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843A -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및, 대응되는연속주조설비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및, 대응되는연속주조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48843A KR20040048843A KR1020030086905A KR20030086905A KR20040048843A KR 20040048843 A KR20040048843 A KR 20040048843A KR 1020030086905 A KR1020030086905 A KR 1020030086905A KR 20030086905 A KR20030086905 A KR 20030086905A KR 20040048843 A KR20040048843 A KR 200400488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stopper
- motor
- controlling
- continuous cas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16—Closures stopper-rod type, i.e. a stopper-rod being positioned downwardly through the vessel and the metal therein, for selective registry with the pouring opening
- B22D41/20—Stopper-rod oper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Paper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는 가이딩조립체, 상기 스토퍼를 구동시키기 위한 축, 회전핀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구동축의 병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를 상기 운동전환수단들에 대하여 이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 특히 삽입형(bayonet type)의 수단이 마련되고, 그 결과 상기 모터는 결합위치와 휴지위치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핀은 실제적으로 상기 구동축의 주축방향(principal direction)으로 뻗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토퍼(stopper)를 제어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용 조립체가 구비된 연속주조설비(continuous casting instalation)에 속할 뿐만 아니라 연속주조설비에 속하는 것이다.
연속주조작업의 첫 단계는, 통상적으로 용융된 쇳물을 레이들(ladle)로부터 분배기로도 불리우는 스택(stack)에 부어넣는 것이다. 이 스택에는, 또한 마개 (stopple)로도 불리우는 스토퍼가 갖추어져 있다.
쇳물이 상기 스택의 일정높이에 다다랐을 때, 상기 스토퍼의 해제운동의 영향을 받아 쇳물은 주형(mold)에 부어지게 된다. 이 것은 그 다음 정해진 기준높이(reference level)에 다다를 때까지, 주형충전단계를 시작하게 한다.
첫 번째 변형(variant)에 따르면, 이러한 연속주조를 수동으로 개시하는 것이 우선 알려진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반복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해결책은 적어도 한 명의 조작자의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앞서 말한 개시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생각에서는, 상기 마개(stopple)는 액츄에이터(actuator)로도 불리우는 제어용 조립체에 의하여 작동되게 되며, 주형을 충전하는 단계가 한번에 만족스럽게 보장된다.
이러한 설비는, 특히 EP-A-0 734801로부터 공지된다. 이 자료에 기술된 상기스토퍼의 제어를 위한 조립체는, 가이딩조립체(guiding assembly)에 대한 병진운동(movement of translation)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구동축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축은 상기 스토퍼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매개암(intermediate arm)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식 서보모터 뿐만 아니라, 그 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회전운동을 상기 축의 병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도 제공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운동전환장치는 스크류잭(screw jack)의 형태이다. 더욱이, 상기 모터는,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또한 상기 구동축의 주축 방향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편심(offset)되어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알려진 해결책은 일정한 결점을 드러낸다.
예컨대,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매우 규모가 크다. 더욱이, 가이딩부재들(guiding member)과 동일한 수의 모터들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는 경제적 관점에서는 이롭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설명한 선행기술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설비(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를 보여주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속주조설비에 속하는 제어용 조립체(control assembly)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용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제어용 조립체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의 제어용 조립체에 속하는 연결부재(linking piece)를 보여주는 수직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20 ... 가이딩 어셈블리
40 ... 스터드 42 ... 모터
46 ... 잠함 56 ... 커플링부재
70 ... 스크류잭 60 ... 연결부재
76 ... 커플링부재 62 ... 절개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딩조립체, 상기 가이딩조립체에 대한 병진운동에 적합하며 스토퍼를 구동하기 위한 축, 회전핀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구동축의 병진운동으로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모터를 상기 운동전환수단들에 대하여 이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고, 그 결과 상기 모터는 결합위치(position of engagement)와 휴지위치(position of rest)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핀은 상기 구동축의 주축방향(principal direction)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 이탈가능한 고정수단들(removable fixation means)(40, 62)은 삽입형(bayonet type)이다.
- 상기 삽입형의 고정수단들은, 고정되어 상기 모터와 함께 병진운동하는 연결부재(linking piece)내에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notch)와 협동하여 동작하기에 적합하며 가이딩조립체(20)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stud)를 구비한다.
