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431A -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431A
KR20040048431A KR1020020076100A KR20020076100A KR20040048431A KR 20040048431 A KR20040048431 A KR 20040048431A KR 1020020076100 A KR1020020076100 A KR 1020020076100A KR 20020076100 A KR20020076100 A KR 20020076100A KR 20040048431 A KR20040048431 A KR 20040048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smart card
consumables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사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사인
Priority to KR102002007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8431A/ko
Publication of KR2004004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되고 스마트카드가 탑재되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이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차량주행정보, 차량진단정보, 및 차량정비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스마트카드가 탑재가능한 단말장치가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차량주행정보, 차량진단정보, 및 차량정비정보를 전송한다.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는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차량 이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수신시스템에 전송하여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자동으로 고지한다.

Description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 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NOTIFYING EXCHANGING TIME OF VEHICLE CONSUMABLES USING A SMART CARD}
본 발명은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차량 소모품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소모품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정비 및 관리는 차량 이용자의 차량 관련지식에 의존하거나 엔진점검 경고등 정도를 통해 이루어져 기본적으로 체계적이지 못하고, 임의적으로 이루어진 측면이 많았다. 또한, 정비업소는 차량의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인 징후의 근거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가 어려우며, 동일한 차량의 문제점에 대해 정비기술자마다 자신의 경험에 의해 상이한 진단을 하고 이에 따른 부적절한 정비 조치를 하게 되는 경우가 상존하여 차량의 안전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차량 수명 단축, 수리비용의 증가, 차량 판매 회사에 대한 불신등 각종 문제점의 원인이 되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01년 11월 23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차량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차량 편의장치 자동설정 방법" 인 한국 특허출원 제 2001-73195 호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출원발명의 기술에 의한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진단 시스템을,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 고지하는 데에 이용하는 개량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 2001-73195 호에 개시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모두 포함된다.
한국 특허출원 제 2001-73195 호에 개시된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을 참조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진단 시스템 (10) 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에서의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차량 진단 시스템 (100) 은 스마트카드(130)를 매개로 서로 정보를 전달하는, (i) 차량(120)에 장착된 스마트카드 제어 유닛 (SCU : 122), (ii) 정비업소의 단말장치(140), (iii) 개인 단말장치(150), 및 (iv) 네트워크(170)를 통해서 차량(120)에 관한 정보를 정비업소의 단말장치(140) 또는 개인 단말장치(150) 로부터 제공받고 소정의 차량 진단 및 정비 사항을 다시 정비업소의 단말장치(140) 또는 개인 단말장치 (150)로 전송하는 중앙A/S 센터 메인서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120)은 스마트카드 제어 유닛(122)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 스마트카드 제어 유닛(122)은 차량의 각종 장치에 부착된 전자적ㆍ기계적 제어장치 및 센서들로부터, 에러코드로서 표시되는 차량의 이상유무 및 차속 센서, 인젝터 구동신호등의 입력값으로서 표시되는 차량내의 변동사항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수집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기록하고, 스마트카드(130)로부터 최신의 차량정비 정보를 수집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업데이트 기록하고, 또한 이들을 스마트카드 (130) 에 기록한다.
또한, 차량의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트랜스미션 제어유닛), ECU (Engine Control Unit; 엔진 제어유닛) 등의 제어 유닛과 각종의 센서들은 병렬 또는 직렬 방식으로 SCU(122)에 연결되어, 각각의 제어장치에서 수집된 전자 제어장치의 오동작 여부, 각종 소모품의 교환주기, 엔진의 오동작여부 등의 차량 (120) 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항에 관한 데이터는 SCU(122)에 전달되어 SCU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한 이는 스마트카드 (130) 에 기록된다.
정비업소 단말장치(140)는 차량관련 데이터를 스마트카드 (130) 로부터 판독 및 스마트카드 (130) 에 기록하는 카드리더기 및 이에 연결되어 스마트카드 (130) 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이상유무 판단 및 소모품 교환상태 표시, 차량 정비사항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개인 단말장치 (150) 는 차량관련 데이터를 스마트카드 (130) 로부터 판독 및 스마트카드 (130) 에 기록하는 카드리더기 및 이에 연결되어 스마트카드 (130) 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상에서 차량 상태의 진단 및 정비권장 사항을 표시하여 자가진단을실행할 수 있게하는 정비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16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170)를 통해서 정비업소의 단말장치(140) 및/또는 개인 단말장치(150)의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와 연결된다.
