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918A -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918A
KR20040048918A KR10-2004-7004791A KR20047004791A KR20040048918A KR 20040048918 A KR20040048918 A KR 20040048918A KR 20047004791 A KR20047004791 A KR 20047004791A KR 20040048918 A KR20040048918 A KR 2004004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concave
forming member
convex portion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스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4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 지향성을 가지는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46)의 오목부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 방향으로 비교적 펼쳐져 있다.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46)의 오목부는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 방향으로 그것들의 평균 직경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의 것보다 크고,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 방향으로의 그것들의 평균 피치가 디스플레이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의 것보다 큰 방식으로 제공된다. 빛이 반사막(48)의 표면으로 들어갈 때, 이 빛은 상하 방향으로 좀더 선택적으로 반사된다. 그러므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표면을 관찰하게 되면, 입사광의 이용 효율이 증가될 수 있어서, 휘도와 콘트라스트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OPTICAL REFLECTOR AND DISPLAY DEVICE USING IT}
최근에,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대표되는 평판(flat panel) 디스플레이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예로는, 디스플레이 셀의 뒷면에 광원(백 라이트)이 설치되고, 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디스플레이를 행하는데 사용하는 투과형의 것과, 반사체가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을 통해 입사한 주변의 빛을 반사체로 반사시켜 디스플레이하는데 반사된 빛을 사용하는 반사형의 것이 있다. 이들중, 반사형의 디바이스는 투과형의 디바이스보다도 소비 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반사형 디스플레이에서는,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행하기 때문에, 입사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실용적인 용도로 충분히 잘 밝혀지는 디스플레이를 얻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통상 반사체의 표면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도록 하여, 입사광을 확산 반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입사광이 반사를 위한 반사면과 만드는 각을 제어하기 위해, 반사체의 반사면의 볼록부가 기판의 주 표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경사각을 가지고, 빛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반사하도록 각각의 볼록부가 반사면이 위에서 볼때 대칭적인 모양(예를 들어, 원형 또는 정다각형)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많다. 또, 볼록부를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착색(coloring)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통상 볼록부의 패턴은 불규칙한(random) 순서로 되어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기판의 주 표면에 대해 특정 각도로보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빛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반사되면, 입사광의 이용 효율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를 보는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인 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보는 것이 많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표면과 거의 평행인 방향으로 산란된 반사광은 효과적으로 이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단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한 반사면을 가지는 광 반사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오목부와 볼록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프로필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광 반사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광 반사체의 제조 단계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제조 단계에서 사용된 포토마스크의 일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제조 단계에서 사용된 포토마스크의 또다른 일예의 평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반사막 일부를 확대된 스케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종래의 반사막 일부를 확대된 스케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광 반사체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광 반사체의 제조 단계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7b에 도시된 제조 단계에서 사용된 포토마스크의 일예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토마스크에서의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해(illustra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사 지향성을 가지는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 반사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지지 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프로필을 따르도록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한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막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제 1 방향으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직경은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보다도 크고, 제 1 방향으로의 평균 피치가 제 2 방향으로의 평균 피치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사용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일 표면과 평행한 평면, 즉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반사막이 적층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인 2개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 "피치"는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 반사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하면, 제 1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과 평균 피치가 제 2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과 평균 피치보다 크므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제 2 방향에서의 것보다 제 1 방향에서 비교적 더 넓게 형성된다. 그 결과, 다량의 빛이 제 1 방향으로 반사되었다. 이는 광 반사체 상의 입사광의 양에 대한 제 1 방향으로 반사된 광량의 비율이 더 작고, 제 2 방향으로 반사하는 광량의 비율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반사막은 그 위에 입사한 광을 반사 지향성을 가지고 반사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광 반사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상기 반사막 사이에, 상기 반사면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조정하기 위해, 볼록부/오목부 조정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오목부 조정막을사이에 끼움으로써, 반사막의 반사면의 원하는 볼록부/오목부 프로필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광 반사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지지 부재의 한 면 위에 제공된 유기 재료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로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메쉬(mesh) 패턴을 만드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를 덮도록 제공된 반사막으로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영향 하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구비한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 반사체로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일 방향과 어느 방향으로든 미리 결정된 각을 형성하는 제 1 구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과 상기 지지 부재의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의 제 1 구역 이외의 제 2 구역에서의 폭은 서로 상이하다. 