-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 스터드는 상기 절개부의 대응되는 공동(cavity)에 수용되며, 상기 공동은 매개목(intermediate neck)에 의하여 접경되어 있다.
- 상기 모터와 상기 운동전환수단사이의 타이밍이 맞지 않은 연결해제를 방지하도록, 상기 대응되는 공동(cavity)의 바닥방향을 향하여 각 스터드를 축방향으로 복귀시키기에 적합하게 된 복원수단 특히, 탄성체를 구비한다.
- 상기 모터는 조종을 위한 핸들들이 특별히 구비되어 있는 잠함(潛函,caisson)내에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함은 상기 가이딩조립체와 대략 일렬로 놓여 있다.
-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함은 상기 가이딩조립체의 아래에 배치된다.
-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잠함 위에 설치된다.
- 상기 연결부재는 원통형이며, 상기 가이딩조립체의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 상기 모터의 회전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용적 내로 뻗어 있다.
- 상기 운동전환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핀에 의하여 회전구동되기에 적합한 핀을 제공하는 잭 특히, 스크류잭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핀들을 일시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 상기 일시적 연결수단은 상호 맞물리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두 개의 커플링부재들을 구비하며, 일시적으로는 각 커플링부재는 대응되는 핀에 장착되어 있다.
- 상기 커플링부재들은 스플라인(spline)이 형성되어 있다.
- 상기 커플링부재들 중 하나는, 상기 2개의 커플링부재가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상기 유연한 하우징(supple housing)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쇳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이 쇳물의 흐름을 보장하는 유출구가 구비된 스택, 상기 쇳물을 모을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의 하류에 배치되는 주형, 이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막기 위한 스토퍼 및 이 스토퍼를 제어하기 위한 조립체를 구비하며, 이 제어조립체는 이상에서 한정된 것에 특징이 있는 연속주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단지 비제한예(non-limiting example)로서 제시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 예시된 상기 연속주조설비는 쇳물(4), 예컨대 용융된 강철로 채워져 있는 스택(stack)(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쇳물은 레이들(ladle)(미도시)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부어진다.
상기 스택의 바닥은, 공지된 방식으로 스토퍼(6) 또는 마개(stopple)에 의하여 차단되며, 이 스토퍼는 상기 쇳물의 통행을 위한 배출구(spout)라고도 불리는 하부 유출구(orifice)(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개는 제어용 조립체(10) 또는 액튜에이터를 통하여 그 주축방향 즉, 도 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보다 상세한 것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제어용 조립체(10)는,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수직한 방향인 화살표(F)방향으로 병진하여 위치이동하는 구동축(12)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축(12)의 운동은, 매개암(intermediate arm)(14)을 거쳐 수직화살표(F')를 지나서 실현되게 되는 상기 마개(6)의 위치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8)의 벽은, 내화성(耐火性) 소재로 만들어진 튜브(16)를 더 구비하며, 이 튜브는 주형(18)내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미도시된 굳어진 금속바(bar)의 공지된 방법에 의한 배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주형(mold)은 연속적으로 인출시킬 의도하에, 더미바(dummy bar)(미도시)를 수용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상기 제어용 조립체(10)를 매우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면들은, 본 실시예에서는 그 주축이 수직하며 그 주축에 참조번호 A가 부여된 구동축(12)을 보여주며. 부분적으로 도시된 매개암(intermediate arm)(14)도 보여준다, 상기 제어용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20이 부여된 종래 방식의 고정된 가이딩조립체도 구비하고 있다.
이 조립체(20)는, 상기 스택(2)에 결합된 판(26)에 이 조럽체를 고정시키는 플랜지(flange)(24)들이 부가된 원통형의 몸체(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통형의 몸체(22)는, 그 자체로서 공지의 방식으로, 수직축(A) 주위로 상기 구동축(12)이 회전되는 것을 통상적으로 방지하는 장치(30) 뿐만 아니라 2개의 볼베어링부쉬(ball-bearing bush)(28)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재(base)(32)위에 위치한 상기 원통형의 몸체(22)의 하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부재(32)는 상기 원통형의 몸체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환형의 스커트(skirt)(34)까지 이어져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환형의 스커트는, 상기 베이스부재(32)의 반대편 벽들과 함께, 상기 베이스부재(32)내부에 축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된 중앙개구(central opening)(38)와 연통되도록 위치한 하우징(housing)(36)을 한정한다.
