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658A -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658A
KR20040046658A KR1020020074648A KR20020074648A KR20040046658A KR 20040046658 A KR20040046658 A KR 20040046658A KR 1020020074648 A KR1020020074648 A KR 1020020074648A KR 20020074648 A KR20020074648 A KR 20020074648A KR 20040046658 A KR20040046658 A KR 2004004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vibration
buzzer
speak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424B1 (ko
Inventor
차성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42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음량 출력과 함께 진동모터가 연동되어 출력되도록 설정하고자 할 때 조절 버튼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음량 및 진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모터, 스피커, 마이크, 부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의 출력진동량 및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출력음량 조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 버튼부; 상기 조절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출력음량을 제어하고, 진동모터 구동부로 출력진동량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출력진동량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는 진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Mobile for having volume/vibration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음량 출력과 함께 진동모터가 연동되어 출력되도록 설정하고자 할 때 조절 버튼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음량 및 진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며 장소 및 거리에 제한받지 않고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무선 통신기기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산업발달과 정보화 사회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한 개인용 통신 수단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보급이 계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요즈음은 상기와 같은 이동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게임,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사용자들이 상기와 같은 서비스들을 좀더 재미있고 생동감 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 진행중이다.
현재는 이동단말기에서 스피커를 통해 벨소리나 상대방 음성, 게임 중 효과음 등이 출력되며, 진동모터는 전화벨 종류의 하나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을 알리는 벨소리를 대신하였다.
그러나, 스피커나 마이크, 부저 등이 출력될 때 진동모터가 연동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들이 이동단말기의 여러 가지 서비스를 더욱 흥미롭게 이용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음량 출력과 진동모터가 연동되어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제1 목적이 있다.
특히, 음량/진동량을 조절함에 있어 이동단말기의 본체 측면에 마련된 조절 버튼부를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제2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에서 음량/진동량를 조절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절 버튼부 20: 제어부
30: 진동모터 구동부 40: 진동모터
50: 부저 60: 스피커
70: 마이크 80: 표시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모터, 스피커, 마이크, 부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의 출력진동량 및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출력음량 조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 버튼부; 상기 조절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출력음량을 제어하고, 진동모터 구동부로 출력진동량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출력진동량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는 진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 이동단말기의 구성항목 중 본 발명 구현에 적용되는 일부 구성항목만을 도시하였음을 명시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 구현을 위한 이동단말기는 부저(50), 스피커(60), 마이크(70)의 음량과 진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절버튼부(10)와, 상기 조절 버튼부(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모터(40)의 진동 출력량에 해당하는 출력진동량 신호를 진동모터 구동부(30)로 전송하고, 상기 부저(50), 스피커(60), 마이크(70)의 음량 조절을 위한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제어부(20),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출력진동량 신호에 따라 진동모터(40)가 해당 진동량만큼 진동 출력하도록 상기 진동모터(40)를 구동하는 진동모터 구동부(30), 진동모터(40) 및 부저(50), 스피커(60), 마이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 버튼부(1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이동단말기의 본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절 버튼부(10)는 세 개의 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튼은 상기 부저(50), 스피커(60), 마이크(70) 중 조절하고자 하는 음량 또는 진동량 항목 선택을 위한 버튼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름에 따라 스피커(60), 마이크(70), 부저(5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상기 스피커(60), 마이크(70), 부저(50)에 해당하는 문자, 아이콘 등이 표시부(80)에 제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스피커, 마이크, 부저가 설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부(80)에 제시된다. 즉 상기 제1 버튼을 한번 누르면 표시부(80)에 '스피커'가 제시되고, 또 한번 누르면 '마이크', 또 한번 누르면 '부저'가 표시부(80)에 제시된다. 상기 제1 버튼 입력 횟수에 따른 음량/진동량 설정 순서는 메모리의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음량 또는 진동량 조절을 위한 항목 선택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1 버튼 조작이 없으면 다음 과정이 진행된다.
즉, 표시부(80)에 '스피커'가 제시되고 난 후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1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상기 스피커(60)의 음량 또는 진동량 조절을 위해 '음량'이 표시부(80)에 제시되고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진동량'이 표시부(80)에 제시된다.
표시부(80)에 '음량' 또는 '진동량'이 제시될 때 사용자는 조절 버튼부(10)에 마련된 제2 버튼과 제3 버튼을 눌러 음량이나 진동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2 버튼은 음량이나 진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며, 상기 제3 버튼은 음량이나 진동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가 '스피커'의 상기 조절 버튼부(10)를 조작하여 음량 또는 진동량을 조절하면, 스피커의 음량 출력시 조절된 진동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진동이 함께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조절 버튼부(10)를 통해 음량/진동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스피커(60), 마이크(70), 부저(50) 중 하나의 음량 또는 진동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버튼부(10)에 마련된 제1 버튼을 누른다(S1).
상술했듯이, 제1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스피커(60), 마이크(70), 부저(5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80)에 상기 스피커(60), 마이크(70), 부저(50)를 의미하는 문자 또는 아이콘이 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저(50)의 음량 또는 진동량을 조절하기 원한다면, 표시부(80)에 "부저"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아이콘이 제시될 때까지 제1 버튼을 누른다.
제1 버튼을 누르면 다음 항목으로 넘어가게 되므로, 표시부(80)에 조절하고자 하는 항목이 제시되면 더 이상 제1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
상기 예로써, 표시부(80)에 "부저"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아이콘이 제시되면 사용자는 부저(50)의 음량 또는 진동량을 조절하고자 하므로 제1 버튼을 더 이상 누르지 않고, 일정 시간 대기한다.
즉, 표시부(80)에 제시되는 항목을 선택하고자 할 때, 다음 과정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더 이상 제1 버튼을 누르지 않고 대기한다.
"부저"가 표시부(80)에 제시되고 일정 시간동안 다른 키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20)는 부저(50)의 음량 또는 진동량 조절을 위한 신호로 판단하여(S2) 다음 과정을 위해 표시부(80)에 "음량" 조절을 의미하는 문장 또는 아이콘을 출력한다.
표시부(80)에 "음량" 조절을 의미하는 문장 또는 아이콘이 제시된 후, 사용자가 부저(50)의 음량 조절을 하고자 한다면(S3), 상기 "음량" 조절을 의미하는 문장 또는 아이콘이 표시부(80)에 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버튼 또는 제3 버튼을 누른다.
제 2버튼을 누르면(S4) 부저(50)의 음량이 증가되고(S5), 제3 버튼을 누르면(S7) 부저(50)의 음량이 감소되도록 설정된다(S8).
상기 S3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저(50)의 음량이 아닌 진동량을 조절하고자 한다면, 표시부(80)에 "음량" 조절을 의미하는 문장 또는 아이콘이 제시될 때 제1 버튼을한번 누르면 표시부(80)에 "진동량" 조절을 의미하는 문장 또는 아이콘이 제시된다(S6).
표시부(80)에 "진동량" 조절을 의미하는 문장 또는 아이콘이 제시된 후 사용자가 제2 버튼을 누르면(S4) 부저(50)의 진동량이 증가되고(S5) 제3 버튼을 누르면(S7) 부저(50)의 진동량이 감소되도록 설정된다(S8).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스피커(60)의 조절된 진동량은, 스피커(60)를 통해 통화 중 또는 게임 중 등 음량이 출력될 때 진동 모터가 동작하는 출력진동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화 중에 상대방의 음성에 대응하여 진동 모터가 동작하는 것을 원치 않을 때에는 진동량을 최소로 감소시켜 놓으면 된다.
반대로, 이동단말기에서 게임을 할 때 더욱 실감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게임 중 출력되는 소리와 함께 진동이 강하게 느껴지도록, 진동량을 최대로 증가시켜 놓을 수 있다.
특히, 스피커(60)를 통해 전화벨이 출력될 때 진동이 함께 출력되면 전화벨을 듣지 못할 경우에 진동을 감지하여 통화 착신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커, 마이크, 부저 등의 음량 출력과 함께 진동이 출력되도록 할 때, 조절 버튼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의 음량 및 진동모터의 출력진동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3)