여기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다각형"이라는 표현은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각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코너들이 약간 둥근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광 반사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하면, 제 1 영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과 제 2 영역에서의 것이 다르므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의 높이 또는 제 1 영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오목부의 깊이 또한 제 2 영역에서의 것과 다르게 만들어져서, 반사막의 반사면에 대한 볼록부와 오목부의 모양이 조절된다. 그 결과, 반사막은 그 위에 입사하는 빛을 반사 지향성을 가지고 반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일 방향은 반사막의 반사면 상에서 더 많은 양의 빛이 반사될 방향과 직교한다. 이 경우, 제 1 영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은 제 2 영역에서의 것보다 크게 선택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일 방향으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피치 대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의 것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된 "일 방향"과 "직교 방향"이라는 표현은 지지 부재의 상기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 즉,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반사막이 적층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서로 수직인 2개의 방향을 의미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및 추가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 설명을 통해 좀더 완전하게 명료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광 반사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 반사체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 반사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구체화되는 것으로, 이하에 같이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리로 제조되는 지지 부재(11)가 준비되고, 그 다음 이 지지 부재(11) 위에, 예를 들어 두께가 1 내지 3㎛가 되는 레지스트막(12a)을 형성하기 위해 포지티브(positive)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를 베이킹(pre-baking)한다. 그 다음,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막(12a)의 노광을 행한다.
도 2는 레지스트막(12a)의 노광시 사용되는 포토마스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마스크(21)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21a)를 가지고, 이들 각 개구부(21a)는 예를 들면, 장축이 6 ~ 14㎛, 단축이 3 ~ 7㎛인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개구(21a)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지만, 각 개구부(21a)의 장축과 단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개구부들의 장축의 평균 길이(평균 직경)는 10㎛이고, 단축의 평균 길이는 5㎛이다. 또, 개구부(21a)는 후술하는 이유 때문에, 장축 방향(도 2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단축 방향(도 2의 y 방향)의 피치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즉, 개구부(21a)는 단축 방향으로 더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마스크(21) 대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가 노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마스크는 x 방향의 평균 직경과 y 방향의 평균 직경이 다르게 되는 다각형 모양의 개구부(22a)를 가진다. 또, 타원형의 개구부와 다각형의 개구부가 혼재하는 마스크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x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직경과 평균 피치가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에 있어서의 것들보다 큰 개구부를 가지는 마스크만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마스크(21)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조의 마스크가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마스크(22)를 사용하면, 지지 부재의 주 표면에 대한 후술하는 반사막 표면(도 1e 참조)의 볼록부(또는 오목부)의 경사각을 제어하기 쉽고, 타원형 개구의 경우보다도 개구를 조밀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개구의 x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은 y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의 예를 들면, 1.2 내지 3.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배로 됨과 동시에, 개구의 x 방향으로의 피치는 y 방향으로의 피치의 예를 들어, 1.2 내지 3.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배가 되도록 선택된다. x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과 y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 사이의 비율은, x 방향으로의 평균 피치와 y 방향으로의 평균 피치 사이의 비율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라인 IB-IB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와 연관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막(12a) 부분이 마스크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레지스트막(12a)과 복수의 오목부(12b)로 이루어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오목부(12b)가 형성되도록 레지스트막(12a)은 노광을 행한 후 현상된다. 이 오목부(12b)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의 개구부에 대응하므로, x 방향(도 1b의 좌우 방향)으로의 그것의 평균 직경은 y 방향(도 1b의 종이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것보다 크고, x 방향으로의 오목부의 피치는 y 방향으로의 것보다 크다. 또, 상기 x 방향과 y 방향은 본 발명의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하나의 특정예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현상을 행한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00℃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0.5 내지 1시간 동안 레지스트막(12a)은 베이킹된다(post-baked). 이로 인해, 레지스트막(12a)의 상단, 즉 각 오목부(12b)의 상부는 둥글게 된다. 또, 일부 경우에 이 포스트 베이크에 의해 오목부(12b)의 상기 x 방향 및 y 방향으로의 직경{오목부(12b)와 지지 부재(11) 사이의 경계면에 있어서의 직경}은 약간 변화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거의 무시할 만한 수준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계속해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 위에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를 커버하도록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모양의 영향 하에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한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을 제공한다. 이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은 후술하는 반사막(도 1e 참조)의 볼록부/오목부 프로필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은 지지 부재(11)의 주 표면에 대한 반사막 표면의 최대 경사각을 조정하고 동시에, 오목부(12b)에 대응하는 막의 영역에서 반사막을 기울게 하여 반사막이 전체적으로 거칠게 만들기 위해 제공된다.
