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856A -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856A
KR20190133856A KR1020180058765A KR20180058765A KR20190133856A KR 20190133856 A KR20190133856 A KR 20190133856A KR 1020180058765 A KR1020180058765 A KR 1020180058765A KR 20180058765 A KR20180058765 A KR 20180058765A KR 20190133856 A KR20190133856 A KR 2019013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rsh
consumable
informatio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58B1 (ko
Inventor
임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비즈
Priority to KR102018005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5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28Wheel speed
    • B60W2550/4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for navig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OBD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센서 각각을 통해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정보와 진동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가혹조건 유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가혹조건 결정부,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가혹조건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는 가혹 소모품 결정부,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차량이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의 인근에 도착하는 것을 검출하여 해당 가혹조건의 유형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하는 가혹조건 알림부, 가혹조건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가혹도 누적량을 산출하여 교체주기를 예지하는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 및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하고, 가혹조건 유형에 따른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APPARATUS FOR ESTIMATION OF OVERWORKED VEHICLE CONSUMABLES}
본 발명은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하고, 가혹조건 유형에 따른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제조사 또는 차량 정비소는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차량 취급설명서 및 매뉴얼을 통해 제공하고, 운전자는 차계부 등과 같은 메모 수단을 이용하여 각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기록 및 관리하였다. 그러나 제조사 및 정비소가 제공하는 소모품의 교체주기는 일정하지 않고, 차량에 장착되는 소모품들은 환경에 따라 교체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인해 운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9092(2015.02.27)호는 차량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ECU의 신호뿐만이 아니라 ECU에서 제공하지 않거나 빠른 속도가 필요한 센서신호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상호연관성이 높은 저속신호수집용 통신부로부터의 저속 신호와 고속신호수집용 파형계측부로부터의 고속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시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표시,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불량상태를 정확하게 원인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4851(2016.03.28)호는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전기차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배터리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배터리 관련 정보 및 운행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 교체 시기를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배터리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게 하여 차량의 성능과 부품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9092(2015.02.2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34851(2016.03.2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하고, 가혹조건 유형에 따른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혹조건 유형이 결정되면 GPS 정보와 연관된 해당 장소를 차량 안전진단 서버에 제공하여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차량이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의 인근에 도착하는 것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혹조건의 유형과 가혹 소모품 중 교체시기가 가장 짧은 심각 가혹 소모품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혹조건 발생시 마다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하고, 이를 OBD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OBD(On-Board Diagnostics)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센서 각각을 통해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진동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가혹조건 유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가혹조건 결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가혹조건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는 가혹 소모품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는 너클에 부착된 휠 가속도 센서 및 차체의 하단 중앙에 부착된 차체 가속도 센서 및 차체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진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는 상기 차량정보로서 차량속도, 휠속도, 차량온도, GPS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진동정보로서 휠 가속도, 차체 가속도 및 차체 각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는 상기 가혹조건 유형이 결정되면 GPS 정보와 연관된 해당 장소를 차량 안전진단 서버에 제공하여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상기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의 인근에 도착하는 것을 검출하여 해당 가혹조건의 유형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하는 가혹조건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혹 소모품 결정부는 상기 가혹조건의 유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 중 교체시기가 가장 짧은 심각 가혹 소모품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상기 가혹조건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가혹도 누적량을 산출하여 교체주기를 예지하는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는 상기 가혹조건 발생시 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하고, 상기 예정 교체일을 상기 OBD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하고, 가혹조건 유형에 따른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가혹조건 유형이 결정되면 GPS 정보와 연관된 해당 장소를 차량 안전진단 서버에 제공하여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차량이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의 인근에 도착하는 것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가혹조건의 유형과 가혹 소모품 중 교체시기가 가장 짧은 심각 가혹 소모품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는 가혹조건 발생시 마다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하고, 이를 