출되어 덮개(54)로서 밀페되며, 특히 상기 시료용기(50)에는 상기 케이싱(10)에 마련된 조작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온도센서(56)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료용기(50)에 제공되는 상기 교반수단(40)은, 상기 하부케이싱 (14)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축(44)이 수조바닥(20a)를 통하여 시료용기(50)의 내부에 실링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44)상에 설치되어 시료용기(50)내의 시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46)로서 구성되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44)이 통과하는 수조바닥(20a)에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패킹(48)이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교반수단 (40)의 구동모터(42)도 상기 케이싱(10)에 제공된 제어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시료의 교반작동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의 상기 피펫수단(6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펫수단(60)은, 상기 시료용기(50)에서 수조(20) 바닥을 통하여 연결되고, 시료의 채취량을 자동 조정하여 정밀하게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피펫수단(60)은, 다시 몸체(64)와 피동기어(66b)와 스크류아암(68) 및, 이동블록(74)으로 다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상기 몸체(64)는, 상기 시료용기(50)의 하부에 연결되고 수조 바닥(20a)을 통하는 연결관(62)에 설치된 전자작동식 밸브(82)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작동식 밸브는 3-웨이(3방향)(3-way)밸브로서 1방은 상기 시료용기(50)의 연결관(62)과 연결되어 있고, 2방이은 케이싱(10)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채취관(80)이 연결되고 나머지 3방은 상기 피펫몸체(64)의 상부 연결구(64b)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동기어(66b)는 상기 몸체(64)내에 바닥(64a)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6)의 구동기어(66a)와 맞물리도록 제공되는데, 상기 피동기어(66b)의 하방으로 일체로 연결된 지지축(67)이 상기 몸체(64)의 바닥(64a)에 설치된 베어링(64c)에 체결되어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피펫수단(60)의 상기 스크류아암(68)은 상기 피동기어(66b)의 지지축 반대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록(74)은 상기 몸체(64)상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부(70)내에 배치되는 피스톤(72)과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아암 (68)이 내부에 체결되는 체결홈(7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블록 (74)은 상기 몸체(64)에 형성된 통과개구(65)를 통하여 몸체 실린더부(7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펫수단(60)은 상기 구동모터(66)의 회전 구동시 그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기어와 일체로 피동기어(66b)가 회전되면서 스크류아암(68)은 이동블록 (7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상기 실린더부(70)내의 피스톤(72)이 이동하게 되면, 몸체(64)의 연결구(64b)를 통하여 전자작동식 밸브(82)의 작동으로 시료용기 (50)내의 시료(L)가 밸브(82)를 통하여 피펫수단(60)의 몸체(64)내에 일정량이 유입되고, 그 다음 피스톤(72)의 이동으로 전자작동식밸브(82)를 통하여 그 일정량의 액체시료(L)가 채취관(80)으로 배출되고, 결국 상기 피스톤(72)의 이동량에 따라채취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 작업자가 피펫의 눈금을 확인하면서 시료 채취량이 결정되는 것에 비하여, 보다 정밀하게 시료를 채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의 상기 채취관(8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채취관(8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료용기(50)과 피펫수단(60)사이에 연결되는 밸브(82)와 연결되아 케이싱(10)의 하부케이싱(14)에 형성된 안착부(18)측으로 돌출되는 ㄱ자 형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시료 채취관(80)은 시료용기(50)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채취관(80)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시료의 시료채취시 시료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교반하는 동시에,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면서 액체시료 채취작업을 자동화하여 여러 액체시료를 동시에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의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케이싱(10)의 외곽 일측에 설치된 제어부 즉, 조작판넬(16)의 키보드 버튼(16b)을 조작하여 장치(1)의 시료용기(50)내에 충진된 시료(L)의 유지온도와 교반수단(40)의 교반날개(46)에 의한 시료의 교반속도, 및 피펫수단(60)에 의한 시료 채취량 및, 최초 유지시간 및 경과시간을 입력한 후 본 발명의 장치(1)를 동작시킨다.