그 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 위에, 알루미늄 또는 은과 같은 금속 재료를, 예를 들면 스퍼터링 기술을 사용하여,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및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영향 하에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구비한, 예를 들면 100㎚ 또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가진 반사막(14)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11)의 한 표면 위에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 및 반사막(14)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반사체가 얻어진다. 이 경우, 오목부(12b)의 프로필을 따르도록 반사막(14)이 형성되므로, 반사막 표면(반사면)의 볼록부/오목부는 y 방향에서보다 x 방향으로 비교적 넓게 만들어진다.
도 4a는 반사막(14)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반사막(14)의 표면(14a)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막 표면의 볼록부/오목부가 y 방향에서보다 x 방향으로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오목부의 피치는 y 방향에서보다 x 방향으로 넓게 만들어지므로, x 방향에서보다 y 으로 더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11)의 주 표면에 대하여 특정 각으로 빛이 반사막에 입사하면, 이 빛은 반사된 빛의 대부분이 y 방향에서 지지 부재(11)의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도 4a의 z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반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반사막 표면(114a)의 볼록부/오목부가 대칭(도 4b는 디바이스의 반사 표면 위에서 본 원 모양으로 형성된 것들중 하나를 도시한다)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입사한 빛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반사되는 도 4b의 경우와는 다르다. 이는 반사막(14)은 전체적으로 반사 지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 이 반사체에서는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 위에 반사막(14)이 형성되므로, 반사막(14)은 지지 부재 위 전체에 걸쳐 거칠게 되어 있다. 즉, 반사막(14)은 레지스트막(12a)이 존재하지 않는 각 오목부(12b)에 대응하는 영역 위에서도 지지 부재의 주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반사막(14)은 대부분이 y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표면(14a)을 가지고, 이로 인해 반사막 표면의 오목부 또한 반사 지향성을 가진다. 또, 지지 부재와 평행하고 경사져 있지 않은 반사막의 영역에서 생기는 미러 반사가 감소될 수 있고 미러 반사에 의해 생기는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반사광의 집중이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광 반사체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이용한 소위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CD)에 적용 가능하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주변 입사광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된 입사측기판(31)과 이 입사측 기판(31)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된 반사측 기판(41)을 구비하고, 이들 입사측 기판(31)과 반사측 기판(41)의 사이에는 액정층(51)이 있게 된다. 입사측 기판(31)은 예를 들어, 유리로 제조된 투명한 기판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컬러 필터(미도시), 공통전극(32) 및 배향막(3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반사측 기판(41)에는 그 위에 편광기 등이 제공되어 있다.