한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고지하는 종래의 기술은 크게 2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번째는, 개인용 PC 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 거리 및 차량 구매일을 기준으로 특정 시점에 주기적으로 교환되어야 할 차량 소모품에 대한 교환목록을 단순히 PC 에 나타내는 방식이고, 두번째는, 인터넷 웹상으로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에 따른 차계부의 기능 중 한 부분으로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상기한 두 가지 방식은 모두 컴퓨터나 네트워트에 연결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고지받을 수 있는 환경적인 제약이 있어, 컴퓨터나 네트워트에 연결된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적절한 시기에 고지받지 못하게 된다.
또한, 첫번째 방식에서는 차량 이용자가 관련 소모품을 이미 교환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시점에서의 전체 교환 리스트를 보여줌으로써 이용자가 최근에 교환한 소모품도 다시 교환되어야 하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운전자 고유의 운전특성을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에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두번째 방식에서는, 차량 이용자가 차량과 관련한 지출 내역 즉, 차량 구매일, 주유기록, 보험 납입, 차량 정기점검, 정비내역, 및 주행 거리 등을 수작업으로 개인용 PC 에 각각 입력하여야 하며, 차량 소모품 교환에 관한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이용자가 이러한 사항을 매번 입력하여 갱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개인용 PC 에 해당 사항을 등록 및 갱신하지 않은 경우 부적절한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제공받게 된다. 또한, 차량 이용자가 차량 소모품 관련 데이터의 갱신을 성실히 수행하더라도 차량 이용자가 가혹조건 상태에서 운전하는지 등과 같은 차량 이용자의 고유한 운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이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트에 연결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차량의 소모품 교환시기를 차량 이용자에게 자동으로 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이용자의 주행성향을 반영한 차량 소모품 교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별 차량에 대한 차량 소모품의 적절한 교환시기를 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진단정보, 차량주행정보, 차량 정비내역 등 차량 소모품 교환과 관련한 정보를 별도의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입력 및 갱신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및 진단정보가 스마트카드로 기록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정비정보가 스마트카드로 기록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은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가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220 : 차량130, 230 : 스마트카드
140, 240 : 정비업소 단말장치150, 250 : 개인 단말장치
160, 260 :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
170, 270 : 네트워크300 : 스마트카드 제어 유닛 (SCU)
310 : CPU320 : PC 인터페이스
330 : PC 340 :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50 : 스마트카드360 : 메모리
370 : 사용자 인터페이스380 : 차량 진단 및 속도 감지 모듈
390 : 전자적ㆍ기계적 제어장치 및 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은,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또는 스마트카드가 탑재가능한 단말장치로부터 중앙 A/S 센터 내의 메인서버로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메인서버가 소모품에 대한 교환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메인서버가 교환목록을 차량 이용자의 수신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주행정보, 차량진단정보, 및 차량정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차량주행정보는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 주행시간 데이터, 또는 주행속도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고, 차량정비정보는 소모품에 대한 교환이력 및/또는 차량의 정비일시를 포함하는 정비내역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진단정보는 차량의 부품의 고장여부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전송단계에서 상기 차량정보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에 의해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무선으로, 또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생성단계에서는, 상기 메인서버가 전송된 차량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소모품에 대한 교환목록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서, 차량 이용자는 컴퓨터나 네트워트에 연결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자동으로 고지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 단계는, 소모품의 사용기간별 및/또는 주행거리별 표준교환항목과 차량정비정보를 비교하여 교환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차량진단정보에 기초하여 교환 또는 수리하여야할 소모품을 판단하여 교환목록에 추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표준교환항목은, 차량의 제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기간별 및/또는 주행거리별 소모품의 교환항목이다.