더욱이, 상기 스커트(34)의 벽들은 반지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뻗어있는 스터드(40)들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제공되는 상기 스터드(40)들의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조립체(10)는, 수직하게 뻗어있는 회전핀(44)을 구비한 종래방식의 모터(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모터는, 핸들(48)들과 전원공급부(supply)(50)를 갖춘 잠함(潛函,caisson)(46)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잠함(46)은, 그 상면이 상기 원통형의 몸체(22)와 마주한 상태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핀(44)의 통로를 위한 중앙관통공이 마련된 덮개(52)로 차단된다. 상기 핀은, 키(key)(54)를 매개로, 유연한 하우징(supple housing)(58)에 수용된 첫 번째 커플링부재(coupling member)(56)에 결합되며, 이 것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58)은 원통형 연결부재(linking piece)(6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이 연결부재(60)는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모터(42)에 고정된다. 도 5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60)의 벽은 그 내부를 절개하여 형성시킨 다양한 절개부(notch)(62)들을 포함하며, 이 절개부들은 상기 스터드(40)들의 수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절개부(62)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이며, 상기 연결부재(60)의 상기 덮개의 반대편쪽 말단과 동일한 높이에서 축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절개부는, 매개목(intermediate neck)(68)에 의하여 접경되어 있는 공동(cavity)의 단부를 형성하는 방사상의 홈(groove)(64)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용 조립체는 또한 상기 모터(42)의 회전운동을 상기 축(12)의 병진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수단은 그 자체로 공지된 스크류잭(screw jack)(70)을구비하며, 이 스크류잭은 상기 가이딩조립체(20)의 원통형 몸체(22)내부에 주로 수용된다. 상기 베이스부재(32)를 가로지르는 상기 잭(70)의 핀(72)은, 키(key)(74)를 매개로, 두 번째 커플링부재(76)에 결합된다. 상기 모터(42)의 핀(4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이 핀(72)은,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12)에 결합된 너트(78)와 함께 협동하게 되어있다.
상기 2개의 커플링부재(56, 76)들은 스플라인(spline)들을 제공하며, 이 두 개의 스플라인들 사이에는 홈들(recesses)이 마련된다. 사용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들 중 하나의 스플라인들은 통상적으로 다른 하나의 홈들에 삽입되며, 그 결과 이 두 개의 커플링부재들(56, 76)은 일시적 결합과 해제가 가능하다.
커플링부재(56)는 항시 상기 유연한 하우징(58)내에 수용되어 있는 반면, 커플링부재(76)는 일시적으로 상기 하우징(58)을 관통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결국, 상기 커플링부재(76)를 하방향으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 로크와셔(spring lock washer)인 탄성요소(80)가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된 상기 제어용 조립체(10)의 기능은 이하 설명된다.
상기 모터(42)가 상기 구동축(2)과 연결되지 않을 때, 한편으로, 조 작자는, 조종을 위한 핸들(48)들이 구비된 잠함(46)내에 수용된 상기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부재(56)도 이용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잭(70)의 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커플링부재(76)도 역시 이용가능하다.
이후, 상기 잠함(46)은, 먼저 상기 연결부재(60)를 상기 하우징(36)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실제적으로 상방향으로 병진운동하도록 상기 핸들(48)에 의하여 조종된다.
병진운동의 주어진 순간에, 상기 두 개의 스플라인된 커플링부재(56,76)들의 협동을 보장하도록, 필요하다면 어느 정도의 미세한 회전이 수행된다. 결국, 상기 커플링부재(76)는 상기 첫 번째 커플링부재(56)와 결합된 상기 유연한 하우징(58)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이후, 상기 잠함(46)의 상방향으로의 병진운동이 계속되고, 상기 스터드(40)들은 상기 연결부재(60)내에 배열된 서로 다른 절개부(62)들의 개구(opening)주변에 수용된다. 그 다음, 이 스터드(40)들은, 상기 절개부들에 대하여, 축을 따라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 f}_{1} 방향으로 전진한다.