반사측 기판(41)의 표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소스 전극(42a)과 드레인 전극(42b)이 제공되고, 이 2개의 전극들(42a, 42b)의 각 쌍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소스 전극(42a)과 각각의 드레인 전극(42b)에 인접하여 반도체층(43)이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층(43)과 반대측의 반사측 기판(41)측에는, 개구부를 가지는 게이트 절연막(44)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각 주사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전극(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측 기판(41)위에는 TFT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44)과 게이트 전극(45) 위에는, 전술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패터닝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46)의 패턴 위에는, 개구부를 가지는 볼록부/오목부 조정막(47)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오목부 조정막(47) 위에는 화소전극의 역할도 하는 반사막(반사 전극)(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막(48)은 볼록부/오목부 조정막(47)과 게이트 절연막(44)의 개구부를 통하여 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4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상술한 TFT에 의해 반사막에 전압을 인가한다. 반사막(48) 위에는 배향막(49)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주변 빛이 입사측 기판(31)에 입사하고, 도시되지 않은 컬러 필터, 공통전극(32), 배향막(33), 액정층(51) 및 배향막(49)을 통과하여 반사막(48)에 도달한다. 그 다음, 이 빛은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각 층(막)을 통과하여 입사측 기판(31)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그 후, 공통전극(32)과 반사막(화소전극)(48)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때(온 상태)에는 흑색(black) 디스플레이 상태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오프 상태)에는 백색(white) 디스플레이 상태로 빛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소위 보통은 백색 모드라고 부르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가 설명되었지만, 그 반대 모드 즉, 소위 보통 흑색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도 물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입사광이 전술한 반사 지향성을 가지는 반사막(48)에 의해 반사되므로, 도시되지 않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거의 수직인 위치로부터 보여지거나 또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위에서 보았을 때, 입사광의 총량에 대한 효과적으로 반사된 빛의 양의 비율은 크고, 이는 입사광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막(48)에서의 미러 반사가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디스플레이 표면의 번쩍거림(glare)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광 반사체에 의하면, 반사막(14)의 반사 지향성은반사막(14)의 전체 영역에 걸쳐 나타나, 반사막(14) 위에 입사하는 빛의 양에 대한 y 방향으로 반사된 빛의 양의 비율은, 빛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해 특정 각도로 반사막(14)의 표면 위로 입사할 때 크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 반사체는 레지스트막의 노광을 위해 사용된 종래의 마스크를,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크로 변경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와 반사막(14) 사이에 형성되어 반사면 전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막 표면이 y 방향으로 좀더 효과적으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또,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 존재함으로 인해, 입사광의 미러 반사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광 반사체를 이용하여 반사형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성하면, 많은 양의 입사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입사광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관찰하는 경우에 입사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는 경우에, 많은 양의 입사광을 디스플레이 표면의 상하 방향(y 방향)으로 확산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상기 디바이스의 휘도, 콘트라스트 등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방향(x 방향)으로의 입사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광 반사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광 반사체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마스크(21)의 패턴을 반전시켜 얻어진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따라서, 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에는 레지스트막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62a)가 존재하고,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의 그것 이외의 영역은 레지스트막이 제거된 제거부(62b)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막(14)은 볼록부(62a)의 형태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x 방향으로의 반사막(14)의 볼록부(14a)의 평균 직경은 y 방향으로의 것보다 더 크다. 반사막 표면의 볼록부/오목부는 y 방향으로보다 x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넓게 만들어진다.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크(22)의 패턴을 반전시켜 얻어진 패턴을 가진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는 점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반사체에 의하면, 반사막(14)이 존재하는 영역 전체에 대해 반사 지향성을 가짐으로써, 입사광이 반사막(14)의 표면 상에서 반사될 때 입사광의 총량에 대한 y 방향으로 반사된 빛의 양의 비율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광 반사체를 사용하여 구성된 반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같이 휘도와 콘트라스트와 같은 디스플레이 성능이 개선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 62)는 패터닝되고, 그 다음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을 형성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다. 대안적으로, 다음 제조 프로세스가 이용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지지 부재(11)와 단일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 62) 위에 좀더 두껍게(예를 들어, 2 내지 4㎛) 도포되고,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이 노광량(절반 노광)을 조정하면서 포토레지스트를 노광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오목부(12b)에 대응하는 포토레지스트 부분이 그것들의 상부로부터 원하는 깊이와 모양을 가지도록 녹여진다. 이 프로세스는 광 반사체의 제조에 필요한 단계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용으로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유기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유기 재료는 포스트 베이킹 등을 위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를 가열하게 되면 높은 유동성을 나타낸다. 이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에 대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패턴이 원하는 패턴과 다르게 만든다. 특히, 열 가교제(thermal cross-linking agent)와 같은 가교제가 없는 저비용의 유기 재료를 사용할 때, 그것의 유동성은 가열하게 되면 더 높아지게 되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에 대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원하는 패턴이 얻어질 수 없었다. 이제,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가능성이 방지될 수 있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광 반사체의 또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광 반사체, 광 반사체의 제조 방법, 및 광 반사체를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광 반사체는 본 실시예의광 반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광 반사체의 제조 단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막(72a)이 지지 부재(11) 위에 형성되고, 그 다음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프리 베이크된다(pre-baked). 이어서, 레지스트막(72a)이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된다.