OBD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에서 수행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의 가혹조건 결정부에서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결정하는 가혹조건 유형들의 예를 설명하는 표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차량(vehicle)", "차량의(vehicular)"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는 자동차들,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들(SUV)을 포함하는 자가용들(passenger automobiles), 버스들, 트럭들, 다양한 상업 차량들, 다양한 보트들 및 배들을 포함하는 선박, 비행기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들과 다른 대체 연료(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자원들로부터 유도된 연료들) 차량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EV)는 자신의 이동 능력들(locomotion capabilities)의 부분으로서,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재충전 가능한 전기 화학적 셀 또는 다른 유형의 배터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동력을 포함하는 차량이다. EV는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터 사이클들, 카트들, 스쿠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두 개 이상의 전력 소스, 일례로 가솔린 기반 동력 및 전기 기반 동력을 갖는 차량이다(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시스템(100)은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 OBD(120), 진동센서(130) 및 안전진단 서버(140)를 포함한다.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는 OBD(120)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210),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센서(130) 각각을 통해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정보와 진동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가혹조건 유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가혹조건 결정부(220),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가혹조건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는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차량이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의 인근에 도착하는 것을 검출하여 해당 가혹조건의 유형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하는 가혹조건 알림부(240), 가혹조건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가혹도 누적량을 산출하여 교체주기를 예지하는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 및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는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하고, 가혹조건 유형에 따른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정보 수신부(210), 가혹조건 결정부(220),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 가혹조건 알림부(240),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 및 제어부(26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OBD(120)는 차의 상태를 진단하고 결과를 알려주는 장치로, 다양한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 및 OBD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BD(120)는 최근에 생산되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가속페달 센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저유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BD(120)는 자동차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OBD 제어부로 전달된 자동차의 주요 계통에 대한 정보나 고장 등의 정보를 직렬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콘솔 또는 단말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진동센서(130)는 타이밍 벨트에 부착된 엔진 진동센서, 너클에 부착된 복수의 3축 휠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너클 진동센서 및 차체의 하단 중앙에 부착된 차체 가속도 센서, 6축 회전각 센서, 2축 경사계 센서 및 GPS 센서를 포함하는 차체 진동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너클 진동센서는 차량에 있는 복수의 스티어링 너클들에 부착될 수 있다. 너클 진동센서는 다축 휠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휠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차량정보 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체 진동센서는 차량에 있는 차체 중앙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 될 수 있다. 차체 진동센서는 다축 가속도 센서, 다축 회전각 센서, 다축 자이로 센서 및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 진동센서는 차체의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차량정보 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안전진단 서버(140)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안전진단 서버(140)는 차량 및 차량을 구성하는 다양한 소모품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센싱값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센싱값들을 기초로 차량용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진단 서버(140)는 OBD(120)로부터 수신된 차량정보 및 진동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진동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가혹조건 유형과 GPS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안전진단 서버(14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안전진단 서버(14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를 OBD(120) 및 안전진단 서버(14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 링크 및 노드의 집합에 해당하는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장치에 정보를 분배할 수 있으며 서브시스템으로서 온라인 실시간의 컴퓨터 사용 통신망으로, 컴퓨터계의 리소스와 통신망으로의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는 통신서브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는 차량정보 수신부(210), 가혹조건 결정부(220),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 가혹조건 알림부(240),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차량정보 수신부(210)는 표준화된 OBD(120)의 다양한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센싱값을 OBD 제어부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표준화된 OBD(120)는 차체의 고장 등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 제공할 수 있고,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단말을 이용하여 고장 등에 관한 차량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정보 수신부(210)는 차량에서 수신된 엔진 진동신호, 너클 진동신호 및 차체 진동신호를 복합 진동신호로 통합하고 OBD 제어부에 해당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제공하는 차량정보를 OBD II 커넥터를 통하여 차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정보는 차량의 소모품들 또는 부품들에 대한 진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에 필요한 차량정보를 OBD II 커넥터를 통하여 차량정보 수신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가혹조건 결정부(220)는 너클에 부착된 휠 가속도 센서 및 차체의 하단 중앙에 부착된 차체 가속도 센서 및 차체 자이로 센서를 통해 진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혹조건 결정부(220)는 차량정보로서 차량속도, 휠속도, 차량온도, GPS 정보를 획득하고 진동정보로서 휠 가속도, 차체 가속도 및 차체 각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220)는 가혹조건 유형이 결정되면 GPS 정보와 연관된 해당 장소를 차량 안전진단 서버에 제공하여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혹조건 결정부(220)는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정상 복합 진동신호를 노이즈 진동신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가혹조건 결정부(220)는 주행중인 차량의 정상 복합 진동신호와 안전진단 서버(140)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는 가혹조건 결정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는 가혹조건의 유형과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 중 교체시기가 가장 짧은 심각 가혹 소모품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할 수 있다.