상기 스터드들이 축방향으로 상기 절개부(62)들의 벽들에 맞닿게 되면, 그 다음은 상기 잠함(46)의 피벗팅(pivoting)의 문제이다. 이렇게 해서,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 f}_{2} 방향으로, 상기 홈(groove)(64)을 따라 상기 스터드(40)들이 전진하는 것을 유도한다.
피벗운동이 끝났을 때, 각 스터드(40)는, 매개목(68)을 통과한 후에, 대응되는 공동(66)내에 수용된다. 상기 스프링와셔(80)는, 동일한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 f}_{3} 방향으로, 상기 공동(66)의 바닥까지 각 스터드(40)가 축방향으로 복귀되는 결과를 보장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스터드(40)가 공동(66)으로부터 타이밍 맞지 않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모터(42)는 상기 스크류잭(70)의 핀(7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모터는 2개의 위치 즉, 상기 두 개의 커플링부재(56,76)가 상호 협동하는 결합위치(position of engagement) 및 상기 커플링부재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휴지위치(position of rest)를 갖는다.
더욱이, 설명 및 도시된 예에서, 상기 모터(42)를 상기 잭(70)에 고정시키는 수단은 삽입형이다. 사실상, 이 수단은 상기 잭에 대한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과 연합된 병진운동을 채용한다.
사용에 있어서, 이상에서 설명된 결합위치에서, 상기 모터(42)의 핀(44)은 운동전환수단을 통하여 상기 축(12)을 구동시키며, 이 운동전환수단은 2개의 커플링부재(56,76) 및 상기 스크류잭(70)을 구비한다. 이 결합위치에서, 상기 모터(42)의 회전핀(44)은 실제적으로 상기 구동축의 주축방향(A)을 따라 뻗어 있다.
더욱이, 상기 모터(42)가 수용되어 있는 상기 잠함(46)은 상기 원통형의 몸체(22)의 하부에, 실질적으로는 몸체와 함께 일렬로 위치한다. 이는, 상기 마개(6)를 제어하는 상기 조립체(10)의 컴팩트함의 관점에서는 장점이 된다.
결국, 상기 제어용 조립체(10)는 통상적으로 수동으로 구동축을 움직이게 하는 레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이는 EP-A-O 734 801이 교시하는 것과 되어야 하며, EP-A-O 734 801에서는 상기 마개를 움직이게 하는 수동식 장치는 볼스크류(ballscrew)에 결합된 휠(wheel)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마개의 위치이동 속도가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주조에 사용될 수 없다. 15mm 내지 20mm의 상기 마개의 초기개방이, 개시 도중 1초 미만에 이루어져야 되는 조건에서, 이러한 장치를 가지고 수동으로 주조작업을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목적들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실상, 위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용 조립체의 사용에 있어서의 컴팩트함은 주목할만하다. 이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모터가 상기 가이딩조립체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스크류잭에 대하여 상기 모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단은 상기 모터를 신속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가이딩조립체들과 동일한 수의 사용가능한 모터들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모터는 단지 주조의 단계에서만 사용되도록 확보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가이딩조립체들이 조립, 분해, 예열 또는 냉각 등과 같은 연속주조의 다른 단계(station)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가이딩조립체에는 대응되는 모터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은 경제적 관점에서 매우 이롭게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배열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긴급한 차단은, 상기 모터가 단순히 작동하지 않음에 따라, 중력에 의하여 즉시 이루어진다. 상기 축, 암(arm) 및 마개를 구비한 이동성 시스템의 무게는, 이러한 긴급차단을 위하여, 상기 마개를 하강시키는데 충분하다.
이는 EP-A-O 734 801과 비교되어야 하며, EP-A-O 734 801에서는 집적에 의한 전기적 수단이 채용되며, 이 전기적 수단은, 완전 동력설비된 전체 체인, 소위 전자제어장치, 케이블들, 모터 및 볼스크류를 작동시킨다.