도 8에 도시된 포토마스크(81)는 메쉬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개구부(81a)를 가진다. 포토마스크(81)의 부분(81b)에 의해 메쉬 패터닝된 개구부(81a)가 형성되는데, 포토마스크(81)의 부분(81b), 즉 포토마스크(81)의 개구부(81a) 이외의 다른 부분은 후술된 구역(제 1 구역)에서의 상기 부분(81b)의 폭(W1)이 또다른 후술된 구역(제 2 구역)에서의 상기 부분(81b)의 폭(W2)보다 더 크게 만들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역은 반사막 위에 입사하는 빛이 반사막(14)(도 7d 참조)의 반사면에 의해 다량으로 반사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어떤 방향이 전술한 방향과 미리 결정된 각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구역은 포토마스크(81)의 부분(81b)의 제 1 구역 이외의 구역이다. 폭(W1)은 3 내지 8㎛이고, 폭(W2)은 2 내지 7㎛이다. 이들 폭(W1, W2)은 각각 모든 위치에서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지만 W1이 W2보다 반드시 커야 한다. x 방향으로의 포토마스크(81)의 개구부(81a)의 평균 직경은 y 방향으로의 것보다 더 크다. x 방향으로의 포토마스크(81)의 개구부(81a)의 평균 피치는 y 방향으로의 것보다 더 크다.
포토마스크(81)의 패턴 형성부(81b)의 폭은 x 방향으로의 포토마스크(81)의 개구부(81a)의 평균 피치와 y 방향으로의 것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의 개구부(81a)의 평균 피치 대 y 방향으로의 개구부(81a)의 평균 피치의 비율(x:y)이 p:1인 경우, x 축과 각 "α", (α= tan-1(1/p)(0°< α< 180°)를 형성하는, 패턴 형성부(81b)의 제 1 영역 A에서의 폭(W1)은 부분(81b)의 제 1 영역 A를 제외한 제 2 영역 B에서의 폭(W2)보다 더 크다. 경계각 α가 2개의 평균 피치들 사이의 상기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x 방향으로의 개구부(81a)의 평균 피치가 y 방향으로의 개구부(81a)의 평균 피치보다 크고, α가 45°로 단순하게 선택되면, 실질적으로 y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81b)의 일부에 대한 실질적으로 x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81b)의 일부의 비율은 더 커서, 부분(81b)에서의 폭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유리한 효과가 덜하게 된다. 실질적인 x 방향과 실질적인 y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81b)의 상기 비율이 1이면, 부분(81b)의 폭의 비 대칭성은 상기 효과를 증가시킨다.