이때,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액체시료 채취장치 (1)의 케이싱(10)내 수조(20)상에 설치된 가열수단 즉, 히터관(30)을 작동시키어 수조(20)내부의 물(26)을 일정온도까지 가열하고, 입력된 온도에 도달하면, 케이싱 (10)상에 배치된 제 1 온도센서(28)가 작동하여 히터관(30)의 동작을 단속하게 하고, 다음 수조(20)내 물(26)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되면, 조작판넬(16)의 디스플레이(16a)상에 시료(L)를 시료용기(50)내에 넣으라는 신호가 표시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시료 자동채취장치 (1)에서는 하나의 케이싱(10)내에 여러개의 시룡요기(50)가 배치되기 때문에, 여러 시료(L)들을 채취하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하는데, 작업자는 상부케이싱(12)상의 시료덮개(54)를 열고 시료용기(50)내에 시료(L)를 넣은 다음, 조작판넬(16)의 키버튼 (16b)을 작동시키면 케이싱(10)내에 설치된 교반수단(40)의 구동모터(42)가 회전하면서, 그 구동축(44)상의 교반날개(46)가 시료용기(50)내에서 시료를 교반한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용기(50)상에 설치된 제 2 온도센서 (56)가 작동되면서 시료(L)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관(30)을 단속하 는데, 물론 시료의 온도는 수조내의 물의 온도에 비례하므로, 제 2 온도센서 (56)에서 시료온도에 대한 신호를 조작판넬(16)에 보내면 가열수단인 히터관(30)이 단속되고 이때, 가열되는 물의 온도는 2차적으로 제 1 온도센서(28)에서 조작판넬(16)로 보내져 최종적으로 시료의 온도가 유지 조정되는 것이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L)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여 유지되면, 시료용기(50)의 연결관(62), 채취관(80) 및 피펫수단(60)의 몸체(64) 연결구(64b)와 연결된 3-웨이 전자작동식 밸브(82)가 작동하여 시료용기 (50)와 피펫수단(60)이 연결되게 하면, 피펫수단(60)의 구동모터(66)를 가동시키어 시료 채취량에 대응하는 회전수 만큼 회전 작동하면, 구동기어(66a)와 피동기어 (66b)및 스트류아암(68)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이동블록(74)과 일체로 실린더부 (70)내의 피스톤(72)이 하강하면서 시료 채취량이 결정되고, 1차적으로 시료(L)는 피펫수단(60)의 몸체(64) 내 실린더부(70)에 유입된다.
다음, 원하는 채취량이 피펫수단(60)의 실린더부(70)내에 유입되면, 구동모터 (66)는 일시 정지하면서 3-웨이 전자작동식 밸브(82)가 작동하여 피펫수단(60)과 채취관(80)의 유로를 연결시키면, 상기 피펫수단(60)의 구동모터(66)는 역회전 구동되어 일체로 이동블록(74)과 피스톤(72)이 상승하면서, 실린더부(70)내의 채취된 시료(L)를 채취관(80)측으로 배출시키어 채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1)에 의하면, 시료의 온도조정 및 유지가 용이하면서 여러 시료를 동시에 채취하도록 하는 한편, 채취량도 자동적으로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으면, 시료 채취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면서 정밀하게 시료를 채취하도록 하고, 일정한 교반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시료 채취환경이 개선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에 의하면, 액체시료를 일정 교반속도로 교반하고 일정온도로 가열하면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시료채취 환경영향에 의한 시료불량을 최대로 감소시키어 액체시료의 분석을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 질 수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액체시료를 시료피펫에 의해 자동으로 채취할 뿐만 아니라, 그 시료량 조절도 가능하여 기존의 시료채취자에 따른 시료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시료채취 효율을 높이면서 자동화에 의하여 신속하게 약체시료를 채취하도록 하고 특히, 여러 시료를 비교 분석할 경우, 동일조건으로 여러 시료를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시료분석 시험도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케이싱(10); 과,
    상기 케이싱(10)내에 물을 저장토록 형성되는 수조(20); 와,
    상기 수조(20)내에 배치되는 가열수단(30); 과,
    상기 수조(20)내에 배치되고 액체시료(L)가 충진되며, 내측에는 교반수단 (40)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료용기(50); 와,
    상기 시료용기(50)에서 수조(20) 바닥을 통하여 연결되고, 시료의 체취량을 자동 조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피펫수단(60); 및,
    상기 시료용기(50)과 피펫수단(60)사이에 연결되는 밸브(82)와 연결되고 케이싱(10)의 외측에 돌출되는 시료 채취관(80);으로 구성된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내부에 상기 수조(20)가 형성되는 박스형태이고 조작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센서(28)를 갖춘 상부케이싱 (12); 및, 그 하부에 연결되며, 외측에는 상기 시료채취관(80)과 조작판넬(16)이 설치되는 하부케이싱(14);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수조(20)는, 상기 상부케이싱(12)내에 형성되는 공급구(22)와 배출구 (24)를 통하여 순환되는 물(26)이 충진되고, 상기 가열수단(30)은 상기 수조(20)의 바닥(20a)측에 설치되는 히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용기(50)는 필요시 여러 시료의 채취를 가능토록 상기 수조(20)내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시료용기(50)는 상부에 형성된 시료투입구(52)가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케이싱(12)에서 돌출되어 덮개(54)로서 밀페되며,
    상기 시료용기(50)에는 상기 케이싱(10)에 마련된 조작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온도센서(56)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40)은 상기 하부케이싱(14)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2); 및,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축(44)이 수조바닥(20a)를 통하여 시료용기 (50)의 내부에 실링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44)상에 설치되어 시료용기 (50)내의 시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46);로서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42)는,상기 케이싱(10)에 제공된 제어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피펫수단(60)은, 상기 시료용기(50)의 하부에 연결되고 수조 바닥(20a)을 통하는 연결관(62)에 설치된 전자작동식 밸브(82)와 연결되는 몸체(64);와, 상기 몸체(64)내에 바닥(64a)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6)의 구동기어(66a)와 맞물리도록 제공된 피동기어(66b);과, 상기 피동기어(66b)에 연결되는 스크류아암(68) 및, 상기 몸체(64)상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부(70)내에 배치되는 피스톤(72)과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아암(68)이 내부에 체결되어 모터 구동시 상하 이동하는 이동블록(7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관(80)은, 상기 시료용기(50)의 연결관(62)상의 전자작동식밸브(82)와 연결되어 피펫수단(60)의 작동으로 하부케이싱 (14)을 통하여 액체시료가 채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작동식 밸브(82)는 상기 케이싱(10)상의 조작판넬(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동 피펫장치