케이블의 파손 또는 모터의 고장과 같은 상기 부재들 중 하나의 고장은 이리하여 긴급한 차단을 불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 가이딩조립체(20), 상기 가이딩조립체에 대한 병진운동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스토퍼(6)를 구동하기 위한 축(12), 회전핀(44)을 제공하는 모터(42)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구동축(12)의 병진운동으로 전환시키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수단(56,70,76)을 구비하는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6) 제어용 조립체(10)에 있어서,상기 모터(42)를 상기 운동전환수단들(56,70,76)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40,62)이 마련되며, 그 결과 상기 모터는 결합위치와 휴지위치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모터(42)의 회전핀(44)은 상기 구동축(12)의 주축방향(A)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6) 제어용 조립체(10).
- 제1항에 있어서,착탈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들(40, 62)은 삽입형(bayonet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삽입형의 결합수단들은, 상기 모터(42)와 함께 병진운동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60)내에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62)와 협동하여 동작하기에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가이딩조립체(20)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stud)를 구비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 스터드(40)는 상기 절개부(62)의 대응되는 공동(66)에 수용되며, 상기 공동은 매개목(68)에 의하여 접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모터(42)와 상기 운동전환수단(56,70,76)사이의 연결이 타이밍 맞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상에서 상기 대응되는 공동(66)의 바닥방향으로 각 스터드(40)를 복귀시키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원수단(80), 특히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모터(42)는, 조정을 위한 핸들(48)들이 특별히 구비되어 있는 잠함(46)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함(46)은, 상기 가이딩조립체(20)와 대략 일렬로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함(56)은 상기 가이딩조립체(20)의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잠함(46)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60)는 원통형이며, 상기 가이딩조립체(20)의 하우징(3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모터(42)의 회전핀(4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연결부재(60)의 내부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운동전환수단은 상기 모터(42)의 회전핀(44)에 의하여 회전구동되기에 적합한 핀(72)을 제공하는 잭 특히, 스크류잭(70)을 구비하며,상기 두 개의 핀(44,72)들을 일시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일시적 연결수단은, 상호 맞물리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커플링부재(56,76)들을 구비하며, 각 커플링부재(56,76)는 대응되는 핀(44,7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링부재(56,76)들은 스플라인(splin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링부재(56,76)들 중 하나(56)는, 상기 2개의 커플링부재가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커플링부재(76)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상기 유연한 하우징(58)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 용융된 금속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용융된 금속의 흐름을 보장하는 유출구(8)가 구비된 스택(2), 상기 용융된 금속을 모을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8)의 하류에 배치되는 주형(18), 이 유출구(8)를 선택적으로 막기위한 스토퍼(6) 및 이 스토퍼를 제어하기 위한 조립체(10)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상기 제어용 조립체(10)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0215290A FR2848131B1 (fr) | 2002-12-04 | 2002-12-04 | Ensemble de commande d'un obturateur appartenant a une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et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correspondante |
FR0215290 | 2002-12-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48843A true KR20040048843A (ko) | 2004-06-10 |
KR101081950B1 KR101081950B1 (ko) | 2011-11-09 |
Family
ID=3230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6905A KR101081950B1 (ko) | 2002-12-04 | 2003-12-02 |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및, 대응되는연속주조설비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960317B2 (ko) |
EP (1) | EP1426126B1 (ko) |
KR (1) | KR101081950B1 (ko) |
CN (1) | CN1286599C (ko) |
AT (1) | ATE502708T1 (ko) |
DE (1) | DE60336447D1 (ko) |
FR (1) | FR28481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10402B2 (en) * | 2009-02-09 | 2012-07-03 | Ajf, Inc. | Slag control shape device with L-shape loading bracket |