레지스트막(72a)의 노광 후, 레지스트막(72a)은 현상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마스크(81)의 개구부(81a)에 대응하는 오목부(72b)가 메쉬 방식으로 형성되어 볼록부 및 오목부(72b)로서의 레지스트막(72a)을 이루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를 만든다. 레지스트막(72a)의 노광과 그것의 현상 단계들에서, 레지스트막(72a)의 폭은 포토마스크(81)의 대응하는 부분의 폭에 대해약간 변화하지만, 전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에 걸쳐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스트막(72a)의 폭의 절대값이 변경되더라도 y 방향으로의 폭에 대한 x 방향으로의 폭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로 지속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막(72a)을 현상한 후, 포스트 베이킹이 예를 들어, 180℃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유기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높은 유동성 상태를 거쳐 유기 물질이 도포되는 영역에 비례하여 더 높게 상승한다. 포토마스크(81) 부분(81b)(이후, 이 영역은 "제 1 영역"이라고도 부른다)의 제 1 영역 A(도 9 참조)에 대응하는 레지스트막의 폭은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포스트 베이킹 단계에서 레지스트막을 가열할 때, 부분(81b)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레지스트막은 제 2 영역(B)에 대응하는 레지스트막보다 높게 상승한다. 즉, 부분(81b)의 제 1 영역 A에 대응하는 레지스트막은 그 제 2 영역 B에 대응하는 레지스트막보다 높게 만들어진다. 제 1 영역 A에서의 레지스트막(72a)의 높이는 2 내지 4㎛, 제 2 영역 B에서의 레지스트막(72a)의 높이는 0.6 내지 1.4㎛이다.
그 후, 볼록부/오목부 조정막(73)과 반사막(74)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 볼록부/오목부 조정막(73), 및 지지 부재(11)의 일 표면 상에 형성된 반사막(74)을 가지는 광 반사체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광 반사체에서, 제 1 영역에서의 반사막(74)의 볼록부 높이가 제 2 영역에서의 것보다 높고 제 1 영역에서의 지지 부재의 주 표면에 대한 반사막(74)의 볼록부의 경사각이 제 2 영역에서의 것보다 크도록, 반사막(74)의 볼록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의 볼록부(72a)를 따른다. 실제로 x 방향으로 표면이 연장하고 실제로 y 방향으로 경사진 반사막(74)의 경사진 표면의 일부는 표면이 실제로 y 방향으로 연장하고 실제로 x 방향으로 경사진 반사막(74)의 경사진 표면의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광 반사체 상에 입사하는 많은 부분의 빛은 실질적으로 y 방향으로 반사된다. 그 결과, 반사막(74)에 도달하는 빛은 실제로 y 방향으로 나타나는 반사 지향성을 가지고 반사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광 반사체는 전술한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 반사체에 의하면,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를 형성하기 위해 유기 물질이 인가 후 가열함으로써 높은 유동성을 나타낼 때, 원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열 경화제(heat curable agent) 등이 없는 저비용 재료가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용 재료로서 사용될 지라도 그러한 저비용 재료로 구성된 광 반사체는 반사 지향성을 가질 수 있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 62)의 복수의 오목부(12b) 또는 볼록부(62a)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직경을 y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직경보다 크게 하고, x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2b) 또는 볼록부(62a)의 피치가 y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보다도크게 되도록 오목부(12b) 또는 볼록부(62a)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y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직경이 x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직경보다도 크게 하고, y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피치가 x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보다도 크게 되도록 오목부(12b)와 볼록부(62a)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복수의 사람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는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표면의 좌우방향(상기 x 방향)으로 우수한 시각 성능을 나타낼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x 방향으로의 오목부(12b) 또는 볼록부(62a)가 y 방향으로의 것보다 넓은 개구를 가지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x 방향으로의 피치가 y 방향으로의 것보다 크게 만들어지도록 오목부(12b)가 형성되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는 x 방향에서의 평균 피치가 y 방향에서의 것보다 크도록 오목부(12b)가 형성될 때도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 2 실시예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가 도 2에 도시된 마스크(21)의 패턴을 반전하여 얻어진 패턴을 가지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하지만,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62)는 네거티브(negative) 포토레지스트와 마스크(21)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를 포스트 베이킹(post-baking)한 후, 지지 부재(11)의 주 표면에 대한 상기 경사각(tilt angle)의 제어 가능성에 있어서, 포지티브(positive) 포토레지스트가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가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보다 선호된다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 62)와 반사막(14) 사이에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이 형성되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하지만, 볼록부/오목부 조정막(13)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대안적으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12, 62) 위에 직접 반사막(14)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72)와 볼록부/오목부 조정막(73)이 반 노광(half exposure)을 사용함으로써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 노광이 광 반사체의 제조에서 수행되면, 포토레지스트의 유동성은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를 가열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3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은 광 반사체가 높은 반사 지향성을 나타내게 하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비록, 전술한 제 3 실시예는 일예로서 포스트 베이크를 함으로써 그것의 효과와 장점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포스트 베이크 이외의 