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033A -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 Google Patents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033A
KR20040047033A KR1020020075082A KR20020075082A KR20040047033A KR 20040047033 A KR20040047033 A KR 20040047033A KR 1020020075082 A KR1020020075082 A KR 1020020075082A KR 20020075082 A KR20020075082 A KR 20020075082A KR 20040047033 A KR20040047033 A KR 20040047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andle
intermittent
bicy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치
Original Assignee
김용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치 filed Critical 김용치
Priority to KR102002007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033A/ko
Publication of KR2004004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전후 운동에 의해 부가동력이 전달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본래의 핸들 중간부에 회전 연결부를 형성하고, 그 연결부의 상측에 승강관을 삽입하며 승강관과 결합된 별도의 작동로드에 공지의 전달로드가 단속되게 함으로서,
핸들축의 직접적인 전후 작동에 의해 부가동력이 발생하므로 핸들을 옮겨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신속한 제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며,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들을 회전하여야 하거나 부가동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전달로드와 작동로드가 분리되게 하여 보다 안전하면서도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핸들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bicycle operated by shuttle movement of handlebars}
본 발명은 핸들 전후 운동에 의해 부가동력이 전달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그 동력전달부를 핸들축의 직접적인 전후 조작에 의해 동력전달되게 하고, 핸들조향시에는 동력이 차단되게 임의 조작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자전거의 사용이 가능케 한 핸들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사람이 양측 페달을 밟아가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페달에의해 회전되는 스프로킷은 체인에 의해 후륜을 회전시켜 그 자전거가 전진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해를 전혀 유발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근거리의 신속한 이동은 물론 취급이 간편하며, 하체 근육의 발달및 운동에 매우 효과적이어서 근래에 들어서는 이동을 목적으로 함은 물론 고정식자전거에 의해 운동효과만을 갖게 한 운동기구로도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자전거는 사용자의 다리 근력만을 사용하므로 하체에만 편중된 운동효과가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일부 근육 즉, 다리근육만을 사용하므로 장시간 자전거를 타게 되면 다리의 피로감이 매우 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277359호와 같이, 자전거의 핸들축에 별도의 작동핸들을 결합하고, 그 작동핸들의 조작에 의해 스프로킷에 장착된 편심원반이 회전되게 함으로서,
파지된 작동핸들을 상하로 회전시켜 이를 스프로킷으로 전달하여 페달과 작동핸들에 의해 동력이 배가 되므로 자전거의 신속한 출발 및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다리근육 및 팔근육을 동시에 사용하므로 상,하체의 고른 운동효과가 있는 것이며, 종래의 단순한 탑승방법에서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전거를 탑승할 수 있으므로 그 흥미로움이 향상된 핸들조작에 의한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전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가동력에 의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는 별도의 작동핸들을 장착하여 그 작동핸들의 상하 회전작용에 의해 부가동력이 전달케 구성되어 있으므로, 커브나 코너를 진행하기 위해 핸들을 회전하거나 브레이크를 잡아야 하는 경우에는 그 작동핸들로부터 급히 본래의 핸들로 옮겨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신속한 제동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본래의 핸들 중간부에 회전연결부를 형성하고, 그 연결부의 상측에 승강관을 삽입하며 승강관과 결합된 별도의 작동로드에 공지의 전달로드가 단속되게 함으로서,
핸들축의 직접적인 전후 작동에 의해 부가동력이 발생하므로 핸들을 옮겨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신속한 제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며,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들을 회전하여야 하거나 부가동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전달로드와 작동로드가 분리되게 하여 보다 안전하면서도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핸들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 자전거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부의 상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작동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또다른 작동설명도로서,
도 4a는 동력분리시의 단속로드 위치도
도 4b는 동력전달시의 단속로드 위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륜 2 : 후륜
3 : 수평지지봉 3' : 경사지지봉
4 : 핸들축 5 : 고정축
6 : 스프로킷 7 : 페달
8 : 회전원반 9 : 전달로드
10 : 회전링 11 : 핸들
12 : 고정핀 14 : 작동로드
15 : 승강관 18 : 돌출턱
19 : 단속로드 20 : 스프링
21 : 단속레버 22 : 삽입홈
23 : 와이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동력전달장치가 장착된 자전거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다.