US8580186B2 (en) * | 2010-04-19 | 2013-11-12 | Novelis Inc. | Flow control apparatus for molten metal |
EP2574414A1 (de) | 2011-09-30 | 2013-04-03 |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 Elektromechanischer Stopfenantrieb |
DE102013218345B4 (de) | 2013-09-12 | 2021-02-04 | Sms Group Gmbh |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einer Abflussöffnung in einem metallurgischen Gefäß |
EP3782748A1 (de) * | 2019-08-20 | 2021-02-24 |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stopfenverschluss an einem metallurgischen gefäs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39241B (de) * | 1960-08-23 | 1962-11-08 | Juenkerather Maschbau Gmbh |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den Stopfen einer Giesspfanne |
DE1180096B (de) * | 1962-03-31 | 1964-10-22 | Juenkerather Maschbau Gmbh |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den Stopfen einer Giesspfanne |
US4953761A (en) * | 1988-09-27 | 1990-09-04 | Inductotherm Corp. | Stopper rod spatial control mechanism |
JPH04270049A (ja) * | 1991-02-25 | 1992-09-25 | Sumitomo Metal Ind Ltd | 連続鋳造機のストッパ装置及び湯面レべル制御装置 |
CH689728A5 (de) * | 1995-03-28 | 1999-09-30 | Concast Standard Ag | Vorrichtung zum Regeln eines Zuflusses einer Metallschmelze mittels eines Stopfens. |
EP1169115B1 (en) * | 1999-04-09 | 2006-03-29 | Pyrotek, Inc. | Coupling for a molten metal processing system |
-
2002
- 2002-12-04 FR FR0215290A patent/FR2848131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11-26 US US10/721,226 patent/US696031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2-02 KR KR1020030086905A patent/KR1010819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3-12-03 EP EP03356191A patent/EP1426126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2-03 AT AT03356191T patent/ATE502708T1/de active
- 2003-12-03 DE DE60336447T patent/DE60336447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2-04 CN CNB2003101188819A patent/CN1286599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960317B2 (en) | 2005-11-01 |
KR101081950B1 (ko) | 2011-11-09 |
US20040108636A1 (en) | 2004-06-10 |
FR2848131B1 (fr) | 2006-01-06 |
ATE502708T1 (de) | 2011-04-15 |
EP1426126A1 (fr) | 2004-06-09 |
FR2848131A1 (fr) | 2004-06-11 |
CN1286599C (zh) | 2006-11-29 |
CN1504286A (zh) | 2004-06-16 |
EP1426126B1 (fr) | 2011-03-23 |
DE60336447D1 (de) | 2011-05-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1950B1 (ko) | 연속주조설비를 위한 스토퍼 제어용 조립체 및, 대응되는연속주조설비 | |
KR101518523B1 (ko) | 용융 금속을 함유하는 베슬용 슬라이딩 클로져 | |
EP0302215B1 (de) | Drehverschluss für ein metallurgisches Gefäss sowie Rotor bzw. Stator für einen solchen Drehverschluss | |
CN210059791U (zh) | 包括卡口式自由集液管口的底板组件 | |
US3377006A (en) | Apparatus for the teeming of molten metals | |
US11179774B2 (en) | Self-locking inner nozzle system | |
EP0379042A2 (de) | Rühreinrichtung in Stranggiessanlage zum Rühren eines flüssigen Strangsumpfes im Kokillenausgangsbereich | |
KR100328117B1 (ko) | 용융금속용기의주입관취부장치 | |
EP0999907B1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wechseln eines wechselteiles einer kokillenanordnung einer stranggiessanlage | |
KR100324492B1 (ko) | 차단기의이동유니트이송장치 | |
KR930701112A (ko) | 햄 등의 제조 장치 | |
CN116616610A (zh) | 一种投料装置 | |
CN213025851U (zh) | 一种电动转辙机用手动安全开关及电动转辙机 | |
KR920015406A (ko) | 단로기용 조작기구 | |
US5316271A (en) | Discharge regulator of molten metal | |
CN114258330A (zh) | 用于冶金器皿处的柱塞封闭的驱动装置 | |
KR200401663Y1 (ko) | 진공차단기의 록킹장치 | |
GB2107624A (en) | Casting installation with a plurality of melt vessels | |
EP0674555B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slide gates for liquid metal containers in general | |
KR100779673B1 (ko) | 연속주조공정의 플럭스 공급제어 장치 | |
KR100431611B1 (ko) | 턴디쉬내 미응고 용강유출 차단장치 | |
CA1217313A (en) | Apparatus for shielding air from molten metal flow from laddle to tundish in continuous casting facilities | |
EP1078739A1 (en) | Ink supplying apparatus | |
US11534028B2 (en) | Mixing appliance having actuator with magnetic retention | |
KR0132368Y1 (ko) | 연속주조용 주편두께가변몰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