노광/현상 단계 이후의 가열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반사전극뿐만 아니라 화소전극의 역할도 하는 반사막(48)을 가지는 경우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화소전극와 반사체를 독립적으로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TFT(17)들이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되지만, MOSFET(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과 같은 다른 스위칭 소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들은 스위칭 소자들을 사용하는 소위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형 디바이스의 경우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다른 스위칭 소자들을 사용하지 않는 소위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형 디바이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광 반사체가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기술하였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반사 부분과 투과 부분이 혼합된 구조를 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반사막의 막 두께를 얇게 하여 빛을 일부 반사하고, 일부 투과하도록 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의하면, 반사막이 존재하는 영역 전체에 대해서 반사막에 반사 방향의 지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고, 반사막의 표면에 대해서 빛이 반사할 때, 제 2 방향으로 반사하는 빛의 비율을 많게 할 수 있으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반사막의 사이에 볼록부/오목부 조정막을 설치함으로써, 반사면 전체에 굴곡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이 굴곡의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표면을 관찰하는 경우에 입사광의 이용 효율을 높게 함으로써 휘도 및 콘트라스트 등의 디스플레이 성능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응용 가능하다.

Claims (15)

  1. - 지지 부재의 한 표면 위에 제공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를 커버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영향하에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는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 반사체로서,
    상기 광 반사체는 제 1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직경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보다 크고,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평균 피치가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평균 피치보다 큰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2. 제 1항에 있어서, 반사면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반사막 사이에 볼록부/오목부 조정막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각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단면 모양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각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단면 모양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메쉬 패턴을 만드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고, 어느 방향으로든 상기 제 1 방향과 미리 결정된 각을 형성하는 제 1 구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메쉬 패턴을 만드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은 제 1 구역 이외의 제 2 구역에서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메쉬 패턴을 만드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고, 어느 방향으로든 상기 제 1 방향과 미리 결정된 각을 형성하는 제 1 구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메쉬 패턴을 만드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높이 또는 깊이는 제 1 구역 이외의 제 2 구역에서의 높이 또는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직경은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평균 직경보다 적어도 1.5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피치는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평균 피치보다 적어도 1.5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9. - 지지 부재의 일 표면 위에 제공된 유기 재료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로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실질적으로 다각형인 메쉬 패턴을 만드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는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와,
    -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를 커버하도록 제공된 반사막으로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영향 하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구비한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 반사체로서,
    어느 방향으로든 상기 지지 부재의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일 방향과 미리 결정된 각을 형성하는 제 1 구역에서의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과 상기 지지 부재의 일 표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제 1 구역 이외의 제 2 구역에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다량의 빛이 상기 반사막의 반사면 상에서 반사될 방향에 직교하고, 상기 제 1 구역에서의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폭은 상기 제 2 구역에서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직경이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평균 직경보다 큰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2. 제 9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의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피치가 상기 직교 방향에서의 평균 피치보다 큰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각은 상기 일 방향에서의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평균 피치와 직교 방향에서의 피치에 대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4. 제 9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역에서의 상기 볼록부/오목부 형성 부재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높이 또는 깊이는 상기 제 2 구역에서의 높이 또는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사체.