차량주행정보의 분석 결과 차량의 주행조건이 가혹조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교환목록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교환목록을 재작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차량 이용자는 차량의 주행조건 및 정비내역을 감안한, 차량 소모품의 적절한 교환시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혹조건의 예로는, 단거리 주행이 반복되는 경우, 모래길ㆍ자갈길ㆍ눈길ㆍ비포장길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택시ㆍ경찰차로 사용하는 경우, 및 32 도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의 주행비율이 50 % 이상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목록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차량 이용자가 교환목록을 전송할 수신시스템을 미리 지정한 경우 메인서버는 지정된 수신시스템에 교환목록을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시스템은, 메인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단말장치, 페이저, 휴대폰, PDA, 이메일 수신장치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정보를 스마트카드에 기록하거나 스마트카드로부터 판독하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소모품에 대한 교환목록을 생성하여 차량의 이용자의 수신시스템에 전송하는 중앙 A/S 센터 내의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내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스마트카드 제어유닛과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시스템은, 메인서버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교환목록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송받은 교환목록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데이터로 표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이용자는 컴퓨터나 네트워트에 연결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 소모품의 교환목록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 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조건 및 정비내역을 감안한, 차량 소모품의 적절한 교환시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고, 각종 차량 소모품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자동적으로 고려하므로 이와 같은 사항을 수작업으로 각각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도 1 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 시스템 (이하, '본 시스템' 이라함) 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의 구성은, 차량에 장착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진단 정보, 정비 정보 등의 차량 관련 정보가 무선 송수신장치 (226) 를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전송된다는 점과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가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여러 매체를 통해 차량 이용자에게 고지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 과 동일하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카드로 차량 관련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스마트카드로부터 정비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로 하면,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은 CPU (310), PC 인터페이스 (320),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40), RAM 및 EEPROM 을 포함하는 메모리 (360), 사용자 인터페이스 (370), 차량 진단 및 속도감지 모듈 (380),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395)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 (310)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8비트 8051 Core CPU 인 T89C51C101 로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의 총괄적인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PC 인터페이스 (320) 는 외부 관리자용 PC (330) 와 RSC-232C 직렬 포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의 프로그램 설치 및 변경을 위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과 PC (330)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40) 는 차량 관련 정보 및 주행성향 정보등을 스마트카드 (230) 로 입력하고, 또한 스마트카드 (230) 로부터 최근 정비정보등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업데이트한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40) 는 스마트카드 (230) 를 판독하여 판독된 정보를 CPU (310) 로 전송하는 스마트카드 리더 (TDA8029) 를 포함한다. 스마트카드 (230) 는 RSA, SHA-1, DES, Triple-DES 등과 같은 보안 알고리즘을 갖는 차량용 스마트카드로서 카드 소지자의 개인정보 및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보호하고 이들이 부적법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40) 가 수행하는 기능으로서, i) 삽입된 스마트 카드의 적법성을 판단하여 부적법한 스마트 카드의 사용을 금지시키는 기능, ii) 차량의 총 주행거리, 사용자 개인의 주행거리 등을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는 기능, iii) 최저·최고 속도, 평균속도, 급감속, 및 급가속 등 운전자 주행성향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기능, 및 iv) 차량의 고장코드를 기록하는 기능 (이 경우, 고장코드에 대해서는 고장발생 최초시각, 고장시 주행속도, 엔진속도 등을 기록함으로써 차량 고장에 대한 기초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의 메모리 (360) 는 수집된 차량진단정보 또는 스마트 카드로부터의 차량정비정보등을 임시로 저장하는 RAM, CPU (310) 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및 차량고유기초정보, 차량진단정보/운전자 주행성향정보, 및 스마트카드로부터의 차량정비정보 등을 저장하는 EEPROM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370) 는 차량의 기본 주행정보 (차속, RPM, 주행거리등) 및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또는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370) 는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 (260) 으로부터 수신한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ECU, TCU, ECS, ABS, 및 에어백 등과 같은 차량내의 전자적·기계적 장치 및 센서 (390) 는 OBD-Ⅱ 케이블을 통하여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내의 차량 진단 및 속도감지모듈 (380) 과 연결되고, 이들 사이의 통신은 ISO 9141-2 에 규정된 차량 정보교환 통신 프로토콜인 K-LINE 및 L-LINE 에 의해 이루어진다.