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는 가혹조건 유형 마다 미리 등록된 안전진단 서버(140)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해당 가혹상황의 유형에 영향을 받는 차량 소모품을 가혹 소모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는 가혹조건 결정부(220)에서 단거리 반복 주행 빈도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한 경우 해당 가혹조건 유형에 영향을 받는 소모품을 미리 등록된 안전진단 서버(140)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엔진 오일, 오일필터, 브레이크 디스크 및 브레이크 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가혹조건 알림부(240)는 가혹조건 유형, 가혹 소모품 및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 등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가혹조건 알림부(240)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과정에서 생성된 다양한 정보들을 차량 네비게이션(Navition)의 푸시(Push) 알림을 통해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가혹조건 알림부(240)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과정에서 생성된 다양한 정보들을 차량 오디오(Audio)를 통해 TTS(Text to Speech)를 이용하여 음성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 또는 단말은 검색 기능을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가혹조건 유형, 가혹 소모품 및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 등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과정에서 생성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는 가혹조건 발생시 마다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하고, 예정 교체일을 상기 가혹조건 알림부(240)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는 통상조건에서의 예정교체일과 가혹조건에서의 예정 교체일을 가혹조건에서의 주행시간을 반영하여 보간법을 이용해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정보 수신부(210), 가혹조건 결정부(220), 가혹 소모품 결정부(230), 가혹조건 알림부(240) 및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에서 수행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110)는 OBD(120) 및 진동센서(130)를 통해 수신한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가혹조건 유형을 결정할 수 있고(단계 S310), 가혹조건 유형을 기초로 가혹 소모품을 결정할 수 있으며(단계 S320). 가혹조건 유형과 가혹 소모품 정보를 운전자에 제공하고 가혹조건 유형과 GPS 정보를 안전진단 서버에 등록할 수 있으며(단계 S330),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해당 장소에 등록된 가혹조건 유형을 운전자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40).
도 4는 도 2에 있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의 가혹조건 결정부에서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결정하는 가혹조건 유형들의 예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혹조건 유형들은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한 유형 (유형 1),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주행한 유형(유형 2),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한 유형(유형 3), 32℃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이상 주행한 유형(유형 4), 험한 길(모래 및 자갈 길, 눈길, 비포장 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유형(유형 5), 산길, 오르막길 및 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유형(유형 6), 차량을 경찰차, 택시, 상용차 및 견인차 등으로 사용한 유형(유형 7), 고속주행(170km/h)의 빈도가 높은 유형(유형 8),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한 유형(유형 9) 및 소금, 부식 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한 유형(유형 10)을 포함한다.
가혹조건 유형 1의 경우, 가혹조건 유형은 차량 속도, 차량 가속도, 휠 속도, 휠 가속도, GPS 및 차량 전원센서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 및 진동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는 가혹조건 유형에 영향을 받는 가혹 소모품들 각각에 대한 비중, 기여도 및 가혹도를 안전진단 서버(140)를 통해 수신하여 보간법을 이용해 예정 교체일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250)는 가혹조건 유형에 따른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하기 위해 다음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가혹 소모품 각각에 대한 가혹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M은 차량의 주행거리에 해당한다. Mj는 J개의 종류가 다른 가혹조건 유형들에서 j가혹조건 유형 중 차량이 주행한 주행거리에 해당한다. Mji는 Mj가 j가혹조건 유형에서 i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주행구간 중 차량이 주행한 i번째 주행거리에 해당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S는 차량의 가혹도에 해당한다. Sj는 j개의 종류가 다른 가혹조건 유형 중에서 j가혹조건 유형으로 차량이 주행되었을 때, 차량의 가혹도에 해당한다. Mji는 Mj가 j가혹조건 유형에서 i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주행구간 중 차량이 주행한 i번째 주행거리에 해당한다. Wji는 j가혹조건 유형에서 i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주행구간 중 i번째 주행구간의 비중상수에 해당한다. Cji는 j가혹조건 유형에서 i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주행구간 중 i번째 주행구간의 기여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차량의 전체 가혹도 ST는 Sj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3]
Figure pat00003
ST는 j가혹조건 유형들에서 j번재 가혹조건까지의 Sj 들의 합으로, 전체 가혹도에 해당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시스템
110: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 장치
120: OBD(On-Board Diagnostics) 130: 진동센서
140: 안전진단 서버 210: 차량정보 수신부
220: 가혹조건 결정부 230: 가혹 소모품 결정부
240: 가혹조건 알림부 250: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
260: 제어부

Claims (8)

  1. OBD(On-Board Diagnostics)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차량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센서 각각을 통해 진동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정보와 상기 진동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가혹조건 유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가혹조건 결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가혹조건 유형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을 결정하는 가혹 소모품 결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는