전륜(1) 및 후륜(2)을 연결하는 수평지지봉(3)과 경사지지봉(3') 및 전륜(1)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11) 및 핸들축(4)과, 전기한 지지봉(3)(3')과 결합된 고정축(5)과, 전륜(1)과 후륜(2)의 사이에 스프로킷(6) 및 페달(7)이 형성되며, 스프로킷(6)의 결합된 회전원반(8) 및 전달로드(9)를 갖는 회전링(10)이 전기한 회전원반(8)에 결합된 공지의 부가동력에 의한 자전거에 있어서,
전기한 핸들축(4)을 분리하여 고정핀(12)에 의해 힌지고정하고, 상측 핸들축(4)에는 작동로드(14)가 결합된 승강관(15)을 삽입하되,
작동로드(14)는 상단을 승강관(15)의 일측에 결합하고, 전기한 작동로드(14)의 하측단에는 일측면에 돌출턱(18)이 형성된 단속로드(19)의 상단을 힌지 결합하며, 작동로드(14)와 단속로드(19)의 이격공간에는 별도의 스프링(20)을 탄설하며,그 스프링(20)의 내부로 단속로드(19)와 연결된 와이어(23)가 내장되게 하여 핸들(11)에 결합된 별도의 단속레버(21)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23)와 연결된 단속로드(19)가 회전되게 하며, 전기한 단속로드(19)의 돌출턱(18)과 대향된 전달로드(9)에는 삽입홈(2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동력전달부는 종래 자전거의 핸들축(4)을 분리하여 힌지결합하고 그 상축의 핸들(11)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페달(7)이 결합된 스프로킷(6)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하체의 고른 운동효과를 볼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탑승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핸들(11)을 전후로 회전시키면 그 승강관(15)의 일측에 결합된 작동로드(14)가 회전되는 것이며, 작동로드(14)의 일측에 결합된 단속로드(19)에 의해 단속로드(19)와 결합된 전달로드(9)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달로드(9)는 직선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달로드(9)의 전후 운동과 작동로드(14) 및 단속로드(19)의 회전작동간에 발생하는 간격의 오차는 상기한 승강관(15)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이를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로드(14) 및 단속로드(19)의 회전운동을 전달로드(9)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그 전달로드(9)의 작동에 의해 전달로드(9) 단부에 결합된 회전링(10) 및 회전원반(8)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회전원반(8)의 회전력은 페달(7)이 결합된 스프로킷(6)을 회전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단속로드(19)는 핸들(11)에 부착된 단속레버(21)에 의해 그 전달로드(9)와 연결 또는 분리되게 할 수 있는 것인데,
직선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운동이 용이하면서도 안전하므로 상기한 단속로드(19)를 전달로드(9)와 연결되게 하여 핸들(11)에 의한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반면,
코너를 돌거나 회전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핸들(11)의 회전에 의해 동력발생이 용이치 못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단속레버(21)를 이용하여 그 단속로드(19)와 전달로드(9)가 분리되게 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자전거의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코너를 돌거나 진행방향을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핸들(11)을 회전하거나 브레이크를 조작하여야 하는 등 직선주행보다는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이때에는 단속로드(19)를 전달로드(9)로부터 분리시켜 이에 의해 안전한 주행을 가능케하는 것으로서,
도 4a의 도시와 같이 단속로드(19)와 전달로드(9)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작동로드(14) 및 단속로드(19)의 이격공간내에 위치한 스프링(20)의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단속로드(19)가 전달로드(9)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핸들(11)의 전후 운동에 의해서도 그 동력이 전달로드(9)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b의 도시와 같이 핸들(11)에 마련된 단속레버(21)를 잡아당겨 그와이어(23)를 끌어당기면 와이어(23) 단부가 결합된 단속로드(19)가 작동로드(14)측으로 이동하면서 단속로드(19)의 돌출턱(18)이 전달로드(9)의 삽입홈(22)에 삽입되면서 핸들(11)의 전후 운동작용시 그 회전력이 전달로드(9)의 직선운동력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속레버(21)의 조작에 따른 단속로드(19)의 회전작용에 의해 부가 동력의 단속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필요시에만 부가동력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보다 안전한 자전거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하체만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타는 것이 아니라. 상체를 동시에 이용하므로 신체의 고른발육 및 운동효과가 있는 것이며, 장시간 자전거를 타더라도 피로가 상체 및 하체로 분산되므로 상대적으로 덜 피곤하게 되는 것이며, 신체의 고른 운동효과를 볼 수 있으면서도 보다 흥미로운 자전거의 탑승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핸들 전후 운동에 의한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전거는, 핸들축의 직접적인 전후 작동에 의해 부가동력이 발생하므로 핸들을 옮겨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신속한 제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며,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들을 회전하여야 하거나 부가동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전달로드와 작동로드가 분리되게 하여 보다 안전하면서도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륜(1) 및 후륜(2)을 연결하는 수평지지봉(3)과 경사지지봉(3') 및 전륜(1)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11) 및 핸들축(4)과, 전기한 지지봉(3)(3')과 결합된 고정축(5)과, 전륜(1)과 후륜(2)의 사이에 스프로킷(6) 및 페달(7)이 형성되며, 스프로킷(6)의 결합된 회전원반(8) 및 전달로드(9)를 갖는 회전링(10)이 전기한 회전원반(8)에 결합된 공지의 부가동력에 의한 자전거에 있어서,