차량 진단 및 속도감지 모듈 (380) 은 ECU, TCU, ECS, ABS 및 에어백 등으로부터 고장 코드등을 획득하고, 새로 발생한 고장코드는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40) 를 통해 스마트카드 (350) 로 그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차량 진단 및 속도감지 모듈 (380) 은 또한 ECU 로부터 RPM, 각종 온도 등 엔진에 대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단순한 차량속도만을 가지고 운전자의 주행성향을 추출하는 방법보다 더욱 정교하고 객관적인 운전자 주행성향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진단 및 속도감지 모듈 (380) 은 최고·최저속도, 평균속도, 급가속, 급감속 등 차량의 운전 속도를 계속 모니터링하여 이를 일정시간마다 스마트카드 인터페이스 (340) 를 통해 스마트카드 (350) 에 기록한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395) 는 이상과 같이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이 획득한 차량 관련 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무선 송수신장치 (226) 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송수신장치 (226) 에 제공된 차량 관련 정보는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 (260) 로 전송된다.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은 또한 RTC (Real Time Clock) 를 포함할 수 있다. RTC 는 디지털 전자시계로서 각 운전 성향의 발생시점, 고장 발생시점의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선 송수신장치 (226) 가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나,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내에 무선 송수신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로 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와 차량진단정보를 스마트카드로 기록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및 진단정보가 스마트카드로 기록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에 시동을 걸면 (S400),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은 차량용 스마트카드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S410).
스마트카드가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에 삽입되었다면 다음으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은 자신과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차대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S420),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해당 차량에 속하는 것인지를 인증한다.
위 과정에서 카드를 삽입하지 않거나, 차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정보 및 진단정보가 스마트카드에 저장되지 않는다. 만약, 카드가 삽입되고 차대번호가 일치한다면, 차량은 정상적으로 관련정보를 스마트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S430).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정보 및 진단정보가 생성된다 (S440). 즉, 차량의 주행정보는 평균속도, 급가속, 급감속, 과속등의 주행속도 데이터, 장거리운전 및 단거리 운전 등의 주행거리 데이터, 주간 및 야간운전 등의 주행시간 데이터 등으로 생성되며, 이와 같은 주행정보는 지정시간 단위로 스마트 카드 제어유닛 (300) 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각종 전자적ㆍ기계적 제어장치 및 센서등으로부터 차량의 진단정보가 생성되며 이는 에러코드 등으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300) 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주행정보 및 진단정보는 스마트카드로 기록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전송된다 (S450). 이에 따라 스마트카드 및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저장된 차량의 주행정보 및 진단정보는 업데이트된다 (S460).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와 차량진단정보를 스마트카드에 기록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차량 주행 정보 및 차량 진단 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여 차량의 정비정보 (소모품의 교환등) 가 스마트카드로 기록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정비정보가 스마트카드로 기록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의 정비를 정비업소에 신청한다 (S510). 여기에서정비업소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카드를 판독할 수 있고 스마트카드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정비업소용 단말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정비업소에서는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정비의뢰인의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고, 해당 차량의 정비내역을 확인한다 (S520). 여기에서의 정비내역은 차량의 부품내역, 소모품 교환이력, 정비일시, 정비소명 등이 포함된다.
차량의 정비를 수행한 후 (S530), 정비업소에서는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스마트카드에 수행된 정비내역을 저장하여 스마트카드내의 차량정비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또한, 통신망을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상기 정비내역을 전송한다 (S540).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의 정비정보를 스마트카드에 기록하고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차량 정비 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개인 단말장치 (250) 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스마트카드 (230) 로부터 판독 및 스마트카드 (230) 에 기록하는 카드리더기, 및 이에 연결되어 스마트카드 (230) 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의 진단 및 정비권장 사항을 표시하여 자가진단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정비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를 구비하며, 자가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카드 (230) 가 카드리더기에 삽입되는 경우 스마트카드 (230) 에 저장된 차량주행정보, 차량진단정보, 및 차량정비정보 등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여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 은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가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개인 단말장치 (250), 정비소용 단말장치 (240) 및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220) 으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 (260) 로 차량 진단 정보, 주행 정보 및 정비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S610).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 (260) 는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차량 구매일, 차량의 주행거리, 정비 기록, 차량의 진단 정보, 차량 이용자의 주행성향 (예를 들면, 평균 주행 시간, 총 주행거리, 공회전 시간, 급가속 및 급감속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분석한다 (S620). 차량 이용자의 주행성향 중, 차량 소모품 교환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급가속, 급감속, 공회전, 평균속도, 과속 등이 있다.