KR1020020076975A 2002-12-05 2002-12-05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KR20040049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975A KR20040049129A (ko) 2002-12-05 2002-12-05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975A KR20040049129A (ko) 2002-12-05 2002-12-05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129A true KR20040049129A (ko) 2004-06-11

Family

ID=3734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975A KR20040049129A (ko) 2002-12-05 2002-12-05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12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73B1 (ko) * 2006-12-29 2008-09-02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조 내 염산액 샘플 채취장치
KR101015746B1 (ko) * 2010-07-27 2011-02-22 정영우 터치 입력장치
KR20180071668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액체시료 보관장치
CN109443904A (zh) * 2019-01-02 2019-03-08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材料化学制备取样分析装置
KR20190054373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포스코 시료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시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809A (ja) * 1993-09-14 1995-03-31 Oval Corp オートサンプラ
KR0156915B1 (ko) * 1995-07-31 1998-10-01 서중일 구약감자 글루코만난 효소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200174525Y1 (ko) * 1999-09-11 2000-03-15 신석균 뚜껑컵이 부설된 회전식 수중 산소증식 자화용 혼합기
JP2001074725A (ja) * 1999-09-09 2001-03-23 Ishimekkusu:Kk 有機物濃度の測定方法とその装置
US6422098B1 (en) * 1999-03-03 2002-07-23 Hanson Research Corp. Dissolution samp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809A (ja) * 1993-09-14 1995-03-31 Oval Corp オートサンプラ
KR0156915B1 (ko) * 1995-07-31 1998-10-01 서중일 구약감자 글루코만난 효소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US6422098B1 (en) * 1999-03-03 2002-07-23 Hanson Research Corp. Dissolution sampling apparatus
JP2001074725A (ja) * 1999-09-09 2001-03-23 Ishimekkusu:Kk 有機物濃度の測定方法とその装置
KR200174525Y1 (ko) * 1999-09-11 2000-03-15 신석균 뚜껑컵이 부설된 회전식 수중 산소증식 자화용 혼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73B1 (ko) * 2006-12-29 2008-09-02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조 내 염산액 샘플 채취장치
KR101015746B1 (ko) * 2010-07-27 2011-02-22 정영우 터치 입력장치
KR20180071668A (ko)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액체시료 보관장치
KR20190054373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포스코 시료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시험장치
CN109443904A (zh) * 2019-01-02 2019-03-08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材料化学制备取样分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1872A (en) Automatic analyzing device
US5807523A (en) Automatic chemistry analyzer
EP00884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nical analysis
EA000079B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анал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H0365654A (ja) 液体試料の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EP0421742B1 (e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eparing a dyeing solution
EP0500506A1 (en) Immunoassay apparatus
KR20040049129A (ko) 액체시료 자동 채취장치
US5223222A (en) Automatic chemistry analyzer
KR870000083B1 (ko) 약액 자동조합장치(調合裝置)
JP2583007Y2 (ja) 自動化学アナライザ
CN112284963A (zh) 一种全自动纺织纤维溶解测试仪
EP0087028B1 (en) Automatic chemical analyzer
US4708023A (en) Sample handling apparatus
KR19980025532A (ko) 실린더형 시린지 유닛을 이용한 수질의 자동 측정장치
JP2009288052A (ja) 自動分析装置
JP2596029B2 (ja) 化学分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53687B1 (ko) 로봇을 이용한 시료 자동분석 방법과 이를 적용한시료자동분석장치
JPS6249259A (ja) 自動分析装置
CN221078574U (en) Automatic titration flow path
JPH0422611B2 (ko)
JPS6141364A (ja) 染液自動調合装置
DK173797B1 (da) Blandingsmodul til brug sammen med et analyseapparat
JPS59183371A (ja) 自動化学分析装置
CN215179696U (zh) 一种农药残留快速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