    전기한 핸들축(4)을 분리하여 고정핀(12)에 의해 힌지고정하고, 상측 핸들축(4)에는 작동로드(14)가 결합된 승강관(15)을 삽입하되,
    작동로드(14)는 상단을 승강관(15)의 일측에 결합하고, 전기한 작동로드(14)의 하측단에는 일측면에 돌출턱(18)이 형성된 단속로드(19)의 상단을 힌지 결합하며, 작동로드(14)와 단속로드(19)의 이격공간에는 별도의 스프링(20)을 탄설하며, 그 스프링(20)의 내부로 단속로드(19)와 연결된 와이어(23)가 내장되게 하여 핸들(11)에 결합된 별도의 단속레버(21)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23)와 연결된 단속로드(19)가 회전되게 하며, 전기한 단속로드(19)의 돌출턱(18)과 대향된 전달로드(9)에는 삽입홈(22)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KR1020020075082A 2002-11-28 2002-11-28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KR20040047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082A KR20040047033A (ko) 2002-11-28 2002-11-28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082A KR20040047033A (ko) 2002-11-28 2002-11-28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033A true KR20040047033A (ko) 2004-06-05

Family

ID=3734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082A KR20040047033A (ko) 2002-11-28 2002-11-28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62B1 (ko) * 2007-03-06 2008-06-20 안기인 상체 운동이 가능한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
WO2011008019A2 (ko) * 2009-07-14 2011-01-20 Park Hun Geun 핸들구동형 자전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46U (ko) * 1975-06-24 1977-01-20
JPS6372185U (ko) * 1986-10-30 1988-05-14
JPH02249785A (ja) * 1988-11-28 1990-10-05 Ryozo Tsukahara 自転車の駆動装置並びにペダル回転式運動器具
KR200276452Y1 (ko) * 2001-12-10 2002-05-22 변상복 개량 복합자전거
KR200277359Y1 (ko) * 2002-02-26 2002-06-01 김용치 핸들조작에 의한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전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46U (ko) * 1975-06-24 1977-01-20
JPS6372185U (ko) * 1986-10-30 1988-05-14
JPH02249785A (ja) * 1988-11-28 1990-10-05 Ryozo Tsukahara 自転車の駆動装置並びにペダル回転式運動器具
KR200276452Y1 (ko) * 2001-12-10 2002-05-22 변상복 개량 복합자전거
KR200277359Y1 (ko) * 2002-02-26 2002-06-01 김용치 핸들조작에 의한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62B1 (ko) * 2007-03-06 2008-06-20 안기인 상체 운동이 가능한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
WO2011008019A2 (ko) * 2009-07-14 2011-01-20 Park Hun Geun 핸들구동형 자전거
WO2011008019A3 (ko) * 2009-07-14 2011-04-07 Park Hun Geun 핸들구동형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942A (en) Manually driven bicycle
MXPA06014937A (es) Bicicleta accionada con una mano adicional.
US6105985A (en) Hand and foot powered bicycle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US4733880A (en) Ridable arm exercise bicycle
JP3101174U (ja) 自転車
KR20060084827A (ko) 핸들 조작에 의한 자전거
US3921464A (en) Handlebar driven bicycle
CN109353441A (zh) 一种直立踏步式自行车
KR20040047033A (ko) 핸들의 전후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구조
KR100579530B1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KR101583053B1 (ko)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JP3169458U (ja) 手漕ぎ式自転車
CN204489049U (zh) 后轮转向的漂移三轮车
JPH0542893A (ja) 体重で走る自転車
CN209208961U (zh) 一种直立踏步式自行车
JP3079137U (ja) 重力三輪車
KR20120027727A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CN104890797A (zh) 脚控制方向组合驱动双人自行车
CN216943410U (zh) 脚踏平衡车
KR200277359Y1 (ko) 핸들조작에 의한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전거
CN103332246B (zh) 手驱动前轮脚控制后轮二轮自行车
KR20080103153A (ko) 전동식 및 핸들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CN108100127A (zh) 电动代步车
KR200202695Y1 (ko) 래칫 휠식 인력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