이후, 소모품에 대한 차량 제조사의 사용기간별, 주행거리별 교환항목을 추출한다 (S630). 상기 추출된 표준교환항목과 기 정비기록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한 기간별, 주행거리별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분류하고 (S640), 차량의 진단 정보와 관련한 교환 또는 수리하여야할 차량 소모품을 파악한다 (S650). 차량 이용자의 주행성향을 분석하여 평균적인 주행조건이 가혹조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S660), 가혹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에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차량 소모품 교환 리스트에 반영한다 (S670). 예를 들면, i) 단거리 주행을 반복하는 경우, ii) 험한 길(모래나 자갈길, 눈길, 비포장길)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iii) 택시, 경찰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iv) 32 도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 % 이상 주행했을 때 등이 가혹조건에 해당하며, 이와 같은 경우 수동 변속기 및 자동 변속기 오일교환에 대한 정기점검 주기를 단축하여야 하므로, 해당 항목에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차량 주행상의 가혹조건을 차량 소모품 교환 리스트에 반영하게 된다.
이후, 작성된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여러 매체를 통해 차량 이용자에게 고지한다 (S670).
여기서, 차량 이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i) 차량 이용자가 개인 단말기를 사용하여 스마트카드를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인터넷 웹 화면에 고지하는 방법, ii) 페이저, 휴대폰, PDA 또는 이메일 등 차량 이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매체를 통해 고지하는 방법, iii) 차량 이용자가 개인 단말기를 사용하여 스마트카드를 통해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스마트카드에 자동저장하여, 차량 이용자가 차량 운전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주기적으로 고지하는 방법, iv)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고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차량 이용자에게 고지하는 형식의 일례로는, "향후 7 일 이내에 교환 또는 수리 필요 항목", "향후 50 km 주행 이내에 교환 또는 수리 필요 항목", 및 "최근 1 개월 이내에 교환 또는 수리 필요 항목" 등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앙 A/S 센터 메인서버는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 이용자에게 차량 소모품의 적절한 교환시기를 자동으로 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나 네트워트에 연결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 소모품의 교환목록을 적절한 시기에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 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각종 차량 소모품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자동적으로 고려하므로 이와 같은 사항을 수작업으로 각각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사항을 갱신하지 않음으로써 부정확한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고지받을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비 기록을 반영한 차량 소모품 교환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 소모품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차량 이용자의 주행성향에 기초한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고지함으로써 차량 운전자는 보다 더 경제적인 운전 성향에 도달하려고 노력하게 되고, 그 결과 차량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차량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차량 소모품의 부품별 교환시기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해당 소모품의 실제 교환주기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소모품의 재고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고 차량 소모품의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특별히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것처럼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Claims (17)

  1. 차량에 설치되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으로부터 무선통신망을 통해, 또는 상기 스마트카드가 탑재가능한 단말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A/S 센터내의 메인서버로 차량주행정보, 차량진단정보, 및 차량정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전송된 상기 차량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소모품에 대한 교환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차량의 이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소정의 수신시스템에 상기 교환목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소모품의 사용기간별 및/또는 주행거리별 표준교환항목과 상기 차량정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교환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에 기초하여 교환 또는 수리하여야할 상기 소모품을 판단하여 상기 교환목록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차량주행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조건이 가혹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가혹조건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교환목록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교환목록을 재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 주행시간 데이터, 및 주행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진단정보는, 상기 차량의 부품의 고장여부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비정보는, 상기 소모품에 대한 교환이력 및/또는 상기 차량의 정비일시를 포함하는 정비내역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자동고지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교환항목은, 상기 차량의 제작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기간별 및/또는 주행거리별 상기 소모품의 교환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조건은, 단거리 주행이 반복되는 경우, 모래길ㆍ자갈길ㆍ눈길ㆍ비포장길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택시ㆍ경찰차로 사용하는 경우, 및 32 도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의 주행비율이 50 % 이상인 경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목록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교환목록을 전송할 상기 수신시스템을 미리 지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시스템이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메인서버가 지정된 상기 수신시스템에 상기 교환목록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방법.