  1. 진동모터, 스피커, 마이크, 부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의 출력진동량 및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출력음량 조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절 버튼부;
    상기 조절 버튼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 마이크, 부저의 출력음량을 제어하고, 진동모터 구동부로 출력진동량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출력진동량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는 진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버튼부는
    음량 또는 진동량 조절을 위해 스피커, 마이크, 부저 중 하나의 항목 선택과, 선택된 항목의 조절하고자 하는 음량 또는 진동량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버튼;
    상기 음량 또는 진동량의 증가를 위한 제2 버튼;
    상기 음량 또는 진동량의 감소를 위한 제3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버튼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본체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진동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KR1020020074648A 2002-11-28 2002-11-28 음량 및 진동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KR10092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648A KR100925424B1 (ko) 2002-11-28 2002-11-28 음량 및 진동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648A KR100925424B1 (ko) 2002-11-28 2002-11-28 음량 및 진동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658A true KR20040046658A (ko) 2004-06-05
KR100925424B1 KR100925424B1 (ko) 2009-11-06

Family

ID=3734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648A KR100925424B1 (ko) 2002-11-28 2002-11-28 음량 및 진동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00B1 (ko) * 2004-11-23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조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972A (ja) * 1998-11-02 2000-05-16 Nec Mobile Commun Ltd 着信通知方式
KR20010054672A (ko) * 1999-12-07 2001-07-02 서평원 휴대폰
KR200214674Y1 (ko) * 2000-08-24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매너 모드키를 외부에 장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0035297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휴대폰의 진동량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00B1 (ko) * 2004-11-23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424B1 (ko) 200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8105B2 (ja) 無線通信装置のためのオーディオ・フィードバックを持つ直観的なキーパッド・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019102B2 (en) Acoustic adjustment device and acoustic adjustment method
US20060099996A1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a flat-panel speaker an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233325A1 (zh) 提示方法及移动终端
US7103389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melody patterns via sound, tactical and visual notifications
TW200907780A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GB2366154A (en) Method of calling a function by keyword dete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g mobile phone
JP2001320775A (ja) 携帯電話機の知覚情報伝達方法、及び知覚情報伝達機能付携帯電話機
KR1005433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 중 선택적 수신 방법
KR20080026979A (ko)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KR100705163B1 (ko) 배경음악 송출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신호 전송방법
KR100925424B1 (ko) 음량 및 진동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JPH11252216A (ja) 電話機
JP2002328758A (ja) 小型情報端末装置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
KR10043446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47880B1 (ko) 매뉴얼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매뉴얼 제공 방법
KR20050034796A (ko) 문자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헤드셋
JP2003131790A (ja) 情報機器
KR1010722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KR1004697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전화 번호 입력 및 표시 방법
KR20020089637A (ko) 리모콘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780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 연주 장치 및그 방법
KR20040108208A (ko)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차량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JP2002359672A (ja) 電子機器
JPH11243442A (ja) 多機能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