    너클에 부착된 휠 가속도 센서 및 차체의 하단 중앙에 부착된 차체 가속도 센서 및 차체 자이로 센서를 통해 상기 진동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는
    상기 차량정보로서 차량속도, 휠속도, 차량온도, GPS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진동정보로서 휠 가속도, 차체 가속도 및 차체 각속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조건 결정부는
    상기 가혹조건 유형이 결정되면 GPS 정보와 연관된 해당 장소를 차량 안전진단 서버에 제공하여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이동을 추적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가혹조건 유형별 장소의 인근에 도착하는 것을 검출하여 해당 가혹조건의 유형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하는 가혹조건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 소모품 결정부는
    상기 가혹조건의 유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 중 교체시기가 가장 짧은 심각 가혹 소모품을 차량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혹조건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가혹도 누적량을 산출하여 교체주기를 예지하는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교체주기 예지부는
    상기 가혹조건 발생시 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혹 소모품의 예정 교체일을 산출하고, 상기 예정 교체일을 상기 OBD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KR1020180058765A 2018-05-24 2018-05-24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KR10215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65A KR102157258B1 (ko) 2018-05-24 2018-05-24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765A KR102157258B1 (ko) 2018-05-24 2018-05-24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856A true KR20190133856A (ko) 2019-12-04
KR102157258B1 KR102157258B1 (ko) 2020-09-17

Family

ID=6900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765A KR102157258B1 (ko) 2018-05-24 2018-05-24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5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364A (ko) * 1996-06-19 1998-03-30 김영귀 자동차의 불량 도로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8431A (ko) * 2002-12-03 2004-06-10 주식회사 텔사인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2753A (ko) * 2008-08-20 2010-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모품 교환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5516A (ko) * 2008-09-26 2010-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진동 진단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1499092B1 (ko) 2013-09-13 2015-03-12 카맨아이 주식회사 차량 진단장치
KR20150108296A (ko)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포키비언 차량 소모품 관리 시스템
KR20160109616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에코트루먼트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KR101682702B1 (ko) * 2015-08-07 2016-12-06 ㈜리커시브소프트 9축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1699884B1 (ko) * 2016-05-18 2017-01-26 유비씨엔(주) Obd와 gps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정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34851B1 (ko) 2016-03-28 2018-03-06 주식회사 비긴스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전기차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364A (ko) * 1996-06-19 1998-03-30 김영귀 자동차의 불량 도로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8431A (ko) * 2002-12-03 2004-06-10 주식회사 텔사인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자동으로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2753A (ko) * 2008-08-20 2010-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모품 교환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5516A (ko) * 2008-09-26 2010-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진동 진단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1499092B1 (ko) 2013-09-13 2015-03-12 카맨아이 주식회사 차량 진단장치
KR20150108296A (ko)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포키비언 차량 소모품 관리 시스템
KR20160109616A (ko) * 2015-03-12 2016-09-21 주식회사 에코트루먼트 차량 및 도로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한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
KR101682702B1 (ko) * 2015-08-07 2016-12-06 ㈜리커시브소프트 9축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1834851B1 (ko) 2016-03-28 2018-03-06 주식회사 비긴스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전기차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99884B1 (ko) * 2016-05-18 2017-01-26 유비씨엔(주) Obd와 gps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정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58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2163B2 (en) Vehicle fuel efficiency optimization based on vehicle usage patterns
US93553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ad surface conditions
CN102463937B (zh) 维护车辆消耗品的系统和方法
US8892341B2 (en) Driver mentoring to improve vehicle operation
CN102867430B (zh) 电动汽车用的信息终端以及巡航控制装置
US20130325335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eco-route using a state of charge consumption ratio
CN103043057A (zh) 基于车辆位置信息的异常驾驶判定和警报系统
WO2014192615A1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12726A1 (en) Asset and Vehicle Coupling
CN102358290B (zh) 一种车辆信息处理方法、系统及pcu控制器
KR101966220B1 (ko) 자동차 관리 시스템
CN115689774A (zh) 优化车辆事件过程的方法和系统
JP5445146B2 (ja) 不具合診断装置、不具合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31222A1 (en) Vehicle surface impact detection
KR102157258B1 (ko) 차량용 가혹 소모품 결정장치
SE537647C2 (sv) Förfarande och system för bedömning av förarbeteende vid bromsning av fordon
CN105539444A (zh) 用于显示车辆的驾驶模式的表示的方法和系统
KR102198725B1 (ko)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JP2018181034A (ja) 走行支援装置、走行支援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データ構造
WO202021302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436877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overworked consumable for vehicle
KR101944789B1 (ko) 소모품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
EP38915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driving performance
JP7076085B2 (ja) 過積載状態判別装置
JP2014228736A (ja) 回生率推定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