  10.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내의 전자적ㆍ기계적 제어장치 및 센서를 통해 차량주행정보 및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며,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차량정비정보를 판독하는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상기 스마트카드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차량주행정보, 상기 차량진단정보 및 상기 차량정비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차량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상기 차량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소모품에 대한 교환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교환목록을 상기 차량의 이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소정의 수신시스템에 전송하는, 중앙 A/S 센터 내의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 주행시간 데이터, 및 주행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진단정보는 상기 차량의 부품의 고장여부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비정보는, 상기 소모품에 대한 교환이력 및/또는 상기 차량의 정비일시를 포함하는 정비내역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시스템은, 상기 차량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환목록을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무선 수신장치를 구비한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스마트카드 제어유닛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17.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시스템은, 상기 메인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단말장치, 페이저, 휴대폰, PDA, 이메일 수신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 자동고지시스템.
KR1020020076100A 2002-12-03 2002-12-03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8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100A KR20040048431A (ko) 2002-12-03 2002-12-03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100A KR20040048431A (ko) 2002-12-03 2002-12-03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431A true KR20040048431A (ko) 2004-06-10

Family

ID=3734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100A KR20040048431A (ko) 2002-12-03 2002-12-03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84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856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글로비즈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US11436877B2 (en) 2019-12-26 2022-09-06 Globiz Co., Ltd. Apparatus for determining overworked consumable for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94A (ko) * 1998-09-03 2000-04-06 홍종만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 자가진단 시스템 및그 운용 방법
KR20010085265A (ko) * 2000-02-25 2001-09-07 정헌욱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010096883A (ko) * 2000-04-15 2001-11-08 진조철 차량 운행 기록 및 차량 상태 진단 장치
KR20020014137A (ko) * 2000-08-16 2002-02-25 신재준 원격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87689A (ja) * 2000-12-25 2002-07-02 Tcm Corp 車両情報遠隔監視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94A (ko) * 1998-09-03 2000-04-06 홍종만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 자가진단 시스템 및그 운용 방법
KR20010085265A (ko) * 2000-02-25 2001-09-07 정헌욱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010096883A (ko) * 2000-04-15 2001-11-08 진조철 차량 운행 기록 및 차량 상태 진단 장치
KR20020014137A (ko) * 2000-08-16 2002-02-25 신재준 원격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87689A (ja) * 2000-12-25 2002-07-02 Tcm Corp 車両情報遠隔監視診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856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글로비즈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US11436877B2 (en) 2019-12-26 2022-09-06 Globiz Co., Ltd. Apparatus for determining overworked consumabl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7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Vehicle Maintenance and Service
EP1283501B1 (en) Method for collecting vehicle data by using a smart card
US8660740B2 (en) System for monitoring vehicle use
US6732031B1 (en) Wireless diagnostic system for vehicles
KR20040017465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824073B1 (ko) 차량 연계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20180105850A (ko)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200601554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vehicle's key to collect vehicle data and diagnose mechanical problems, to store and compare security data to allow only authorized use of vehicles and a method to automatically set vehicle features usng the key
US20060052919A1 (en) System for collecting vehicle data and diagnosticating the vehicle using USB hard drive
US6445985B1 (en) Motor vehicle data processing apparatus
KR20020029600A (ko) 차량 탑재 고장경보 통보 시스템
US10540831B2 (en) Real-time on-board diagnostics (OBD) output parameter-based commercial fleet maintenance alert system
CN103718218A (zh) 用于管理故障代码的系统和方法
JP2005219717A (ja) 車両・車載機器の異常診断装置
US20060049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car value using a smart card
JP2004240828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KR20190096842A (ko) 차량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킹 시스템
KR20080053082A (ko)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WO2002056222A1 (ja) 車両の損害保険方法,車載装置,端末装置及び車両の損害保険システム
KR20040048431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97475B1 (ko) 차량부품 관리장치, 차량부품 관리시스템 및 차량부품관리방법
WO2020116895A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KR20010085265A (ko)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010113595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차량 데이터 수집 및 차량 진단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차량 편의장치 자동 설정 방법
JPH09164923A (ja) 車両メンテナンス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