  15. 제 1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광 반사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4-7004791A 2001-10-04 2002-10-03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40048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8737 2001-10-04
JP2001308737A JP2003122267A (ja) 2001-10-04 2001-10-04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PCT/IB2002/004089 WO2003032025A2 (en) 2001-10-04 2002-10-03 Optical reflector and display device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918A true KR20040048918A (ko) 2004-06-10

Family

ID=1912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791A KR20040048918A (ko) 2001-10-04 2002-10-03 광 반사체와 그것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50083454A1 (ko)
EP (1) EP1438610A2 (ko)
JP (2) JP2003122267A (ko)
KR (1) KR20040048918A (ko)
CN (1) CN1333269C (ko)
TW (1) TW575738B (ko)
WO (1) WO20030320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5837A4 (en) * 1998-05-29 2004-06-02 By Pass Inc DEVICE FOR CLOSING PERFORATIONS IN THE VASCULAR SYSTEM
TW567392B (en) * 2001-09-07 2003-12-21 Nec Corp Device for generating ragged pattern data in random arrangement, computer program, mask and manufacturing device, light reflection member manufacturing device,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012778B1 (ko) * 2003-09-15 2011-02-08 티피오 홍콩 홀딩 리미티드 발산 반사의 방향성을 가진 반사 구조와 이를 구비한 장치
JP4578958B2 (ja) * 2004-12-16 2010-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1019971A2 (en) * 2009-08-14 2011-02-17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color filter array
GB201121212D0 (en) 2011-12-09 2012-01-18 Samsung Lcd Nl R & D Ct Bv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02830457B (zh) * 2012-08-13 2015-08-26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一种彩色滤光片基板
CN107065328A (zh) * 2017-05-23 2017-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显示面板、显示装置及像素结构制作方法
WO2022134029A1 (zh) * 2020-12-25 2022-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CN113985644B (zh) * 2021-11-04 2023-12-1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与终端设备
CN114822290B (zh) * 2022-04-19 2023-08-22 广州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发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8218B2 (ja) * 1991-01-18 1998-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418635A (en) * 1992-02-19 1995-05-2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evice with a reflective substrate with bumps of photosensitive resin which have 2 or more heights and random configuration
JPH0784252A (ja) * 1993-09-16 1995-03-31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6097458A (en) * 1995-12-11 2000-08-01 Sharp Kabushiki Kaisha Reflector,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05935C (zh) * 1996-10-17 2003-04-16 夏普公司 反射器和包含反射器的反射式液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00279C (zh) * 1996-10-29 2003-01-29 日本电气株式会社 有源矩阵液晶显示屏
DE03017342T1 (de) * 1997-04-23 2004-08-26 Sharp K.K. Reflektierende Flüssigkristallanzeige
KR100463598B1 (ko) * 1998-05-15 2005-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사형액정표시소자및그반사판
CN1311873A (zh) * 1998-07-29 2001-09-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散射式显示器件及其驱动方法
JP2000105550A (ja) * 1998-07-31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散乱型表示素子および表示素子の製造方法
CN1174359C (zh) * 1999-03-04 2004-11-03 三星电子株式会社 反射型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EP1045272A3 (en) * 1999-04-12 2004-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flectiv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781759B1 (en) * 1999-10-21 2004-08-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flector, production method thereof, display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3626652B2 (ja) * 2000-01-21 2005-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2010806A1 (fr) * 2000-07-28 2002-0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euille reflechissant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unite d'affichage y faisant appel
JP2002098948A (ja) * 2000-09-20 2002-04-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711913B2 (ja) * 2000-12-25 200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用基板、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59978B1 (ko) * 2001-07-12 200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색 필터 기판
KR100757789B1 (ko) * 2001-08-0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2025A2 (en) 2003-04-17
JP2003122267A (ja) 2003-04-25
JP4338518B2 (ja) 2009-10-07
TW575738B (en) 2004-02-11
US20080231982A1 (en) 2008-09-25
US20050083454A1 (en) 2005-04-21
CN1639592A (zh) 2005-07-13
JP2005505012A (ja) 2005-02-17
EP1438610A2 (en) 2004-07-21
CN1333269C (zh) 2007-08-22
WO2003032025A3 (en)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32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flection electrodes
US20080231982A1 (en) Optical reflector and display device using it
US6522375B1 (en)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594220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6678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7212969A (ja) 反射板及び該反射板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89271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7292930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16640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19574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US6919943B2 (en)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evice, a liquid crystal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640778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8501137A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US2006003386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6154583A (ja) 半透過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7070B2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6704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판
KR100768272B1 (ko) 액정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10678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341368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2042975A (ja) 反射板及び該反射板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270625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機器
KR20070005075A (ko)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54465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